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레 (시라쓰유급 구축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구레는 일본 제국 해군의 시라쓰유급 구축함으로, 하쓰하루급 구축함을 개량하여 태평양 전쟁에서 어뢰 공격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1936년 취역하여 제2차 상하이 사변, 북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 등에 참전했으며, 태평양 전쟁 중에는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해전, 레이테 만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여했다. 특히,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살아남아 '행운함'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1945년 1월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향하는 수송선단을 호위하던 중 미국 잠수함의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5년 선박 - 소류 (항공모함)
소류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항공모함으로, 1937년 취역하여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여했으나 1942년 미 해군 공격으로 침몰했다. - 1935년 선박 - U-2
U-2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훈련함으로 사용되었으며, 2A형 잠수함은 승무원 훈련에 사용되었고, 독일 연방해군에서는 201급 잠수함이 운영되었으며, 1991년까지 205A급 잠수함으로 활동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구축함 - 아야나미 (후부키급 구축함)
아야나미는 일본 제국 해군의 후부키급 구축함으로, 세계 최초로 대공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주포를 갖추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과달카날 해전에서 큰 활약을 펼치다 1942년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구축함 - 유키카제 (가게로급 구축함)
유키카제는 일본 제국 해군의 가게로급 구축함으로, 태평양 전쟁에서 수많은 전투를 거치며 "불침함", "기적의 배"로 불릴 만큼 생존했고, 종전 후 중화민국 해군에 인도되어 단양으로 활동했다.
시구레 (시라쓰유급 구축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종 | 구축함 |
소속 | 대일본제국 |
동형함 | 시라쓰유급 구축함 |
함명 | 시구레 (時雨, "잔비") |
건조 | |
발주 | 1931년 회계연도 |
건조 회사 | 우라가 도크 |
기공 | 1933년 12월 9일 |
진수 | 1935년 5월 18일 |
취역 | 1936년 9월 7일 |
최종 운명 | 1945년 1월 24일 USS Blackfin에 의해 격침 |
제적 | 1945년 3월 10일 |
제원 | |
배수량 | 1,685 톤 (표준) |
길이 | 103.5m (수선간) 107.5m (전체) |
폭 | 9.9m |
흘수 | 3.5m |
추진 | 2축 가미폰 기어드 터빈 |
보일러 | 3기, 42,000마력 |
속력 | 34 노트 |
항속 거리 | 18노트에서 4,000해리 |
승무원 | 226명 |
무장 | |
주포 | 5 x 12.7cm 50구경 3년식 함포 (2x2, 1x1) |
대공포 | 2 x 13.2mm AA 기관총 |
어뢰 | 8 x 61cm 어뢰 발사관 |
폭뢰 | 16 x 폭뢰 |
활동 | |
주요 작전 | 산호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해전 벨라 만 해전 호라니우 해전 벨라 라벨라 해전 엠프레스 오거스타 만 해전 필리핀해 해전 레이테 만 해전 수리가오 해협 해전 |
2. 함력
시라쓰유급 구축함은 하쓰하루급 구축함의 개량형으로, 일본 해군 전략 계획에 따라 주 공격 함대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다가오는 미국 해군에게 밤낮으로 어뢰 공격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졌다.[3] 건조 당시에는 구축함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급이었지만, 태평양 전쟁에서 살아남은 함선은 단 한 척도 없었다.[4]
우라가 조선소에서 건조된 시구레는 1933년 12월 9일 건조를 시작하여,[14] 12월 15일, 시라쓰유(백로), 시구레(시우), 무라사메(무라사메)의 함명이 부여되었다.[15] 1935년 5월 18일 진수되었고,[17] 1936년 9월 7일 취역했다.[10] 요코스카 진수부 소속.[18]
1936년 10월 상순, 홋카이도에서 육군 특별대연습이 실시됨에 따라, 쇼와 천황은 전함 히에이를 어소함으로 하여 요코스카에서 홋카이도로 향했다.[19] 이때, 준공된 지 얼마 안 된 시구레와 시라쓰유는 히에이의 곁배함으로 지정되었다.[20] 2척은 9월 24일부터 9월 26일까지 무로란시의 무로란항까지 동함과 천황을 경호했다.[21] 10월 29일, 고베 앞바다에서 열린 관함식에 참가했다. 11월 1일 제9구축대에 편입되었고, 12월 1일 제1수뢰전대 소속이 되었다.
1937년 8월 10일, 다이산 사건으로 인해 상하이 방면의 정세가 긴박해지자 제1수뢰전대는 현지 육전대에 대한 증원을 위해 출격했다.[30] 다음 날 현지에 도착하여 제3함대와 합류했다.[31] 8월 13일 제2차 상하이 사변 발발에 함께 했고, 14일에는 상하이 앞바다의 일본 함대는 중국군기의 대함 폭격을 받았다.[32] 18일 오후, 육전대의 요청을 받아 유구레, 시구레가 황푸강에 돌입, 후장 대학(현 상하이 이공 대학) 부근의 중국군 진지를 포격했다.[34]
1938년 8월 5일, 우한 작전을 지원하던 중 안후이성 구이치에서 정박하고 있던 적 야포의 포격을 받아 시구레가 피탄되었다.[41] 12월 15일, 제9구축대는 제27구축대로 개명되었다.[45]
1940년 9월, 제1수뢰전대와 제27구축대는 북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에 수송선단 호위로 참가했다.[46] 1941년 1월 21일, 타이-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분쟁에서 프랑스 측에 대해 정전을 압박하기 위해 대불령 인도차이나 위력 시위 작전에 제1수뢰전대가 참가했다.[47]
2. 1. 제원
시라쓰유급 구축함은 하쓰하루급 구축함의 개량형으로, 완성 당시 세계 최강의 구축함 중 하나였다.[4] 시라쓰유급 구축함의 주요 제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항목 | 내용 |
---|---|
배수량 | 기준 배수량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하쓰하루급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
길이 | 전체 길이는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쓰하루급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
폭 | 함선의 폭은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쓰하루급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
속력 | 최대 속력은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쓰하루급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
무장 |
시구레는 우라가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1933년 12월 9일 기공되었고, 1935년 5월 18일 진수, 1936년 9월 7일 취역했다.[5] 구식화된 미네카제급 구축함 하카제, 시마카제의 대체함으로 건조되었다.[9]
2. 2. 태평양 전쟁 이전
1936년 특별대연습 관함식에서 시구레는 어소함 히에이의 곁배함으로 임무를 수행했다.[119]2. 3. 태평양 전쟁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시구레''는 일본 제국 해군 제1함대 제1구축대 제27구축대에 소속되어 일본 영해에서 대잠수함 순찰 및 일본 주력 함대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 1942년 초에는 수송선 호위 임무에 배속되어 항공모함 瑞鳳|즈이호일본어를 다바오까지, 항공모함 翔鶴|쇼카쿠일본어와 瑞鶴|즈이카쿠일본어를 트루크까지 호위했다.1942년 5월 7일 산호해 해전에서 다카오 다카기 제독의 공격 함대를 호위하였고, 6월 4일부터 6일까지 벌어진 미드웨이 해전에서는 다카스 시로 제독 휘하의 알류샨 열도 공격 함대에 참여하였다. 미드웨이 작전이 취소된 후 7월 14일, ''시구레''는 일본 해군 제2함대로 재배속되었다. 8월 중순에는 함대를 트루크로 호위했으며, 이후 마킨 습격 이후 마킨 환초를 재점령하기 위한 수송선 호위에 배속되었다. 9월에는 잘루이토를 거점으로 길버트 제도의 아베마마와 산타크루즈 제도의 덴데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으며, 9월 24일에는 팔라우에서 라바울로 가는 수송선 호위를 수행했다. 10월과 11월에는 8차례에 걸쳐 "도쿄 익스프레스" 수송 작전을 통해 병력을 과달카날 섬으로 수송했다. 1942년 11월 12일~13일 밤에 벌어진 제1차 과달카날 해전에서는 원거리 차단 부대의 일원이었으며 전투는 없었지만, 이후 전함 比叡|히에이일본어의 생존자들을 구조했다. 연말에는 항공모함 冲鷹|주요일본어를 트루크에서 요코스카로, 그리고 다시 트루크로 호위했다.
1943년 1월 중순, ''시구레''는 트루크에서 쇼트랜드로 가는 수송선단을 호위했으며, 이후 과달카날에서의 병력 철수를 지원하는 "KE 작전"에 배속되었다. 2월 중순에는 수리를 위해 사세보로 돌아왔다. ''시구레''는 3월 중순에 트루크로 돌아와 4월 중순에 冲鷹|주요일본어와 大鷹|타이요일본어를 트루크에서 요코스카로 호위했으며, 그 달 말에 冲鷹|주요일본어와 雲鷹|운요일본어와 함께 돌아왔다. 5월 중순에는 전함 武蔵|무사시일본어를 트루크에서 요코스카로 호위했으며, 6월 21일까지 트루크로 돌아왔다. 7월에는 순양함 長良|나가라일본어와 함께 솔로몬 제도 주변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7월 20일에는 일본 해군 제2함대로 재배속되었다. 7월 27일에는 레카타 만으로, 8월 1일에는 콜롬방가라로 "도쿄 익스프레스" 수송 작전을 수행했다.
