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위스 서약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 서약동맹은 '서약으로 맺어진 동맹'이라는 뜻으로, 13세기 말부터 1798년까지 존재했던 알프스 산맥 지역의 정치적 연합체이다. 1291년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 3개 칸톤의 동맹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루체른, 취리히, 베른 등 도시 칸톤들이 가입하면서 성장했다. 13개 칸톤으로 구성된 서약동맹은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확장이 중단되었으나, 종교 개혁으로 인해 가톨릭과 개신교 간의 분열을 겪었다. 1798년 프랑스 혁명군의 침공으로 헬베티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해체되었다. 서약동맹은 칸톤 간의 복잡한 조약과 협정으로 유지되었으며, 타크자충이라는 연방 의회를 통해 대외 정책을 조율하고 분쟁을 해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역사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 스위스의 역사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800년 카롤루스 대제의 황제 즉위로 시작하여 1806년 프란츠 2세의 퇴위로 해체된 중세와 근세 유럽의 복합 정치체로서, 수많은 영방국 등으로 구성되어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아니었으며 서임권 투쟁, 30년 전쟁 등을 거치면서 권위가 약화되어 나폴레옹 전쟁 이후 해체, 여러 국가로 분할되었다.
  • 옛 국가 연합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옛 국가 연합 - 진국
    진국은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 사이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추정되지만, 실존 여부, 위치, 규모에 대한 학계 논쟁이 있으며, 사서 기록에 따라 위만조선에 복속된 국가로, 또는 삼한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이족에서 유래되어 슬라브족의 정착과정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나치 독일 점령, 공산 정권 수립 등의 역사를 겪고 1993년 체코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스위스 서약동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일반 명칭스위스 서약동맹
통용 명칭스위스 서약동맹
스위스 서약동맹 (1714년)
스위스 십자가 (약 1470–1500년)
13개 주의 문장 (1577년)
지위서약동맹
수도없음(사실상의 수도는 주로 취리히였으며, 루체른과 베른도 중요 역할을 함)
데모님스위스인
정치
정치 체제서약동맹
입법부타크자충
역사
이전합스부르크 가
체링겐 가
키부르크 가
베르덴베르크 가
장크트갈렌 제국 수도원
밀라노 공국
보 남작령
부르고뉴 공국
신성 로마 제국
성립1291년
주요 사건루돌프 1세 사망 (1291년 7월 15일)
뤼틀리 서약, 부르겐브루흐 (정확한 날짜는 불명)
카를 4세의 금인칙서 (1356년)
마리냐노 전투 (1515년 9월 13–14일)
카펠 전쟁 (1529년, 1531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신성 로마 제국에서 공식 독립 (1648년 5월 15일/10월 24일)
1653년 스위스 농민 전쟁 (1653년 1월–6월)
프랑스의 스위스 침공으로 붕괴 (1798년 3월 5일)
소멸1798년
이후헬베티아 공화국
프랑스 제1공화국
치살피나 공화국
언어
공용어독일어
통용어중세 프랑스어/프랑스어
알레만어
롬바르드어
레토로망스어
종교
주요 종교로마 가톨릭 교회
대륙 개혁 교회
통화
통화약 75개의 다양한 지역 통화, including 바젤 탈러, 베른 탈러, 프리부르 골덴, 제네바 탈러, 제네바 제네보이즈, 루체른 굴덴, 뇌샤텔 굴덴, 장크트갈렌 탈러, 슈비츠 굴덴, 졸로투른 탈러, 발레 탈러, 취리히 탈러

2. 명칭

구 스위스 연방은 'Eidgenossenschaft|아이트게노센샤프트|서약동맹de'(Eydtgnoschafft|아이dt그노샤프트de)로 불렸으며, '서약으로 맺어진 동맹'이라는 뜻이다. 이 명칭은 1370년 파펜브리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 연방의 영토는 Schweiz|슈바이츠de 또는 Schweizerland|슈바이처란트de(당대 철자법으로는 Schwytzerland|슈비처란트de)로 불렸으며, 16세기 중반부터 영어로는 Switzerland로 알려지게 되었다.[1] 그 시기부터 서맹은 단일 국가로 여겨졌으며, 개별 도시 지역 칸톤들을 공화국(취리히, 베른, 바젤 공화국 등)이라 칭하던 유행에 따라, 스위스 공화국 (Republic der Schweitzer|레푸블리크 데어 슈바이처de, République des Suisses|레퓌블리크 데 쉬스프랑스어, 1576년 요지아스 지믈러에 의해서는 Republica Helvetiorum|레푸블리카 헬베티오룸la)으로도 알려졌다.[1]

3. 역사

Multicolored map of Switzerland
1291–1797년, 서약동맹의 영토 발전 과정


구 스위스 연방의 역사는 여러 단계의 발전과 변화를 거쳤다.



