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퍼레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퍼레이스는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현재 CJ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으로 이어져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모터스포츠 대회이다. 2008년 슈퍼 6000 클래스 신설, 나이트 레이스,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모터스포츠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슈퍼 6000, GT, 루벡스 M 클래스 등 다양한 클래스를 운영하며, e스포츠 대회인 e슈퍼레이스도 함께 개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자동차 - 현대 캐스퍼
    현대 캐스퍼는 2021년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개성 있는 디자인과 다양한 안전·편의 사양을 갖춘 소형 SUV 스타일의 대한민국 경차로, 1.0L 가솔린 엔진과 1.0L 터보 가솔린 엔진 모델, 그리고 2024년에는 전기차 모델인 캐스퍼 일렉트릭이 추가되어 젊은층과 여성 운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자동차 - 새한 맥스
    새한 맥스는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에 관한 국제적 논의와 한국의 도시화 과정을 살펴보고, 환경, 사회, 경제적 지속 가능성 원칙과 정책 사례를 제시하며, 기후 변화 대응, 사회적 불평등 해소 등의 과제와 전망을 다룬다.
  • 200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는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들이 참가하는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2006년 마카오에서 시작되어 4년마다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대회 취소 및 중단 사례가 있으며, 브라질이 역대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200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챌린지컵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축구연맹에서 축구 수준이 낮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개최한 국제 축구 대회로, 북한, 타지키스탄, 인도, 팔레스타인이 우승했으며 2014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슈퍼레이스
기본 정보
슈퍼레이스 로고
슈퍼레이스 로고
종목그랜드 투어링
투어링카
국가/지역대한민국
시작 연도2006년
최근 시즌2023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웹사이트슈퍼레이스
챔피언
드라이버 챔피언김종겸 (2022년)
팀 챔피언한국 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 (2022년)

2. 역사

2006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전신인 코리아 GT 챔피언십(KGTC)이 출범했다.[7] GT1, GT2, 투어링 A, 투어링 B, 포뮬러 1800 등 5개 종목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시즌 중반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대회의 위상이 높아졌고, 2007년부터 CJ 슈퍼레이스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7]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KGTC)으로 출범한 슈퍼레이스는 2007년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으로 대회 명칭을 변경했다.[7] 이후 CJ그룹 내 기업들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았고, 2016년부터는 CJ대한통운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아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7]

초기에는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태백 레이싱 파크 등에서 경기가 개최되었으나,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보수 공사 이후 태백에서만 경기가 진행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일본 오토폴리스 서킷에서 첫 해외 원정 레이스를 개최하며 아시아 지역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했다.[7] 2013년부터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경기를 개최했다.

2012년부터는 '모터테인먼트'를 모토로 인제 스피디움에서 나이트 레이스를 개최하여 2019년까지 이어졌다.[7]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나이트 레이스가 취소되었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지상파 TV 중계를 통해 모터스포츠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2016년은 8년 만에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레이스가 개최되어 대한민국 모터스포츠 발전의 긍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다.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KGTC)으로 출범한 슈퍼레이스는 2007년부터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7] 초기에는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태백 레이싱 파크 등에서 개최되었으나,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보수공사 이후 태백에서만 경기가 진행되기도 했다. 2010년부터 일본 오토폴리스 서킷에서 해외 원정 레이스를 시작, 2013년부터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경기를 개최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였다.[15] 2016년 최고 클래스인 SK ZIC 6000 클래스는 국제 자동차 연맹(FIA)의 공인을 받아 국제 시리즈로 인정받았으며, 중국 주하이 인터내셔널 서킷과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일본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해외 원정 레이스가 개최되었다.[15]

2012년부터 모터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모터테인먼트'를 표방하며 나이트 레이스를 실시, 2019년까지 인제 스피디움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에는 8년 만에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막전이 열렸고, 현대 제네시스 카울 스톡카를 사용하다가 캐딜락 ATS-V로 교체되었다. 2019년에는 토요타 GR수프라로 다시 교체되었다.

2017년에는 KSF의 제네시스 쿠페 클래스와 벨로스터 터보 클래스를 각각 GT2와 GT3로 흡수하며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GT 클래스 일정 문제 등 우려도 있었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한-중 모터스포츠 페스티벌(2014년), 한-중-일 모터스포츠 페스티벌(2015년), 한-중-일 모터스포츠 카니발(2016년),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2017년)을 거쳐 2018년 강원 국제 모터페스타를 개최하는 등 국제 교류를 확대했다.

2018 시즌 개막전에는 2만 명 이상, 2019년 최종전에는 4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를 찾아 흥행에도 성공했다. 2019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현장 관람객 평균 수는 2만 2천 명, 총 18만 명으로 한국 프로 스포츠 중 가장 많은 관중 수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으나, 모든 경기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주었다.

2. 1. 코리아 GT 챔피언십 (2006)

2006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전신인 코리아 GT 챔피언십(KGTC)이 출범했다.[7] GT1, GT2, 투어링 A, 투어링 B, 포뮬러 1800 등 5개 종목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시즌 중반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대회의 위상이 높아졌고, 2007년부터 CJ 슈퍼레이스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7]

2. 2.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2007-2015)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KGTC)으로 출범한 슈퍼레이스는 2007년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으로 대회 명칭을 변경했다.[7] 이후 CJ그룹 내 기업들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았고, 2016년부터는 CJ대한통운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아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7]

초기에는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태백 레이싱 파크 등에서 경기가 개최되었으나,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보수 공사 이후 태백에서만 경기가 진행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일본 오토폴리스 서킷에서 첫 해외 원정 레이스를 개최하며 아시아 지역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했다.[7] 2013년부터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경기를 개최했다.

2012년부터는 '모터테인먼트'를 모토로 인제 스피디움에서 나이트 레이스를 개최하여 2019년까지 이어졌다.[7]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나이트 레이스가 취소되었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지상파 TV 중계를 통해 모터스포츠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2016년은 8년 만에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레이스가 개최되어 대한민국 모터스포츠 발전의 긍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다.

2. 3. CJ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2016-현재)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KGTC)으로 출범한 슈퍼레이스는 2007년부터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7] 초기에는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태백 레이싱 파크 등에서 개최되었으나,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보수공사 이후 태백에서만 경기가 진행되기도 했다. 2010년부터 일본 오토폴리스 서킷에서 해외 원정 레이스를 시작, 2013년부터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경기를 개최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였다.[15] 2016년 최고 클래스인 SK ZIC 6000 클래스는 국제 자동차 연맹(FIA)의 공인을 받아 국제 시리즈로 인정받았으며, 중국 주하이 인터내셔널 서킷과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일본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해외 원정 레이스가 개최되었다.[15]

2012년부터 모터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모터테인먼트'를 표방하며 나이트 레이스를 실시, 2019년까지 인제 스피디움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에는 8년 만에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막전이 열렸고, 현대 제네시스 카울 스톡카를 사용하다가 캐딜락 ATS-V로 교체되었다. 2019년에는 토요타 GR수프라로 다시 교체되었다.

2017년에는 KSF의 제네시스 쿠페 클래스와 벨로스터 터보 클래스를 각각 GT2와 GT3로 흡수하며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GT 클래스 일정 문제 등 우려도 있었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한-중 모터스포츠 페스티벌(2014년), 한-중-일 모터스포츠 페스티벌(2015년), 한-중-일 모터스포츠 카니발(2016년),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2017년)을 거쳐 2018년 강원 국제 모터페스타를 개최하는 등 국제 교류를 확대했다.

2018 시즌 개막전에는 2만 명 이상, 2019년 최종전에는 4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를 찾아 흥행에도 성공했다. 2019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현장 관람객 평균 수는 2만 2천 명, 총 18만 명으로 한국 프로 스포츠 중 가장 많은 관중 수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으나, 모든 경기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주었다.

