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민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민사관은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을 식민 지배하기 위해 한국의 역사를 왜곡한 역사관을 의미한다. 주요 이론으로는 일선동조론, 타율성론, 정체성론 등이 있으며, 일제의 한국 침략과 통치를 정당화하고 한국 민족의 주체성을 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선동조론은 한국과 일본이 같은 조상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을 통해 식민 지배를 합리화했고, 타율성론은 한국사가 외세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다는 점을 강조하며 식민 지배의 불가피성을 주장했다. 정체성론은 한국 사회가 봉건 사회로 발전하지 못해 근대화를 이룰 능력이 없었다고 주장하며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식민사관은 민족사학자들에 의해 비판받았으며, 한국의 역사적 발전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2. 주요 이론

식민사관은 크게 '''일선동조론''', '''정체성론''', '''타율성론'''의 세 가지 주요 이론으로 확립되었다. 이 이론들은 1890년대 초 일본 도쿄제국대학의 관변학자들이 만선사관(滿鮮史觀)을 날조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한국사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1] 만선사관은 만주가 한반도 역사의 일부가 아니라 오히려 한반도 역사가 만주사의 일부라고 하여 만주사에 대한 종속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후 일본은 신공황후(神功皇后)의 신라정벌설, 임나일본부설 등을 주장하고 이를 계승한 일선동조론을 만들어 식민지 침략을 정당화하고 민족말살정책의 논리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한국 사회가 봉건제 사회를 경험하지 못해 자력으로 근대화를 이룰 수 없는 낙후된 사회라는 정체성론을 주장했다.

정체성론과 타율성론은 식민사관의 핵심적인 역사 인식으로, 일제는 이러한 역사 인식 아래 조선사편수회를 설치하여 《조선사》 편찬을 통해 한국사를 왜곡했다.

이러한 주요 이론들 외에 한민족의 민족성은 분열성이 강하여 항상 내분하여 싸웠다는 '''당파성론'''(黨派性論)과[2] 한국사의 지정학적 위치가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반도에 있어 한국사가 부수성과 주변성을 강하게 띤다는 '''반도사관'''(반도적 성격론)이 있다.[4]

2. 1. 일선동조론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은 한민족이 일본인에게서 갈라진 민족이기 때문에 일본이 한국을 보호하고 도와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한동조론'(日韓同祖論), '동조동근론'(同祖同根論)이라고도 한다. 이 주장으로 일제의 한일합방을 일본이 한국을 위해 배려하고 도운 것으로 꾸몄다.

일선동조론은 1930년대 일제가 내세운 내선일체 사상의 근거가 되었다. 또 일본 제국이 조선을 식민지로 침탈하고 동화정책, 황국신민화, 민족말살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으며, 일선동조론에 만주·몽골을 '동족'으로 끌어들인 '대아시아주의(大亞細亞主義)'는 일제의 만주, 중국 침략을 정당화하는 '대동아공영권'의 근거로 이용되었다.

2. 2. 타율성론

타율성론은 한국사가 외세의 영향으로 전개되었다는 주장으로, 한국사의 주체성을 부정하고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타율성론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수성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중국 대륙에 종속적인 관계라는 것을 주장한다. 일본은 만주를 대륙 침략에 있어 중요한 지역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한국을 만주에 부속시켜 한국인의 주체성을 꺾을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일본은 한국의 역사는 독자적이지 못하고 외세의 간섭과 영향에 의해서 진행되었다고 주장하게 된 것이다. 식민사관은 조선이 타율적이고 종속적인 역사 발전 단계를 거쳤으므로 일제의 조선 식민 지배가 부당하지 않다고 주장하여 타율성론을 뒷받침한다.