벨라 만 해전 (8월 6일~7일)에서 ''시구레''는 일본 구축함 4척 중 유일하게 탈출했다. 8월 17일~18일 호라니 해전에서는 벨라 라벨라로 가는 수송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미 해군 구축함과 교전하여 피해를 입지 않았다. 8월 말에는 레카타 만으로 두 번의 병력 철수 작전을 수행했으며, 그 중 한 번은 중단되었고, 9월에는 툴루부와 부카, 파푸아뉴기니로 한 번의 임무를 수행했다. 9월 말과 10월 초에는 콜롬방가라로 두 번의 병력 철수 임무를 더 수행했다. 10월 6일~7일 벨라 라벨라 해전 동안 벨라 라벨라에서 병력 철수를 엄호했다. 10월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뉴기니의 여러 지점으로 네 번의 수송 작전에 더 참여했다. 11월 2일 엠프레스 오거스타 만 해전에서는 미국 순양함-구축함 부대와 교전했지만 피해는 없었다. 11월 6일 부카로 마지막 병력 수송 임무를 수행한 후, 11월 10일에는 라바울에서 트루크로 가는 수송선단을 호위하면서 수송선 ''도쿄 마루''의 생존자 70명을 구조했다. 11월 중순에는 수리를 위해 사세보로 돌아왔다. 12월 24일 사세보를 출발하여 분고 수도에서 어선과 충돌하여 추가 수리를 위해 다시 사세보로 돌아가야 했다.
1944년 1월, ''시구레''는 식량 보급선 伊良湖|이라코일본어를 요코스카에서 트루크로 호위했으며, 2월 초에는 유조선 수송선단을 트루크에서 타라칸 섬과 발릭파판으로 호위했다. 미 해군 항공기의 트루크 공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2번 포탑에 직격탄을 맞아 승무원 21명이 사망하고 45명이 부상했다. 응급 수리를 위해 팔라우로 철수했으며, 3월 22일 사세보로 돌아와 손상된 포탑을 제거하고 2문의 3연장 96식 25mm 대공 기관총을 장착했다. 5월 11일까지 수리가 완료되어 武蔵|무사시일본어와 항공모함 千歳|치토세일본어, 千代田|치요다일본어, 瑞鳳|즈이호일본어를 타위타위까지 호위했으며, 거기에서 다바오로 이동했다. 6월에는 미국 상륙에 대응하여 "KON 작전"(비아크 증원)에 배속되었다. 6월 8일 구축함 春雨|하루사메일본어의 생존자 110명을 구조한 후, 연합군 순양함 및 구축함 부대와 교전하여 포탄 2발을 맞아 승무원 7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했다. 6월 19일~20일, ''시구레''는 필리핀 해 해전에서 조지마 다카쓰구 제독의 "제B부대"의 일원이었으며, 항공모함 飛鷹|히요일본어의 생존자 구조를 지원했다. 7월에는 구레에서 오키나와 섬으로 가는 수송선단을 호위했으며, 8월에는 순양함 鬼怒|기누일본어와 함께 싱가포르에서 브루나이, 마닐라 및 팔라우로 가는 수송 임무를 수행하고 세부를 경유하여 돌아왔다.
1944년 10월, ''시구레''는 링가와 브루나이에서 출격하여 10월 22일~25일 레이테 만 해전에 참여했다. 10월 24일 함교에 직격탄을 맞아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승무원 5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했다.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도 포탄 직격탄과 여러 근접 폭발로 인해 무선, 나침반 및 조타 장치가 파괴되었지만, "남방 부대"에서 이 전투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함선이었으며, 10월 27일 브루나이로 귀환했다. ''시구레''는 11월 사세보로 돌아와 수리를 받았으며, 11월 8일에는 민도로 섬 부근에서 잠수함 를 격침했을 가능성이 있다. 11월 15일 일본 해군 제5함대, 11월 20일 일본 해군 제2함대로 재배속되어 12월 17일 항공모함 雲龍|운류일본어와 함께 쿠레를 출발하여 마닐라로 향했다. 雲龍|운류일본어가 잠수함 에 의해 격침된 후, ''시구레''와 구축함 樅|모미일본어는 생존자 146명을 구조했다. 작전을 계속 수행하는 대신 ''시구레''는 사세보로 향했다.
1945년 1월 24일, ''시구레''는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가는 수송선단을 호위하던 중 샴 만에서 잠수함 의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 침몰 지점은 코타바루 동쪽 약 약 257.49km 지점인 말라야 해역으로, ()이다. 천천히 침몰하여 270명의 생존자가 탈출했으며, 승무원 37명이 사망했다. 생존자들은 호위함 干珠|간주일본어와 三宅|미야케일본어에 의해 구조되었다. ''시구레''는 1945년 3월 10일 해군 목록에서 삭제되었다.[8]
2. 3. 1. 진주만 공격 (1941년 12월)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시구레''는 일본 제국 해군 제1함대 제1구축대 제27구축대에 소속되어 일본 영해에서 대잠수함 순찰 및 일본 주력 함대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49]2. 3. 2. 산호해 해전 (1942년 5월)
1942년 5월 7일, 산호해 해전에서 다카오 다카기 제독의 공격 함대를 호위하였다.[61] 5월 8일, 시구레는 구축함 시오, 아케보노, 시라쓰유, 유구레와 함께 중순양함 묘코, 하구로, 기누가사, 후루타카와 협력하여 항공모함 즈이카쿠, 쇼카쿠를 호위, 미군 기동부대 공격대와 교전하였다. 이때 아케보노는 인디스펜서블 암초에 불시착한 쇼카쿠 정찰기 구조를 위해 MO 기동부대에서 분리되었다.[62] 대공 전투에서 쇼카쿠는 대파되었으나 침몰하지 않았고, 즈이카쿠는 무사했다. 쇼카쿠와 구축함 유구레, 사자나미는 함께 일본 본토로 향했다.[63] 해전 후 시구레는 불시착기 수색에 종사했다.[64] 이 해전에서 MO 기동부대는 미 해군 항공모함 렉싱턴을 격침하고 요크타운에 손상을 입혀 미군 기동부대를 격퇴했으나, 많은 조종사와 함재기를 잃고 연료도 부족하여 포트모르즈비 공략 작전은 중지되었다.[65]2. 3. 3. 미드웨이 해전 (1942년 6월)
1942년 6월 4일부터 6일까지 벌어진 미드웨이 해전에서 시구레는 다카스 시로 제독의 알류샨 열도 공격 함대에 참여하였다.[69] 미드웨이 작전이 취소된 후, 7월 14일 일본제국해군 제2함대에 재편성되었다.2. 3. 4. 과달카날 해전 (1942년 11월)
1942년 11월 12일 밤에서 13일에 걸쳐 벌어진 제1차 과달카날 해전에서 시구레는 원거리 차단 부대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이후 히에이의 생존자들을 구조하였다.[4] 연말에는 항공모함 주요를 트럭 섬에서 요코스카 기지까지 호위하고 트럭 섬으로 돌아갔다.2. 3. 5. 벨라 만 전투 (1943년 8월)
벨라 만 해전 (8월 6일~7일) 당시 ''시구레''는 일본 구축함 4척 중 유일하게 탈출했지만, 이후 폭발하지 않은 어뢰에 맞은 것으로 확인되었다.[6] 경계함이면서 함대 후미에 있던 ''시구레''는 면타(함의 좌현으로 방향을 꺾는 것)로 어뢰 공격을 피하고 어뢰 8발을 발사하여 전장을 회피했다. 다음 어뢰 발사 준비 후 전장으로 돌아왔지만 "상황이 극히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침몰한 아군 함선의 승무원 및 증원 부대의 구조를 육상 부대에 의뢰하고 자신은 구조하지 않고, 센다이와 합류하여 라바울로 귀환했다. ''시구레''는 미 구축함 1척 대파를 보고했지만, 실제로는 전과가 없었다.[163][164][165] 또한 증원 부대 940명은 대부분이 익사하여, 수송 작전은 완전히 실패했다.2. 3. 6. 벨라라벨라 해전 (1943년 10월)
1943년 10월 6~7일에 벌어진 벨라 라벨라 해전에서 ''시구레''는 병력 철수를 엄호하였고, 미국 해군 구축함 셀프리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6]
2. 3. 7. 엠프레스오거스타 만 해전 (1943년 11월)
1943년 11월 2일, 엠프레스오거스타 만 해전에서 시구레는 미 해군 순양함 및 구축함 함대를 만났으나 피해를 입지 않았다.[189][190][191]당시 일본군은 동도에 대한 역상륙 작전을 계획하고, 오모리 센타로 소장이 이끄는 습격 부대(주대: 묘코, 하고로모, 제1경계대: 센카와, 시구레, 사미다레, 시라츠유, 제2경계대: 경순양함 아가노, 구축함 나가나미, 하츠카제, 와카츠키)가 편성되었다. 역상륙은 중지되었지만, 습격 부대는 미 수송 선단을 공격하기 위해 동도로 향했고, 2일 새벽에 미 제39 임무부대와 조우했다.
