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그날니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그날니섬은 노삿푸 곶과 수정섬 사이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일본이 건설한 등대가 있다. 이 등대는 여러 차례 소등과 재점등을 반복했으며, 현재는 러시아가 관리하고 있다. 2023년에는 러시아 국기가 게양되고 등대가 재단장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시그날니섬은 일본과 러시아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북방 영토 문제의 일부이며, 다시마 채취와 관련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노삿푸 곶에서는 시그날니섬을 조망할 수 있으며, 관련 관광 상품도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보마이 군도 - 오스콜키섬
  • 하보마이 군도 - 하르카르섬
    하르카르섬은 유루리섬 동쪽 해상에 위치한 여러 섬으로 구성된 총 면적 2제곱킬로미터의 섬으로, 과거 아이누족이 이용했으며 현재 러시아 연방이 점령 및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또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해달의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 네무로시의 지리 - 네무로만
    네무로만은 러시아령 쿠릴 열도와 오호츠크해에 접해 있으며, 노쓰케 반도에 둘러싸인 노쓰케 만과 에토로후섬 부근의 풍부한 어장을 포함하고, 네무로 항 등 여러 항구가 위치하며 겨울철에는 유빙으로 덮인다.
  • 네무로시의 지리 - 오스콜키섬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쿠릴 열도 - 오스콜키섬
시그날니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貝殻島 (가이가라지마)
러시아어 이름Остров Сигнальный (오스트로프 시그날니)
러시아어 이름 (로마자 표기)Ostrov Signal'nyy
일본어 이름貝殻島 (가이가라지마)
지리
위치태평양
국가러시아
러시아 행정 구역사할린주
관할 구역남쿠릴 관구
영유권 주장 국가일본
일본 행정 구역홋카이도
일본 관할 구역네무로시
인구
인구0

2. 지리

노삿푸 곶과 수정섬을 가르는 해협인 고요마이 수도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노삿푸 곶으로부터 3.7km 떨어져 있다.[14] 면적은 약 10m2이다.[14] 단단한 역암과 화성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개섬 등대가 설치되어 있다. 1957년에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점령되었다.

3. 조개섬 등대

1937년 일본이 건설하고 현재는 러시아가 관리하는 등대이다. 등대 기부와 기초 부분의 열화가 심각하여 기울어져 있다. 2014년 11월부터 약 9년간 소등되었다가 2023년 8월 재점등되었다. 같은 해 8월, 러시아 국기와 정교회 십자가가 설치되었다. 2024년 6월 일시적으로 소등되었다가 재점등되었으나, 등질(빛의 특성)이 변경되었다.

3. 1. 등대 건설 배경과 역사

1937년 4월, 일본은 아세틸렌 가스를 광원으로 하는 가이가라지마 등대(조개 껍질 섬 등대)를 건설했다.[14][3][4] 이 등대는 기부와 기초 부분의 노후화가 진행되어 노삿푸 곶에서 육안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47년 5월 29일, 연료 부족으로 등대가 꺼졌지만, 1958년 5월 28일 오전 6시 45분에 다시 점등되었다.[14] 그러나 이후 러시아 측의 관리하에 장기간 소등이 40회 이상 반복되었다. 2014년 11월 4일부터 약 9년간 소등 상태가 지속되었다.[4]

3. 2. 등대 관리와 보수 문제

1937년 일본에 의해 건설된 가이가라지마 등대(貝殻島灯台, 조개 껍질 섬 등대)는 기부와 기초 부분의 노후화가 진행되어 노사프곶에서 육안으로도 기울어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어 일본 당국의 보수 및 점검이 불가능하다.[14][3][4] 1947년 연료 부족으로 소등되었다가 1958년 점등을 재개했지만, 이후 장기간 소등이 40회 이상 반복되었다.[14] 2014년 11월부터는 약 9년간 소등 상태가 지속되었다.[4]

2017년 9월 7일 일본-러시아 정상회담에서 등대 개수 사업이 검토되었으나,[5][6][7] 러시아-일본 관계 악화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3. 3. 등대의 상징성과 변화

