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데하라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데하라 내각은 1945년 10월 9일부터 1946년 5월 22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이다.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영향 아래 헌법 개정과 사회 입법에 힘썼으며, 1945년 12월 18일에는 전후 최초의 중의원 해산을 단행했다. 재벌 해체, 공직 추방, 헌법 개정, 전후 복구 및 경제 안정화,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등의 주요 정책을 추진했다. 1946년 4월 10일의 총선거 이후 내각 존속을 시도했으나, 다른 정당의 반발과 각료 이탈로 인해 5월 22일 총사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데하라 기주로 -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부터 1947년 5월 24일까지 존속한 일본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개혁 등 전후 일본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는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나,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1947년 총선에서 일본사회당에 제1당 지위를 내주면서 총사퇴하였다. - 시데하라 기주로 - 일본국 헌법 제9조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전쟁과 무력 사용을 영구히 포기하고, 군사력 보유와 교전권을 부정하며,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추구한다. - 1946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6년 일본 -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부터 1947년 5월 24일까지 존속한 일본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개혁 등 전후 일본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는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나,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1947년 총선에서 일본사회당에 제1당 지위를 내주면서 총사퇴하였다. - 요나이 미쓰마사 - 스즈키 간타로 내각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1945년 4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존속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과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결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요나이 미쓰마사 - 하타 슌로쿠
하타 슌로쿠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원수까지 올랐으며, 육군대신과 지나 파견군 총사령관 등을 지내며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에 관여했고,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가 가석방되었다.
시데하라 내각 | |
---|---|
내각 정보 | |
내각명 | 시데하라 내각 |
휘어진 문자 | しではらないかく |
대수 | 44대 |
수상 | 시데하라 기주로 |
전직 | 남작, 전 외무대신 |
성립 연도 | 1945년 |
성립 월일 | 10월 9일 |
종료 연도 | 1946년 |
종료 월일 | 5월 22일 |
여당 | 거국일치내각 (일본자유당, 일본진보당) |
선거 |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해산 | 1945년 12월 18일 (종전 해산) |
수상 | 기주로 시데하라 |
천황 | 히로히토 |
전임 | 히가시쿠니 내각 |
후임 | 제1차 요시다 내각 |
임기 시작 | 1945년 10월 9일 |
임기 종료 | 1946년 5월 22일 |
정당 | 연합군 점령 하 일본자유당 일본진보당 무소속 |
의회 상태 | 다수 (연립) |
마지막 선거 | 1946년 일본 총선거 |
의회 임기 | 제89회 제국의회 |
![]() | |
관련 웹사이트 | |
관저 | 관저 웹사이트 |
2. 내각 구성
다음은 시데하라 내각의 내각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직책 | 성명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외무대신 | 요시다 시게루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내무대신 | 호리키리 젠지로 (1946년 1월 13일까지) 미쓰치 주조 (1946년 1월 13일부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1946년 1월 13일 | 1946년 1월 13일 1946년 5월 22일 |
대장대신 | 시부사와 자작 게이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육군성 | 시모무라 사다무 | 군인 (육군) | 1945년 10월 9일 | 1945년 12월 1일 |
제1 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무소속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5월 22일 |
해군성 | 요나이 미쓰마사 | 군인 (해군) | 1945년 10월 9일 | 1945년 12월 1일 |
제2 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무소속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5월 22일 |
사법대신 | 이와타 주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문부대신 | 마에다 다몬 (1946년 1월 13일까지) 아베 요시시게 (1946년 1월 13일부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1946년 1월 13일 | 1946년 1월 13일 1946년 5월 22일 |
농림대신 | 마쓰무라 겐조 (1946년 1월 13일까지) 소에지마 센파치 (1946년 1월 13일부터) | 진보당 (마쓰무라) 무소속 (소에지마) | 1945년 10월 9일 1946년 1월 13일 | 1946년 1월 13일 1946년 5월 22일 |
상공대신 | 오가사와라 산쿠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운수대신 | 다나카 다케오 (1946년 1월 13일까지) 미쓰치 주조 (1946년 1월 13일 ~ 1946년 1월 26일) 무라카미 기이치 (1946년 1월 26일부터) | 진보당 (다나카) 무소속 (미쓰치, 무라카미) | 1945년 10월 9일 1946년 1월 13일 1946년 1월 26일 | 1946년 1월 13일 1946년 1월 26일 1946년 5월 22일 |
후생대신 | 아시다 히토시 | 자유당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국무대신 | 고바야시 이치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3월 9일 |
국무대신 | 마쓰모토 조지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1월 13일 |