3. 주요 이벤트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라운드 별로 특색 있는 컨셉트를 부여해 관람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

'''나이트 레이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나이트 레이스는 2012년 국내 최초로 시도되었다. 야간 레이스는 국내에서 유례가 없던 일이어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김의수가 태백시 태백 레이싱 파크에서 열린 첫 나이트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2014년까지 태백에서 개최되다가 2015년부터 인제 스피디움으로 장소를 옮겨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제 스피디움에서는 화려한 조명과 음악이 어우러진 DJ들의 쇼가 열려 클럽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열리지 않았다.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은 2017년부터 전라남도 영암군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KIC)에서 개최되는 국제적인 모터스포츠 이벤트이다. 아시아 지역을 기반으로 열리는 해외 레이스 시리즈를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서포트 레이스로 초청해 국내에서 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레이스를 선보이는 것으로 관심을 모았다.

그동안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을 통해 ‘아우디 R8 LMS컵’, ‘TCSA’(Touring Car Series in Asia) , ‘슈퍼 포뮬러 주니어’, ‘아시아 드리프팅 컵’, ‘블랑팡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아시아’ 등 여러 가지 레이스가 진행됐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 레이스가 열리지 못했다.

'''강원 국제 모터페스타''' 2018년부터 인제 스피디움에서 개최되고 있는 이벤트로 레이스뿐 아니라 드리프트, 짐카나, 에코랠리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를 선보이고 있다. 모터스포츠 경기에 더해 유명가수들이 등장하는 콘서트도 열려 관람객을 비롯해 대회에 참가하는 관계자, 지역주민들까지 함께 즐기는 장면을 만들기도 했다. 2019년에는 이 콘서트가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을 생중계하는 종합편성채널 채널A에 방송되기도 했다. 페스티벌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서 드러나듯이 여러 모터스포츠의 재미를 알리는, 모터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축제를 표방하고 있다.

3. 1. 나이트 레이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나이트 레이스는 2012년 국내 최초로 시도되었다. 야간 레이스는 국내에서 유례가 없던 일이어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김의수가 태백시 태백 레이싱 파크에서 열린 첫 나이트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2014년까지 태백에서 개최되다가 2015년부터 인제 스피디움으로 장소를 옮겨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제 스피디움에서는 화려한 조명과 음악이 어우러진 DJ들의 쇼가 열려 클럽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열리지 않았다. 2023년에는 수도권인 용인시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처음으로 나이트 레이스가 펼쳐졌고, 2024년에는 나이트 레이스를 총 3차례나 열면서 썸머 시즌을 도입했다.

3. 2.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은 2017년부터 전라남도 영암군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KIC)에서 개최되는 국제적인 모터스포츠 이벤트이다. 아시아 지역을 기반으로 열리는 해외 레이스 시리즈를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서포트 레이스로 초청해 국내에서 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레이스를 선보이는 것으로 관심을 모았다.

그동안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을 통해 ‘아우디 R8 LMS컵’, ‘TCSA’(Touring Car Series in Asia) , ‘슈퍼 포뮬러 주니어’, ‘아시아 드리프팅 컵’, ‘블랑팡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아시아’ 등 여러 가지 레이스가 진행됐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 레이스가 열리지 못했다. 2023년에는 포르쉐 카레라 컵 아시아가 참가했다.

3. 3. 강원 국제 모터페스타

2018년부터 인제 스피디움에서 개최되고 있는 이벤트로 레이스뿐 아니라 드리프트, 짐카나, 에코랠리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를 선보이고 있다. 모터스포츠 경기에 더해 유명가수들이 등장하는 콘서트도 열려 관람객을 비롯해 대회에 참가하는 관계자, 지역주민들까지 함께 즐기는 장면을 만들기도 했다. 2019년에는 이 콘서트가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을 생중계하는 종합편성채널 채널A에 방송되기도 했다. 페스티벌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서 드러나듯이 여러 모터스포츠의 재미를 알리는, 모터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축제를 표방하고 있다.

4. 클래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다양한 클래스를 운영하여 다양한 수준의 드라이버와 차량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24 오네(O-N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에서는 슈퍼 6000, GT 클래스, GT4 클래스, 프리우스 PHEV 클래스, 루벡스 M 클래스, 알핀 클래스, 래디컬 컵 코리아, 코리아 트로페오까지 총 8개의 클래스를 운영한다. 2021년에는 슈퍼 6000, 금호 GT, M 클래스, 캐딜락 CT4, 레디컬 컵 코리아의 5개 클래스를 운영했다.

경기는 기본적으로 국제 자동차 연맹(FIA)의 그룹 A 규격에 준거한 그랜드 투어링 카로 진행된다.[11] 2015년까지는 FIA의 그룹 A 규정을 참조했지만, 2016년에 FIA로부터 SUPER6000이 인터내셔널 시리즈로 공인받았다.

2013년까지 한국타이어 원메이크였지만, 2014년부터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도 타이어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해외 메이커로는 요코하마 고무가 SUPER6000에 공급한 적도 있었다. 2023년부터 사이룬 타이어가 GT 클래스에, 2024년부터 브리지스톤이 프리우스 PHEV에 타이어를 공급한다.

각 레이스 타이틀은 타이틀 스폰서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므로, 여기서는 2024년 현재의 타이틀과 각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레이스 타이틀을 기술한다.

'''슈퍼 6000'''

슈퍼 6000 클래스는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최상위 종목으로, 2008년 시작된 이래 국내외 정상급 드라이버들이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 유일의 스톡카 레이스이다. 스톡카는 오직 레이스를 위해 제작된 차량으로, 내부에 편의 시설 없이 주행에 필요한 장치들과 드라이버의 안전 장비만을 갖추고 있다. 모든 스톡카에는 460마력을 내는 GM사의 V8 6200cc 엔진이 동일하게 탑재된다.

스톡카의 외형은 바디 스폰서사에 따라 달라지는데, 2020년부터는 토요타의 GR 수프라를 베이스로 디자인한 바디를 채택하고 있다. 차량의 최소 무게는 1,270kg이며 핸디캡 웨이트 규정에 따라 더 무거워질 수는 있지만 최소 무게 미만으로 내려갈 수는 없다. 모든 참가 차량은 타이어 제조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웜업부터 연습 주행, 예선과 결승까지 정해진 수량의 타이어를 사용해야 하므로 신중한 전략이 필요하다. 각 라운드마다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를 차등으로 부여하는데, 이 챔피언십 포인트의 총합이 가장 높은 드라이버와 팀이 그 시즌의 챔피언이 된다.

카울 모티브는 오울림 모터스 스피라(2008년), 캐딜락 CTS(2009년~2011년), 현대 제네시스(2012년~2015년), 캐딜락 ATS-V(2016년 - 2019년)를 거쳐 2020년부터 토요타 GR 수프라를 사용하고 있다. GR 수프라는 슈퍼레이스 최초의 해외 차량 모티브이지만, 캐딜락의 두 차종은 한국GM으로부터 차량을 제공받아 한국 국내 법률상 국산차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이후, 휠은 ASA제 레이싱 휠로 지정되었지만, 슈퍼레이스 전체를 통틀어 국내외를 불문하고 지정 타이어 메이커가 없는 유일한 클래스이다.

'''GT 클래스'''

GT 클래스에는 양산차를 기반으로 정해진 규정 범위 안에서 경주를 위해 개조된 차량들이 출전한다. 2021년 개정된 대회 규정에 따라 엔진 차종, 배기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회조직위원회(SOC)가 승인한 차량이 참가할 수 있다. 차량 개조에 따른 성능 변화와 드라이버의 실력이 더해져 변수가 많이 생길 수 있는 흥미로운 레이스다.

