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트미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타트미테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U-Bahn 역으로, U2와 U6 노선이 교차하는 곳이다. 1908년 U2 노선 개통과 함께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23년 U6 노선이 연결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유령역으로 운영되다가, 1990년 통일 이후 U6 노선이 재개통되었다. 역은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으며, 역 구조는 U2와 U6 노선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으로, 베를린 장벽 시기에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으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은 베를린 중심부에 위치한 주요 철도역으로, S반, U반,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환승역이자 냉전 시대 동서 베를린을 잇는 국경 통과역이었으며 현재는 역사적인 의미를 간직한 명소이다. -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알트테겔역
알트테겔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역으로, 1958년에 완공되었으며, 브루노 그리메크가 설계하고 밝은 파란색 세라믹 타일로 마감된 승강장 외벽이 특징이다. - 1908년 개업한 철도역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1908년 개업한 철도역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슈타트미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위치 | 미테구, 베를린 |
국가 | 독일 |
기본 정보 | |
![]() | |
소유주 | 베를린 교통 공사 |
운영사 | 베를린 교통 공사 |
승강장 수 | 2개 (각 층별 1개) |
선로 수 | 4개 |
구조 | 지하 |
자전거 보관 | 가능 (Call a Bike, 자전거 주차장) |
접근성 | 가능 |
요금 구역 | : 베를린 A/5555 |
개업 정보 | |
노선 정보 | |
노선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이전 역 (U2) | 모렌슈트라세 |
다음 역 (U2) |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 |
이전 역 (U6) | 운터 덴 린덴 |
다음 역 (U6) | 코흐슈트라세 |
영업 거리 (U2) | 글라이스드라이에크 기점 2.2 km |
영업 거리 (U6) | 105.9 km |
역 번호 (U2) | Mi |
역 번호 (U6) | Mic |
연결 대중 교통 | |
버스 | 200, 265, N2 |
기타 정보 | |
과거 노선 (U6) | 프란체지ische Straße - 코흐슈트라세 |
2. 역사
1905년 12월 15일 라이프치거 플라츠-슈피텔마르크트 구간 도시 철도 노선(오늘날의 U2)이 착공했다.[3] 이 구간에는 카이저호프(오늘날의 모렌슈트라세역), 프리드리히슈트라세(오늘날의 슈타트미테역),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역, 슈피텔마르크트역이 포함되어 있다.[3] 1908년 10월 1일 개통했다. 역사는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다.
1923년 1월 30일 당시의 동서간 도시철도와 남북 도시철도(오늘날의 U6)가 연결되었다. 1902년 건설된 도시 철도와는 다르게 착공 당시부터 베를린 시 재정으로 건설했다. 개통 당시에는 노면 전차 환승 조건이 더 좋았던 라이프치거 슈트라세역(Leipziger Straße)으로 불렸다. 도시 철도의 운영 기관이 통합된 이후에야 160 m 길이의 두 노선간의 환승 통로가 건설되었다. 1924년 9월에는 두 노선 모두의 역이 프리드리히슈타트역(Friedrichstadt)으로 개명되었으며, 1936년 2월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1950년대에는 동서베를린 분단에도 불구하고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했다.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1961년 8월 13일부터 1990년 7월 1일까지는 전 열차가 통과하는 유령역이 되었다. C선(U6)으로 향하는 출구는 지하철 출구처럼 보이지 않게 변경되었다. A선(U2)의 승강장은 동베를린 구간만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분리되어 계속 운행할 수 있었다. 환승 통로의 A선 측 끝도 폐쇄되었고, 환승 통로는 창고로 사용되었다. 1970년에는 A선 승강장 외벽이 크림색 세라믹 타일 재질로 변경되었다.