시구레의 망루병이 함영 4개를 발견하고, 0시 45분에 "시구레"는 적 발견을 보고했다.[183] 이어서 "센카와"에서도 적을 확인하고, 전투가 시작되었다.[184] 시구레는 어뢰 8발을 발사 후, 센카와와 충돌할 뻔했다.[185] 그 후 센카와는 피탄되어 항행 불능이 되었고, 센카와의 제3수뢰전대 사령관 이쥬인 마츠지 소장으로부터 시구레는 센카와의 곁으로 접근하라는 전보가 도착했지만, 하라 사령관은 지금 가면 시구레도 격침될 것이라며 응하지 않았다.[186] 시구레는 단독으로 공격 기회를 엿보았지만, 단독으로는 위험하고 아군의 방해가 된다고 판단하여 1시 45분경에 묘코, 하고로모와 합류하고 회피했다.[187] 9시 17분에 묘코, 하고로모, 시구레 등은 라바울로 귀환했다.[188]
이 해전에서 센카와와 하츠카제가 침몰, 하고로모, 시라츠유, 사미다레가 손상되었다. 라바울로 귀환한 제27구축대 3척(시구레,시라츠유,사미다레)의 전과는 대형 구축함 2척 격침으로 인정되었지만, 미 측의 어뢰 공격에 의한 피해는 구축함 푸트의 함미 대파에 그쳤다.
2. 3. 8. 레이테 만 해전 (1944년 10월)
1944년 10월 22일, ''시구레''는 링가 만의 브루나이에서 출격하여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하였다. 10월 24일, 함교에 직격탄을 맞아 경미한 피해를 입었으며, 승무원 5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7] 10월 25일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시구레''는 포탄 1발의 직격탄과 여러 발의 지근탄을 맞고 통신기, 나침반, 조타 장치에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시구레''는 야마시로, 후소, 모가미를 포함한 남방 부대 7척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7] 이후 10월 27일, ''시구레''는 브루나이로 귀환하였다.[7]2. 3. 9. 침몰 (1945년 1월)
1945년 1월 24일, 시구레는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가는 수송선단을 호위하던 중 샴 만에서 미 해군 잠수함 블랙핀의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했다.[8] 침몰 지점은 코타바루 동쪽 약 약 257.49km 지점인 말라야 해역으로, ()이다. 천천히 가라앉았기 때문에 승조원 270명이 탈출할 수 있었으나, 37명은 사망했다. 생존자들은 호위함 간주와 미야케에 의해 구조되었다.시구레는 1945년 3월 10일 해군 목록에서 삭제되었다.[8]
시구레의 선체는 말레이 반도 코타바루 동쪽 150km 지점, 수심 55m 지점에서 침몰해 있다. 다이빙 명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역 어부들에게는 어초 역할을 하여 어망으로 덮여 있다. 함체는 두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으며, 함수 쪽은 우현 쪽으로 전복되어 있고, 함미 쪽은 함수 쪽에서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정립된 상태로 침몰해 있다. 함수 쪽은 해저에 부딪힌 탓인지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함미 쪽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2. 4. 주요 전투 및 작전
시구레는 수많은 해전과 작전에 참여하여 맹활약한 일본 제국 해군의 구축함이었다.; 1941년
- '''진주만 공격''': 일본 제국 해군 제1함대 제1구축전대 제27구축대에 소속되어 일본 영해에서 대잠수함 순찰 및 일본 주력 함대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
; 1942년
- '''호위 임무''': 항공모함 즈이호를 다바오까지, 항공모함 쇼가쿠와 즈이카쿠를 트럭 섬까지 호위했다.
- '''산호해 해전''': 다카오 다카기 제독의 공격 함대를 호위했다.
- '''미드웨이 해전''': 다카스 시로 제독의 알류샨 열도 공격 함대에 참여했다.
- '''재편성''': 미드웨이 작전 취소 후 일본 제국 해군 제2함대에 재편성되었다.
- '''트럭 섬 호위 및 마킨 환초 병력 수송''': 함대를 트럭 섬까지 호위하고, 마킨 섬 습격 이후 마킨 환초까지 병력 수송선을 호위했다.
- '''경비 임무''': 잘루잇을 거점으로 길버트 제도의 아베마마와 산타크루즈 제도의 엔데니를 경비했다.
- '''팔라우-라바울 병력 수송선 호위''': 팔라우에서 라바울로 이동하는 병력 수송선을 호위했다.
- '''"도쿄 익스프레스"''': 과달카날 섬으로 병력을 수송하는 "도쿄 익스프레스"에 8회 참여했다.
- '''제1차 과달카날 해전''': 엄호 함대로 참가하여 전투는 없었고, 침몰한 전함 히에이의 생존자들을 구조했다.
- '''항공모함 쥬요 호위''': 연말에 항공모함 쥬요를 트럭 섬에서 요코스카 기지까지 호위하고 트럭 섬으로 돌아갔다.
; 1943년
- '''병력 수송선 호위 및 "KE 작전"''': 트럭 섬에서 쇼트랜드로 가는 병력 수송선을 호위하고, 과달카날 섬에서 탈출하는 병력을 엄호하는 "KE 작전"에 참가했다.
- '''수리''': 2월 중순 사세보 항으로 수리를 위해 돌아왔다.
- '''전함 무사시 호위''': 3월 중순 트럭 섬으로 돌아가 전함 무사시가 트럭 섬에서 요코스카로 복귀하는 것을 호위했다.
- '''경순양함 나가라 호위''': 6월 21일 트럭 섬으로 돌아와 경순양함 나가라를 따라다니며 솔로몬 제도 주변의 다양한 임무에 할당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 제2함대 재소속''': 7월 20일 일본 제국 해군 제2함대에 다시 소속되었다.
- '''"도쿄 익스프레스"''': 7월 27일 레카타 만으로 향하는 "도쿄 익스프레스" 병력 수송에 참가했다.
- '''콜롬방가라 섬 수송''': 8월 1일 콜롬방가라 섬으로 향했다.
- '''벨라 만 해전''': 8월 6일부터 7일 사이 벌어진 벨라 만 해전에 참가한 4척의 구축함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 '''호라니우 해전''': 8월 17일부터 18일 사이에 벌어진 호라니우 해전에서 벨라라벨라로 병력을 수송하는 임무 동안 미국 해군과 접촉했으나 무사했다.
- '''탈출 임무''': 8월 말, 두 부대를 레카타 만으로 탈출시키는 임무를 받았으나, 그 중 하나는 취소되었다.
- '''탈출 임무''': 9월에 투루부, 부카, 파푸아뉴기니로 탈출시켰다.
- '''벨라라벨라 해전''': 10월 6~7일에 벌어진 벨라라벨라 해전에서 병력 철수를 엄호했고, 미국 해군 구축함 셀프리지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 '''철수 작전''': 10월 내내 뉴기니에서 네 군데의 철수 작전에 참가했다.
- '''엠프레스오거스타 만 해전''': 11월 2일 엠프레스오거스타 만 해전에서, 미국 해군 순양함과 구축함 함대를 만났으나 무사했다.
- '''부카 수송 작전''': 11월 6일 부카로 향하는 마지막 부대 이동 작전에서, 수송선단을 라바울에서 트럭 섬까지 호위했다.
- '''생존자 구조''': 11월 10일 수송선 도쿄 마루의 생존자 70명을 구조했다.
- '''수리''': 11월 중순 수리를 위해 사세보로 돌아왔다.
- '''충돌 사고''': 12월 24일 사세보를 떠났다가 분고 해협에서 어선과 충돌해서 수리를 위해 사세보로 다시 돌아왔다.
; 1944년
- '''급양선 이라코 호위''': 1월 급양선 이라코를 요코스카로부터 트럭 섬까지 호위했다.
- '''유조선 호위''': 2월 초 유조선을 트럭 섬에서 타라칸 섬과 발릭파판으로 호위했다.
- '''트럭 섬 공습 피해''': 트럭 섬에서 미국 해군 비행기의 공습으로 2번 포탑에 직격탄을 얻어맞고 21명이 사망하고 45명이 다치는 큰 피해를 입었고, 응급 수리를 위해 팔라우로 물러났다.
- '''수리 및 대공포대 교체''': 3월 22일 사세보로 돌아왔고, 부서진 포탑이 제거되고 2개의 3연장 96식 대공포대로 교체되었다.
- '''전함 무사시 및 항공모함 호위''': 5월 11일 수리가 끝났고, 전함 무사시와 항공모함 치토세, 치요다, 즈이호를 타위타위까지, 이후 다바오까지 호위했다.
- '''곤 작전(비악 증원 작전)''': 6월 미군 상륙 작전에 대응하는 곤 작전(비악 섬 증원 작전)에 할당되었다.
