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마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시마국은 1869년 홋카이도에 설치된 11개 국 중 하나로, 쿠릴 열도에 해당하는 지역을 관할했다.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일본이 쿠릴 열도 전체를 획득했으며, 이후 지시마국은 시코탄섬을 편입하며 관할 구역을 확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쿠릴 열도는 소련에 점령되었고, 현재는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일본은 쿠릴 열도 남부 4개 섬(북방 영토)의 반환을 요구하며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다. 이 분쟁은 1855년 일러 화친 조약, 얄타 회담,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일소 공동 선언 등 여러 역사적 사건과 관련되어 있으며, 한일 관계 및 동북아시아 정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시마국 -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은 1875년 일본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되어 일본이 사할린 섬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쿠릴 열도 18개 섬을 러시아로부터 양도받았으며, 사할린과 쿠릴 열도의 국경을 확정하고 일본인 거주자 보상, 일본 어선의 오호츠크해 접근 허용 등을 규정했다. - 지시마국 - 유즈노쿠릴스크
유즈노쿠릴스크는 쿠나시르섬의 오호츠크해 연안에 있는 러시아의 항구 도시로, 과거 고후마후였으나 소련 점령 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며 북방 영토 문제와 관련된 논란 지역이며, 지진, 기상, 쓰나미 관측소가 있다. - 홋카이도 (율령제) - 이시카리국
이시카리국은 1869년 메이지 유신 후 홋카이도에 설치된 구 행정 구획으로, 현재의 가미카와·소라치·이시카리 진흥국 관내 대부분을 포함하며 이시카리 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1882년 국 제도가 폐지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홋카이도 (율령제) - 데시오국
데시오국은 메이지 시대에 설치된 홋카이도의 구니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와진이 진출하고 에도 시대에는 마쓰마에 번의 지배 아래 아이누와의 교역 장소인 바쇼가 설치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삿포로현에 편입되었다.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쿠릴 열도 - 오스콜키섬
지시마국 | |
---|---|
개요 | |
국명 | 지시마 국 (千島国) |
로마자 표기 | Chishima no Kuni |
위치 | 일본 홋카이도 동부, 쿠릴 열도 |
역사 | |
설치 | 1869년 8월 15일 |
폐지 | 1882년 2월 8일 |
해당 지역 | 쿠릴 열도 |
행정 구역 | |
아래의 군 | 구나시리 군 에토로후 군 시코탄 군 시무시루 군 우루프 군 기타 군 |
2. 역사
1869년 8월 15일 홋카이도에 지시마국이 설치되면서 5개의 군이 설치되었다.[2] 1875년 가라후토・지시마 교환 조약에 따라 일본은 쿠릴 열도(지시마 열도) 전체를 획득했다.[39]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소련이 쿠릴 열도를 점령하면서 현재까지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일본은 쿠릴 열도 남부 4개 섬(북방 영토)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독도 문제와 연관하여 일본의 영토 주장에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2. 1. 고대 및 중세
고분 시대 이전, 적어도 무로톤섬까지 계속 조몬 문화에 속하는 문화가 미쳤다.[3] 아스카 시대 사이메이 천황 시절 사할린에서 아베노 히라후가 숙신(미시와세)과 싸웠는데(『일본 서기』)[4], 이는 당시 점유군 지역에도 미쳤던 오호츠크 문화권[5]에 속하는 사람들이라고도 한다.[6] 오호츠크 문화는 헤이안 시대 전반 무렵 찰문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토비나이 문화로 이행하여 가마쿠라 시대 무렵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지시마 열도는 화산 폭발과 거대한 쓰나미가 정기적으로 발생했고, 우루프섬보다 북쪽에서는 오호츠크 문화 시대에 한 번 확대되었지만, 그 후 탄소 14에 의한 감정으로 생활 흔적이 발견되지 않는 단절기가 13세기 중반부터 약 400년간 있는 등 가혹한 환경이었다.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에서 지시마국 지역에 걸쳐 히노모토[7]라고 불리는 에조(아이누)가 있었고, 에조 사타 직・에조 관령안토 씨는 이를 통괄했다(『스와 대명신 그림말』).[8][9] 때때로 에조가섬에서 소란이 일어나면, 쓰가루에서 출병했다고 한다.