초기에는 알프스 산맥 중심부 계곡 공동체 간의 동맹으로 시작하여, 합스부르크 가의 압력에 맞서 성장했다. 16세기에는 스위스의 종교 개혁으로 인한 종교적 분열을 겪었으나, 30년 전쟁 기간 동안 중립을 유지하며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았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내부적인 사회, 경제, 종교적 갈등이 심화되었으나, 13개 칸톤 연방 체제를 유지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군의 침공과 내부 분열로 인해 붕괴되고 헬베티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이 역시 오래가지 못했다.

3. 1. 결성 (13세기 말 - 14세기 초)

구 스위스 연방의 핵심은 알프스 산맥 중심부 계곡 공동체 간의 동맹이었으며, 이들은 공동 관심사(무역 등)를 관리하고 산을 통과하는 무역로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협력했다. 이전에는 "숲 주(Forest States)"라고도 불리는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 3개의 지방 공동체는 호엔슈타우펜 통치 기간 동안 제국 직할지와 자치를 부여받았다.[8] 이 지역은 고트하르트 고개가 통과했기 때문에 이러한 특권을 부여받았는데, 고개는 이탈리아 롬바르드 동맹에 맞선 호엔슈타우펜의 투쟁에서 중요했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호엔슈타우펜 왕조 붕괴 이후 스바비아 분열로 발생한 영토 경쟁에서 스위스 국가에 큰 위협이 되었다. 루돌프 1세는 스위스와 스바비아의 많은 영토를 자신의 영토에 추가했고, 1289년에는 제국 세금을 강요하기 위해 베른을 포위했다. 이러한 합스부르크 가문의 공격성은 스위스 연방 창설의 주요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9]

서약동맹의 결성은 뤼틀리 서약(에기디우스 추디에 따르면 1307년) 또는 1315년의 브루넨 서약으로 표시된다. 1889년 이래로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 등의 지방 공동체들의 1291년 스위스 서약동맹 헌장이 서약동맹의 설립 문서로 여겨지고 있다.[10]

초기 스위스 연방은 단순한 방어 조약이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가들은 점점 더 가까워졌다. 1315년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한 승리 이후, 연방 회원국들은 연방의 동의 없이 외부 국가와 동맹을 맺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또한 모든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대외 및 내부 문제에서 서로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스위스는 여전히 제국에 종속되어 있었고, 신성 로마 제국의 권위를 인정했다.[8]

3. 2. 서맹의 성장 (14세기 - 16세기 초)



초기 서맹은 루체른, 취리히, 베른 등의 도시들이 합류하면서 성장했다.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제국자유령 지위를 누리던 이 지역들과 도시 공동체들의 연합은, 그 지역 대부분을 다스렸던 합스부르크 가 공작과 왕들의 압박을 받았다. 합스부르크 가 군대와의 여러 전투에서 스위스는 승리했고, 글라루스추크를 정복하여 서맹의 회원국으로 만들었다.[17]

1353년부터 1481년까지 8개 칸톤들의 서맹(독일어로 Acht Orte, 8 칸톤)이 형성되었다. 서맹 회원국들(특히 도시들)은 사법권을 통해 지역 백작들의 영지를 사들이거나, 때로는 강제로 영토를 늘렸다. 서맹은 군사 활동을 통해서도 확장을 했는데, 1415년에는 아르가우주를, 1460년에는 투르가우주를 정복했다. 이 두 경우 모두 스위스는 합스부르크 공작들의 약점을 이용했다. 남쪽에서는 우리가 군사적 활동으로 영토 확장을 이끌어 1515년에 티치노 정복을 하였다. 이렇게 정복한 영토들은 서맹 회원국이 아니었기에 공동통치령 지위에 놓였다(여러 칸톤들에 의해 관리).[8]

이 시기 8개 칸톤들은 추가적인 동맹을 통해 인근 도시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점차 키웠다. 프리부르, 아펜첼, 샤프하우젠, 장크트갈렌 수도원과 장크트갈렌 시, , 로트바일, 뮐루즈 등이 서맹과 협정을 체결했다. 이 동맹들(Zugewandte Orte)은 서맹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지만, 정식 회원국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부르고뉴 전쟁은 프리부르와 졸로투른이 서맹에 합류하면서 서맹의 확장을 더욱 촉진시켰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에 대항한 슈바벤 전쟁에서 스위스는 승리했고, 신성 로마 제국법으로부터 벗어났다. 바젤과 샤프하우젠 도시 연합이 그 분쟁의 결과로 서맹에 합류했고, 아펜첼도 1513년 13번째 회원국으로 합류했다. 13개 칸톤 서맹 (Dreizehn Orte)은 1798년 해체될 때까지 서약동맹을 구성했다.