- '''하루사메 생존자 구조 및 연합군 함대와 교전''': 6월 8일 구축함 하루사메의 생존자 110명을 구조하였고, 연합군 순양함과 구축함 부대와 전투를 벌이게 되어 2발을 얻어맞고 사망자 7명, 부상자 15명의 피해를 입었다.
- '''필리핀 해 해전''': 6월 19~20일에 걸쳐 해군 제독 조지마 다카쓰구의 B함대 소속으로 필리핀 해 해전에 참가하였고, 항공모함 히요의 생존자 구조를 도왔다.
- '''병력 수송선 호송''': 7월 구레에서 오키나와로 향하는 병력 수송선 호송 업무에 할당되었다.
- '''순양함 기누와 수송 업무''': 8월 순양함 기누와 싱가포르에서 브루나이, 마닐라, 팔라우로의 수송 업무를 하고 세부를 통해 돌아왔다.
- '''레이테 만 해전''': 10월 22일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하기 위해 링가 만의 브루나이에서 출격했다.
- '''피해''': 10월 24일 1번 포탑에 직격탄을 얻어맞고 작은 피해를 입었으며, 승무원 5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했다.
- '''수리가오 해협 해전''': 10월 25일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는 1발의 직격탄과 7발의 지근탄을 맞고 통신기, 나침반, 조타기에 이전보다 더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같이 출격한 남쪽 부대의 전함 야마시로, 후소, 순양함 모가미를 포함한 7척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 '''귀환''': 10월 27일 절름거리며 브루나이로 돌아왔다.
- '''잠수함 그로울러 격침''': 11월 수리를 위하여 사세보로 돌아가는 중 11월 8일 민도로 근해에서 미국 해군 잠수함 그로울러를 다른 호위함들과 협력으로 격침시켰다.
- '''재할당''': 11월 15일 일본 제국 해군 제5함대에 재할당되고, 11월 20일 일본 제국 해군 제2함대에 재할당되었다.
- '''항공모함 운류 호위''': 12월 17일 항공모함 운류와 함께 구레 항을 떠나 마닐라로 향하였다. 운류가 미국 해군 잠수함 레드피시에게 침몰당한 다음, 구축함 모미와 함께 146명의 생존자를 구조하였다.
; 1945년
- '''침몰''': 1945년 1월 25일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가는 수송선단을 호위하는 중 시암 만의 대략 말레이시아의 코타바루에서 동쪽으로 260km 떨어진, 북위 6도 동경 103도 48분의 바다에서 미국 해군 잠수함 블랙핀의 어뢰를 얻어맞고 침몰하였다. 천천히 가라앉았고, 승조원 중 270명이 탈출할 수 있었으나, 37명은 사망하였다. 생존자들은 호위함 간주와 미야케에게 구조되었다.
- '''해군 목록 삭제''': 시구레는 1945년 3월 10일 해군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3. 평가
시라쓰유급 구축함은 일본 제국 해군이 전략적으로 계획하여, 주력 함대에서 미국 해군에게 어뢰 공격을 가하는 역할을 맡도록 설계되었다. 건조 당시에는 전 세계 구축함 중 가장 강력한 함급으로 평가받았으나, 태평양 전쟁에서 모두 침몰하였다.[1]
3. 1. 행운함? 비운함?
시라쓰유급 구축함은 하쓰하루급의 개량형으로, 일본 해군 전략 계획에 따르면 주 공격 함대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다가오는 미국 해군에게 밤낮으로 어뢰 공격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졌다. 건조 당시에는 구축함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함급이었지만, 태평양 전쟁에서 모두 침몰했다. 시구레는 우라가 조선소에서 1933년 12월 9일 건조되기 시작하여 1935년 5월 18일 진수되었고 1936년 9월 7일 취역하였다.[1]4. 시구레와 관련된 인물
시구레와 관련된 주요 인물로는 역대 함장들이 있다. 시구레의 함장을 역임한 인물로는 스기노 슈이치 소좌, 요코이 미노루 소좌[257], 오가타 도모에 소좌[258], 하마나카 슈이치 소좌[258][259], 가네다 기요유키 소좌[260], 세오 노보루 소좌, 야마가미 기미오 소좌, 니시노 시게루 소좌, 오기와라 마나부 소좌 등이 있다.
4. 1. 역대 함장
5. 한국과의 관계
시구레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구축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여러 해전에 참여했지만, 한국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은 기록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구레와 한국과의 관계를 다루는 내용은 없다.
6. 대중문화 속의 시구레
제조사 | 품번 및 제품명 | 발매일 |
---|---|---|
후지미 모형 | 1/700 특(토쿠) 시리즈 No.81 일본 해군 구축함 시구레 (시라츠유급 구축함)・사미다레 | 2013년 6월 14일 |
핏 로드 | 1/700 일본 해군 구축함 시구레 입거 세트 | 2013년 12월 20일 |
후지미 모형 | 1/700 특(토쿠) 시리즈 SPOT No.39 일본 해군 구축함 시구레・유키카제 행운함 세트 | 2014년 7월 26일 |
후지미 모형 | 1/700 특(토쿠) 시리즈 No.98 일본 해군 구축함 시구레・유키카제 행운함 세트 | 2017년 9월 |
7. 기타
현재 원본 문서에 시구레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
7. 1. 현재의 시구레
시구레의 선체는 말레이 반도 코타바루 동쪽 150km 지점, 수심 55m에서 침몰해 있다.[4] 다이빙 명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역 어부들에게는 어초 역할을 하여 어망으로 덮여 있다.[4] 함체는 두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으며, 함수 쪽은 우현 쪽으로 전복되어 있고, 함미 쪽은 함수 쪽에서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정립된 상태로 침몰해 있다.[4] 함수 쪽은 해저에 부딪힌 탓인지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함미 쪽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4]참조
[1]
서적
Japanese-English Character Dictionary
[2]
문서
[3]
서적
Kaigun
[4]
웹사이트
IJN Shiratsuyu class destroyers
[5]
웹사이트
Shiratsuyu class 1st class destroyers
https://archive.toda[...]
2010-06-27
[6]
서적
Death of a Navy: Japanese Naval Action in World War II
Devin-Adair Pub
[7]
서적
Warship Losses of World War Two
Naval Institute Press
[8]