GT 클래스 경기 장면


BOP(Balance of Performance) 조정에 의한 파워 제한이 걸려 있기 때문에, 거의 이퀄 컨디션에 의한 레이스가 되고 있다. 또한, 핸디캡 웨이트 제도를 채용하고 있으며, 각 클래스 모두 순위와 챔피언십 포인트 랭킹에 따라 웨이트가 가산된다. 과거에는 2인승의 현행 판매 차량이라는 규정이 있었지만, 2021년 개정으로 인해 규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차량도 운영 측의 판단으로 참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개조 범위가 제한되어 있지만, 꽤 자유로운 개조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외장 관련해서는 순정 상태 그대로의 팀에서 시판 에어로 파츠, 더 나아가 GT 클래스 전용 에어로 파츠를 만들어 버리는 팀까지 있을 정도로 그 폭이 넓다.

3800cc 미만의 자연흡기 엔진을 탑재한 후륜구동차 또는 2000cc 미만의 과급기 엔진을 탑재한 전륜구동차를 사용한다. 대한민국 내에서 구매 가능한 GT 클래스 규정 상의 3800cc 미만·후륜구동 차량이 제네시스 쿠페밖에 없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실질적인 원메이크 레이스가 되었다.

최근에는 JS형 벨로스터 N이나 쉐보레 말리부 , Hyundai N Festival에서 사용하는 아반떼 N 컵카를 사용하는 팀도 늘고 있다. 특히 아반떼 N 컵카는 원래부터 원메이크 레이스에서 사용될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전용 브레이크·서스펜션 튜닝이 되어 있어 저렴하고 고성능의 머신으로 애용되고 있다. 일부 코스에서는 이런 전륜구동차 세력이 제네시스 쿠페를 코너에서 몰아붙이는 일이 늘어나, 차량의 노후화 등도 겹쳐 제네시스 쿠페에서 전륜구동차로 갈아타는 팀도 늘어났다.

2023년까지 GT2라는 1600cc 미만의 과급기 엔진을 탑재한 전륜구동차를 사용하는 하위 클래스도 존재했지만, 참가자 부족으로 소멸되었다. 주요 차량은 아반떼 N 라인이나 벨로스터이지만, 드물게 기아 씨드와 같은 차량도 참전했다. 2023년에 사이룬 원메이크가 되었다.

'''루벡스 M 클래스'''

루벡스 M 클래스(LUBEX M Class)는 2018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정식 클래스로 신설되었다. BMW M4 쿠페 단일 차종으로 참가하는 원메이크 레이스였다. 최대출력 450마력으로 최상위 클래스인 슈퍼6000의 스톡카보다 높은 출력을 보이지만, 레이싱용이 아닌 공도 주행이 가능한 차량으로 파워트레인 튜닝 없이(순정 DCT가 장착된다) 최소한의 R튠만이 적용되었다. 차량 무게로 인해 스톡카만큼의 성능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 B 이상의 라이센스를 보유해야 참가할 수 있었다.

2021년부터 지정 타이어 메이커로 넥센타이어가 채용되었다.

4. 1. 슈퍼 6000

슈퍼 6000 클래스는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최상위 종목으로, 2008년 시작된 이래 국내외 정상급 드라이버들이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 유일의 스톡카 레이스이다. 스톡카는 오직 레이스를 위해 제작된 차량으로, 내부에 편의 시설 없이 주행에 필요한 장치들과 드라이버의 안전 장비만을 갖추고 있다. 모든 스톡카에는 460마력을 내는 GM사의 V8 6200cc 엔진이 동일하게 탑재된다.

스톡카의 외형은 바디 스폰서사에 따라 달라지는데, 2020년부터는 토요타의 GR 수프라를 베이스로 디자인한 바디를 채택하고 있다. 차량의 최소 무게는 1,270kg이며 핸디캡 웨이트 규정에 따라 더 무거워질 수는 있지만 최소 무게 미만으로 내려갈 수는 없다. 모든 참가 차량은 타이어 제조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웜업부터 연습 주행, 예선과 결승까지 정해진 수량의 타이어를 사용해야 하므로 신중한 전략이 필요하다. 각 라운드마다 순위에 따라 챔피언십 포인트를 차등으로 부여하는데, 이 챔피언십 포인트의 총합이 가장 높은 드라이버와 팀이 그 시즌의 챔피언이 된다.

카울 모티브는 오울림 모터스 스피라(2008년), 캐딜락 CTS(2009년~2011년), 현대 제네시스(2012년~2015년), 캐딜락 ATS-V(2016년 - 2019년)를 거쳐 2020년부터 토요타 GR 수프라를 사용하고 있다. GR 수프라는 슈퍼레이스 최초의 해외 차량 모티브이지만, 캐딜락의 두 차종은 한국GM으로부터 차량을 제공받아 한국 국내 법률상 국산차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이후, 휠은 ASA제 레이싱 휠로 지정되었지만, 슈퍼레이스 전체를 통틀어 국내외를 불문하고 지정 타이어 메이커가 없는 유일한 클래스이다.

4. 2. GT 클래스

GT 클래스에는 양산차를 기반으로 정해진 규정 범위 안에서 경주를 위해 개조된 차량들이 출전한다. 2021년 개정된 대회 규정에 따라 엔진 차종, 배기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회조직위원회(SOC)가 승인한 차량이 참가할 수 있다. 차량 개조에 따른 성능 변화와 드라이버의 실력이 더해져 변수가 많이 생길 수 있는 흥미로운 레이스다.

BOP(Balance of Performance) 조정에 의한 파워 제한이 걸려 있기 때문에, 거의 이퀄 컨디션에 의한 레이스가 되고 있다. 또한, 핸디캡 웨이트 제도를 채용하고 있으며, 각 클래스 모두 순위와 챔피언십 포인트 랭킹에 따라 웨이트가 가산된다. 과거에는 2인승의 현행 판매 차량이라는 규정이 있었지만, 2021년 개정으로 인해 규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차량도 운영 측의 판단으로 참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개조 범위가 제한되어 있지만, 꽤 자유로운 개조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외장 관련해서는 순정 상태 그대로의 팀에서 시판 에어로 파츠, 더 나아가 GT 클래스 전용 에어로 파츠를 만들어 버리는 팀까지 있을 정도로 그 폭이 넓다.

3800cc 미만의 자연흡기 엔진을 탑재한 후륜구동차 또는 2000cc 미만의 과급기 엔진을 탑재한 전륜구동차를 사용한다. 대한민국 내에서 구매 가능한 GT 클래스 규정 상의 3800cc 미만·후륜구동 차량이 제네시스 쿠페밖에 없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실질적인 원메이크 레이스가 되었다.

최근에는 JS형 벨로스터 N이나 쉐보레 말리부 , Hyundai N Festival에서 사용하는 아반떼 N 컵카를 사용하는 팀도 늘고 있다. 특히 아반떼 N 컵카는 원래부터 원메이크 레이스에서 사용될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전용 브레이크·서스펜션 튜닝이 되어 있어 저렴하고 고성능의 머신으로 애용되고 있다. 일부 코스에서는 이런 전륜구동차 세력이 제네시스 쿠페를 코너에서 몰아붙이는 일이 늘어나, 차량의 노후화 등도 겹쳐 제네시스 쿠페에서 전륜구동차로 갈아타는 팀도 늘어났다.

2023년까지 GT2라는 1600cc 미만의 과급기 엔진을 탑재한 전륜구동차를 사용하는 하위 클래스도 존재했지만, 참가자 부족으로 소멸되었다. 주요 차량은 아반떼 N 라인이나 벨로스터이지만, 드물게 기아 씨드와 같은 차량도 참전했다. 2023년에 사이룬 원메이크가 되었다.