1990년 7월 1일 U6 노선의 역이 개방되었고, 1990년 11월에 환승 통로가 개방되었다. 환승 통로 개방 이후에도 개선 공사 이전까지는 아스팔트 포장의 흔적을 볼 수 있었다. 1995년부터 1996년까지 U6 노선의 승강장 길이가 105 m로 연장되었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1999년에는 환승 통로와 U6 승강장이 16주간의 보수 공사를 거쳤다. 건설 공사는 약 180만 마르크(90만 유로)가 소요되었다.[3]
2. 1. 초기 역사 (1905년 ~ 1945년)
1905년 12월 15일 라이프치거 플라츠-슈피텔마르크트 구간 도시 철도 노선(오늘날의 U2)이 착공했다.[3] 이 구간에는 카이저호프(오늘날의 모렌슈트라세역), 프리드리히슈트라세(오늘날의 슈타트미테역),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역, 슈피텔마르크트역이 포함되어 있다.[3] 1908년 10월 1일, 포츠다머 플라츠에서 슈피텔마르크트까지의 U-Bahn 구간과 함께 개통하면서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2] 역사는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다.[3][2]1923년 1월 30일, 남북 도시철도(오늘날의 U6)가 개통되었다.[3] 개통 당시에는 노면 전차 환승 조건이 더 좋았던 라이프치거 슈트라세역(Leipziger Straße)으로 불렸다.[3] 프리드리히슈타트 지구의 주요 동서 간선도로인 프리드리히슈트라세와 라이프치거 슈트라세 교차로에서 160 m 남쪽에 건설되었다.[2] 1924년 9월, U2와 U6 노선 모두의 역이 프리드리히슈타트역(Friedrichstadt)으로 개명되었다.[3] 1936년 2월, 현재의 슈타트미테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 역사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1944년 5월 7일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고,[2] 1945년 2월 3일에는 폭격으로 인해 천장이 파괴되는 등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2]
2. 2. 냉전 시대 (1945년 ~ 1990년)
1950년대에는 동서 베를린 분단에도 불구하고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었다.[3]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1961년 8월 13일부터 1990년 7월 1일까지는 전 열차가 통과하는 유령역이 되었다.[3] U6 노선 역은 1961년 8월 13일부터 폐쇄되었다. 이 역은 한때 국경역이기도 했으며 U2 역과 잘 연결되어 있었다.[2] U6 노선으로 향하는 출구는 지하철 출구처럼 보이지 않게 변경되었다.[3] U2 노선의 승강장은 동베를린 구간만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분리되어 계속 운행할 수 있었다.[3] 환승 통로는 창고로 사용되었다.[3] 1970년에는 U2 노선 승강장 외벽이 크림색 세라믹 타일 재질로 변경되었다.[3]2. 3. 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1990년 7월 1일 U6 노선 역이 개방되었고, 1990년 11월에 환승 통로가 개방되었다.[3] 환승 통로 개방 이후에도 개선 공사 이전까지는 아스팔트 포장의 흔적을 볼 수 있었다. 1995년부터 1996년까지 U6 노선의 승강장 길이가 105 m로 연장되었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3] 1999년에는 환승 통로와 U6 승강장이 16주간의 보수 공사를 거쳤다. 건설 공사에는 약 180만 마르크(90만 유로)가 소요되었다.[3]3. 역 구조
4. 인접 역
wikitable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
---|---|---|
모렌슈트라세 | 룰레벤 방면 |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 |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
운터 덴 린덴 | 알트테겔 방면 | 코흐슈트라세 |
4. 1. 베를린 지하철 2호선 (U2)
베를린 지하철 2호선상의 모렌슈트라세 (룰레벤 방면)과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 (팡코 방면) 사이에 위치해 있다.4. 2. 베를린 지하철 6호선 (U6)
베를린 지하철 6호선의 운터 덴 린덴 (알트테겔 방면)과 코흐슈트라세 (알트마리엔도르프 방면) 사이에 위치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Alle Zielorte
https://www.vbb.de/m[...]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1-01-01
[2]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1996
[3]
뉴스
"Mäusetunnel\" ist wieder offen"
https://www.berliner[...]
Berliner Zeitung
1999-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