슈무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무슈군은 쿠릴 열도에 위치했던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1876년에 설치되어 2010년에 법령상 소멸되었다. 주요 섬으로는 슘슈섬, 아틀라소프섬, 파라무시르섬 등이 있으며, 슘슈 해협, 파람시르 해협 등의 해협으로 둘러싸여 있다. 1879년 행정 구역으로 발족하여 1945년 소련군에 점령되었고, 1952년 일본은 영유권을 포기했다.
2010년까지 일본의 일부 법령에 명칭만 남아 있었다.
슈무슈군 전역은 쿠릴 열도 북부의 도서로 이루어져 있다. 정촌제가 시행되지 않아 소속된 정촌은 없으며, 2010년까지 일본의 일부 법령에 명칭만 남아 있었다.
2. 명칭
3. 지리
중심 취락은 파라무시르섬의 가시와바라였으며, 이곳에는 주재소나 우체국(계절 개업) 등 행정 기관이 설치되었다. 그 외에도 가쿠마베쓰, 무라카미, 스리바치 등지에 취락이나 통조림 공장이 세워졌고, 슘슈섬의 가타오카에서도 통조림 공장이 운영되었다. 이 지역은 북양 어업의 중요한 기지로서 번성했으며, 여름철에는 하코다테나 오타루에서 명령 항로의 배가 운항되어 중부 쿠릴 열도 이북에서 가장 많은 정주 인구를 기록하기도 했다.
슈무슈군의 동쪽 끝은 동경 155도선을 넘지만,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는 일본 중앙 표준시 (UTC+9)를 사용했다.
3. 1. 주요 섬
러시아 명칭 일본 명칭 (괄호 안) 슘슈섬 (슈무슈섬) 아틀라소프섬 (아라이도섬) 파라무시르섬 (파라무시루섬 또는 호로무시로섬) 안치페로바섬 (시린키섬) 마칸루시섬 (마칸루섬) 아우오스섬 (아보스 암) 오네코탄섬 (온네코탄섬) 하림코탄섬 (하리모코탄섬 또는 하루모코탄섬) 예카르마섬 (에카루마섬) 치링코탄섬 (지린코탄섬) 시아시코탄섬 (샤스코탄섬) 로브스키섬 (모지레쓰 암) 무실 열암 (무시루레츠 암)
1876년(메이지 9년)부터 2010년(헤이세이 22년)까지 섬 목록에는 변경이 없었다.명칭 (러시아/통용) 일본 명칭 (괄호 안) 위치 비고 슘슈 해협 캄차카 반도 로파트카 곶과 슘슈섬 사이 슘슈군의 북쪽 경계 파람시르 해협 (파람시르 해협) 슘슈섬과 파라무시르섬 사이 이와키 해협 (이와키 해협) 파라무시르섬과 아틀라소프섬 사이 시린키 해협 (시린키 해협) 파라무시르섬과 안치페로바섬 사이 온네코탄 해협 (온네코탄 해협) 파라무시르섬과 오네코탄섬 사이 야마토 해협 (야마토 해협) 오네코탄섬과 마칸루시섬 사이 하림코탄 해협 (하림코탄 해협) 오네코탄섬과 하림코탄섬 사이 샤스코탄 해협 (샤스코탄 해협) 하림코탄섬과 시아시코탄섬 사이 에칼마 해협 (에칼마 해협) 시아시코탄섬과 예카르마섬 사이 무실 해협 (무실 해협) 무실 열암과 라이코케섬 사이 슘슈군의 남쪽 경계. 다른 이름: 크루젠슈테른 해협, 최대 수심 1900m.
3. 2. 해협
1876년부터 2010년까지 변동 없이 유지된 슈무슈군의 해협은 북쪽부터 다음과 같다.