[10] 안토 수군을 자칭하는 간토 면제선이 주산포를 거점으로 꽤 광범위하게 활동했으며(『회선식목』),[11][12] 일본 산물을 에조 사회에 공급하고, 북방 산품을 대량으로 매입하여 전국에 출하했다(『십삼 왕래』).[13][14][15][16] 화인 사회로부터의 상품 유통이 증가하는 가운데, 아이누 문화가 확립되어 갔다고 보인다. 15세기까지, 춥카 열도 (신지군 지역 및 점수군 지역)와 감차카 남단까지 아이누가 진출했다. 후세에, 화인 사회로부터 유입되는 철 냄비를 본뜬 내이 토기도 각지에서 출토되어, 당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우루프섬 주변은 오래전부터 교역품으로서 중요한 수달 가죽의 특산지였으며, "수달 섬"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오에이 30년 (1423년) 4월, 안도 무쓰노카미가 무로마치 막부 5대 쇼군아시카가 요시카즈에게 수달가죽 30장을 바쳤고(『후경』), 가키자키(마쓰마에) 요시히로가 분로쿠 2년 (159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3장(『신라지 기록』)과 겐나 원년 (1615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길이 7척, 폭 3촌의 수달 가죽을 헌상했다. 특히 이에야스가 손에 넣은 것은, 메나시 수장 니시라케 아이누가 마쓰마에에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후쿠야마 비부』).[17][18][19] 17세기 이후는 우루프군 지역 이남의 메나시클과 신지군 지역 이북의 「쿠룸세」 혹은 「루톰 문클」가, 캄차카 반도 남단에 걸쳐 반정주・이동 생활을 보내고, 침묵 교역도 행했다고 보인다.[20]
2. 2. 에도 시대
1635년, 마쓰마에 번은 무라카미 소에몬에게 명령하여 쿠나시리, 에토로후 등을 포함한 에조치의 지도를 제작하게 했다.[21] 1754년 마쓰마에 번은 지행지로서 쿠나시리 장소를 개설했으며, 그 범위는 쿠나시리 섬 외에 에토로후 섬과 우루푸 섬도 포함했다. 이 때 쿠나시리 섬의 도마리에는 거래 거점이나 마쓰마에 번의 출장 기관으로서 운상옥이 설치되었다. 운상옥에서는 무육 정책으로서 옴샤 등도 행해졌다.[21]1789년 노동 조건과 히다야와의 상거래에 불만을 품은 에조가 봉기한 쿠나시리·메나시의 싸움(간세이 에조 봉기)이 발발하여 많은 화인이 살해되었다.[21]
1799년 다카다야 가헤이에 의해 에토로후 항로[22]가 운영되게 되자, 1800년에는 쿠나시리 장소에서 분립하여 새롭게 에토로후 장소도 개설되었고, 샤나에 회소(운상옥)를 설치하여 에토로후 섬에 17곳의 어장이 설치됨과 동시에 기타마에 부네도 기항했다.[21] 이때, 현지 아이누에게 어구나 어망을 증정하고 어법도 전해졌다.[21]
덴메이 원년(1781년) 『적에조 풍설고』, 간세이 3년(1791년) 『해국 병담』등이 저술되었고, 막리의 북방 탐험도 활발하게 행해졌다.[21] 1798년 곤도 주조는 모가미 도쿠나이를 안내역으로 조사하여, 에토로후 섬 단네모이 언덕에 "'''대일본 에토로부'''" 표주를 세웠다.[21] 1800년 에토로후 섬 카무이왁카오이 언덕에 "대일본 에토로부" 표주, 교와 원년(1801년) 6월 막부 명령으로 조사를 맡은 토미야마 겐쥬로와 미야마 우헤이타가 우루푸 섬 오카이와타라 언덕에 "'''천장지구 대일본 속도'''" 표주를 각각 세웠다.[21]
1711년 8월, 다닐라 야코블레비치 안치페로프(Данила Яковлевич Анцыферовru)와 Иван Петрович Козыревскиru가 쿠릴 최북단의 점부도와 포로무시르 섬에 상륙하여 주민에게 야사크(모피세) 헌납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1713년, 코지레프스키는 일본인 사니마를 동반하여 다시 점부도와 포로무시르 섬에 상륙했다. 코지레프스키는 주민의 격렬한 저항을 받았지만, 전투 끝에 정복하고 야사크 헌납과 러시아 지배를 인정하게 했다.[21]
1807년 분카 로쿠코 (흐보스토프 사건)가 발생하여, 에토로후 장소우치호의 반야와 샤나의 회소 등이 러시아인에게 공격받아 약탈되었다.[30][31][32] 마미야 린조도 이 사건에 휘말렸다. [21]
2. 3. 근대 (메이지 시대 이후)
1869년 8월 15일, 홋카이도에 지시마국이 설치되면서 5개의 군이 설치되었다.[2] 1875년 11월 28일 가라후토・지시마 교환 조약에 따라 일본은 쿠릴 열도(지시마 열도) 전체를 획득했고, 이 지역은 잠정적으로 "개척사 관할 쿠릴 열도"가 되었다.[39] 1876년 1월 14일, 쿠릴 열도에 에토로후 군・시무시르 군・슈무슈 군의 3군이 추가로 설치되어 지시마국에 편입되었다.[40]1885년 1월 6일, 네무로국하나사키 군의 일부였던 시코탄 섬이 시코탄 군으로 편입되었다.[44]
2. 4. 현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소련이 쿠릴 열도를 점령하면서, 현재까지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일본은 쿠릴 열도 남부 4개 섬(북방 영토)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이 문제는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독도 문제와 연관하여 일본의 영토 주장에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하다.3. 영역 및 행정 구역