웹사이트
IJN ''Shigure'':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Combinedfleet.com
2016-07-24
[9]
문서
昭和9年度海軍予算査定資料
[10]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2年12月1日)
[11]
문서
時雨第156号の2人員の件通知
[12]
문서
艦艇類別等級表(昭和16年12月31日)
[13]
문서
モリソンの太平洋海戦史
[14]
문서
第4364号白露時雨
[15]
문서
達昭和8年12月
[16]
문서
駆逐艦戦隊
[17]
문서
第1126号 艦船工事概括表認許の件
[18]
문서
日本海軍艦艇写真集17駆逐艦
[19]
문서
北海道行幸の際の海軍儀礼、行動等に関する件(2)
[20]
문서
北海道行幸の際の海軍儀礼、行動等に関する件(2)
[21]
문서
北海道行幸並に陸軍特別大演習関係事項の件
[22]
문서
北海道行幸並に陸軍特別大演習関係事項の件
[23]
문서
北海道行幸並に陸軍特別大演習関係事項の件
[24]
문서
北海道行幸並に陸軍特別大演習関係事項の件
[25]
문서
昭和十一年海軍特別大演習観艦式神戸市記念誌
[26]
문서
昭和十一年海軍特別大演習観艦式神戸市記念誌
[27]
문서
昭和十一年海軍特別大演習観艦式神戸市記念誌
[28]
문서
和11年特別大演習観艦式賜饌艦設備に関する件 訓令中改正の件(1)
[29]
문서
昭和11年C儀制 巻12(1)
[30]
문서
叢書72中国方面
[31]
문서
叢書72中国方面
[32]
문서
叢書72中国方面
[33]
문서
叢書72中国方面
[34]
문서
叢書72中国方面
[35]
문서
叢書72中国方面
[36]
서적
真実の艦艇史
[37]
서적
叢書72中国方面
[38]
서적
叢書72中国方面
[39]
서적
叢書72中国方面
[40]
서적
叢書72中国方面
[41]
서적
砲艦 二見
[42]
서적
叢書79中国方面
[43]
문서
艦艇特務艦本籍別一覧表(昭和12年12月1日)
[44]
문서
駆逐隊編制(昭和12年12月1日)
[45]
문서
駆逐隊編制(昭和13年12月5日)
[46]
문서
支那事変第8回功績27駆
[47]
서적
叢書79中国方面
[48]
서적
軍艦華麗なる生涯
[49]
문서
S1612九戦隊日誌(1)
[50]
문서
戦隊行動調書
[51]
문서
S1612九戦隊日誌(1)
[52]
문서
S1612九戦隊日誌(1)
[53]
문서
S1612九戦隊日誌(1)
[54]
문서
S1612九戦隊日誌(1)
[55]
문서
S1612九戦隊日誌(1)
[56]
서적
空母瑞鳳生涯
[57]
문서
S1704五航戦日誌(1)
[58]
문서
S1704五航戦日誌(1)
[59]
문서
S1703五戦隊日誌(3)
[60]
문서
S1704五航戦日誌(1)
[61]
문서
MO機動部隊詳報(1)
[62]
서적
戦史叢書南東方面海軍作戦(1)
[63]
문서
MO機動部隊詳報(1)
[64]
문서
S1703五戦隊日誌(5)
[65]
문서
S1703五戦隊日誌(6)
[66]
문서
MO機動部隊詳報(1)
[67]
문서
MO機動部隊詳報(3)
[68]
문서
S1703五戦隊日誌(3)
[69]
문서
S1703五戦隊日誌(3)
[70]
문서
MO機動部隊詳報(3)
[7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7年6月25日(発令6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89号 p.24
C13072085900
[7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7年6月20日(発令6月2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86号 p.7
C13072085900
[73]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74]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75]
전사총서
アパママ島攻略
[76]
전사총서
前進、機動各隊の「ガ」島北東海面への進出
[77]
전사총서
ヌデニ島敵飛行艇基地攻撃
[78]
전사총서
「ガ」島飛行場総攻撃の支援態勢と総攻撃の失敗
[79]
문서
特別奇襲隊ハ12日「ヌデニ」島「ブラシオサ」湾敵飛行艇基地攻撃実施、15日其ノ編制ヲ解カレ本隊ニ合同
[80]
전사총서
[81]
전사총서
[82]
전사총서
八日の日進輸送
[83]
전사총서
[84]
도설태평양해전사
[85]
전사총서
戦史叢書では夕霧とするが、夕霧は呉で修理中。出撃艦は天霧
[86]
도설태평양해전사
[87]
전사총서
[88]
전사총서
[89]
전사총서
輸送計画の変更
[90]
문서
10月16日聯合艦隊ヨリノ指令ニ依リ日進、千歳ノ輸送ハ取止メラレ千代田ノ進出モ亦延期トナレルヲ以テ増援部隊ヲ軽巡戦隊(川内、由良、龍田)、水雷戦隊(秋月、7dg、11dg、6dg、2dg、19dg、27dg)ニ分ケ第四水雷戦隊司令官ハ水雷戦隊ヲ指揮スルコトトナレリ
[91]
전사총서
十七日の輸送
[92]
문서
18日1120 4sd司令官→3sd司令官/昨夜「タサハロング」ニ於テ収容セル人員左ノ通 海軍32内重傷13(准士官1)軽傷8(吹雪航海長)、陸軍100内将校2重傷10軽傷49、吾妻丸船員33(船長)内軽傷5 陸軍輸送船員66内重傷7軽傷29 計231
[93]
문서
村雨、時雨ハ適時哨区ヲ撤シ2210予定ノ如ク陸上砲撃ヲ実施ス(発射弾数 村雨60発時雨100発)
[94]
문서
18日0400「エスペランス」隊ニ進及合同ス。0455軽巡戦隊ニ対シ左斜前約1粁ヨリ敵潜水艦ノ雷撃(発射雷数3)アリ、内1由良ノ左舷前部清水タンクニ命中セルモ不爆ニシテ大ナル損害ナク0930増援部隊全部RX区ニ帰着セリ。
[95]
문서
26日0000将旗ヲ村雨ニ移揚シ…
[96]
전사총서
[97]
문서
(略)陸軍第18軍ノ大部ヲ同島揚陸ニ成功陸軍部隊ノ大ナル自信ノ下ニ24日「ガ」島第二回総攻撃ヲ実施セラレタルモ遂ニ成功スルニ至ラズ更ニ後図ヲ策スルコトトナレリ(略)
[98]
전사총서
二十九日の輸送
[99]
전사총서
十一月二日の輸送
[100]
전사총서
五日の輸送
[101]
전사총서
八日の輸送
[102]
문서
27dgハ前進部隊電令作第71号ニ依リZ-2日2200RXE出撃南方航路ヲ経テZ-1日2100迄ニ「ガダルカナル」「ラッセル」島間ニ進出同方面ヨリ来襲スルコトアルベキ敵ノ阻止撃攘ニ任ジ11Sノ「ガダルカナル」飛行場射撃終了後之ニ合同ス
[103]
문서
四.参考(1)麾下艦船部隊ノ行動
[104]
문서
13日0309 10S司令官→照月27dg/比叡0300「サボ」島ノ西5浬操航不自由ナリ至急之ガ救援ニ赴ケ
[105]
문서
27dgハ「ガ」島「ラッセル」島間予定哨区ニアリテ警戒中2348 11Sノ砲戦シツツアルヲ認メ0020集結(順番号単縦陣)0030哨区ヲ撤シ11Sニ合同スル如ク行動中0135令ニ依リ北方ニ退避ス。0200霧島ニ合同シコレニ続行中0345十S司令官ノ令ニ依リ反転(「ラモス」島ノ60度15浬)比叡ノ救援ニ向ヘリ
[106]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07]
문서
S1710四水雷詳報(1)
[108]
문서
S1710四水雷詳報(2)
[109]
문서
S1710四水雷詳報(4)
[110]
서적
戦史叢書83ガ島戦
[111]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2]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3]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4]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5]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6]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7]
