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코틀랜드 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틀랜드 철학은 중세 시대 신학의 영향을 받아 죄와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로 시작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대학교 설립을 통해 철학 전통이 구축되었으며, 데카르트주의가 스코틀랜드 대학에 도입되었다. 18세기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시대에는 자연법, 도덕 철학, 미학 등이 주요 연구 분야로 다루어졌다. 19세기에는 칸트와 독일 관념론의 영향으로 철학적 의제가 변화했으며, 20세기에는 영국과의 교류 증가로 인해 스코틀랜드 철학의 독자적인 정체성이 약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코틀랜드 철학
스코틀랜드 철학
앨런 램지가 그린 데이비드 흄
앨런 램지가 그린 데이비드 흄
주요 인물
주요 아이디어

2. 중세 스코틀랜드 철학

초기 철학은 신학의 영향을 받아 죄의 기원과 인간 본성의 타락을 강조했다. 중세 철학의 주요 주제는 신적 속성의 양립 가능성, 악의 문제, 신의 예지와 인간 자유 의지의 양립 가능성 등 종교 철학적 문제를 포함한다.[1]

고중세 시대의 스코틀랜드 철학자 존 던스 스코투스는 자연 신학, 형이상학, 지식 이론, 윤리학 및 도덕 철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코투스는 인간이 계시와는 별개의 방식으로 신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의 모든 지식이 감각적인 것들에 대한 경험에서 비롯되며, 이로부터 신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다.[2]

3. 르네상스 시대의 스코틀랜드 철학

15세기 동안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애버딘 대학교가 설립되어 스코틀랜드 철학 전통의 토대가 마련되었다.[3] 스코틀랜드 철학은 모든 대학생에게 필수 과목이었다.[3] 이 시기에는 주로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방식의 선배들의 철학을 재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지만, 존 네이피어(1550-1617)의 로그 테이블 발명은 과학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3] 제임스 그레고리(1638-75), 로버트 시볼드(1641-1722), 아치볼드 피트케언(1652-1713)과 같은 스코틀랜드인들도 과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3]

17세기 후반, 스코틀랜드 대학교는 17세기 전반의 개혁 스콜라 철학의 영향을 받아 자체적인 형태의 데카르트주의를 발전시켰다.[4] 데카르트에 대한 언급은 1654년 앤드루 칸트 총장이 애버딘 대학교 마리찰 칼리지의 졸업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4] 데카르트주의는 스코틀랜드 대학교에서 매우 성공적이었다.[4] 1660년대 말까지 대학교들은 교과 과정의 스콜라적 구조에 데카르트주의적 주제를 점진적으로 통합했고, 1670년대에는 커리큘럼이 통합되어 새로운 철학의 해설 순서에 따라 구성되었다.[4]

4. 18세기 스코틀랜드 철학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이 시기의 스코틀랜드 철학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시대와 겹친다. 계몽주의는 철학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학문 분야에서 지식이 급속도로 확장되던 시기였다. 이 시대의 스코틀랜드 철학자들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이 세기의 주요 사상으로는 미학, 도덕 철학, 자연법, 수사학, 상식 철학 등이 있다.[5]

자연법 개념은 거르솜 카마이클의 저서 『사무엘 푸펜도르프의 인간과 시민의 의무: 자연법에 따른 보충과 관찰』에서 처음 나타난다.[5] 카마이클은 이 책에서 하나님을 경배하고 타인을 잘 대하는 것이 자연법의 기초라고 주장한다.[5] 하나님께서 사랑과 경배의 표시로 우리에게 명하시는 것을 행해야 하며, 규정된 방식대로 행동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께서 멸시나 증오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5]

자연법은 즉각적인 의무와 매개적인 의무로 구분된다.[5] 첫 번째는 하나님을 경배하여 사랑과 경배를 드려야 한다는 즉각적인 의무이다.[5] 두 번째는 타인을 잘 대함으로써 공동선을 증진하는 매개적인 의무이다.[5] 이러한 계율은 자연법의 기초를 형성한다.[5] 카마이클은 예배자로서의 의무에 이 계율을 적용하기 전에 먼저 하나님을 우주와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창조주이자 통치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5]

프랜시스 허치슨은 도덕적으로 선하기 위해서는 자비심과 타인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에서 동기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도덕 철학 사상은 1755년 글래스고에서 처음 출판된 그의 저서 ''도덕 철학 체계''에서 기원한다. 허치슨은 홉스의 심리적 이기주의와 클라크, 월라스턴의 합리주의에 반대하며, 도덕적 지식은 도덕적 감각을 통해 얻어진다고 보았다. 그는 공감각, 도덕적 감각, 명예 감각이라는 세 가지 감각을 제시했는데, 이는 외부 다섯 감각과는 별개이다. 공감각은 타인의 행복이나 불행에 공감하는 능력이고, 도덕적 감각은 자신과 타인의 선악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능력이며, 명예 감각은 좋은 행동에 대한 칭찬이나 찬성에 반응하는 능력이다. 허치슨의 도덕 철학은 미학 이론, 특히 아름다움에 대한 도덕적 감각과 그 즐거움 이론에 잘 나타나 있다.