1869년 8월 15일, 홋카이도 11국이 설치될 때 지시마국은 5개 군으로 구성되었다.[2]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1875년)으로 우루프 섬 주변의 우루푸 군, 시무시르섬 주변의 시무시루 군, 슘슈섬 주변의 슘슈 군이 추가되었다.[1] 1885년에는 네무로국 하나사키 군에서 시코탄섬을 시코탄 군으로 편입하였다.[44]
이후 지시마국은 다음 9개 군으로 구성되었다.
군 | 설명 |
---|---|
구나시리 군(国後郡) | 쿠나시르섬(일본명 구나시리 섬) 주변. |
에토로후 군(択捉郡) | 이투루프섬 주변. |
후리베츠 군(振別郡) | 1923년 4월 폐지됨. |
샤나 군(紗那郡) | 紗那郡|사나 군일본어. |
시베토로 군(蘂取郡) | 蘂取郡|시베토로일본어. |
시코탄 군(色丹郡) | 시코탄섬. 1885년 하나사키 군에서 분리. |
우루푸 군(得撫郡) | 우루프섬 주변. |
시무시르 군(新知郡) | 시무시르섬 주변. |
슘슈 군(占守郡) | 슘슈섬 주변. |
현재는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해 있다. 구나시리 군, 에토로후 군, 샤나 군, 시베토로 군, 시코탄 군은 현재 러시아와 일본 간 영토 분쟁이 있는 지역이다.
3. 1. 일본의 행정 구역 (1869년 설치 당시)
1869년 홋카이도 11국이 설치될 당시 지시마국은 5개 군으로 구성되었다. 각 군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군 | 설명 |
---|---|
구나시리 군(国後郡) | 쿠나시르섬(일본명 구나시리 섬) 주변. |
에토로후 군(択捉郡) | 이투루프섬 주변. |
후레베츠 군(振別郡) | 1923년 4월 폐지됨. |
샤나 군(紗那郡) | 紗那郡|사나 군일본어. |
시베토로 군(蘂取郡) | 시베토로. |
1885년에는 하나사키 군에서 분리된 시코탄 군(色丹郡)이 추가 설치되었다.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우루푸 군(得撫郡), 시무시루 군(新知郡), 슘슈 군(占守郡)이 추가되어 총 8개 군이 되었다. 이들 지역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양도되었다.[1]
3. 1. 1. 구나시리 군 (国後郡)
쿠나시르섬(일본명 구나시리 섬) 주변 지역이다.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 지역 중 하나이다.[1]3. 1. 2. 에토로후 군 (択捉郡)
이투루프섬 주변은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이다. 1923년 4월 후레베츠 군(振別郡)이 폐지되면서 시나 군 및 에토로후 군의 여러 마을이 에토로후 군의 루베츠 마을로 합병되었다.[1]3. 1. 3. 후레베츠 군 (振別郡)
1923년 4월 폐지되었으며, 시나 군 및 에토로후 군의 여러 마을이 에토로후 군의 루베츠 마을로 합병되었다.[3]3. 1. 4. 샤나 군 (紗那郡)
紗那郡|사나 군일본어은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 지역이다.[1]3. 1. 5. 시베토로 군 (蘂取郡)
시베토로(蘂取郡)은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이다.3. 1. 6. 시코탄 군 (色丹郡)
1885년 하나사키 군에서 분리되었다.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 중이며,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이다.3. 1. 7. 우루푸 군 (得撫郡)
우루프 섬 (일본명 우루프 섬) 주변.[1]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획득,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양도.[1]3. 1. 8. 시무시루 군 (新知郡)
시무시르섬 주변.[1]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획득,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양도.[1]3. 1. 9. 슘슈 군 (占守郡)
슘슈섬 주변 지역으로,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획득하였으며,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양도하였다.[1]4. 인구
壬申戸籍|임신호적일본어 조사에 따르면 1872년 당시 인구는 437명이었다.[46] 1945년 8월 15일 기준으로는 2,066세대, 10,972명이었다.[46]
5. 쿠릴 열도 분쟁 (북방 영토 문제)
1945년 소련의 쿠릴 열도 점령 이후, 일본은 북방 영토(쿠나시르 섬, 에토로후 섬, 시코탄 섬, 하보마이 군도)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은 소련의 점령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러시아는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쿠릴 열도에 대한 합법적인 영유권을 획득했다고 주장하며 일본의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독도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의 영토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국제법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평화적 해결을 지지한다.