문서
第十一戦隊日誌(5)
[118]
문서
S1711四水戦日誌(4)
[119]
문서
S1712四水戦日誌(2)
[120]
문서
S1712四水戦日誌(2)
[121]
서적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22]
문서
S1712四水戦日誌(1)
[123]
문서
S1712四水戦日誌(1)
[124]
문서
S1712四水戦日誌(2)
[125]
문서
S1712四水戦日誌(3)
[126]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127]
웹사이트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http://www.ibiblio.o[...]
[128]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南東方面海軍作戦<2>ガ島撤収まで
[129]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南東方面海軍作戦<2>ガ島撤収まで
[130]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31]
서적
戦史叢書83ガ島戦
[132]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33]
문서
S1712四水戦日誌(5)
[134]
문서
S1712四水戦日誌(6)
[135]
문서
S1805四水戦日誌(1)
[136]
문서
S1805四水戦日誌(1)
[137]
문서
S1805四水戦日誌(1)
[138]
문서
S1805四水戦日誌(1)
[139]
문서
S1805四水戦日誌(1)
[140]
문서
S1805四水戦日誌(1)
[141]
문서
行動概要左ノ如シ。27dg(白露欠)ハ前月下旬引続キKdBニ編入前月31日1sf大淀最上直衛トナリ横須賀発内海西部ニ向ヒツツアリシガ引続キ1sf基地物件ノ輸送ニ任ジ2日0130 27dg(時雨、夕暮)ハ鹿児島ニ有明ハ0100古江ニ夫々入港右物件揚陸後佐世保ニ回航1500佐世保着同地ニ於テ艦橋前機銃増備其ノ他船体旗艦兵器整備ニ任ジタル後6日佐世保発8日横須賀着…
[142]
문서
7日1415 27dg→明石他/当隊(時雨、白露)被害ニ鑑ミ前25mm機銃増設工事ハ期間不足ノ為佐工廠ニ於テ架台各部ノ部分品ノミ制作其他内令ニ依ル機銃共各艦ニ搭載ノコトニ取計ハレ度 残工事ハ横工廠(自6月8日至6月10日)及明石ニ於テ施行方取計ハレ度
[143]
문서
8日1002 27dg→各隊/時雨7日1945潮岬ノ77度65浬ニ於テ敵潜ラシキモノヲ探知攻撃(投射爆雷30)セシニ異様ニ大ナル爆発状況ヲ呈シ(略)更ニ其ノ直上ニ爆雷4個投射セリ。爾後時雨、有明、夕暮ノ3隻ニテ附近一帯ヲ探信相当スルモ反響ナシ効果概ネ確実ト認ム(略)
[144]
문서
8日1728将旗27dg→各隊/時雨左舷巡航タービン操縦弁内部漏洩、右舷巡航タービン車室蒸気漏洩部及蒸気安全弁漏洩部検査修理ノ為約四日間ヲ要スル現状ニ鑑ミGF電令作第587号ニ依ル駆逐艦2隻ヲ有明夕暮ニ指定致度
[145]
문서
有明、夕暮1400トラックニ向ケ横須賀発(2sf(隼鷹欠)護衛)途中、飛鷹遭難ノ為横須賀ニ引返ス
[146]
문서
「飛鷹」の損傷と第二航空戦隊等のトラック進出
[147]
문서
15日27dg(時雨)GF電令作第590号AdB電令作第218号ニ依リAdBニ復帰、16日27dg(白露欠)ハGF電令作第593号ニ依リ将旗3Sノ指揮下ノ下ニ3S、7S(最上欠)2sf(龍鳳)五十鈴雲鷹冲鷹、7dg、16dg(雪風)浜風谷風凉風清波新月等ト共ニ横須賀発、21日「トラック」着(将旗)2sfノ指揮ヲ解カル爾後27dg(時雨)ハ前記「ナウル」輸送任務ニ従事
[148]
문서
麾下艦船部隊ノ行動
[149]
문서
横二特及兵器弾薬糧食等ノ「ナウル」輸送ヲ命ゼラレ本行動中UNB指揮官ノ指揮ヲ受ケUNB信電令作第4号ノ要領ニ依リ第一次輸送隊(五十鈴、浜風、谷風)22日0405、第二次輸送隊(4Sd(長良)16dg(雪風))23日0900、第三次輸送隊(27dg(時雨)、Ch28、秋葉山丸)24日1000夫々「トラック」発
[150]
문서
横二特のナウル進出
[151]
문서
27日 一.0500長良雪風浜風ト時雨秋葉山丸Ch28右反抗ニテ航過ス
[152]
문서
第三次輸送隊ハ29日0430「ナウル」着30日1100揚陸後27dg(時雨)ハAdB電令作第232号ニ依リ単独同地発「トラック」ニ回航ス
[153]
문서
30日 27dg(時雨)ナウル輸送物件揚陸完了AdB電令作第232号ニ依リ急速トラック回航ス
[154]
문서
内令第千三百十一號 驅逐隊編制中左ノ通改定セラル 昭和十八年七月一日 海軍大臣 嶋田繁太郎 第二驅逐隊ノ項ヲ削ル
[155]
문서
7月1日2dg解隊、五月雨ハ4sdニ編入、春雨ハ4sdヨリ除カレ艦隊区分ヲ変更 27dgヲ1番隊トシ五月雨ヲ2番隊トス
[156]
문서
隼鷹飛行機隊及隼鷹龍鳳基地員ノ進出ニ関シ左ノ通定ム(後略)
[157]
문서
(略)隼鷹派遣隊ノ「マーシャル」撤収並ニ2sf飛行機隊ノ「ラボール」方面進出ノ為4sd(長良、時雨)ハ之ガ輸送ニ協力シ併セテ22sf用糧食ノ「ルオット」輸送ヲ実施ス。長良及時雨ハ航続力ノ関係上初メ計画セラレタル「トラック」「ルオット」「ラボール」間ヲ直航スルヲ変更シ「ルオット」ニ於テ22sfノ糧食陸揚ゲ及隼鷹派遣隊ノ収容ヲ終ラバ一旦「トラック」ニ帰投燃料補給後「ラボール」方面ノ輸送ヲ実施スルコトトナレリ
[158]
문서
(略)隼鷹派遣隊ノ「マーシャル」撤収並ニ2sf飛行機隊ノ「ラボール」方面進出ノ為4sd(長良、時雨)ハ之ガ輸送ニ協力シ併セテ22sf用糧食ノ「ルオット」輸送ヲ実施ス。長良及時雨ハ航続力ノ関係上初メ計画セラレタル「トラック」「ルオット」「ラボール」間ヲ直航スルヲ変更シ「ルオット」ニ於テ22sfノ糧食陸揚ゲ及隼鷹派遣隊ノ収容ヲ終ラバ一旦「トラック」ニ帰投燃料補給後「ラボール」方面ノ輸送ヲ実施スルコトトナレリpp.37-38『隼鷹飛行機隊及隼鷹龍鳳基地員ノ進出ニ関シ左ノ通定ム(後略)』、[[#S1805四水戦日誌(3)]]p.79『麾下艦船部隊ノ行動』pp.84-88『13日時雨0450 270度方向約2粁ニ敵潜望鏡ラシキモノ発見之ヲ攻撃(爆雷12個)効果不明 4sd(長良27dg(時雨))「トラック」着、直ニ燃料補給搭載人員物件ノ一部変更等ヲ行フ』『15日4sd(長良(時雨))「カビエン」着 長良ハ湾内ニ入泊直ニ基地人員物件ヲ揚陸 時雨ヲ以テ礁外ノ警戒ニ任ゼシムルト共ニ長良内火艇1隻(爆雷搭載)ヲ水道外ニ派出対潜警戒ニ任ゼシム 1450長良右舷艦尾ニ於テ磁気機雷ラシキモノ爆発横付中ノ大発1隻大破沈没艇長行方不明 長良ニモ軽小ナル損害アリ重傷者小数アリシモ戦闘航海ニ支障ナシ 1730「ラボール」ニ向ケ出撃ス』『17日 有明0515「ラボール」着 4sd(長良、有明)1300「トラック」ニ向ケ「ラボール」発 27dg(時雨)早朝「ブカ」南飛行場着基地人員物件揚陸後出港 1507 4sd(長良有明)夕張ニ合同「トラック」ニ回航ス』『19日4sd(長良27dg(時雨有明))「トラック」帰投輸送及護衛任務ヲ終了ス』『4sd(長良)KdBニ、27dg(白露欠)ヲNTBニ夫々編入セラル(GF電令作第638号AdB電令作第246号) 4sdハ7月20日附2sdニ編入ノコトトナリ本日誌本日ヲ以テ終了ス
[159]
문서
719 長良 KdBニ編入 720 解隊2sdニ編入
[160]
문서
25日 27dg(時雨)ラボール発「レカタ」ニ向ケ陸兵輸送
[161]
문서
[162]
문서
増援部隊(イ)兵力部署 指揮官/第4駆逐隊司令 輸送隊/4dg(萩風、嵐)、27dg(時雨) 任務:一.人員物件輸送 二.敵艦隊撃滅。警戒隊/11dg(天霧) 任務:輸送隊警戒
[163]
서적
帝国海軍の最後
[164]
문서
時雨ハ敵艦隊ニ対シ直ニ魚雷ヲ発射シ敵魚雷ヲ回避シツツ一旦反転北上約30分ニシテ次発装填ヲ了シ反転現場ニ向ヒタルモ敵飛行機ノ爆撃ヲ認ムルノミニシテ敵艦影ガ島影ニ隠シ得ズ…
[165]
문서
時雨ハ魚雷発射(8本)後戦場ヲ離脱概ネ逆航路ヲ経テ「ラバウル」ニ引返ス。途中増援部隊指揮官ヨリ川内ニ合同ノ命ヲ受ケ0080川内ニ合同7日1430「ラバウル」ニ帰投セリ。(ハ)戦果 駆逐艦1隻大破(時雨ノ魚雷ニ依ル) 被害:萩風・嵐・江風沈没