서맹의 확장은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 스위스가 패배하면서 멈추게 되었다. 베른과 프리부르만이 1536년에 보를 정복할 수 있었고, 보는 베른 칸톤의 일부가 되었으며, 프리부르의 사법권하에 놓였다.

3. 3. 종교 개혁 (16세기)

스위스의 종교 개혁은 칸톤(주)들 사이에 교리적 분열을 일으켰다.[17] 취리히, 베른, 바젤, 샤프하우젠과 준회원국들인 비엘, 뮐루즈, 뇌샤텔, 제네바, 장크트갈렌 시는 개신교가 된 반면, 서약동맹의 다른 회원국들과 발레는 가톨릭에 남았다. 글라루스, 아펜첼, 그라우뷘덴과 그곳의 대부분 콘도미니엄은 종교가 혼재되어 있었고, 아펜첼은 1597년 아펜첼이너로덴은 가톨릭으로, 아펜첼아우서로덴은 개신교로 분리되었다.

제2차 카펠 전쟁에서 패퇴하는 취리히의 군대.


종교 분열은 내전 (카펠 전쟁)을 일으켰고, 가톨릭과 개신교 세력 간 외부 세력과의 동맹을 초래했지만, 서약동맹 자체는 유지되었다. 그러나 교착 상태로 인해 공동의 대외 정책은 불가능했다. 30년 전쟁 기간 동안 칸톤 간의 종교적 불일치는 서약동맹을 중립으로 유지하게 했고, 교전국으로부터 보호했다.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당시 스위스 대표단은 서약동맹이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된 국가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3. 4. 근세 시기 (17세기 - 18세기)



앙시앵 레짐 기간 도시 칸톤에서 사회적 차이 증대와 절대주의 성장은 민중 봉기로 이어졌다. 30년 전쟁 종전 후 몰려온 불경기로 인한 반란이 루체른, 베른, 바젤, 졸로투른, 아르가우 등지에서 1653년 스위스 농민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이 반란은 많은 칸톤들의 도움을 받아 강제로 진압되었다.

종교적 차이도 경제적 차이의 증대로 인해 두드러졌다. 대게 가톨릭을 믿는 지방 지역인 스위스 중심부에 위치한 칸톤들은 상업과 경제적으로 커져만 가는 개신교를 믿는 칸톤들에게 둘러싸여있었다. 정치적으로 우세한 칸톤들은 취리히와 베른 (둘다 개신교 지역) 이였고, 반면 가톨릭 지역 칸톤들은 1531년 제2차 카펠 전쟁 이래로 영향력을 상실하고 있었다. 1655년에 서맹을 재조직하려던 시도 (취리히 주도로)는 가톨릭 지역들에 의해 막혔고, 이는 1656년 제1차 빌메르겐 전쟁으로 이어졌다. 가톨릭 진영이 승리를 거두며 현 상태가 유지됐다.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남아, 1712년 제2차 빌메르겐 전쟁으로 다시 분출되었다. 이때는 서맹을 주도하던 개신교 진영이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진정한 개혁은 13개의 회원국들의 관심사가 너무나도 다양했기에 불가능했고, 전제주의적인 개별 칸톤 정부는 폭넓은 서맹 행정 체제에 모든 시도를 다해 맞섰다. 대외 정치 역시도 분열된 상태로 전락했다.

3. 5. 붕괴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군의 침공으로 구 스위스 연방은 붕괴되었다. 프레데리크세자르 드 라 아르프가 이끄는 보 지역 공화당원의 요청으로 프랑스 혁명군이 침공해왔다. 보는 베른의 지배를 받았지만, 프랑스 혁명의 이념이 보 지역에 수용되면서 스스로 공화국임을 선언했고, 프랑스는 이를 침략의 구실로 삼았다.[18][19]

스위스인들이 무장에 대한 정치적 부름에 반응하지 못하면서 침공은 평화롭게 진행되었고, 연방의 붕괴는 외부 압력보다는 내부 분쟁이 원인이었다. 베른만이 효과적으로 저항했지만, 그라우홀츠 전투에서 패배하여 항복하였다. 베른 칸톤은 오버란트(이 주도)와 레만(로잔이 주도)으로 분리되었다.