국무대신 | 쓰기타 다이사부로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국무대신 | 나라하시 와타루 | 무소속 | 1946년 2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국무대신 | 이시구로 다케시게 | 무소속 | 1946년 2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내각관방장관 | 쓰기타 다이사부로 (1946년 1월 13일까지) 나라하시 와타루 (1946년 1월 13일부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1946년 1월 13일 | 1946년 1월 13일 1946년 5월 22일 |
내각관방 차장 | 나라하시 와타루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1월 13일 |
내각관방 부장관 | 기우치 시로 | 무소속 | 1946년 3월 2일 | 1946년 5월 22일 |
내각법제국 국장 | 미요시 시게오 (1946년 1월 13일까지) 이시구로 다케시게 (1946년 1월 13일 ~ 1946년 3월 19일) 이리에 도시오 (1946년 3월 19일부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1946년 1월 13일 1946년 3월 19일 | 1946년 1월 13일 1946년 3월 19일 1946년 5월 22일 |
직책 | 성명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외무 정무차관 | 이누카이 다케루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내무 정무차관 | 가와사키 스에고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대장 정무차관 | 유타니 요시하루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육군 정무차관 | 미야자키 이치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5년 11월 30일 |
제1 복원 정무차관 | 미야자키 이치 | 진보당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1월 26일 |
해군 정무차관 | 다나카 료이치 | 자유당 | 1945년 10월 31일 | 1945년 11월 30일 |
제2 복원 정무차관 | 다나카 료이치 | 자유당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1월 26일 |
사법 정무차관 | 데시로기 류키치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문부 정무차관 | 미시마 미치하루 | 무소속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농림 정무차관 | 고구레 부다유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상공 정무차관 | 아라이 다카지 | 자유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운수 정무차관 | 고로 아키라 | 자유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후생 정무차관 | 야노 쇼타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직책 | 성명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외무 사무차관 | 마쓰우라 슈타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내무 사무차관 | 나카스케 마쓰 | 자유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대장 사무차관 | 야마모토 구메키치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육군 사무차관 | 노구치 기이치 | 자유당 | 1945년 10월 31일 | 1945년 11월 30일 |
제1 복원 사무차관 | 노구치 기이치 | 자유당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1월 26일 |
해군 사무차관 | 호시노 야스노스케 | 무소속 | 1945년 10월 31일 | 1945년 11월 30일 |
제2 복원 사무차관 | 호시노 야스노스케 | 무소속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1월 26일 |
사법 사무차관 | 와타나베 아키라 | 무소속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문부 사무차관 | 모리타 주지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농림 사무차관 | 호조 슌파치 | 무소속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상공 사무차관 | 야마네 다케오 | 무소속 | 1945년 11월 6일 | 1946년 1월 26일 |
운수 사무차관 | 시라카와 히사오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후생 사무차관 | 다나카 와이치로 | 자유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1월 13일, 내각 개편이 있었다.
담당 | 이름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외무대신 | 요시다 시게루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내무대신 | 미쓰치 주조 | 무소속 | 1946년 1월 13일 | 1946년 5월 22일 |
대장대신 | 자작 시부사와 게이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제1 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무소속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5월 22일 |
제2 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무소속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5월 22일 |
사법대신 | 이와타 주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문부대신 | 아베 요시시게 | 무소속 | 1946년 1월 13일 | 1946년 5월 22일 |
농림대신 | 소에지마 센파치 | 무소속 | 1946년 1월 13일 | 1946년 5월 22일 |
상공대신 | 오가사와라 산쿠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운수대신 | 미쓰치 주조 (1946년 1월 26일까지) 무라카미 기이치 (1946년 1월 26일부터) | 무소속 | 1946년 1월 13일 1946년 1월 26일 | 1946년 1월 26일 1946년 5월 22일 |
후생대신 | 아시다 히토시 | 자유당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국무대신 | 고바야시 이치조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3월 9일 |
국무대신 | 쓰기타 다이사부로 | 무소속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국무대신 | 나라하시 와타루 | 무소속 | 1946년 2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국무대신 | 이시구로 다케시게 | 무소속 | 1946년 2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내각관방장관 | 나라하시 와타루 | 무소속 | 1946년 1월 13일 | 1946년 5월 22일 |
내각관방 부장관 | 기우치 시로 | 무소속 | 1946년 3월 2일 | 1946년 5월 22일 |