2023년 8월 2일, 해상보안청은 貝殻島(조개 껍질 섬) 등대 최상부에 러시아 국기가 게양된 것을 발견했다.[8] 7월 말 러시아 태평양 함대 소속 수로 조사선 승무원이 설치한 것이었다.[9] 8월 24일 등대가 흰색으로 다시 칠해졌고, 다음 날 상부에 러시아 정교회 십자가가 설치되었다.[10] 8월 26일 약 9년 만에 등대가 다시 점등되었고, 무너져가던 상부도 수리되었다.[11] 8월 28일부터 원도민과 관계자들이 등대 근처에서 '해상 위령'을 시작했는데, 전문가들은 이러한 일련의 조치가 북방 4개 섬에 대한 러시아의 실효 지배를 과시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11]

2024년 6월 17일 등대가 소등된 것이 확인되었고, 러시아 측은 등대 수리 및 점검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12] 이후 7월 26일 네무로 해상보안부는 등대가 다시 점등된 것을 확인했지만, 등질이 변경되어 이전의 5초에 1회 섬광에서 1분에 1회 섬광으로 바뀌었고, 밝기도 이전보다 어두워졌다.[13]

4. 영유권 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시그날니섬을 점령하면서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이 시작되었다. 1963년 일소(일러) 조개섬 다시마 채취 협정(일본에서는 타카사키 타츠노스케의 이름을 따 "타카사키 협정"이라고도 불림)이 체결되어[17] 일본 어민들은 소련에 입어료를 내고 다시마 어업을 할 수 있었으나,[15][16] 1977년 200해리 어업 전관 수역 설정으로 중단되었다가 1981년 재개되었다.[17]

현재 시그날니섬은 러시아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일본은 계속해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4. 1. 역사적 배경


  • 1945년 9월 27일, 맥아더 라인이 설정되어 일본 어민의 조업 범위가 제한되었다.[14] 북방 영토 주변 해역에서는 11월 3일에 해당 라인이 노삿푸 곶과 수정섬 사이에 그어져 조개섬(시그날니섬) 주변은 일본 해역이 되었다.[14]
  • 1948년 12월, GHQ는 구축함 "코와조르"로 재조사하여 맥아더 라인을 노사푸 곶과 조개섬 사이로 변경했다.[14]
  • 1952년
  • 4월 25일, 맥아더 라인이 폐지되었다.[14]
  •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되었다. (소련은 불참) 제1관구 해상 보안 본부는 나포 방지를 위해 사할린 및 북방 4개 섬 연안 12–15해리에 위험 추정 라인을 설정하고, 이 선을 넘는 조업을 금지했으나, 나포가 잇따랐다.[14]
  • 1956년, 일소 공동 선언이 발표되었다.
  • 1957년, 소련 국경 경비대가 조개섬에 상륙했다. 구 미일 안보 조약은 현행 안보 조약과 달리 일본 방위 의무를 미국에 부과하지 않아 미군이 출동하지 않았다.
  • 1963년 6월 10일, 일소(일러) 조개섬 다시마 채취 협정(타카사키 타츠노스케의 이름을 따 "타카사키 협정"이라고도 함)이 체결되었다.[14][17] 일본 어민들은 이 협정에 따라 소련에 입어료를 내고 다시마 어업을 했다.[15][16]
  • 1977년 3월 25일, 소련은 200해리 어업 전관 수역 설정에 따라 대일 어획량 할당 교섭에서 다시마 어업 불허 방침을 통보했다.[17]
  • 1981년 8월 25일, 4년간 중단 후 홋카이도 수산회와 소련 어업성 섭외국 간 다시마 어업 협정이 재개되었다.[17]
  •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후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를 계승했다.