4. 3. 루벡스 M 클래스



루벡스 M 클래스(LUBEX M Class)는 2018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정식 클래스로 신설되었다. BMW M4 쿠페 단일 차종으로 참가하는 원메이크 레이스였다. 최대출력 450마력으로 최상위 클래스인 슈퍼6000의 스톡카보다 높은 출력을 보이지만, 레이싱용이 아닌 공도 주행이 가능한 차량으로 파워트레인 튜닝 없이(순정 DCT가 장착된다) 최소한의 R튠만이 적용되었다. 차량 무게로 인해 스톡카만큼의 성능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 B 이상의 라이센스를 보유해야 참가할 수 있었다.

2021년부터 지정 타이어 메이커로 넥센타이어가 채용되었다.

4. 4. 프리우스 PHEV 클래스

4. 5. 알핀 클래스

4. 6. 래디컬 컵 코리아

래디컬 컵 코리아 경기장면


래디컬 컵 코리아는 모터스포츠의 종주국인 영국에서 시작되어 북미, 중동, 호주 등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래디컬 레이스 시리즈의 하나이다. 래디컬 레이스 차량은 드라이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포뮬러 카와 유사하지만, 바퀴가 차량의 차체에 의해 덮여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래디컬 컵 코리아는 차량 모델에 따라 SR1과 SR3 클래스로 나뉜다. SR1은 1,340cc 4기통 엔진을 장착하여 182마력을 내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3.5초 만에 도달하고 최고 속도는 시속 222km이다. SR3는 1,340cc 또는 1,500cc 엔진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 195마력과 226마력을 낸다. 강력한 다운포스와 공기역학적 디자인으로 접지력을 높이고 공기저항을 줄여 경쾌하고 빠른 움직임을 보여준다.

2021년부터 래디컬 컵 코리아는 한국타이어가 지정 타이어 메이커로 채용되었다.

4. 7. 코리아 트로페오

과거에는 가와사키 닌자 컵으로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코리아 트로페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코리아 트로페오'''

4. 8. e슈퍼레이스

(주)슈퍼레이스는 슈퍼레이스 챔피언십과 함께 모터스포츠 기반의 e스포츠 대회인 e슈퍼레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2020년 '2020 CJ대한통운 e슈퍼레이스'로 시작한 이 대회는 레이싱 기어를 활용, PC 기반의 시뮬레이션 레이싱 게임으로 순위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020년 8월, 세 차례의 온라인 선발전을 거쳐 30명의 정규리그 참가 드라이버가 선발되었다. 이들은 총 10라운드의 레이스에 참가, 라운드마다 순위에 따라 주어지는 챔피언십 포인트를 합산하여 정규리그 우승자를 가렸다. 출범 첫 시즌인 2020년에는 김영찬이 총 6번의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하며 우승했다.

정규리그 상위 18명의 드라이버에게는 그랜드 파이널 진출 기회가 주어졌고, 정규리그 외에도 세 번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통해 5명의 드라이버가 추가로 선발되었다. 또한, 온라인에서 진행된 '더 패스티스트' 1위 드라이버 1명도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했다.

2020년 12월 12일 열린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3번의 레이스가 진행되었고, 각 레이스마다 순위에 따라 차등 부여된 포인트를 합산, 최종 시즌 챔피언을 선정했다. 2020시즌 챔피언은 정규리그에서 2위를 했던 김규민이 차지했다.

2021 시즌은 섬머 시즌과 윈터 시즌으로 나뉘어 두 번의 정규리그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며, 팀전 형태로 1부, 2부 리그의 승강제 또한 고려되었다.

e-슈퍼레이스는 레이싱 시뮬레이터인 아세토 코르사(PC판)를 사용하며, 만 16세 이상이 참가 가능한 온라인 e모터스포츠 이벤트이다. 2022년 시즌부터 GR86을 사용하며, 2021년까지는 SUPER6000 사양의 토요타 GR 수프라를 사용했다. 대한민국 내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의 서킷 코스를 무대로 진행된다.

2020년 COVID-19로 인해 슈퍼레이스 개최가 자제됨에 따라, e스포츠 선수와 슈퍼레이스 선수들이 대결하는 전시 매치로 아이레이싱을 사용하여 개최되었으나, 이후 시리즈의 하나로 카테고리에 포함되었다. 2021년부터 매뉴팩처러 시리즈가 발족되어, 슈퍼레이스에서 활동하는 팀이나 e스포츠 팀의 참가가 인정되었다.

5. 규정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각 클래스는 예선과 결승을 치러 각 라운드 순위를 결정하며 정해진 공식 예선의 주행기록으로 결승 그리드 순위를 정한다. 슈퍼 6000 클래스 공식 예선은 Q1, Q2로 구성된 타임 트라이얼 넉아웃(Knock out) 방식으로 운영된다. Q1(15분)에서는 상위 10대가 Q2에 진출하며, Q2는 10분간 진행된다. 결승 그리드는 Q2, Q1의 기록 순으로 배정된다. 예선 공식 결과 베스트 랩 1위, 2위, 3위에게는 각각 예선 포인트 3점, 2점, 1점이 부여된다.

GT/GT4 클래스와 루벡스 M 클래스, 프리우스 PHEV 클래스, 래디컬 컵 코리아는 지정된 시간 동안 타임 트라이얼 방식으로 예선을 진행한다.

2020년부터는 예선 기록이 부진할 경우 결승 참가에 제한을 두는 107% 규정이 신설되었다. 예선(슈퍼 6000 클래스는 Q1 기록 기준) 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 타임 대비 107% 이상 늦은 랩 타임을 기록할 경우 결승에 출주할 수 없다. 2021년 규정이 보완돼 슈퍼 6000 클래스의 경우 타이어사 별로 구분해 107% 규정을 적용한다.

결승은 정해진 랩 수(Laps)를 가장 빨리 완주하는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는 스프린트 방식이다. 클래스 별 결승 시작 방식은 스탠딩 스타트 혹은 롤링 스타트로 하며 각 레이스마다 대회 조직위원회의 결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모든 결승 참가 차량은 세이프티 카(SC)를 선두로 그리드 대열을 유지하며 포메이션 랩을 주행한다. 이 때, 차량 간의 간격은 5대 이상을 넘겨서는 안 되며 추월은 금지된다. 스탠딩 스타트의 경우 그리드 정렬이 완료된 후 적색 등이 점등되면 타이어가 움직여서는 안되며 앞 범퍼가 그리드 라인을 넘을 경우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 롤링 스타트의 경우 ‘GRID’ 보드가 제시된 이후 2열의 대열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앞 뒤 간격은 1대 이상이 되지 않고, 앞 순위 차량의 앞 범퍼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부정출발로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

전체 규정 주행 랩수의 75% 이상을 주행한 경우 완주 포인트 1점을 별도로 부여한다.

5. 1. 경기 방식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각 클래스는 예선과 결승을 치러 각 라운드 순위를 결정하며 정해진 공식 예선의 주행기록으로 결승 그리드 순위를 정한다. 슈퍼 6000 클래스 공식 예선은 Q1, Q2로 구성된 타임 트라이얼 넉아웃(Knock out) 방식으로 운영된다. Q1(15분)에서는 상위 10대가 Q2에 진출하며, Q2는 10분간 진행된다. 결승 그리드는 Q2, Q1의 기록 순으로 배정된다. 예선 공식 결과 베스트 랩 1위, 2위, 3위에게는 각각 예선 포인트 3점, 2점, 1점이 부여된다.

