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이모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이모노는 일본의 맑은 국으로, 국물(つゆ), 건더기(実), 그릇(椀)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국물은 다시에 간을 한 것으로, 소금과 간장을 기본으로 하며, 된장, 조개 국물, 앙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건더기에는 어패류, 채소, 두부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 중심 재료인 완다네와 완다네 외의 쓰마로 구분된다. 쓰마 중 향을 내는 것은 스이쿠치라고 한다. 주로 칠기 완을 사용하며, 탕과 같이 덮밥 그릇에 담거나, 톤스이에 덜어 먹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루모노 - 미소시루
미소시루는 된장을 주재료로 하여 멸치, 다시마 등으로 육수를 내고 다양한 재료를 넣어 끓이는 일본의 전통적인 국으로, 된장의 종류와 재료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 시루모노 - 크림 스튜
크림 스튜는 화이트 소스를 기본으로 하는 스튜로, 일본에서 서양 요리의 영향을 받아 탄생하여 학교 급식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일본 가정식으로 자리매김했다. - 일본의 채식요리 - 오코노미야키
오코노미야키는 밀가루 반죽에 여러 재료를 넣어 철판에 구워 먹는 일본의 부침개로, 1930년대 오사카에서 처음 이름이 붙여졌으며, 쌀 부족 시대에 대중화된 후 지역별로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하여 일본 및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 일본의 채식요리 - 덴가쿠
덴가쿠는 두부, 토란, 가지, 곤약 등의 재료를 꼬치에 꿰어 된장 양념을 발라 구운 일본 요리로, 헤이안 시대 말에 시작되어 에도 시대에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일본 전역에서 즐겨 먹는 대중적인 음식이다. - 일본의 해산물 요리 - 가라아게
가라아게는 일본의 튀김 요리 방식 또는 튀긴 요리를 의미하며, 특히 닭고기 튀김을 가리키고, 1930년대 대중화 이후 가정에서 쉽게 조리되어 현재는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 일본의 해산물 요리 - 이시카리나베
이시카리나베는 홋카이도 이시카리강에서 유래한 향토 요리로, 연어와 채소를 된장국에 넣어 끓인 것이며, 2007년 향토 음식으로 선정되었고 9월 15일은 기념일이다.
스이모노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이모노 |
![]() | |
종류 | 국 |
일본어 이름 | 흡い物 (すいもの) |
일본어 다른 이름 | 羹 (あつもの) 吸物膳 (すいものぜん) 椀盛り (わんもり) |
요리 정보 | |
국가 요리 | 일본 요리 |
2. 구성
스이모노는 국물(つゆ), 건더기(実), 그릇(椀)의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9]
유소쿠 요리 중 하나인 스이모노는 떡을 넣은 조니와는 다르게 취급된다.[4] 혼젠 요리에서는 국물 요리와 별도로 스이모노상에 제공되며, 가이세키나 가이세키 요리에서는 조림 요리에 스이모노가 많이 사용되어 '완모리' 또는 '조림완'이라고도 불린다. '젓가락 헹굼'을 '작은 스이모노'라고 부르기도 하며, 시푸쿠 요리에서는 '오히레'라고 불리는 스이모노부터 먹기 시작한다. 이처럼 일즙삼채에서 국물이 아닌 반찬이나 안주로 분류된다.[5][6][7]
술 안주로 제공하는 것은 "스이모노", 밥과 함께 제공하는 것은 "국물 요리"로 구분하지만,[8] 소금이나 간장으로 맛을 낸 맑은 국물(''스마시지루'', ''오스마시'' 등으로 불림)을 스이모노와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
2. 1. 국물 (つゆ)
다시에 간을 한 것으로, "흡지(吸地)", "취즙(吹汁)", "흡출(吸だし)", "완즈유(椀づゆ)"라고도 한다[4][5][6][7]。 제일 다시에 소금과 간장을 기본으로 하며, 맑게 끓인 것을 스마시(すまし)라고 한다. 그 외에 된장을 사용한 미소짓테(味噌仕立て), 조개 국물인 우시오짓테(潮仕立て), 앙을 이용한 우스구즈짓테(薄葛仕立て) 등이 있으며, 계절과 재료에 맞춰 만든다. 일본 술을 넣은 슷폰짓테(すっぽん仕立て), 토로로를 이용한 토로로짓테(とろろ仕立て)도 있다.2. 2. 건더기 (実)
미(実)는 스이모노에 들어가는 건더기를 총칭하는 말이다. 어패류, 채소, 산나물, 두부, 닭고기, 오리고기, 달걀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2. 2. 1. 완다네 (椀種)
국(汁)의 건더기 중에서도 중심이 되는 재료를 완다네(椀種)라고 한다.[14] 제철 어개류, 닭고기, 두부, 간모도키 등이 사용된다. 신죠도 완다네로 사용된다.[15][16][17][18]2. 2. 2. 쓰마 (つま)