4. 2. 현재 상황

현재 러시아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역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북방 영토 문제 문서를, 러시아 측 현황은 사할린 주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5. 다시마 채취와 관련된 역사

1945년 맥아더 라인이 설정되면서 일본 어민들의 자유로운 출어가 제한되었으나, 시그날니섬(일본명 조개섬) 주변은 일본 해역에 속했다.[14] 1948년 맥아더 라인이 노사푸 곶과 시그날니섬 사이로 변경되었다.[14] 1952년 맥아더 라인이 폐지되고[14]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되었으나, 소련은 불참하였다. 일본은 위험 추정 라인을 설정해 어업자들을 지도했지만, 나포가 잇따랐다.[14]

1963년 6월 10일, 일소(일러) 조개섬 다시마 채취 협정(일본에서는 타카사키 타츠노스케의 이름을 따 "타카사키 협정"이라고도 함)이 체결되어[14][17] 일본 어민들은 입어료를 내고 다시마를 채취할 수 있게 되었다.[15][16]

1977년 소련이 200해리 어업 전관 수역을 설정하면서 다시마 채취가 어려워졌고[17], 1981년 협정이 재개되기까지 4년간 중단되었다.[17]

6. 관광

노삿푸 곶 망향의 집에 설치된 망원경으로 하보마이 군도조개섬 등대를 볼 수 있다. 하보마이 어업 협동조합은 매년 1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북방 영토를 가까이에서 조망하는 본토 최동단 파노라마 크루즈"를 운영하며, 이 크루즈를 통해 조개섬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7. 조개섬이 등장하는 작품


  • 나카조노 에이스케의 소설 《안개 종》(1962년)에 등장한다.
  • 백전 나오키의 소설 《닻을 올려라》(2010년)에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北方領土の位置と面積 http://www.hoppou.go[...] 独立行政法人 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2017-11-17
[2] 문서 「北方四島」のアイヌ語地名ノート-松浦武四郎「山川図」による-
[3] 간행물 北海道貝殼島燈臺點燈實施 逓信省 1937-04-01
[4] 웹사이트 貝殻島灯台 https://www.kaiho.ml[...] 根室海上保安部 2017-11-17
[5] 웹사이트 日露首脳会談 https://www.mofa.go.[...] 외務省 2017-11-17
[6] 뉴스 日ロ首脳、5項目で経済協力 北方四島で養殖など https://www.nikkei.c[...] 2017-09-08
[7] 뉴스 貝殻島灯台の改修検討=日ロ首脳が合意 https://www.jiji.com[...] 2017-09-07
[8] 웹사이트 北方領土・貝殻島灯台に突然 "ロシア国旗のようなもの" が掲げられる…根室海上保安部の巡視船が発見…誰が何のために? https://www.uhb.jp/n[...] 北海道ニュースHUB 2023-08-05
[9] 웹사이트 「ロシアの三色旗、軍関係者が掲げた」ロシアメディアが報じる…北方領土・貝殻島灯台に突然 "ロシア国旗"出現した問題 https://www.uhb.jp/n[...] 北海道ニュースHUB 2023-08-12
[10] 웹사이트 北方領土の貝殻島灯台を背に記念撮影…写真がSNSに投稿される ロシアによる実効支配アピールか? https://www.htb.co.j[...] 2023-08-31
[11] 웹사이트 北方領土・貝殻島の灯台点灯、国旗掲揚も…ロシアが実効支配を誇示か https://www.yomiuri.[...] 2023-08-31
[12] 뉴스 歯舞群島の貝殻島周辺、コンブ漁の漁場示すブイを一時撤去…ロシア側が要求「灯台修理・点検のため」 https://www.yomiuri.[...] 2024-07-26
[13] 뉴스 貝殻島灯台が点灯 根室海保が発表 https://www.hokkaido[...] 2024-07-26
[14] 웹사이트 第1節 貝殻島コンブ(高碕)協定 http://src-h.slav.ho[...] 北海道大学スラブ・ユーラシア研究センター 2017-08-31
[15] 웹사이트 日ロ貝殻島昆布採取協定 http://www.city.nemu[...] 根室市 2017-08-03
[16] 뉴스 貝殻島でコンブ漁始まる 241隻一斉にスタート - 読んで見フォト - 産経フォト https://www.sankei.c[...] 2017-09-01
[17] 논문 昆布漁業と貝殻島安全操業について https://doi.org/10.2[...] 公益社団法人 日本水産学会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