1798년 4월 12일, "유일하고 분열되지 않은" 헬베티아 공화국 건국이 선포되면서 칸톤의 주권과 봉건권이 폐지되고 칸톤은 행정 구역으로 축소되었다. 이 체제는 광범위한 반대로 인해 불안정했고, 슈테클리크리크의 결과 헬베티아 공화국은 붕괴되었다.

4. 구조

구 스위스 연방은 회원국 간의 복합적인 조약과 협정으로 유지되었다.[11] 회원국들은 평화 유지, 군사적 협력, 분쟁 중재에 합의했으며, 점차 연방을 통합적인 실체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1370년 파펜브리프 조약을 통해 칸톤들은 처음으로 'Eidgenossenschaft'(서약동맹)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분쟁을 금지하고 성직자 법원의 연방 관할권을 거부했다.[8] 1393년 젬파허브리프는 회원국 중 하나가 다른 칸톤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전쟁을 시작하는 것을 금지했다.

Colored drawing of men listening to speaker
바덴에서 열린 1531년의 타크자충 (1790년대 그림)


타크자충은 연방 의회로, 보통 일 년에 여러 번 열렸다. 각 칸톤은 두 명의 대표(투표권이 없는 준주 포함)를 파견했다. 처음에는 회의를 주최하는 칸톤이 의장을 맡았지만, 16세기부터 취리히가 영구 의장(Vorort|포어오르트de)을 맡았고 바덴이 회의 장소가 되었다.[12] 타크자충은 칸톤 간의 문제를 처리하고, 분쟁의 최종심 재판소 역할을 했으며, 반대하는 회원국에 제재를 가했다. 또한 공동통치령을 관리했으며, 행정관들이 각기 다른 칸톤에서 2년마다 파견되었다.[12]

1481년 스탄스 협정은 부르고뉴 전쟁의 보상금에 대한 갈등과 농촌 및 도시 칸톤 간의 불화를 해결하고, 프리부르졸로투른의 연방 가입을 가능하게 했다.[8] 이 조약은 집회의 자유를 제한했지만, 이전의 젬파허브리프와 파펜브리프에서 칸톤 간의 합의를 강화했다.

종교 개혁 당시 내전은 교착 상태로 끝났다. 가톨릭 칸톤들은 의회 결정을 막을 수 있었지만, 지리적,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개신교 칸톤을 이길 수 없었다. 양측은 별도의 의회를 열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공동의 타크자충에서 만났다. 공동 의회는 1712년까지 양측 간의 불화로 인해 교착 상태에 있었는데, 이는 개신교 칸톤이 두 번째 빌메르겐 전쟁에서 승리한 후 권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가톨릭 칸톤은 아르가우, 투르가우, 라인 계곡의 콘도미니엄을 관리하는 데서 제외되었으며, 그 대신 베른이 이 지역의 공동 주권자가 되었다.

4. 1. 영역

Multicolored map
18세기 옛 스위스 연방


구 스위스 연방은 13개 칸톤을 중심으로, 준구성국, 공동 통치령, 보호령 등 다양한 형태의 영토로 구성되었다.

1353년부터 1481년까지 8개 칸톤들의 서맹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사법권을 통해 영토를 늘려나갔다. 때로는 군사 활동을 통해 아르가우(1415년), 투르가우(1460년)를 정복하기도 했다. 남쪽으로는 티치노를 정복하여(1515년) 공동통치령으로 삼았다.

부르고뉴 전쟁 이후 프리부르와 졸로투른이 합류했고, 슈바벤 전쟁에서 승리한 후에는 바젤과 샤프하우젠이 연방에 가입했다. 아펜첼은 1513년에 13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확장이 멈췄지만, 1536년 베른과 프리부르는 보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4. 1. 1. 칸톤

스위스 연방은 여러 단계에 걸쳐 확장되었다. 처음에는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 3개 칸톤(주)으로 시작하여 14세기에는 루체른, 취리히, 글라루스, 추크, 베른이 합류하여 8개 칸톤이 되었다. 이후 15세기에는 프리부르, 졸로투른이, 16세기에는 바젤, 샤프하우젠, 아펜첼이 추가되어 최종적으로 13개 칸톤으로 구성되었다.[22] 각 칸톤은 연방의 핵심 구성원으로, 자치권을 행사하며 연방 운영에 참여했다.

