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주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동주는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1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다. 선수 시절 삼성 라이온즈와 KIA 타이거즈에서 활약했으며, '불꽃 남자'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2007년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 골프 연습장을 오픈하여 운영했고, 2012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기록원으로, 2014년부터는 2군 타격코치를 맡았다. 통산 17시즌 동안 0.272의 타율, 110홈런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미중학교 (경북) 동문 - 임상현 (야구 선수)
임상현은 김천신일초, 구미중, 대구상원고를 졸업하고 2024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두산 베어스전에서 데뷔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구미중학교 (경북) 동문 - 손기현
손기현은 대한민국의 교육기관을 졸업했으며, 선수 경력과 통산 기록은 현재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 구미초등학교 (경북) 동문 - 김성조
김성조는 1958년생으로 영남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양전자화학 대표이사와 경상북도의회 의원을 거쳐 제16대 국회의원으로 3선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한나라당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국립 한국체육대학교 총장을 지냈고 현재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구미초등학교 (경북) 동문 - 이태현 (씨름인)
이태현은 씨름 선수로 천하장사 3회, 백두장사 18회 우승을 차지하고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용인대학교 교수로 재직한다. - 한국 프로 야구 100홈런 클럽 - 카림 가르시아
카림 가르시아는 멕시코 출신의 야구 선수로, MLB, NPB, KBO 등 여러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롯데 자이언츠에서 타점왕과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고, 현재는 지도자로 활동한다. - 한국 프로 야구 100홈런 클럽 - 김봉연
김봉연은 군산상고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실업 야구 선수로 활동하다가 KBO 리그 원년 홈런왕을 차지하며 1980년대 해태 타이거즈의 간판 타자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지도자, 대학교수이다.
신동주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신동주 |
원어명 | Shin Dong-Joo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
신장 | 183 |
체중 | 83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중견수, 우익수, 지명타자 |
프로 입단 연도 | 1991년 |
첫 출장 | KBO / 1992년 |
마지막 경기 | KBO / 2006년 5월 3일 잠실 대 두산전 |
획득 타이틀 | 1999년 20-20 클럽 |
선수 경력 | |
선수 경력 | 삼성 라이온즈 (1991년 ~ 2000년, 2004년 ~ 2005년) KIA 타이거즈 (2001년 ~ 2003년, 2005년 ~ 2006년) |
코치 경력 | |
코치 경력 |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2014년) 삼성 라이온즈 타격코치 (2015년 ~ 2017년)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타격코치 (2018년 ~ 2019년) |
프런트 경력 | |
프런트 경력 | 삼성 라이온즈 전력분석원 (2012년 ~ 2013년) |
2. 선수 시절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1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1년까지 삼성에서 활동하다 트레이드를 통해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 2003년 시즌 후 FA 보상 선수로 지명되어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했으나, 2005년 시즌 중 다시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다. 2006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1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 데뷔 후 삼성에서 활동하다가 2001년 당시 해태 타이거즈의 투수였던 강영식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어 팀을 옮겼다. 이는 1990년대 들어 삼성 라이온즈가 우승에 대한 조급증으로 인해 신동주를 비롯한 대구-경북 지역 출신 스타 선수들을 배척하고 다른 지역 선수들을 영입하기 시작한 흐름의 일환이었다. 당시 신동주 외에도 김상엽, 최익성, 정경훈 등이 팀을 떠났다.[1] 이러한 경향은 이전에도 있었는데,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장효조와 김시진이 트레이드되었고, 삼성의 영웅으로 불리던 이만수 역시 팬들의 환호 없이 쓸쓸하게 은퇴하기도 했다.[2]2. 2. KIA 타이거즈 시절
2001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2. 3. 삼성 라이온즈 복귀
2003년 시즌 후 마해영이 FA를 통해 KIA 타이거즈로 이적하자 보상 선수로 지명되어 돌아왔다.2. 4. KIA 타이거즈 복귀
2005년 시즌 중 투수 최용호를 상대로 다시 트레이드되었다. 2006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은퇴했다.[3]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2007년에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 B&G 골프연습장을 오픈해 운영했으며, 오픈 때 진갑용의 트레이드 상대였던 이상훈을 티칭 프로로 선임하기도 했다.[4] 2012년에 원정 기록원으로 친정 팀에 돌아왔고[5] 2014년부터 2군 타격코치를 맡았다.