분쟁의 전개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여기서는 분쟁의 시작점이 되는 1855년 일러 화친 조약 이전까지의 상황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 정복 후 쿠릴 열도를 탐색하며 남하했고, 쿠릴 아이누의 영역을 무력으로 정복했다. 18세기 초부터 러시아인들은 쿠릴 열도 북부 섬들에 상륙하여 주민들에게 모피세를 요구하고 러시아 정교로 개종시키는 등 지배력을 강화했다. 19세기 초에는 러시아-미국 회사가 쿠릴 열도에 거주지를 개설하기도 했다.
에도 시대 후기, 지시마 열도는 동 에조치에 속했으며, 러시아 제국의 남하 위협에 대비하여 에도 막부 직할령으로 지정되었다. 쓰가루 번과 난부 번이 경비를 담당했고, 막부 관리들은 러시아의 남하를 감시하며 쿠릴 열도를 순찰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인과 일본인, 그리고 아이누인들 사이에 충돌과 교류가 발생했다. 분카 노략질(흐보스토프 사건), 골로브닌 사건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후 1855년 일러 화친 조약을 통해 에토로후 섬과 우루프 섬 사이가 국경으로 정해지면서 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5. 1. 분쟁의 주요 쟁점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 정복 후 쿠릴 열도를 탐색하며 남하했고, 쿠릴 아이누의 영역인 점부군역과 신지군역 등을 무력으로 정복했다.1711년 다닐라 야코블레비치 안치페로프는 쿠릴 최북단 점부도와 포로무시르 섬에 상륙, 주민들에게 모피세(야사크) 헌납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했다. 1713년 코지레프스키는 일본인 사니마를 동반, 재차 이 섬들을 정복하고 러시아 지배를 인정하게 했다. 이때 에토로후 섬 아이누인 시타나이가 휘말려 끌려갔고, 온네코탄 섬도 습격당했다. 1745년에는 일본인 10명이 캄차카로 연행되기도 했다. 1747년 러시아 정교회 수도 사제 이오아사프가 포교를 위해 점부도와 포로무시르 섬 아이누인 208명을 정교로 개종시켰고, 러시아-미국 회사에 의해 거주지가 개설되었다.
1721년에는 러시아인이 신지도에 도착했다. 1805년 에토로후 섬 시베토로에서 체포된 라쇼와 섬 아이누 유력자 마키센 케레코츠 등의 복장은 러시아풍이었다. 1831~1832년에는 러시아-미국 회사에 의해 알류트족과 러시아인이 심시르 섬 북단에 이주했다.
1738년 비투스 베링 탐험대가 혼슈 섬 앞바다까지 도달해 지도를 제작했고, 1779년 예카테리나 2세는 쿠릴 열도에서의 징세를 금지했다. 1868년 러시아-미국 회사가 폐지되었고, 캄차카로 이주한 아이누에 대해서는 러시아의 아이누 항목을 참조하라.