GT/GT4 클래스와 루벡스 M 클래스, 프리우스 PHEV 클래스, 래디컬 컵 코리아는 지정된 시간 동안 타임 트라이얼 방식으로 예선을 진행한다.

2020년부터는 예선 기록이 부진할 경우 결승 참가에 제한을 두는 107% 규정이 신설되었다. 예선(슈퍼 6000 클래스는 Q1 기록 기준) 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 타임 대비 107% 이상 늦은 랩 타임을 기록할 경우 결승에 출주할 수 없다. 2021년 규정이 보완돼 슈퍼 6000 클래스의 경우 타이어사 별로 구분해 107% 규정을 적용한다.

결승은 정해진 랩 수(Laps)를 가장 빨리 완주하는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는 스프린트 방식이다. 클래스 별 결승 시작 방식은 스탠딩 스타트 혹은 롤링 스타트로 하며 각 레이스마다 대회 조직위원회의 결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모든 결승 참가 차량은 세이프티 카(SC)를 선두로 그리드 대열을 유지하며 포메이션 랩을 주행한다. 이 때, 차량 간의 간격은 5대 이상을 넘겨서는 안 되며 추월은 금지된다. 스탠딩 스타트의 경우 그리드 정렬이 완료된 후 적색 등이 점등되면 타이어가 움직여서는 안되며 앞 범퍼가 그리드 라인을 넘을 경우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 롤링 스타트의 경우 ‘GRID’ 보드가 제시된 이후 2열의 대열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앞 뒤 간격은 1대 이상이 되지 않고, 앞 순위 차량의 앞 범퍼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부정출발로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

전체 규정 주행 랩수의 75% 이상을 주행한 경우 완주 포인트 1점을 별도로 부여한다.

5. 2. 챔피언십 포인트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모든 클래스 종합 순위는 각 라운드에서 획득한 포인트의 합산으로 결정된다. 슈퍼 6000 클래스는 드라이버 챔피언십, 팀 챔피언십, 타이어 제조사 챔피언십 3가지 타이틀이 걸려 있으며, 그 외 클래스는 드라이버 챔피언십 타이틀만 시상한다.

슈퍼 6000 클래스는 예선 베스트 랩 기준 1~3위에게 3~1점의 예선 포인트가 주어진다. 전체 규정 주행 랩 수의 75% 이상을 주행한 경우 완주 포인트 1점이 추가된다. 따라서 한 경기에서 받을 수 있는 최대 포인트는 29점이다. (예선 1위 시 예선 포인트 3점, 결승 1위 시 25점, 완주 포인트 1점)

시리즈 합계 점수가 동점일 경우, 상위 등수가 많은 드라이버에게 우선 순위가 주어진다.

순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11위 이하
결승 포인트251815121086421
완주 포인트결승 완주 시 1점 부여
예선 포인트슈퍼 6000: 베스트 랩 1~3위, 각 3~1점 부여



팀 챔피언십 포인트는 각 팀 별 드라이버 2명의 획득 점수를 합산해 적용하며, 3명 이상의 드라이버를 보유한 팀은 라운드 별 결승일 기준 15일 이전에 팀 챔피언십 포인트에 합산할 2명의 드라이버를 지정해야 한다.

5. 3. 핸디캡 웨이트

슈퍼 6000 클래스와 KUMHO GT1, GT2 클래스 참가자는 결승 순위에 따라 핸디캡 웨이트를 적용받는다. 핸디캡 웨이트는 차량이 아닌 드라이버에게 적용되며, 시리즈 도중 드라이버가 팀을 옮기더라도 계속해서 적용된다. 핸디캡 웨이트의 적용은 차량의 중량과 관계없이 별도의 밸러스트만 인정되며, 차감은 적용된 핸디캡 웨이트에서 이뤄진다. 경기에 불참하거나 실격 처분을 받았을 때는 핸디캡 웨이트가 차감되지 않는다.

개막전 이후 처음 레이스에 참가하는 모든 드라이버에게는 핸디캡 웨이트가 적용된다. (슈퍼 6000 : 80KG, KUMHO GT1&2 : 60KG)

'''슈퍼 6000 클래스'''

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11위 이상 (기권)
+80kg+40kg+20kg0 kg-10kg-20kg-30kg-40kg-50kg-60kg-70kg



'''금호 GT1, 금호 GT2 클래스'''

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11위 이상 (기권)
+60kg+40kg+20kg+10kg0 kg-10kg-20kg-30kg-40kg-50kg-60kg



최대 핸디캡 웨이트는 슈퍼 6000 클래스가 150kg, KUMHO GT1, GT2 클래스가 120kg이다.

5. 4. 타이어

각 클래스별로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의 수량과 종류는 제한된다. 각 이벤트 별 공식차량검사 시 타이어 마킹이 진행되며, 클래스 별 최대 타이어 마킹 수량과 구분이 다르다. 공식차량검사 중 마킹을 받은 타이어가 최대 허용 개수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이후 추가 마킹은 불가능하다. 단, 예선 도중 타이어가 파손돼 결승 참가가 불가할 경우 기술위원장의 승인을 얻어 예선 종료 후 추가 마킹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슈퍼 6000 클래스는 해당 이벤트의 연습용 타이어를 추가 마킹할 수 있다. 타이어 추가 마킹에 따라 그리드 강등의 페널티가 부여된다.

슈퍼 6000 클래스의 경우, 1전에서는 연습 및 웜업에 신품 8본, 예선 및 결승에 신품 4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웻 타이어는 신품 12본을 사용할 수 있다. 2전부터 6전까지는 웜업 및 연습에 신품 4본과 직전 대회 마킹 타이어 6본을, 예선 및 결승에 신품 4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웻 타이어는 신품 8본과 직전 대회 마킹 타이어 6본을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전(7전, 8전)에서는 웜업 및 연습에 신품 4본과 직전 대회 마킹 타이어 8본을, 예선 및 결승에 각 신품 4본씩 사용할 수 있으며, 웻 타이어는 신품 8본과 직전 대회 마킹 타이어 6본을 사용할 수 있다.

5. 5. 경기 운영 깃발

국제자동차연맹(FIA)의 국제규정 깃발 신호는 관중 및 선수들에게 자동차경주 현장에서 일어나는 여러 정보를 제공한다. 깃발 신호는 자동차경주 시작부터 결승이 끝날 때까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으며, 메인 포스트를 비롯한 각 포스트에서 발령된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을 포함한 국내 자동차경주에서는 국제자동차연맹이 정한 국제규정 깃발 신호를 따르고 있다. [깃발의 용도]

풀 코스 옐로우 (FCY: Full Course Yellow) 규정은 슈퍼레이스 2020시즌에 도입되었다. FCY는 연습 주행, 예선 또는 결승 중 사용될 수 있으며, 레이스 디렉터의 판단에 따라 안전상의 이유로 필요할 경우 선언할 수 있다. FCY가 선언될 경우, 모든 포스트에 황색기가 발령되고, FCY보드가 게시된다. 모든 참가차량은 80km/h 이하로 서행해야 하며, 추월은 엄격히 금지된다. FCY 상황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SC가 개입할 수 있다. 녹색 깃발이 게시 되고, FCY 보드가 철수되면서 FCY 상황이 해제되고 경기가 재개되며, 추월이 허용된다. FCY 상황에서 주행한 랩도 전체 주행 랩에 포함된다.

6. 중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중계된다. 슈퍼 6000 클래스 및 GT 클래스 결승 경기는 KBS2, KBS N SPORTS, tvN SPORTS 등을 통해 생중계된다. 프리우스 PHEV, 알핀 클래스 결승은 Sky SPORTS를 통해 생중계 된다.