4. 별명
현역 시절 '불꽃 남자'라는 별명을 지녔고, 찬스에 매우 강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만루 상황에서 강점을 보여 '만루 홈런의 사나이'로 불리기도 했는데, 통산 홈런 개수가 100개 이상 더 많은 김기태와 만루 홈런 개수(6개)가 같을 정도였다.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비고 |
---|---|---|---|---|---|---|---|---|---|---|---|---|---|---|---|---|---|---|---|
1992 | 삼성 | 0.000 | 9 | 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0 | |
1993 | 0.000 | 4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1994 | 0.188 | 25 | 32 | 3 | 6 | 1 | 0 | 0 | 7 | 0 | 0 | 1 | 1 | 0 | 7 | 1 | 1 | ||
1995 | 0.238 | 115 | 328 | 39 | 78 | 14 | 2 | 5 | 111 | 28 | 23 | 6 | 21 | 8 | 64 | 4 | 3 | ||
1996 | 0.230 | 75 | 174 | 31 | 40 | 9 | 0 | 9 | 76 | 22 | 6 | 5 | 16 | 10 | 37 | 1 | 4 | ||
1997 | 0.326 | 120 | 399 | 79 | 130 | 37 | 1 | 21 | 232 | 66 | 18 | 12 | 34 | 14 | 79 | 3 | 2 | ||
1998 | 0.290 | 78 | 238 | 38 | 69 | 9 | 0 | 13 | 117 | 35 | 11 | 4 | 20 | 13 | 48 | 9 | 0 | ||
1999 | 0.278 | 122 | 431 | 64 | 120 | 9 | 2 | 22 | 199 | 87 | 26 | 5 | 27 | 12 | 102 | 9 | 2 | 20홈런-20도루 | |
2000 | 0.261 | 97 | 310 | 53 | 81 | 14 | 0 | 12 | 131 | 52 | 17 | 4 | 26 | 13 | 80 | 3 | 2 | ||
2001 | KIA | 0.284 | 116 | 387 | 64 | 110 | 24 | 1 | 11 | 169 | 52 | 13 | 8 | 33 | 10 | 58 | 5 | 5 | |
2002 | 0.311 | 81 | 244 | 34 | 76 | 9 | 1 | 7 | 108 | 33 | 6 | 2 | 24 | 3 | 59 | 8 | 7 | ||
2003 | 0.263 | 95 | 205 | 29 | 54 | 8 | 1 | 8 | 88 | 31 | 1 | 2 | 26 | 3 | 47 | 5 | 0 | ||
2004 | 삼성 | 0.219 | 73 | 105 | 11 | 23 | 5 | 1 | 2 | 36 | 9 | 1 | 2 | 8 | 3 | 26 | 2 | 1 | |
2005 | KIA | 0.094 | 23 | 32 | 2 | 3 | 0 | 0 | 0 | 3 | 0 | 0 | 0 | 1 | 2 | 13 | 0 | 1 | |
2006 | 0.077 | 8 | 13 | 0 | 1 | 0 | 0 | 0 | 1 | 0 | 0 | 0 | 1 | 0 | 7 | 0 | 0 | ||
통산 | 17시즌 | 0.272 | 1041 | 2904 | 447 | 791 | 139 | 9 | 110 | 1278 | 415 | 122 | 51 | 238 | 91 | 629 | 50 | 28 |
참조
[1]
뉴스
"[스포츠 칼럼] 양준혁 붙잡아라"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01-12-05
[2]
뉴스
"[스포츠 칼럼] 양준혁 붙잡아라"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01-12-05
[3]
뉴스
심재학 코뼈 골절, 신동주 방출
https://news.naver.c[...]
OSEN
[4]
뉴스
전 프로야구 선수 신동주, 스크린 골프장 오픈
https://news.naver.c[...]
OSEN
[5]
뉴스
전 삼성 외야수 신동주, 원정 기록원으로 제2의 야구 인생
https://news.naver.c[...]
OS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