4. 역사
슈무슈 군은 1876년 1월 14일 지시마국 소속으로 처음 설치되었다.[3] 설치 초기에는 지시마 아이누가 거주하였으나, 1884년 7월 6일 이들 주민 전체가 일본 정부에 의해 시코탄 섬으로 강제로 이주되면서 군내는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되었다.[5]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홋카이도청 네무로 지청의 관할 아래 놓였으며, 1906년 러일 어업 협정 체결 이후에는 북양 어업의 거점으로 활용되면서 어업 시즌에는 계절 노동자들로 붐비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0년부터는 일본군이 미국군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슈무슈 섬에 군사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1945년 8월 18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소련군이 섬에 상륙하여 일본군과 슈무슈 섬 전투를 벌였고, 일본의 항복 선언 이후인 9월 2일부터는 소련의 군사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46년 2월 2일, 소련은 일방적으로 슈무슈 군 지역을 자국 영토인 사할린주에 편입시켰다. 이후 1952년 4월 28일 발효된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 따라 일본은 슈무슈 군을 포함한 쿠릴 열도 일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였다. 최종적으로 2010년 4월 1일, 일본 내 관련 법령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슈무슈 군은 행정 구역 명칭으로서도 완전히 소멸되었다.[6][7][8]
4. 1. 일본 통치 시대 (1876년 ~ 1945년)
1876년 1월 14일, '''슈무슈 군'''이 설치되어 '''지시마국'''에 소속되었다.[3] 1878년 8월에는 슈무슈 섬의 지시마 아이누(수장 알렉산드르 프리친 또는 체르누이)가 일본 국적을 취득했으며[4], 라소와 섬의 지시마 아이누(부수장 야코프 스트로조프)도 일본 국적을 취득하여 후에 합류했다.1879년 7월 23일, 군구정촌 편제법이 홋카이도에서 시행됨에 따라 행정 구역으로서의 '''슈무슈 군'''이 공식적으로 발족했다. 1880년 7월부터는 네무로 군 외 8군역소(네무로 하나사키, 노쓰케, 시베쓰, 메나시, 쿠나시리, 우루푸, 시무시루, 슈무슈 군역소)의 관할 하에 놓였다. 1882년 2월 8일에는 폐사치현 정책에 따라 '''네무로 현'''의 관할이 되었다.
1884년 7월 6일, 일본 정부는 슈무슈 섬에 거주하던 지시마 아이누 전원(97명, 20세대)을 시코탄 섬으로 강제 이주시켰고, 이로 인해 슈무슈 군내는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되었다.[5] 1885년 1월에는 네무로 군 외 9군역소(네무로, 하나사키, 노쓰케, 시베쓰, 메나시, 쿠나시리, 우루푸, 시무시루, 시코탄 군역소)의 관할로 변경되었다.
1886년 1월 26일, 폐현치청 정책으로 '''홋카이도청'''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되었으나, 같은 해 2월 네무로 지청이 폐지되었다. 1897년 11월 5일에는 군역소가 폐지되고 다시 '''네무로 지청'''의 관할이 되었다.
1906년, 러일 어업 협정 체결 이후 본격적인 북양 어업이 시작되면서, 어업 시즌에는 계절 노동자들이 슈무슈 군 일대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1940년 9월, 육군 축성부는 태평양 전쟁에 대비하여 슈무슈 섬에 요새 건설을 시작했으며, 인접한 파라무시르 섬의 가시와바라나 스리바치에도 미국군을 겨냥한 군 비행장과 지하 병원 등이 건설되었다(북지시마 임시 요새).
1945년 8월 18일, 소련군이 슈무슈 섬 북부의 타케다하마에 상륙하자 주둔 중이던 일본군이 응전하여 슈무슈 섬 전투가 벌어졌다. 같은 해 9월 2일, 일본 정부가 항복 문서에 조인하면서, 연합국의 일반 명령 제1호에 따라 슈무슈 군은 소련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역대 군장'''
;네무로군 외 8군 군장
대 | 성명 | 취임 년월일 | 퇴임 년월일 | 비고 |
---|---|---|---|---|
1 | 와다 마사나에 | 메이지 13년(1880년) 7월 15일 | 메이지 18년(1885년) | 하나사키군의 일부에서 시코탄군이 분립 |
;네무로군 외 9군 군장
대 | 성명 | 취임 년월일 | 퇴임 년월일 | 비고 |
---|---|---|---|---|
1 | 마쓰시타 가네키요 | 메이지 18년(1885년) | 메이지 19년(1886년) | |
2 | 히로타 치아키 | 메이지 19년(1886년) 12월 | 메이지 22년(1889년) | |
3 | 호소카와 헤키 | 메이지 22년(1889년) 7월 | 메이지 23년(1890년) 7월 | |
4 | 다카오카 나오키치 | 메이지 23년(1890년) 8월 11일 | 메이지 28년(1895년) 12월 3일 | |
5 | 하야시 에쓰로 | 메이지 28년(1895년) 12월 18일 | 메이지 30년(1897년) 11월 5일 | 네무로군 외 9군 역소를 폐지하고 네무로 지청을 설치. |
4. 2. 2차 세계대전과 소련 점령 (1945년 ~ 현재)
1940년 9월, 육군 축성부가 미국군에 대비하여 슈무슈 섬에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 인근 파라무시르 섬의 가시와바라(현 세베로쿠릴스크)나 스리바치에도 군 비행장과 지하 병원 등이 건설되었다(북지시마 임시 요새).1945년 8월 18일,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이 슈무슈 섬 북부의 타케다하마에 상륙했고, 섬을 방어하던 일본군과 슈무슈 섬 전투가 벌어졌다. 같은 해 9월 2일, 일본 정부가 항복 문서에 조인하면서, 연합국의 일반 명령 제1호에 따라 슈무슈 군은 소련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46년 1월 29일, GHQ는 지령 제677호를 통해 슈무슈 군을 포함한 쿠릴 열도 등에 대한 일본 정부의 행정권을 공식적으로 정지시켰다. 이어 2월 2일, 소련은 슈무슈 군 지역을 자국 영토인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사할린주에 편입했다.