슈퍼 6000 클래스 결승 경기는 채널A, 채널A 플러스, XtvN에서 생중계되며, 금호 GT1 및 2 클래스 결승전은 채널A 플러스에서 생중계된다.

슈퍼레이스 공식 홈페이지, 유튜브, 페이스북, 카카오TV, 네이버TV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7. 역대 기록

wikitext

슈퍼레이스는 여러 차례 챔피언십을 개최하며 다양한 클래스의 드라이버 챔피언과 팀 챔피언을 배출했다.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을 시작으로, 2007년부터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대회를 이어오고 있다.

2008년에는 슈퍼 6000 클래스가 신설되었고, 스티븐 초가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 이후 김의수(2009, 2011, 2012), 황진우(2010, 2013), 팀 베르그마이스터(2015), 정의철(2016, 2020), 김종겸(2018, 2019, 2021, 2022) 등 여러 드라이버들이 슈퍼 6000 클래스에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6년에는 GT-1 클래스에서 로엘로프 브루인스가 챔피언에 올랐으며, 서한 퍼플 모터스포트 팀이 팀 챔피언을 차지했다. 2017년에는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가, 2018년과 2019년에는 김종겸의 활약으로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가 팀 챔피언을 차지했다. 2021년에는 김종겸이 다시 한번 챔피언에 오르며,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의 4번째 팀 챔피언 타이틀을 안겼다. 2022년에는 한국타이어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로 이름을 바꾼 팀이 5번째 팀 챔피언에 등극했다.

2023 시즌에는 여러가지 변화가 있었다. 나이트 레이스가 두 번, 더블 라운드가 두 번 열리는 일정으로 변경되었다. CJ로지스틱스 레이싱은 오한솔, 박준서, 박규승을 영입했고, 엑스타 레이싱팀은 요시다 히로키를 개막전에 출전시켰다. AMC 레이싱팀은 서석현, 아오키 타카유키, 카를로 반 담을 영입하며 슈퍼6000 클래스에 새롭게 참가했다. 볼가스 모터스포츠는 4차전부터 복귀했고,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의 여파로 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와 소닉모터스포츠-아트라스비엑스는 불참했다.

시즌모니커클래스드라이버 챔피언팀 챔피언
2006코리아 GT 챔피언십GT-1황진우
GT-2권오수
투어링 A류시원
투어링 B윤재영
포뮬러 1800김준태
2007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GT스티븐 초
투어링 A오일기
투어링 B한치우
포뮬러 1800김종겸
2008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스티븐 초
GT박상무
슈퍼 2000이재우
슈퍼 1600김진표
2009CJ O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김의수
슈퍼 3800스티븐 초
슈퍼 2000이재우
슈퍼 1600박시현
2010CJ Tving.com 슈퍼레이스 챔피언십Hello TV 6000반바 타쿠
제네시스 쿠페장순호
슈퍼 2000이재우
NEXEN N9000정회원
2011CJ Tving.com 슈퍼레이스 챔피언십Hello TV 6000김의수
제네시스 쿠페유경욱
슈퍼 2000이재우
NEXEN N9000주진완
2012CJ HELLO MOBIL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김의수
ECSTA GT유경욱
VENTUS김태호
NEXEN N9000윤광수
2013CJ HELLO VISION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황진우
GT최해민
VENTUS김태호
NEXEN N9000김효겸
2014CJ HELLO MOBIL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스티븐 초CJ 레이싱
GT이재우
슈퍼 1600양용혁
ECSTA V720 크루즈김태호
ECSTA V720 아반떼최광성
2015CJ HELLO MOBIL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팀 베르그마이스터ECSTA 레이싱
GT안재모
슈퍼 1600김효겸
ECSTA V720 크루즈정주섭
ECSTA V720 아반떼원상연
2016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SK ZIC 6000정의철ECSTA 레이싱
GT-1로엘로프 브루인스서한 퍼플 모터스포트
GT-2한민관
GT-3김대혁
GT-4정승철
쉘 헬릭스 울트라 1600이준은
ECSTA V720 크루즈정지원
ECSTA V720 아반떼이중훈
2017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캐딜락 6000스티븐 초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GT-1김종겸서한 퍼플-블루
GT-2이동호
GT-3김양호
GT-4유준선
아반떼 컵 마스터즈박동섭
2018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캐딜락 6000김종겸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ASA GT정경훈BEAT R&D
BMW M현제복
2019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ASA 6000김종겸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GT-1정경훈
GT-2박희찬
BMW M권오윤
레디컬 컵 아시아손인영
미니 챌린지 코리아
┗ 쿠퍼 JCW조한철
┗ 쿠퍼 S김현이
┗ 레이디이하윤
2020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정의철ECSTA 레이싱
금호 GT-1정경훈
금호 GT-2박동섭
BMW M김효겸
레디컬 컵 코리아김현준
2021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삼성화재 6000김종겸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금호 GT-1정경훈
금호 GT-2김성훈
캐딜락 CT4변정호
코오롱 모터스 BMW M권오윤
레디컬 컵 코리아김현준
2022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삼성화재 6000김종겸한국타이어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금호 GT-1정경훈
금호 GT-2박재홍
캐딜락 CT4김문수
BMW M 클래스한상규
스포츠 프로토타입 (레디컬) 컵 코리아사비나 박


7. 1. 2006 CJ 코리아 GT 챔피언십

2006년에 '코리아 GT 챔피언십'(Korea GT Championship)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한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GT1, GT2, 투어링A, 투어링B, 포뮬러1800 등 5개 클래스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GT1, GT2, 투어링A 클래스는 드라이버 2명이 교대로 70랩(약 149km)을 주행했고, 투어링B와 포뮬러1800 클래스는 드라이버 1명이 20랩(약 42.5km)을 주행하는 방식이었다.

개막전은 3월 26일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열렸고, 최종전은 12월 10일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최되었다. 모든 클래스는 총 7번의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9월 17일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4라운드부터 CJ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했다. 시즌 중인 10월에는 경기 운영 법인이 주식회사 KGTC에서 주식회사 KGTCR로 변경되었고, 김의수가 공동대표로 취임했다.

최고 클래스인 GT1 챔피언은 킥스 레이싱의 황진우, 최해민이 차지했다.

각 클래스별 챔피언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드라이버팀(당시)
GT1황진우, 최해민킥스 레이싱
GT2권오수, 김진태JACK
투어링 A류시원하이해리엇 R-STARS
투어링 B윤재영영오토
포뮬러1800김준태MPC


7. 2. 2007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2007년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4월 8일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막전이 열렸고, 11월 12일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최종전이 개최되었다. GT, 투어링 A, 투어링 B는 7라운드, 포뮬러1800은 5라운드로 진행되었다. 경기당 주행 랩수는 GT, 투어링 A는 롱코스 30랩, 숏코스 35랩, 투어링 B는 롱코스 20랩, 숏코스 25랩, 포뮬러 1800은 롱코스 20~25랩이었다.

일반인들이 자동차경주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대회 공식 명칭을 코리아 GT 챔피언십에서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으로 변경하였다. 선수들의 공정한 경쟁 및 비용 절감을 위해 FIA 슈퍼2000 경주차 규정을 도입했다. 정규 레이스 종목은 GT, 투어링A, 투어링B, 포뮬러1800이었다. GT 챔피언 타이틀은 조항우(킥스 프라임)가 차지했고, 투어링A에서는 오일기(GM대우), 김중군, 안재모가 1~3위를 기록했다.

9월 16일에 열린 제5전은 포뮬러1800이 열린 마지막 대회로 김종겸(KT DOM)이 이 클래스 마지막 챔피언을 차지했다. 9월 28일부터 30일 사이에는 태백 레이싱파크에서 KT건설 태백 SUPER300 국제 자동차 경주대회가 열려서 GT 클래스가 스페셜 매치로 열리기도 했다.