문장이름가입 연도유형비고
우리1291년지방 칸톤1291년 스위스 서약동맹 헌장에 이름을 올린 창설 칸톤
슈비츠1291년지방 칸톤1291년 스위스 서약동맹 헌장에 이름을 올린 창설 칸톤
운터발덴1291년지방 칸톤1291년 스위스 서약동맹 헌장에 이름을 올린 창설 칸톤, 이후 옵발덴과 니트발덴으로 분리
루체른1332년도시 칸톤
취리히1351년도시 칸톤
글라루스1352년지방 칸톤
추크1352년도시 칸톤
베른1353년도시 칸톤1323년부터 준구성국
프리부르1481년도시 칸톤1454년부터 준구성국
졸로투른1481년도시 칸톤1353년부터 준구성국
바젤1501년도시 칸톤
샤프하우젠1501년도시 칸톤1454년부터 준주
아펜첼1513년지방 칸톤1411년부터 준주, 이후 아펜첼이너로덴과 아펜첼아우서로덴으로 분리


4. 1. 2. 준구성국

18세기의 구 스위스 연방 준동맹 국가


준구성국(Zugewandte Orte)은 구 스위스 연방과 밀접한 동맹 관계를 맺은 지역이었다. 이들은 연방의 일부 또는 전체 구성원과 협약을 맺어 연결되었으며, 완전한 회원국은 아니었지만 연방의 보호를 받았다.[17]

4. 1. 3. 공동 통치령

공동 통치령 (Gemeine Herrschaftende)은 여러 칸톤들의 행정 아래에 있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들은 해당 지역을 책임지는 칸톤들에서 파견한 행정관 (포크트)들이 2년간 관리했다.[20] 베른은 주 관심사인 서쪽 국경 지역의 관리 및 정복에 집중한 관계로 초기에는 스위스 동부 지역의 공동 통치령 관리에 참여하지 않았다. 1712년에 베른은 투르가우 주의 프리 암터 (자유 지구), 자르간스의 라인 계곡을 관리하던 가톨릭 칸톤들을 대신했고, 가톨릭 칸톤들은 바덴 백작령 관리에서 제외됐다.[11]

"독일 통치구역"(Deutsche Gemeine Vogteien, Gemeine Herrschaftende)은 1712년 베른이 주권을 얻기 전까지 일반적으로 ''여덟 칸톤''(Acht Orte)에 의해 통치되었다.

통치 구역설명
자유 구역(Freie Ämter)
1415년에 정복되었으며 1712년에 분할되었다.
바덴 백작령(County of Baden)
1415년에 정복되었으며, 1712년부터 취리히, 베른, 글라루스가 통치했다.
-- 자르간스 백작령(County of Sargans)1460/83년부터
투르가우 령(Landgraviate of Thurgau)
1460년부터
라인탈 포크타이(Vogtei of Rheintal)
1490년부터, 베른을 제외한 여덟 칸톤과 상트갈렌 제국 수도원(Imperial Abbey of St Gall)이 통치했다. 1500년에 아펜첼이 추가되었고, 1712년에 베른이 추가되었다.



일부 관리청(''포크타이엔'')은 일반적으로 "트란스몬탄 관리청"(Ennetbergische Vogteiende, Baliaggi Ultramontaniit)이라고 불렸다. 1440년, 우리는 밀라노의 비스콘티로부터 레벤티나 계곡을 정복했다. 이 영토 중 일부는 이전에 1403년에서 1422년 사이에 병합되었다. 1500년에는 추가 영토가 획득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티치노의 역사''를 참조하라.

현재 티치노 주에 있는 세 개의 관리청은 우리, 슈비츠, 니트발덴 삼림주의 공동 소유였다.

관리청설명
블레니오 관리청1477–80년 및 1495년부터
리베라 관리청1403–22년 및 1495년부터
벨린초나 관리청1500년부터



다른 네 개의 티치노 주 관리청은 1512년부터 ''12개 지역'' (원래 13개 주에서 아펜첼을 뺀 것)의 공동 소유였다.

관리청
발마지아 란트포그타이
루가노 란트포그타이
로카르노 란트포그타이
멘드리시오 란트포그타이



다른 세 개의 관리청은 1512년부터 ''12개 지역''의 공동 소유였지만 3년 후 동맹에서 잃었고 현재 모두 롬바르디아 또는 피에몬테의 ''코무네''이다.