1952년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슈무슈 군을 포함한 쿠릴 열도 남단 이외 지역에 대한 모든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을 포기했다.
2010년 4월 1일 시행된 「홋카이도 종합진흥국 및 진흥국의 설치에 관한 조례」[6] 및 「재무성 조직 규칙의 일부를 개정하는 성령」[7]에 따라, 슈무슈 군은 일본의 행정 구역 관련 법령상으로도 완전히 소멸되었다.[8] 현재 슈무슈 군 지역은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4. 3. 쿠릴 열도 분쟁
1876년 1월 14일 설치되어 지시마국에 소속되었던[3] 슈무슈군은 1884년 7월 6일 섬에 거주하던 지시마 아이누 전원(97명)이 시코탄 섬으로 이주하면서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되었다.[5] 이후 1906년 러일 어업 협정이 체결되면서 북양 어업이 본격화되었고, 어업 시즌에는 계절 노동자들로 붐비게 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0년 9월, 일본 육군 축성부는 미국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슈무슈 섬에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 인근 파라무시르 섬에도 비행장과 지하 병원 등이 건설되었다(북지시마 임시 요새).
1945년 8월 18일, 소련군이 슈무슈 섬 북부 타케다하마에 상륙하여 일본군과 교전하는 슈무슈 섬 전투가 발발했다. 같은 해 9월 2일, 일본 정부가 항복 문서에 서명함에 따라 슈무슈 섬은 소련의 점령 하에 들어갔다.
전후 처리 과정에서 1946년 1월 29일, GHQ는 지령 제677호를 통해 슈무슈 군에 대한 일본 정부의 행정권을 공식적으로 정지시켰다. 이어 2월 2일 소련은 이 지역을 자국 영토인 사할린주에 편입시켰다. 1952년 4월 28일, 일본 정부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 따라 슈무슈 군을 포함한 쿠릴 열도 일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였다.
2010년 4월 1일 시행된 「홋카이도 종합진흥국 및 진흥국의 설치에 관한 조례」[6] 및 재무성 조직 규칙 개정[7]에 따라 슈무슈 군은 일본의 법령상으로도 소멸되었다.[8]
5. 인구
일본 국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슈무슈군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25년(다이쇼 14년)부터 1935년(쇼와 10년)까지의 데이터는 1935년 국세 조사 보고[9]에 따른다.
1884년(메이지 17년)에는 원주민인 아이누 약 100명을 이주시킨 후 섬을 무인화했다. 1896년(메이지 29년)에는 일본 본토에서 온 개척단 57명이 섬에 들어와 살기 시작했다. 1903년(메이지 36년)에는 군지 나리타다의 2차 지시마 개척 결과, 섬의 정주 인구가 170명(남성 100명, 여성 70명)으로 늘어났다.
이후 국세 조사에 따른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총 인구 | 남성 인구 | 여성 인구 | 세대수 |
---|---|---|---|---|
1920년 (다이쇼 9년) | 3,070명 | 2,444명 | 626명 | 89세대[10] |
1925년 (다이쇼 14년) | 450명 | - | - | - |
1930년 (쇼와 5년) | 424명 | - | - | - |
1935년 (쇼와 10년) | 2,820명 (상주 인구 132명) | 2,530명 | 290명 | - |
1940년 (쇼와 15년) | 1,805명 | 1,729명 | 76명 | 104세대[11] |
1945년(쇼와 20년)에는 국세 조사가 실시되지 않았으나, 슘슈 섬 전투 당시 약 2,000명의 민간인과 일본군 수비대(육군 약 23,000명, 해군 약 1,500명)가 섬에 머물고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国際千島調査、英文)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10-09-05
[2]
서적
昭和十九年暦
東京帝国大学
[3]
간행물
法令全書第11冊(明治9年)
https://dl.ndl.go.jp[...]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国立国会図書館
[4]
웹사이트
クリル人の色丹島移住
http://www.orthodox-[...]
[5]
간행물
根室外九郡役所統計概表 経歴
https://dl.ndl.go.jp[...]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国立国会図書館
[6]
웹사이트
北海道総合振興局及び振興局の設置に関する条例 支庁とは?
https://www.pref.hok[...]
[7]
웹사이트
財務省組織規則(平成十三年財務省令第一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7-12
[8]
문서
[9]
간행물
市町村別人口 01北海道
http://www.e-stat.go[...]
昭和10年国勢調査
[10]
간행물
世帯数及人員-市町村 01北海道
http://www.e-stat.go[...]
大正9年国勢調査 政府統計の総合窓口
[11]
간행물
世帯および男女別人口(全人口)-全国,道府県,郡,市区町村
http://www.e-stat.go[...]
昭和15年国勢調査 政府統計の総合窓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