[166]
문서
[167]
문서
2116/浜風ヨリ敵電探ラシキモノ210度方向ニ探知スト報アリ
[168]
문서
夜戦部隊[3sd司令官直率将旗漣、17dg(浜風、磯風)27dg(時雨)]8月17日0300「ラバウル」出撃「ボーゲンビル」島東側ヲ南下1700「ルッセル」島300浬圏ヲ通過シ「ボーゲンビル」海峡通過2100「ベララベラ」島北東ニ於テ輸送部隊ニ追及同隊ノ東側並ニ前路警戒スル如ク機宜行動ス当時我部隊ハ敵機ト交戦中ニシテ各艦3乃至6粁間ニ散右高速運動中ナリシヲ以テ集結意ノ如クナラズ各艦単独発射セルト敵ノ大回避ニ依リ効果ナシ2259左舷反航ニテ漣発砲尓後彼我砲戦開始引続キ第二次発射2330迄之ト交戦(射距離8乃至5粁)友軍水上機隊戦闘参加ヲ得撃退2340戦場離脱「ショートランド」島南下ヲ経テ18日1330「ラバウル」帰着(四)戦果(1)/(ホ)損害大型駆逐艦又ハ巡洋艦1隻轟沈(雷撃)駆逐艦2隻に命中弾各数発を興フ
[169]
문서
第六.功績 敵機ノ執拗ナル攻撃ト敵有力部隊ノ反撃トヲ撃攘シテ友軍部隊ヲ全員予定地点ニ揚陸セシメ本作戦目的ヲ達成セリ。特ニ漣ガ15000米ノ距離ニ於テ敵艦隊ヲ露見シ第二十七駆逐隊(時雨)ガ敵中型巡洋艦(又ハ大型駆逐艦)一隻ヲ轟沈シタルハ功績顕著ナリ。
[170]
문서
一.作戦目的 第七聯合特別陸戦隊ノ大部ヲ「レカタ」ヨリ「ブイン」ニ転進輸送スルニ在リ、回次揚搭期日指揮官及兵力 一次:8月30日/27dg司令/27dg(時雨)・松風。二次:8月31日/17dg司令/17dg(磯風)。三次:9月1日/第一次ニ同ジ9月20日1416「ブカ」第一次輸送隊(指揮官27dg司令兵力27dg《時雨》松風)「ラバウル」発。2250同隊「ブカ」着。2314同隊揚搭終了同地発。0620同隊「ラバウル」帰着異状ナシ
[171]
문서
[172]
문서
内令第二千三十五號 驅逐隊編制中左ノ通改定セラル 昭和十八年十月一日海軍大臣嶋田繁太郎|第二十七驅逐隊ノ項中「時雨」ノ下ニ「、五月雨」ヲ加フ|第三十二驅逐隊ノ項中「早波」ノ下ニ「、玉波」ヲ加フ
[173]
문서
第27駆逐隊(時雨) (中略)28日「コロンバンガラ」転進部隊輸送援護ノ為「ラバウル」発29日「ラバウル」帰着、爾後同在泊待機訓練ニ従事-28日 27dg(時雨)「コロンバンガラ」転進作戦ノ為「ラバウル」発 五月雨「コロンバンガラ」転進作戦ノ為「ラバウル」発
[174]
문서
[175]
문서
第27駆逐隊(時雨) NTB「ラバウル」ニ在リ 1日セ号作戦第二次部隊トシテ「ラバウル」出撃第二次作戦従事続イテ第三次作戦ニ従事何レモ成功、3日「ラバウル」着(後略)
[176]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77]
문서
ソロモン海「セ」号作戦
[178]
문서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79]
문서
ソロモン海「セ」号作戦
[180]
문서
須藤.五月雨
[181]
문서
昭和18年7月〜3水戦日誌(4)
[182]
문서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83]
서적
南東方面海軍作戦<3>ガ島撤収後
[184]
서적
南東方面海軍作戦<3>ガ島撤収後
[185]
문서
第27駆逐隊ブーゲンビル沖血戦譜
[186]
문서
第27駆逐隊ブーゲンビル沖血戦譜
[187]
문서
第27駆逐隊ブーゲンビル沖血戦譜
[188]
서적
南東方面海軍作戦<3>ガ島撤収後
[189]
문서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90]
문서
図説太平洋海戦史第3巻
[191]
문서
S1806二水戦日誌(5)
[192]
문서
S1806二水戦日誌(5)
[193]
문서
S1806二水戦日誌(5)
[194]
문서
S1806二水戦日誌(5)
[195]
문서
帝国海軍の最後
[196]
문서
内令昭和18年11月(6)
[197]
서적
帝国海軍の最後
[198]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99]
문서
S1812二水戦日誌(1)
[200]
문서
S1812二水戦日誌(3)
[201]
문서
S1812二水戦日誌(4)
[202]
문서
戦史叢書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203]
문서
S1812二水戦日誌(4)
[204]
문서
S1906第27駆日誌(1)
[205]
문서
S1906第27駆日誌(3)
[206]
문서
佐藤 艦長(文庫)
[207]
문서
S1906第27駆日誌(1)
[208]
문서
日栄丸日誌(3)白露遭難
[209]
문서
S1906第27駆日誌(1)
[210]
문서
S1906第27駆日誌(1)
[211]
서적
須藤.五月雨
[212]
문서
7月4日0950佐世保出港呉回航、2145呉入港 長門ニ横付燃料補給
[213]
문서
8月7日16S《(将旗)青葉鬼怒19駆(浦波)》及27駆(時雨五月雨)NSB電令作第525号ニ依リ「マニラ」ニ向ケ昭南発|27駆ヲ16S司令官ノ作戦指揮下ニ入ラシメラル
[214]
문서
11日1433マニラ軍港入港
[215]
문서
8月15日 16S《青葉、19駆(浦波)》及鬼怒27駆ハ夫々NSB電令作第544号及第541号ニ依リ「マニラ」「セブ」間及「マニラ」「パラオ」間輸送任務ノ為0530「マニラ」発同日夕刻「ソルソゴン」湾ニ假泊燃料補給ノ上翌日朝発各目的地ニ向フ|「ソルソゴン」湾仮泊中青葉ヨリ鬼怒及27駆ニ対シ燃料ヲ補給ス
[216]
문서
19日2106 NSB指揮官→各隊/一.1035「レガスピー」ノ100度350浬ニ漂流中内火艇「カッター」人員等ヲ飛行機ニ依リ発見|二.鬼怒隊浦波ハ之ヲ捜索救助スベシ|三.「レガスピー」及「タクロバン」基地ノ飛行機ハ明早朝右捜索及対潜警戒ニ協力スベシ
[217]
문서
20日浦波・竹ト合同名取遭難者救助ニ向フ。発見シ得ズセブニ向フ
[218]
문서
内令第一一六二號 驅逐隊編制中左ノ通改定セラル 昭和十九年十月十日 海軍大臣|第十九驅逐隊ノ項ヲ削ル|第二十七驅逐隊ノ項ヲ削ル|第三十驅逐隊ノ項中「、夕凪」ヲ削ル|第四十三驅逐隊ノ項中「松、」ヲ削リ槇ノ下ニ「、桐」ヲ加フ
[219]
서적
時雨』は単艦になってしまったから、主力ではなくワシのほうにいてくれ。後方部隊だけれど、よろしく頼む。ただ今度の戦は敵の輸送部隊を撃滅するのが主目的だから、小さい艦の一隻や二隻、追いかける必要はない。こっちを攻撃してきた奴はやっつけてもいいが、深追いする必要はないからそのつもりで……」「よくわかりました司令官。『時雨』は火の玉となって突入します
[220]
서적
捷号作戦はなぜ失敗したのか
[221]
문서
20時24分頃最上4dg先行SogodBay附近ノ偵察ヲ命ゼラレテ出発ス。時雨ハ山城ノ先頭ニ占位ス
[222]
서적
軍艦華麗なる生涯
[223]
문서
0333/雷跡三本艦底通過
[224]
서적
捷号作戦はなぜ失敗したのか
[225]
서적
佐藤 艦長(文庫)
[226]
문서
(前略)山城ノ状況確認ノ為反転、間モナク扶桑、最上ヲ認メタルモ山城ハ之ヲ確認スルニ至ラザルヲ以テ更ニ反転北上、扶桑ノ前程ニ就クベク北進中(後略)
[227]
문서
0358(0408)/敵戦艦巡洋艦ノ大中砲火ヲ受ケ一時離脱困難トナルモ避弾運動ニ依リ漸次砲火ノ集中ヲ薄ジ最大戦速
[228]
문서
約20分後舵故障、一時漂白約30分ヲ要シテ以後応急操舵ニテ南下
[229]
서적
軍艦華麗なる生涯
[230]
서적
捷号作戦はなぜ失敗したのか
[231]
서적
佐藤 艦長(文庫)
[232]
서적
軍艦華麗なる生涯
[233]
문서
0530直接操舵
[234]
서적
重巡十八隻
[235]
문서
第三部隊ハ〇一三〇「スリガオ」南口通過、〇三五五「ヒブソン」島ニ至ル間ニ於テ有力ナル敵艦隊(戦艦×4 巡洋艦×5 駆逐艦×5以上ト推定)ト最後迄各艦奮戦セシモ、我ノ他砲雷撃ヲ受ケ沈没(4dgノ一艦不確實)セリ。本艦最後迄戦場ニ在リシモ遂ニ一艦トナリ。旦敵ハ巧ニ島影ヲ利用分散配備ヲ取リ電測ヲ極度利用リアル為敵情ヲ明ニシ得ズ。一応戦場ヲ避退後図ヲ計ルベク南下中、舵取機械故障一時人力操舵ヲ以ッテ航行セリ。応急処置ニ依リ補助舵取機械ノミ使用可能トナリタルモ尚操舵不如意ニ付「コロン」湾ニ回航、船体被害ト共ニ応急修理ヲ妙高ニ依頼ス。至近爆弾命中弾、敵戦艦主砲ノ至近弾ニ依リ船重油「タンク」(容量九〇頓)艦底外鈑及機械室船水線下ニ破口亀裂、舟右軸室艦底二十米ノ亀裂、轉輪羅針儀破損セシ他、人員船体兵器ニ被害アルモ戦斗航海ニ差支ナシ。爾後ノ行動ニ関シ指令ヲ乞フ。