관리청
트라발리아
쿠비오
에센탈 (현재 오솔라)


4. 1. 4. 보호령

보호령은 특정 칸톤 또는 외부 세력의 보호를 받는 지역으로, 자치권을 유지하면서도 보호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다음은 스위스 서약동맹과 관련된 보호령 목록이다.

  • 벨레 수도원 – 1414년 이후 베른, 빌, 졸로투른의 보호령; 명목상 바젤 주교령 사법권 하[11]
  • 아인지델른 수도원 – 1357년 이후 슈비츠의 보호령[11]
  • 앙젤베르 수도원 – 1425년 이후 루체른,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의 보호령[11]
  • 에르겔 – 1335년 이후 군 사법권 하 빌/비엔 보호령, 바젤 주교령에도 종속[11]
  • -- 장크트갈렌 제국 수도원 – 1451년 이후 슈비츠, 루체른, 취리히, 글라루스 보호령이자 연방 준구성국[11]
  • 게르사우 공화국 - 독립 촌락, 1332년 이후 슈비츠와 동맹, 루체른, 우리, 운터발덴도 보호[11]
  • 무티에-그랑발 수도원 – 1486년 이후 베른 보호령, 1797년까지 바젤 주교령 속령, 신성 로마 제국 일부[11]
  • 라뇌브빌 – 1388년 이후 베른 보호령, 바젤 주교령 속령[11]
  • 페퍼스 수도원 – 1446년 이후 8칸톤 (베른 제외) 보호령, 1483년 자르간스 백작령 합병[11]
  • 라퍼스빌 – 1464년 이후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 글라루스 보호령, 1712년 이후 베른, 취리히, 글라루스 보호령[11]
  • 토겐부르크 백작령 – 1436년 이후 슈비츠, 글라루스 보호령, 1718년 이후 취리히, 베른 보호령. 장크트갈렌 수도원령에도 속함[11]

참조

[1] 웹사이트 Corpus helveticum https://hls-dhs-dss.[...] 2005-03-01
[2] 웹사이트 Corps helvétique https://hls-dhs-dss.[...] 2005-03-01
[3] 웹사이트 Corpo helvetico https://hls-dhs-dss.[...] 2005-03-01
[4] 서적 Manual of Romance Sociolinguistic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5] 서적 Varieties of Capital Citie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6] 문서 "Modern German: Alte Eidgenossenschaft; historically Eidgenossenschaft, after the Swiss Reformation also Corps des Suisses, Confoederatio helvetica "Confederation of the Swiss""
[7] 문서 "In the charters of the 14th century described as communities (communitas hominum, Lantlüte), the German term Orte becomes common in the early 15th century, used alongside Stand "estate" after the Reformation. The French term canton is used in Fribourg in 1475, and after 1490 is increasingly used in French and Italian documents. It only enters occasional German usage after 1648, and only gains official status as synonym of Stand with the Act of Mediation of 1803."
[8] 서적 The Swiss Confedera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mpany 1889
[9] 웹사이트 The First Perpetual League https://en.wikisourc[...] 2024-01-08
[10] 문서 Geschichte der Schweiz und der Schweizer Schwabe & Co
[11] 웹사이트 Eidgenossenschaft https://hls-dhs-dss.[...] 2004-09-08
[12] 웹사이트 Tagsatzung https://hls-dhs-dss.[...] 2001-03-01
[13] 서적 Geschichte der Schweiz W. Kohlhammer
[14] 웹사이트 County of Gruyère https://hls-dhs-dss.[...] 2004-06-28
[15] 문서 스위스 서약동맹의 의회는 15세기 대부분 기간 취리히에서 ''사실상''(de facto)의 수도로서 열렸다. 스위스의 종교 개혁 이후에는 서맹의 행정 체계가 더욱 다극화되어, 루체른과 베른이이 취리히와 함께 중요 역할을 맡았다.
[16] 서적 Varieties of Capital Citie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17] 문서 Geschichte der Schweiz und der Schweizer Schwabe & Co
[18] 웹사이트 Swissworld.org http://www.swissworl[...] 2013-04-03
[19] 웹사이트 French Invasion https://hls-dhs-dss.[...]
[20] 웹사이트 Eidgenossenschaft https://hls-dhs-dss.[...] 2004-09-08
[21] 웹사이트 Tagsatzung https://hls-dhs-dss.[...] 2001-03-01
[22] 서적 Geschichte der Schweiz W. Kohlhammer
[23] 웹사이트 County of Gruyère https://hls-dhs-dss.[...] 2004-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