1766~1769년 이반 초르니는 우루프 섬에 도달, 아이누에게 가혹한 노동을 부과하고 하렘을 만들었다. 1772년 에토로후 아이누와 라추와 아이누의 봉기로 러시아인 21명이 살해되었고, 나머지는 캄차카 반도로 철수했다. 1786년 조사 당시 에토로후 섬에 재류 러시아인 3명이 있었는데, 이들은 쓰나미에 밀려온 러시아 배 구조를 위해 파견된 승무원이었다. 1795년에는 40명의 러시아인이 우루프 섬에 파견되었으나, 식량은 에토로후 이남 아이누와의 교역에 의존했다. 1828년 러시아-미국 회사가 우루프 섬에 거점을 두었지만, 1855년 크림 전쟁 중 영국-프랑스 함대에 의해 일시 점령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 지시마 열도는 동 에조치에 속했다. 1799년 러시아 제국의 위협에 대비, 동 에조치는 막부 직할령으로 지정되었고, 쓰가루 번과 난부 번이 경비를 수행했다. 1804년 표류민 케이몬 등 6명은 슘슈 섬을 거쳐 캄차카로 건너갔다. 1805년 라쇼와 섬 아이누 유력자 마키센 케레코츠 등이 막부 관리에 체포되어 러시아 남하 정보를 제공했다. 1806년 라쇼와 섬 아이누들은 에토로후 섬에서 탈주, 막부 관리들이 추적하여 우루푸 섬에 상륙, 러시아인이 없음을 확인했다. 케이몬 등은 라쇼와 섬 아이누의 도움을 받아 1806년 샤나군에 귀환했다. 이후 막부 관리들은 매년 우루푸 섬 순찰을 실시했다.[29]
1807년 분카 로쿠코 (흐보스토프 사건)로 러시아인이 에토로후 장소 등을 공격, 약탈했다.[30][31][32] 마미야 린조도 이 사건에 휘말렸다. 이 사건은 일러 관계를 악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서 에조치도 막부령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1808년 이후 센다이 번이 쿠나시리 섬과 에토로후 경비에 참여했다.
1811년 바실리 골로브닌이 쿠나시리 섬에 불법 상륙, 체포된 골로브닌 사건이 발생했다. 표트르 이바노비치 리코르드는 교섭을 시도했으나 난항을 겪었고, 다카다야 카헤이 등을 납치하여 페트로파블롭스크로 강제 연행했다. 1813년 일러 간 교섭 끝에 골로브닌은 러시아 측에 인도되었다.
1816년 러시아 선 파벨 호가 우루푸 섬 해안에 내항, 표류민들을 송환했다. 골로브닌 사건 이후 러시아는 통상과 국경 교섭을 위해 에토로후 섬에 자주 내항했고, 막부는 에토로후 섬 이남을 일본령, 우루푸군을 완충 지대로 하는 안을 제시하려 했으나, 양국 교섭 담당자가 만나지 못해 전달하지 못했다.[35]
1821년 지시마 열도는 마쓰마에 번령으로 복귀했지만, 1825년부터 이국선 타격령으로 러시아 선은 육지에 접근할 수 없었다. 1843년 표류민 6명이 페트로파블롭스크에서 에토로후 섬 해안까지 송환되어 마쓰마에 번사가 인계받았다.[36] 1849년 마쓰우라 다케시로가 쿠나시리・에토로후를 방문했다. 1854년 「개정 에조 전도」가 작성되었다.
이상의 내용은 안세이 원년(1854년) 일러 화친 조약이 체결되기 전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5. 1. 1. 1855년 일러 화친 조약
1854년 1월 26일 (안세이 원년)에 에도 막부와 러시아 제국은 일러 화친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불평등 조약 중 하나였다.[37] 이 조약에 의해 에토로후 섬과 우루프 섬 사이가 국경으로 지정되어, 도토 아이누의 어장이었던 우루프군(得撫郡域)을 상실하였다.[37]일본은 이 조약을 통해 에토로후 섬과 우루프 섬 사이가 국경으로 확정되었다고 주장한다. 러시아는 이 조약이 1905년 포츠머스 조약으로 무효화되었다고 주장한다.
5. 1. 2. 1945년 얄타 회담
1945년 얄타 회담에서 연합국은 소련의 대일전 참전 조건으로 쿠릴 열도를 소련에 이양하기로 합의했다.[29] 일본은 얄타 회담이 연합국 간의 비밀 협정이며 일본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주장한다.[30] 반면 러시아는 얄타 회담이 소련의 대일 참전 조건으로 쿠릴 열도 이전을 명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31]5. 1. 3.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일본은 쿠릴 열도를 포기했지만, 일본 정부는 북방 영토는 쿠릴 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러시아는 이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일본이 쿠릴 열도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고 주장한다.[29]5. 1. 4. 1956년 일소 공동 선언
1956년 일본과 소련 간의 일소공동선언에서, 일본은 소련이 평화 조약 체결 후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 섬을 일본에 양도하기로 합의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 선언이 최종적인 해결이 아니며, 나머지 두 섬(쿠나시르, 에토로후)에 대한 협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
서적
The Geography of Japan
Google books
[3]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4]
문서
樺太史の栞
[5]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6]
간행물
9~11・12世紀における北方世界の交流
https://doi.org/10.3[...]