로드 케임스는 그의 저서 ''도덕과 자연 종교의 원리 에세이''에서 아름다움을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5] 어떤 것은 그 목적에 따라 존중받을 때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형편없이 설계되었거나 목적이 없는 물체는 추하게 여겨질 수 있다.[5] 따라서 집은 인간의 거주지로서의 목적에 비추어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5] 아름다운 물체는 관찰자에게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5] 따라서 배는 우아한 모양뿐만 아니라 무역을 촉진하여 긍정적이고 유익한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즐거움을 줄 수 있다.[5] 마찬가지로, 즐거움은 인간의 행동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치 있는 수혜자에게 베푸는 관대함과 같은 긍정적인 의도를 담은 행동은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5] 이러한 관대함이나 다른 미덕의 발현에서 파생되는 즐거움은 우리 본성의 원래 구성, 즉 우리가 아름다움을 볼 때 우리 자신의 의식적인 결정 없이 즐거움을 경험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5]

4. 1. 자연법

자연법 개념은 거르솜 카마이클의 저서 『사무엘 푸펜도르프의 인간과 시민의 의무: 자연법에 따른 보충과 관찰』에서 처음 나타난다.[5] 카마이클은 이 책에서 하나님을 경배하고 타인을 잘 대하는 것이 자연법의 기초라고 주장한다.[5] 하나님께서 사랑과 경배의 표시로 우리에게 명하시는 것을 행해야 하며, 규정된 방식대로 행동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께서 멸시나 증오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5]

자연법은 즉각적인 의무와 매개적인 의무로 구분된다.[5] 첫 번째는 하나님을 경배하여 사랑과 경배를 드려야 한다는 즉각적인 의무이다.[5] 두 번째는 타인을 잘 대함으로써 공동선을 증진하는 매개적인 의무이다.[5] 이러한 계율은 자연법의 기초를 형성한다.[5] 카마이클은 예배자로서의 의무에 이 계율을 적용하기 전에 먼저 하나님을 우주와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창조주이자 통치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5]

4. 2. 도덕 철학

프랜시스 허치슨은 도덕적으로 선하기 위해서는 자비심과 타인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에서 동기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도덕 철학 사상은 1755년 글래스고에서 처음 출판된 그의 저서 ''도덕 철학 체계''에서 기원한다. 허치슨은 홉스의 심리적 이기주의와 클라크, 월라스턴의 합리주의에 반대하며, 도덕적 지식은 도덕적 감각을 통해 얻어진다고 보았다. 그는 공감각, 도덕적 감각, 명예 감각이라는 세 가지 감각을 제시했는데, 이는 외부 다섯 감각과는 별개이다. 공감각은 타인의 행복이나 불행에 공감하는 능력이고, 도덕적 감각은 자신과 타인의 선악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능력이며, 명예 감각은 좋은 행동에 대한 칭찬이나 찬성에 반응하는 능력이다. 허치슨의 도덕 철학은 미학 이론, 특히 아름다움에 대한 도덕적 감각과 그 즐거움 이론에 잘 나타나 있다.

4. 3. 미학

로드 케임스는 그의 저서 ''도덕과 자연 종교의 원리 에세이''에서 아름다움을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5] 어떤 것은 그 목적에 따라 존중받을 때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형편없이 설계되었거나 목적이 없는 물체는 추하게 여겨질 수 있다.[5] 따라서 집은 인간의 거주지로서의 목적에 비추어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5] 아름다운 물체는 관찰자에게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5] 따라서 배는 우아한 모양뿐만 아니라 무역을 촉진하여 긍정적이고 유익한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즐거움을 줄 수 있다.[5] 마찬가지로, 즐거움은 인간의 행동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치 있는 수혜자에게 베푸는 관대함과 같은 긍정적인 의도를 담은 행동은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5] 이러한 관대함이나 다른 미덕의 발현에서 파생되는 즐거움은 우리 본성의 원래 구성, 즉 우리가 아름다움을 볼 때 우리 자신의 의식적인 결정 없이 즐거움을 경험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5]