2. 3. 정체성론

정체성론(停滯性論)은 한국이 역사적으로 많은 사회적, 정치적 변동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질서나 경제가 전혀 발전하지 못했으며, 근대로의 발전에 필요한 봉건사회가 이룩되지 못하여 근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고대 사회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는 주장이다. 마르크스의 영향을 받은 사회경제사학에서 이른바 '보편적 역사발전단계'는 원시공산제-고대노예제-중세농노제-근대자본제-사회주의로 설명되는데, 식민사학자들은 19세기 말 ~ 20세기 초 한국의 사회, 경제 체제의 수준이 일본의 고대 사회 말기인 10세기경 후지와라(藤原) 시대, 곧 고대노예제 사회와 비견된다고 주장하며 조선의 봉건제 결여론을 펼쳤다. 식민사학자들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일본의 조선 식민 지배가 고대 노예제 수준에 머물러 있던 조선의 사회, 경제 체제를 곧바로 근대 자본제로 빠르게 발전시켰다는 주장을 폈다.

2. 3. 1. 정체성론에 대한 반론 (사회경제사학)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사회경제사학자들은 서양의 역사 발전 단계를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 역사가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겪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조선 후기에 이미 자본주의가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자본주의 맹아론'을 제시하며 정체성론을 비판했다. 대표적인 사회경제사학자인 백남운은 고려시대의 노비 제도가 외국의 봉건제도와 유사하다고 보았고, 조선 후기를 '상품화폐 경제가 태동하며 자본주의가 발달하는 시기'로 규정했다.

2. 4. 당파성론

당파성론은 한국인이 늘 당파 싸움만 일삼았다는 주장으로, 한국인의 민족성을 폄하하고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1] 이는 한민족이 분열성이 강하고, 혈연, 학연, 지연에 따른 배타성과 당파성 때문에 정쟁만 일삼아 정치, 사회적으로 혼란을 야기하여 결국 조선이 멸망했다는 주장이다.

당파성론은 1907년 일본 학자 시데하라(幣原坦|폐원탄일본어)가 처음 주장했다. 그는 선조부터 영조까지의 정치사를 다룬 이건창의 《당의통략》을 근거로 들었으나, 이는 성리학과 양반 중심 정치를 비판하려는 책의 목적을 무시한 인용이었다.[2] 1919년 3.1운동 이후 오다 쇼고, 세노 마구마(瀨野馬熊|뢰야마웅일본어), 아소 우미(麻生武龜|마생무구일본어) 등이 '문화 정치'의 일환으로 당파성론을 더욱 구체화했고, 심지어 한국인 학자들마저 이를 비판 없이 수용하기도 했다.[3]

2. 4. 1. 당파성론에 대한 반론

조선의 붕당 정치는 후기에 갈수록 변질된 것은 사실이나, 일제가 주장한 당파성론은 변질된 붕당 정치에 대해서만 지나치게 확대 해석한 것이다. 조선의 붕당은 오히려 왕의 권력 남용을 견제하는 기능을 가졌으며, 이는 오늘날의 정당과 유사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매우 발전된 정치 형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 정치 집단의 형성은 어느 나라에서나 있었으며, 현재 알려진 사실도 식민사학자에 의해 과장되고 왜곡된 점이 많다. 또한, 변질된 붕당 정치를 억제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한 영조·정조 시대 이후 세도 정치가 등장하고 나서야 오히려 조선 사회는 이전의 붕당 정치 사회보다 더 부패하고 쇠퇴하였다.[1]

2. 5. 반도적 성격론 (반도사관)

'''반도적 성격론''' 또는 '''반도사관'''은 한국사 무대가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반도에 위치하여 한국사가 부수성과 주변성을 강하게 띠고 있다는 주장이다. 즉 한국사는 중국 본토, 만주, 일본으로부터 오는 세 세력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이다. 이 이론을 주장한 도리야마 기이치(烏山喜一|도리야마 기이치일본어) 등의 학자는 한반도가 지리적으로 거대한 대륙 국가인 중국에 붙어 있어 숙명적으로 외세의 영향을 받게 되어, 결국 타율적일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4]

참조

[1] 서적 고등학교 국사 (주)두산 2004-03-01
[2] 잡지 당파성론 비판 일조각 1987
[3] 잡지 당파성론 비판 일조각 1987
[4] 잡지 반도적 성격론 비판 일조각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