쓰마는 완다네 이외의 부재료를 의미한다.[19] 쓰마는 제철 채소나 산채, 해조류, 밀기울 등 다양하다.[20][21][22][23]2. 2. 3. 스이쿠치 (吸口)
쓰마(곁들임) 중 특히 향을 내기 위한 것을 스이쿠치(吸口)라고 한다. 스이쿠치는 향을 더하고 맛을 음미하기 위해 계절에 맞는 재료를 곁들인다. 산초 잎(키노메), 유자, 생강, 겨자, 매실, 묘가(생강과의 채소), 고추냉이, 파, 머위(후키노토) 등 다양하다.2. 3. 그릇 (椀)
주로 칠기의 완이 사용되며, 스이모노용 완은 특별히 '스이모노완(吸物椀)'이라고 불린다. 탁자 밥상이나 부차 요리에서는 중국풍의 도자기 완을 사용하기도 한다. 중화 요리의 탕처럼 덮밥 그릇에 스이모노를 담아 각자의 완이나 톤스이에 덜어 먹는 경우도 있다.3. 종류
스이모노는 사용되는 국물, 건더기, 제공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유소쿠 요리 중 하나인 스이모노는 떡을 넣은 경우 조니라고 하지 않고 스이모노로 취급한다.[4]
혼젠 요리에서는 국물 요리와 별도로 스이모노가 스이모노상에 제공된다. 가이세키나 가이세키 요리에서 조림에 스이모노가 많이 사용되며, '''완모리''' 또는 '''조림완'''이라고도 불린다. '''젓가락 헹굼'''을 '''작은 스이모노'''라고도 부른다. 시푸쿠 요리에서는 '''오히레'''라고 불리는 스이모노부터 먹기 시작한다. 이처럼 일즙삼채에서 국물이 아닌, 반찬 또는 안주로 분류된다.[5][6][7]
술 안주로 제공하는 것은 "스이모노", 밥과 함께 제공하는 것은 "국물 요리"로 구분하지만[8], 소금이나 간장으로 맛을 낸 맑은 국물('''스마시지루''', '''오스마시''' 등으로 불림)을 스이모노와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사전
吸物
広辞苑
[2]
사전
吸物
広辞苑
[3]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4]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5]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6]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7]
사전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8]
서적
居酒屋の誕生
ちくま学芸文庫
2014
[9]
사전
吸物
広辞苑
[10]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11]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夏
講談社
[12]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13]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冬
講談社
[14]
사전
吸物
広辞苑
[15]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16]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夏
講談社
[17]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18]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冬
講談社
[19]
사전
吸物
広辞苑
[20]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21]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夏
講談社
[22]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23]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冬
講談社
[24]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25]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夏
講談社
[26]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27]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冬
講談社
[28]
사전
吸物
広辞苑
[29]
사전
吸物
広辞苑
[30]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31]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32]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春
講談社
[33]
서적
四季日本の料理 秋
講談社
[34]
사전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35]
서적
居酒屋の誕生
ちくま学芸文庫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