5. 19세기 스코틀랜드 철학

이마누엘 칸트독일 관념론의 영향으로 19세기에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철학적 의제가 변화했다. 계몽주의적 사고는 덜 중요해졌고, "마음의 과학"이 논의되었다. 진리와 이성의 철학으로도 알려진 논리학과 지각의 철학이 지배적이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이해는 증가하는 인간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발전했다. 철학의 목표가 인간 경험의 겉보기에 양립할 수 없는 요소들을 조화시키는 것이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관념론자들은 특히 생물학을 인간 이해의 지속적인 진화 발전을 위한 새로운 자료의 원천으로 간주하여 자연 과학의 성장을 환영했다.[6]

토마스 브라운의 마음의 철학은 의 현상론을 연상시켰고, 토머스 리드의 상식의 원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브라운은 리드를 비판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의 비판의 대상이 듀갈드 스튜어트였다는 암시도 있었다.[7]

독일 철학 운동의 영향은 리드의 상식 철학을 논리학과 칸트의 철학과 결합한 윌리엄 해밀턴 경에 의해 스코틀랜드 철학 전통에 도입되었다. 그의 빅토르 쿠쟁의 강연 검토에 대한 에세이와 ''지각의 철학''은 칸트와 칸트 이후의 철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7] 또 다른 전파자는 토머스 칼라일로, 그의 ''비평적 및 잡다한 에세이''는 많은 영어 사용자들에게 독일 철학을 소개했고, 그의 기여는 그를 스코틀랜드 철학 전통에서 중요한 인물로 만들었다.[8]

스코틀랜드 철학은 제임스 맥코시에 따르면, 이제 두 개의 상반된 흐름으로 구성된 자의식을 갖기 시작했다. 첫 번째는 알렉산더 베인의 유물론이고, 두 번째는 에드워드 케어드헤겔주의이다. 스코틀랜드 철학 전통에 대한 맥코시의 지식은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그리고 나중에 신학 학생으로 해밀턴의 강의를 들었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그의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맥코시는 스코틀랜드 철학의 핵심을 탐구의 관찰 방법과 도덕적, 종교적 형성이 결합된 것으로 정의했다. 맥코시의 관점에서, 스코틀랜드 철학 학파의 인기가 높아지는 것은 원래의 방법과 도덕적, 종교적 관점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베인의 유물론은 원래의 관찰 방법을 유지했지만, 도덕적 형성을 포기했다. 또한, 케어드의 관념론은 종교적 형성을 포기했다. 맥코시는 이것이 스코틀랜드 철학 전통의 쇠퇴를 알리는 신호라고 여겼다. 맥코시는 미국의 문화적, 지적 독립의 부상이 스코틀랜드 철학 전통의 장점을 보존할 새로운 미국 철학의 탄생을 위한 비옥한 토양을 제공할 것이라는 희망을 가졌다.[6]

스코틀랜드 철학은 호주 철학의 발달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시드니 대학교멜버른 대학교의 초대 철학 교수인 프랜시스 앤더슨 경과 헨리 로리, 그리고 1927년부터 1958년까지 시드니 대학교 챌리스 교수였던 존 앤더슨을 통해 영향을 미쳤다.[9]

6. 20세기 스코틀랜드 철학

20세기에는 운송 기술의 발달로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간의 소통과 이동이 증가하면서 스코틀랜드 철학의 정체성이 쇠퇴하고 스코틀랜드 철학과 영국 철학의 구분이 무의미해지기 시작했다. 플라잉 스코츠맨이라는 급행 열차를 이용하면 에든버러에서 런던까지 10시간 30분 만에 갈 수 있었는데, 이는 1753년, 마차 서비스가 처음 운영되었을 당시 2주가 걸렸던 여정이었다. 전통적으로 스승이 제자를 계승하는 것에 의존했던 스코틀랜드 철학은, 19세기 후반 스코틀랜드에서 교육받은 철학자들이 잉글랜드로 떠나면서 이러한 관계가 깨졌다. 결국, 변화하는 사회, 정치 및 경제적 조건은 대학 커리큘럼을 활성화하는 개혁으로 이어졌고, 스코틀랜드 철학은 여러 과목 중 하나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edieval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04-08-03
[2] 웹사이트 John Duns Scotu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01-05-31
[3] 서적 History of Scottish Philosoph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8
[4] 간행물 The Reception of Descartes in the Seventeenth-Century Scottish Universities: Metaphysics and Natural Philosophy (1650–1680) 2015-09
[5] 웹사이트 Scottish Philosophy in the 18th Centur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01-06-27
[6] 웹사이트 Scottish Philosophy in the 19th Centur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5
[7] 서적 Scottish Philosophy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8] 간행물 The Contribution of Thomas Carlyle to British Idealism, c. 1880–1930 https://www.euppubli[...] 2019-09-20
[9] 서적 Corrupting the Youth: A history of philosophy in Australia https://web.maths.un[...] Macleay Press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