각 클래스별 챔피언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드라이버팀(당시)포인트
GT조항우킥스 프라임123
투어링 A오일기GM대우100
투어링 B한치우FINAL44
포뮬러1800김종겸KT DOM39


7. 3. 2008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2008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4월 19일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막전을 시작으로 11월 16일 최종전까지 총 7라운드(슈퍼6000은 5라운드)로 진행되었다. 아시아 최초로 6,200cc 엔진을 얹은 스톡카(레이싱 전용 차량) 클래스인 슈퍼6000 클래스가 신설되어 3전부터 진행되었으며, 초대 챔피언은 조항우(당시 현대 레이싱 소속)가 차지했다.

5년 이상 단종된 자동차의 참가를 제한하여 새로운 경주차들의 출전을 유도했으며, 브라질에서 폭스바겐 보라와 푸조 307 스톡카를 가져와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정규 클래스는 슈퍼6000, GT, 슈퍼2000, 슈퍼1600의 4개 클래스로 구성되었다. 이재우와 오일기는 국내 최초의 워크스 레이싱팀인 GM대우 레이싱팀으로 참전해 신설된 슈퍼2000 클래스에서 1, 2위에 올랐으며, 슈퍼1600 클래스 우승은 김진표에게 돌아갔다.

2006년 10월부터 KGTCR의 공동대표로 재직하던 김의수는 CJ그룹의 후원을 받은 CJ레이싱의 감독 겸 드라이버로 복귀하여 슈퍼6000 개막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해 모든 경기는 용인 롱코스에서만 진행되었다.

경기당 주행 랩수는 클래스별로 상이했는데, 슈퍼 6000은 20랩(제3전)에서 25랩(4전부터)으로 변경되었고, GT와 슈퍼2000은 35랩~40랩, 슈퍼1600은 30랩~35랩으로 진행되었다.

각 클래스별 챔피언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드라이버팀(당시)경주차[A]포인트
슈퍼6000조항우현대 레이싱어울림 스피라48
GT박상무시그마 파오 렉서스렉서스 IS20025.5
슈퍼2000이재우GM대우GM대우 라세티78
슈퍼1600김진표알스타즈기아 프라이드78


7. 4. 이후 역대 기록

슈퍼레이스는 여러 차례 챔피언십을 개최하며 다양한 클래스의 드라이버 챔피언과 팀 챔피언을 배출했다.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을 시작으로, 2007년부터 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대회를 이어오고 있다.

2008년에는 슈퍼 6000 클래스가 신설되었고, 스티븐 초가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 이후 김의수(2009, 2011, 2012), 황진우(2010, 2013), 팀 베르그마이스터(2015), 정의철(2016, 2020), 김종겸(2018, 2019, 2021, 2022) 등 여러 드라이버들이 슈퍼 6000 클래스에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6년에는 GT-1 클래스에서 로엘로프 브루인스가 챔피언에 올랐으며, 서한 퍼플 모터스포트 팀이 팀 챔피언을 차지했다. 2017년에는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가, 2018년과 2019년에는 김종겸의 활약으로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가 팀 챔피언을 차지했다. 2021년에는 김종겸이 다시 한번 챔피언에 오르며,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의 4번째 팀 챔피언 타이틀을 안겼다. 2022년에는 한국타이어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로 이름을 바꾼 팀이 5번째 팀 챔피언에 등극했다.

2023 시즌에는 여러가지 변화가 있었다. 나이트 레이스가 두 번, 더블 라운드가 두 번 열리는 일정으로 변경되었다. CJ로지스틱스 레이싱은 오한솔, 박준서, 박규승을 영입했고, 엑스타 레이싱팀은 요시다 히로키를 개막전에 출전시켰다. AMC 레이싱팀은 서석현, 아오키 타카유키, 카를로 반 담을 영입하며 슈퍼6000 클래스에 새롭게 참가했다. 볼가스 모터스포츠는 4차전부터 복귀했고,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의 여파로 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와 소닉모터스포츠-아트라스비엑스는 불참했다.

시즌모니커클래스드라이버 챔피언팀 챔피언
2006코리아 GT 챔피언십GT-1황진우
GT-2권오수
투어링 A류시원
투어링 B윤재영
포뮬러 1800김준태
2007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GT스티븐 초
투어링 A오일기
투어링 B한치우
포뮬러 1800김종겸
2008CJ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스티븐 초
GT박상무
슈퍼 2000이재우
슈퍼 1600김진표
2009CJ O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김의수
슈퍼 3800스티븐 초
슈퍼 2000이재우
슈퍼 1600박시현
2010CJ Tving.com 슈퍼레이스 챔피언십Hello TV 6000반바 타쿠
제네시스 쿠페장순호
슈퍼 2000이재우
NEXEN N9000정회원
2011CJ Tving.com 슈퍼레이스 챔피언십Hello TV 6000김의수
제네시스 쿠페유경욱
슈퍼 2000이재우
NEXEN N9000주진완
2012CJ HELLO MOBIL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김의수
ECSTA GT유경욱
VENTUS김태호
NEXEN N9000윤광수
2013CJ HELLO VISION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황진우
GT최해민
VENTUS김태호
NEXEN N9000김효겸
2014CJ HELLO MOBIL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스티븐 초CJ 레이싱
GT이재우
슈퍼 1600양용혁
ECSTA V720 크루즈김태호
ECSTA V720 아반떼최광성
2015CJ HELLO MOBIL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팀 베르그마이스터ECSTA 레이싱
GT안재모
슈퍼 1600김효겸
ECSTA V720 크루즈정주섭
ECSTA V720 아반떼원상연
2016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SK ZIC 6000정의철ECSTA 레이싱
GT-1로엘로프 브루인스서한 퍼플 모터스포트
GT-2한민관
GT-3김대혁
GT-4정승철
쉘 헬릭스 울트라 1600이준은
ECSTA V720 크루즈정지원
ECSTA V720 아반떼이중훈
2017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캐딜락 6000스티븐 초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GT-1김종겸서한 퍼플-블루
GT-2이동호
GT-3김양호
GT-4유준선
아반떼 컵 마스터즈박동섭
2018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캐딜락 6000김종겸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ASA GT정경훈BEAT R&D
BMW M현제복
2019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ASA 6000김종겸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GT-1정경훈
GT-2박희찬
BMW M권오윤
레디컬 컵 아시아손인영
미니 챌린지 코리아
┗ 쿠퍼 JCW조한철
┗ 쿠퍼 S김현이
┗ 레이디이하윤
2020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슈퍼 6000정의철ECSTA 레이싱
금호 GT-1정경훈
금호 GT-2박동섭
BMW M김효겸
레디컬 컵 코리아김현준
2021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삼성화재 6000김종겸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금호 GT-1정경훈
금호 GT-2김성훈
캐딜락 CT4변정호
코오롱 모터스 BMW M권오윤
레디컬 컵 코리아김현준
2022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삼성화재 6000김종겸한국타이어 아틀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금호 GT-1정경훈
금호 GT-2박재홍
캐딜락 CT4김문수
BMW M 클래스한상규
스포츠 프로토타입 (레디컬) 컵 코리아사비나 박


8. 슈퍼레이스 e스포츠

㈜슈퍼레이스는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을 주최, 주관하며 모터스포츠를 기반으로 하는 e스포츠 대회인 e슈퍼레이스를 함께 운영한다. 2020년 ‘2020 CJ대한통운 e슈퍼레이스’라는 대회명으로 시작한 슈퍼레이스의 e스포츠는 레이싱 기어를 활용해 PC기반의 시뮬레이션 레이싱 게임으로 순위를 가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2020년 8월 온라인으로 세 차례의 선발전을 통해 30명의 첫 정규리그 참가 드라이버를 선발했다. 30명의 정규리그 참가 드라이버는 총 10라운드의 레이스에 참가했으며, 라운드마다 순위에 따라 주어지는 챔피언십 포인트를 합산해 정규리그 우승자를 가렸다. 출범 첫 시즌인 2020년에는 총 6번의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한 김영찬이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정규리그를 마친 후 상위 18명의 드라이버들에게는 시즌 챔피언을 결정하는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됐다.