専修大学社会知性開発研究センター
[7]
문서
メナシクルや千島アイヌの祖先にあたる。
[8]
웹사이트
函館市史 通説編1 通説編第1巻 第3編 古代・中世・近世 第1章 安東氏及び蠣崎氏 第2節 安東氏の支配
https://adeac.jp/hak[...]
[9]
웹사이트
十三湊から解き明かす 北の中世史 - JR東日本
https://www.jreast.c[...]
[10]
서적
道南十二館の謎
[11]
웹사이트
五所川原市の地域経済循環分析
https://www.chisou.g[...]
[12]
웹사이트
十三湊遺跡
http://www.go-kankou[...]
五所川原観光協会
2018-06-10
[13]
서적
エゾの歴史
[14]
서적
道南十二館の謎
[15]
웹사이트
函館市史 通説編1 通説編第1巻 第3編 古代・中世・近世 第1章 安東氏及び蠣崎氏 第3節 中世期の商品流通
https://adeac.jp/hak[...]
[16]
웹사이트
日持上人開教の事績-津軽十三湊をめぐって
https://genshu.nichi[...]
[17]
서적
エゾの歴史
[18]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19]
서적
北海道の歴史がわかる本
[20]
웹사이트
千島列島における資源・土地利用の歴史生態学的研究
https://kaken.nii.ac[...]
[21]
문서
ウイマムとは藩主や役人にお目見えすること。
[22]
웹사이트
エトロフ・クナシリ新図
https://www2.lib.hok[...]
[23]
서적
北海道道路誌
北海道庁
[24]
논문
「日露和親条約」調印後の幕府の北方地域政策について
http://id.nii.ac.jp/[...]
[25]
웹사이트
稚内史 第一章 天明の蝦夷地調査
https://www.city.wak[...]
[26]
웹사이트
蝦夷輿地之全図
https://www2.lib.hok[...]
[27]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28]
논문
北蝦夷地紀行の食文化考 北夷談について
https://doi.org/10.2[...]
帯広大谷短期大学
[29]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30]
웹사이트
稚内史 第二章 ロシアの乱暴と山崎半蔵の宗谷警備
https://www.city.wak[...]
[31]
문서
文化四(千八一七)年ロシアの択捉島襲撃を巡る諸問題
[32]
논문
フヴォストフ文書考
https://hdl.handle.n[...]
[33]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34]
서적
北海道の歴史がわかる本
[35]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36]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37]
웹사이트
函館市史 通説編2 第2巻 第4編 箱館から近代都市函館へ 序章 世界の中の箱館開港 第2節 箱館奉行の再置と箱館 1 箱館奉行の「預所」と諸任務 6藩分領と奉行「御預所」
https://adeac.jp/hak[...]
[38]
웹사이트
稚内史 第六章 幕末の宗谷と梨本弥五郎のストーブ作り
https://www.city.wak[...]
[39]
웹사이트
法令全書 慶応3年10月-明治45年7月
https://iss.ndl.go.j[...]
[40]
웹사이트
法令全書第11冊(明治9年)
"{{NDLDC|787956/53}}[...]
[41]
논문
近世期~明治初期、北海道・樺太・千島の海で操業した紀州漁民・商人
http://id.nii.ac.jp/[...]
日本福祉大学知多半島総合研究所
2015
[42]
서적
千島列島をめぐる日本とロシア
[43]
간행물
資料紹介 小島倉太郎関連資料
http://hakohaku.com/[...]
[44]
웹사이트
法令全書 第21冊(明治18年)
"{{NDLDC|787966/135}[...]
[45]
논문
旧樺太時代の神社について : 併せて北方領土の神社について
https://kanagawa-u.r[...]
神奈川大学日本常民文化研究所 非文字資料研究センター
2015-03
[46]
웹사이트
北方領土の人口
http://www.hoppou.go[...]
独立行政法人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