[236]
문서
26日1217時雨駆逐艦長/我「コロン」西口ノ南40浬「コロン」南口附近ニテ2YB敵大型機ノ来襲ヲ受ケツツアリ。貴機密第260915番電関連「パラワン」西ヲ経テ「BN」ニ向フ燃料現有180頓
[237]
서적
捷号作戦はなぜ失敗したのか
[238]
서적
日本海防艦戦史
[239]
문서
内令第一二七一號 驅逐隊編制中左ノ通改定セラル 昭和十九年十一月十五日海軍大臣|第二驅逐隊ノ項中「清霜」ノ下ニ「朝霜」ヲ加フ|第七驅逐隊ノ項中「潮」ノ下ニ「、霞」ヲ加フ|第十八驅逐隊ノ項ヲ削ル|第二十一驅逐隊ノ項中「初春、初霜、若葉」ヲ「初春、初霜、時雨」ニ改ム|第三十一驅逐隊ノ項中「長波、朝霜、岸波、沖波」ヲ「長波、岸波、沖波、濱波」ニ改ム|第三十二驅逐隊ノ項ヲ削ル|第四十一驅逐隊ノ項中「冬月」ノ下ニ「、涼月、若月」ヲ加フ|第四十三驅逐隊ノ項ノニ左ノ一項ヲ加フ||第五十二驅逐隊 桑、檜、桐、杉、樫||第六十一驅逐隊ノ項ヲ削ル
[240]
문서
12日/1100時雨ト共ニ隼鷹筑摩護衛「マニラ」出港
[241]
문서
麾下艦艇ノ行動 第21駆逐隊(初霜、時雨、初春)
[242]
문서
12月12日 時雨修理完成
[243]
문서
軍艦雲龍戦闘詳報
[244]
서적
第二水雷戦隊突入す
[245]
문서
12月19日52駆、時雨護衛中ノ雲龍被雷沈没、時雨対潜戦闘
[246]
문서
pp.47-48『19日1103GF/聯合艦隊電令第576号 一.龍鳳第17駆逐隊ハ龍鳳艦長之ヲ指揮シ24日頃呉発台湾方面作戦輸送ニ従事スベシ』-『21日1741GF/聯合艦隊電令電令579号 一.龍鳳矢矧第17駆逐隊ハ台湾方面作戦輸送ヲ実施スベシ。右作戦輸送ノ行動ニ関シテハ海上護衛司令長官ノ指揮ヲ承ケ輸送物件ハ内地ニ於テハ大海戦力補給部ノ指定、台湾方面ニ於テハ高警長官ノ指定ニ依ル|二.矢矧時雨ハ龍鳳隊ノ船団(30日頃門司発)同行「カムラン」方面ニ進出、第二水雷戦隊ニ合同スベシ。右進出中矢矧時雨ハ新浜発ヨリ「カムラン」附近迄ノ行動ニ関シ海上護衛司令長官ノ指揮ヲ受クベシ』
[247]
문서
p.8『三.30日雪風蒸気管亀裂ノ為呉ニ回航|四.司令駆逐艦ヲ浜風ニ変更』p.18『矢矧251510/本艦今朝補充交代(40%以上)ニ伴ヒ是非基礎訓練ヲ必要トスルニ付29日早朝門司集合今ノ事ニ御配慮ヲ得度シ』『GF261145/GF電令作第579号中矢矧ヲ削除ス、矢矧ハ1月中旬迄内海西部ニアリテ訓練ン整備ヲ実施スベシ』
[248]
문서
p.11『一応矢矧時雨ノ南方進出合同ヲ予定セラシモ前者ハ訓練未成ノ為1月中旬迄内海西部ニ於テ訓練ノコトトナリ後者ノミ12月31日ヒ87船団護衛六連発(略)』 p.19『17dg司令官301740/準備出来次第司令駆逐艦ヲ浜風ニ変更シ艦船番号序ヲ浜風磯風雪風トス』『雪風202320→17dg神威龍鳳時雨旗風磯風/検査ノ結果亀裂ニ非ザル模様ナルモ現状ニテハ使用不能、応急修理上一昼夜以上ヲ要スル見込ミ、明日呉ニ回航(一軸運転)修理ノ事トス』
[249]
문서
p.61『12月31日0730 十七駆(磯風浜風)時雨、龍鳳隊ヲ護衛六連発(略)』
[250]
문서
[251]
서적
150頁
[252]
문서
p.44『14日1325GEB参謀長→各隊/南支那海敵機動部隊出現ノ状況ニ鑑ミ船団運航ハ当面左ノ方針ニ依リ実施ノコトニ取計ハレ度(略)』p.47『17日1912将旗7ES/(略)二.A梯団(7ES指揮)干珠時雨三宅海13さわらく丸 17日1930発速力12節航路香港ヨリ接岸海南島西岸南下19日1900楡林着正午位置(略)』『17日1750将旗1EF→7ES時雨/ヒ87船団ハ楡林着後速ニ発航スベシ、7ES司令部ハ最近便ニテ高雄ニ歸レ』p.31『指揮官:楡林迄台七護衛船団司令官、楡林以後干珠艦長(略)25日01300昭南着ノ予定』
[253]
문서
p.32『20日1900楡林発佛印接岸南下中22日1300頃「バタラン」岬附近ニ於テ敵哨戒機PB2Mマーチンマース哨戒機及コンソリデーテットB-24各一機ニ短時間触接ヲ受ケ船団ヲ確実ニ発見サレタリ』p.33『位置:北緯6度0分東経103度45分、距離50浬 水深60米附近』p.34『電探左36度ニ感アリテヨリ(左36度4460米感度5)(略)』p.36『0703浮上潜水艦ト確認敵ハ反航近態勢ニテ近接シ来ル面舵一杯前進一杯、電話ニテ船団ニ知ラサントスルモ不通』p.35『(2)其ノ後ノ調査ニ依ル敵潜水艦行動図ノ概要別紙第一ノ如くニシテ更ニ舟首方向ニ他ノB潜水艦アリ本艦ハ之ニ依リ雷撃サレタルコト判断セリ。電探ノ捕捉セルハ別紙第三電測記録ニ依リB潜水艦ニシテ見張眼鏡ノ捕捉セルハ別個ノA潜水艦ナリシコト確実ナリ』p.36『其ノ左26度3640西60ト近對勢ニテ感アリタル(潜水艦)艦橋ニテ(潜水艦)ヲ発見シタル為連絡不充分トシテ艦長ニ到達シアラズ』p.37『四番機銃ハ〇二於テ雷跡ヲ左110度及150度ニ30秒ヲ置イテ各1本発見シアルモ艦橋ニ通ゼズ』pp.36-37『0704 左30度ニテ魚雷発射セルヲ確認(A潜水艦)聴音機全周近距離ニ魚雷音聴知魚雷警急バザー面舵一杯吹鳴』『0705 左舷後部ニ魚雷命中、左舷二番聯管後部殆ンド海底附近ニテ爆発機械停止艦内電源停止、艦ハ次第ニ右舷ニ傾斜ス』『0706 懐中電灯ニテ干珠ニ状況報告セントスルモ通セズ、傾斜次第ニ多クナル「総員上甲板左舷」(此頃傾斜右45度)』『0710 総員退去|0715 沈没。没時二番聯管附近ヨリ船体前後部二ツニ切断セリ』p.39『二番見張りニテ発見セル敵潜水艦ノ運動(註)敵潜水艦ヲ認メシハ二番見張ノミ』p.53『24日1137時雨/一.時雨24日0705敵潜ノ雷撃4本(中1本命中)ヲ受ケ0715沈没セリ、地点06.00N 103.45E 二.生存者准士官以上駆逐艦長以下16名、下士官兵252名』p.58『本船被雷地点附近ハ数日来数回ニ亘リ敵潜水艦跳梁セル海面ニシテ昭南方面部隊ニ於テハ避航海面ト心得アリシモ本艦及ビ同行ノ護衛船何レモ此等ヲ承知シアラズ…』
[254]
문서
p.52『24日1117干珠/0710時雨被雷沈没附近近距離ニ海13浮上潜水艦発見砲撃後爆雷攻撃ヲ加フ|0742現状南方8000米ニ於テ干珠浮上潜水艦発見砲撃ノ後爆雷攻撃ヲ行ヒ0817さわらく丸被雷、干珠射点附近攻撃重油多量湧後反復攻撃』『24日1117干珠/1030三宅海十三ヲシテ制圧並ニ救助ニ任ゼシメさわらく丸ノ護衛ニ就ク、敵潜2隻以上存在確実、時雨生存者…』p.59『警戒艦艇ハ自艦及他艦ノ万一ノ場合ニ備エテ救難用応急要具(救命筏円材縄梯子等)ヲ平常ヨリ整備シ置クヲ可トス。'''万一ノ際人的資源ノ無為損耗極減ノ為此等ノ處置ヲ取リ置クハ至當ト認ム。'''最近搭載短艇ノ局限ヲ計リツツアル時尚此ノ要アリ。本艦今回救命筏約20(内緊急揚搭作業用桟橋兼用ノモノ7)ヲ用意シ 応急用円材ヲ上甲板各所ニ分散結止シ置キタルガ人的無為消耗ノ極メテ少カリシ一因タルモノト認メラル。|時逐艦時雨戦闘詳報 昭和二十年一月二十四日「グレートレダン」島沖對潜戦闘』
[255]
문서
p.17『内令第二二八號|横須賀鎮守府在籍 驅逐艦 旗風、驅逐艦 梅、驅逐艦 樅|佐世保鎮守府在籍 驅逐艦 時雨、驅逐艦 栂|右帝國驅逐艦籍ヨリ除カル(以下略)昭和二十年三月十日海軍大臣』
[256]
문서
pp.40-41『内令第二〇九號 艦艇類別等級表中左ノ通改正ス 昭和二十年三月十日 海軍大臣|驅逐艦、一等神風型ノ項中「、旗風」ヲ、同|白露型|時雨|ヲ、同松型ノ項中「、梅、樅」ヲ、同二等粟型ノ項中「、栂」ヲ削ル(以下略)』
[257]
간행물
海軍辞令公報(部内限)号外 第273号 昭和13年12月15日
https://www.jacar.ar[...]
[258]
간행물
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316号 昭和14年3月21日
https://www.jacar.ar[...]
[259]
간행물
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321号 昭和14年4月1日
https://www.jacar.ar[...]
[260]
간행물
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701号 昭和16年9月1日
https://www.jacar.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