내각법제국 국장 | 이시구로 다케시게 (1946년 3월 19일까지) 이리에 도시오 (1946년 3월 19일부터) | 무소속 | 1946년 1월 13일 1946년 3월 19일 | 1946년 3월 19일 1946년 5월 22일 |
담당 | 이름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외무 정무차관 | 이누카이 다케루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5월 22일 |
내무 정무차관 | 가와사키 스에고로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5월 22일 |
대장 정무차관 | 유타니 요시하루 | 진보당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5월 22일 |
제1 복원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제2 복원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사법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문부 정무차관 | 미시마 미치하루 | 무소속 | 1945년 10월 31일 | 1946년 5월 22일 |
농림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상공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운수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후생 정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외무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내무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대장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제1 복원 사무차관 | 노구치 기이치 | 자유당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5월 22일 |
제2 복원 사무차관 | 호시노 야스노스케 | 무소속 | 1945년 12월 1일 | 1946년 5월 22일 |
사법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문부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농림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상공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운수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
후생 사무차관 | 공석 | 1946년 1월 26일 | 1946년 5월 22일 |
2. 1. 내각 발족 당시 (1945년 10월 9일)
wikitable직책 | 성명 | 출신 | 특명 사항 등 | |
---|---|---|---|---|
내각총리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남작 | 제1복원대신, 제2복원대신 겸임 |
외무대신 | 요시다 시게루 | 70px | 외무성 출신, 귀족원[3] 무소속 | |
내무대신 | 호리키리 젠지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 |
대장대신 | 시부사와 자작 게이조 | 70px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자작 | |
육군대신 | 시모무라 사다무 | 70px | 육군 대장 (육대 28기) | 1945년 12월 1일 면직[1] |
제1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남작 | 내각총리대신, 제2복원대신 겸임, 1945년 12월 1일 임명[1] |
해군대신 | 요나이 미쓰마사 | 70px | 해군 대장 (해대 갑종 12기) | 1945년 12월 1일 면직[1] |
제2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남작 | 내각총리대신, 제1복원대신 겸임, 1945년 12월 1일 임명[1] |
사법대신 | 이와타 주조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 |
문부대신 | 마에다 다몬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성회) | |
후생대신 | 아시다 히토시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자유당 | |
농림대신 | 마쓰무라 겐조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진보당 | |
상공대신 | 오가사와라 산쿠로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진보당 | |
운수대신 | 다나카 다케오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진보당 | |
국무대신 | 고바야시 이치조 | 70px | 귀족원 무소속 (무소속구락부) | 전재부흥원 총재[4][5] |
국무대신 | 마쓰모토 조지 | 70px | 귀족원 무소속 (무소속구락부) | 헌법 문제 조사 위원회 위원장 |
국무대신 | 쓰기타 다이자부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성회) | 내각서기관장 겸임 |
2. 1. 1. 국무대신
직책 | 성명 | 출신 | 특명 사항 등 | |
---|---|---|---|---|
내각총리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남작 | 제1복원대신, 제2복원대신 겸임 |
외무대신 | 요시다 시게루 | 70px | 외무성 출신, 귀족원[3] 무소속 | |
내무대신 | 호리키리 젠지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 |
대장대신 | 시부사와 자작 게이조 | 70px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자작 | |
육군대신 | 시모무라 사다무 | 70px | 육군 대장 (육대 28기) | 1945년 12월 1일 면직[1] |
제1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남작 | 내각총리대신, 제2복원대신 겸임, 1945년 12월 1일 임명[1] |
해군대신 | 요나이 미쓰마사 | 70px | 해군 대장 (해대 갑종 12기) | 1945년 12월 1일 면직[1] |
제2복원대신 | 시데하라 남작 기주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남작 | 내각총리대신, 제1복원대신 겸임, 1945년 12월 1일 임명[1] |
사법대신 | 이와타 주조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 |
문부대신 | 마에다 다몬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성회) | |
후생대신 | 아시다 히토시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자유당 | |
농림대신 | 마쓰무라 겐조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진보당 | |
상공대신 | 오가사와라 산쿠로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진보당 | |
운수대신 | 다나카 다케오 | 70px | 중의원 (무소속→) 일본진보당 | |
국무대신 | 고바야시 이치조 | 70px | 귀족원 무소속 (무소속구락부) | 전재부흥원 총재[4][5] |
국무대신 | 마쓰모토 조지 | 70px | 귀족원 무소속 (무소속구락부) | 헌법 문제 조사 위원회 위원장 |
국무대신 | 쓰기타 다이자부로 | 70px | 귀족원 무소속 (동성회) | 내각서기관장 겸임 |
2. 1. 2. 내각서기관장·법제국 장관
무소속(동성회)
무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