정규리그 외에도 세 번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통해 그랜드 파이널에 참가할 5명의 드라이버를 추가로 선발했다. 시즌 일정이 진행되는 동안 온라인에서는 가장 빠른 랩 타임을 겨루는 ‘더 패스티스트’가 진행됐는데, 1위를 차지한 드라이버 1명도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했다.

2020년 12월 12일에 열린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3번의 레이스가 진행됐다. 각 레이스마다 순위에 따라 차등 부여된 포인트를 합산해 최종 시즌 챔피언을 선정했다. 2020시즌 챔피언은 정규리그에서 2위에 그쳤던 김규민이 차지했다. 2020 시즌 정규리그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이름DRIVER IDTOTAL POINT
1김영찬Kim, Young-Chan04_K.YoungChan241
2김규민Kim, Gyu-min55_K.GyuMin228
3이상진Lee, Sang-Jin98_L.SangJin213
4임재혁Im, Jeo-Heouck37_I.JeoHeouck173
5박윤호Park, Yun-Ho11_P.YunHo170
6홍선의Hong, Seon-Ui16_H.SeonUi165
7이재연Lee, Jae-Yeon14_L.JaeYeon162
8이창욱Lee, Chang-Uk33_L.ChangUk155
9김동주Kim, Dong-Joo85_K.DongJoo151
10전진한Jeon, Jin-Han25_J.JinHan140
11고재모Go, Jae-Mo52_G.JaeMo138
12정연섭Jeong, Yeon-Seob01_J.YeonSeob135
13장준호Jang, Jun-Ho06_J.JunHo120
14이충호Lee, Chonng-Ho44_L.ChoongHo97
15장우혁Jang, Woo-Hyeok22_J.WooHyeok94
16박치형Park, Chi-Hyeong54_P.ChiHyeong88
17조윤식Cho, Yoon-Sik89_C.YoonSik87
18김동영Kim, Dong-Young23_K.DongYoung66
19정윤호Jung, Yoon-Ho24_J.YoonHo62
20조병찬Cho, Byeong-Chan99_C.ByeongChan58
21이진영Lee, Jin-Yeong94_L.JinYeong55
22강신홍Kang, Shin-Hong17_K.SinHong44
23김태웅Kim, Tae-Woong09_K.TaeWoong43
24신우진Shin, Woo-Jin02_S.WooJin39
25안준혁Ahn, Jun-Hyuk05_A.JunHyuk33
26김덕진Kim, Deok-Jin13_K.DeokJin23
27권혁찬Kwon, Hyuk-Chan20_K.HyukChan14
28최광빈Choi, Gwang-Bin63_C.GwangBin10
29이찬준Lee, Chan-Joon66_L.ChanJoon3
30안도현An, Do-Hyun64_A.DoHyun



2020년 그랜드 파이널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이름DRIVER IDTOTAL POINT
1김규민Kim, Gyu-min55_K.GyuMin71
2권혁진Kwon, Hyuk-Jin95_K.HyukJin48
3이상진Lee, Sang-Jin98_L.SangJin43
4박윤호Park, Yun-Ho11_P.YunHo35
5김영찬Kim, Young-Chan04_K.YoungChan31
6장준호Jang, Jun-Ho06_J.JunHo28
7이창욱Lee, Chang-Uk33_L.ChangUk19
8홍선의Hong, Seon-Ui16_H.SeonUi15
9이재연Lee, Jae-Yeon14_L.JaeYeon12
10임재혁Im, Jeo-Heouck37_I.JeoHeouck11
11정윤호Jung, Yoon-Ho24_J.YoonHo11
12이충호Lee, Chonng-Ho44_L.ChoongHo7
13장우혁Jang, Woo-Hyeok22_J.WooHyeok5
14강신홍Kang, Shin-Hong17_K.SinHong5
15김동영Kim, Dong-Young23_K.DongYoung1
16정연섭Jeong, Yeon-Seob01_J.YeonSeob0
17신우진Shin, Woo-Jin02_S.WooJin0
18안준혁Ahn, Jun-Hyuk05_A.JunHyuk0
19김태웅Kim, Tae-Woong09_K.TaeWoong0
20권혁찬Kwon, Hyuk-Chan20_K.HyukChan0
21박치형Park, Chi-Hyeong54_P.ChiHyeong0
22이규빈Lee, Gyu-Bin66_L.GyuBin0
23조병찬Cho, Byeong-Chan99_C.ByeongChan0



두 번째 시즌인 2021 시즌에는 단일리그로 진행됐던 2020년과 달리 섬머 시즌과 윈터 시즌으로 나뉘어 두 번의 정규리그를 진행할 예정이다. 2021년 2월 현재 시즌 일정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2020 시즌은 개인전 형태로 대회가 치러졌지만 2021 시즌은 팀들 간의 경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팀전 형태로 변화하면서 1부, 2부 리그의 승강제 또한 고려하고 있다. 1부 리그 팀은 10팀 내외로 구성될 전망이다.

2021 섬머 리그는 7월 18일부터 9월 26일까지, 윈터 리그는 12월 5일부터 1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리그의 라운드별 일정은 다음과 같다.

'''* 섬머 리그'''

라운드12345678
날짜7월 18일7월 25일8월 1일8월 8일8월 15일8월 29일9월 12일9월 26일



'''* 윈터 리그'''

라운드12345678
날짜12월 5일12월 12일12월 19일12월 26일1월 2일1월 9일1월 16일1월 23일


참조

[1] 웹사이트 Superrace Championship https://www.super-ra[...] 2023-07-25
[2] 뉴스 韓国CJスーパーレース、日本上陸決定 韓流スターも登場へ http://as-web.jp/new[...] オートスポーツ 2010-06-04
[3] 뉴스 韓国スーパーレースが8月にオートポリスで開催 http://as-web.jp/new[...] オートスポーツ 2014-06-12
[4] 간행물 2013アジアン2&4レース開催のご案内 http://www.mobilityl[...] モビリティランド 2013-06-04
[5] 웹사이트 2015 CJ Superrace Championship Round 6 http://www.fsw.tv/fr[...]
[6] 뉴스 韓国トップカテゴリーレース、富士で開催 8月20–21日 https://response.jp/[...] Response 2016-08-02
[7] 웹사이트 Superrace http://www.superrace[...]
[8] 웹사이트 SUPERRACE http://www.superrace[...]
[9] 뉴스 韓国CJスーパーレース、日本上陸決定 韓流スターも登場へ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 2010-06-04
[10] 뉴스 韓国スーパーレースが8月にオートポリスで開催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 2014-06-12
[11] 간행물 2013アジアン2&4レース開催のご案内 http://www.mobilityl[...] モビリティランド 2013-06-04
[12] 웹사이트 2015 CJ SUPERRACE Championship Round 6 http://www.fsw.tv/fr[...]
[13] 뉴스 韓国トップカテゴリーレース、富士で開催 8月20-21日 https://response.jp/[...] Response 2016-08-02
[14] 웹인용 SUPERRACE http://www.super-rac[...] 2020-02-10
[15] 문서 GT는 국내에서만 진행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