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는 신분당선에서 운행하는 중전철 차량으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다. 무인 운전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AUTS 기술을 적용하여 차내 TCMS, 화재 감지 시스템, CCTV 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현재 D01부터 D23까지 총 23개 편성이 운행 중이며, 광교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신사역에서 광교(경기대)역까지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분당선 - 경기철도
    경기철도는 신분당선 2단계 구간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는 회사이며, 신분당선 열차 운행 및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신분당선 · 경기철도 D000호대 전동차를 운행한다.
  • 신분당선 - 네오트랜스
    네오트랜스는 신분당선 및 용인 경전철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회사이며, 2005년 설립되어 신분당선 전 구간과 용인 경전철의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 운영 업무를 수행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분당 차량 사무소에 유치되어 있는 D000계 전동차
분당 차량 사무소에 유치되어 있는 D000계 전동차
차량 이름신분당선 D000계 전동차
노선 색상신분당선
제작 회사현대로템
제작 연도2009년: D01~D02
2010년: D03~D12
2014년: D13~D16
2015년: D17~D20
2020년: D21~D23
운행 회사신분당선
경기철도
용도지하철 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기술 사양
량수6량
M/T비3M 3T
보안 장치CBTC (무인 반자동 운전)
전기 방식교류 25,000V 60Hz 가공 강체 가선 방식
제어 방식VVVF-IGBT(미쓰비시)(현대로템 IPM) 2레벨 1C4M 제어
설계 최고 속도120 km/h
영업 최고 속도CBTC 구간 90(1단계 구간)km/h~120(2단계 구간)
기동 가속도3.0 km/h/s
감속도 (상용 최대)3.5 km/h/s
감속도 (비상)4.5 km/h/s
구동 장치유도전동기
전동기 출력240 kW
편성 출력2,880 kW (4,680 마력)
전장19,500 mm
편성 길이117.850 m
전폭3,120 mm
전고3,600 mm
차량 중량229.5 t
궤간1,435 mm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2. 도입 배경

신분당선 개통에 따라 제작된 차량으로, 2010년부터 2011년까지 1차분 6량 12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광교역까지의 연장에 대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차분 6량 8개 편성이 도입되었고, 2020년에는 신사역까지의 연장에 대비하여 3차분 6량 3개 편성이 도입되었다[1]

차체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으며, 전면에는 대형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상문은 관제실에서 원격으로 개방이 가능하며, 휠체어 이용도 고려되었다. 승강문은 플러그식이다.

보안 장치에는 한국 최초로 CBTC에 의한 무인 운전 시스템이 탑재되어, 통상적인 영업 운전은 완전 자동 운전으로 실시되지만,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동승하고 있으며, 비상시에는 수동 운전이 가능하다. 경전철 등을 제외하면 대형 차량 유일의 무인 운전 시스템 탑재 차량이다.

광교차량사업소가 준공될 때까지 분당선분당차량사업소를 잠정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분당 차량 사업소로의 입출고에 필요한 분당선용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도 탑재하고 있다.

주간 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 방식이지만, 통상적으로는 격납되어 있으며, 수동 운전시에만 사용된다[2]

2. 1. 1차 도입 (2010년~2011년)

2011년 10월 28일 강남~정자 구간 개통 직전에 도입되었다.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영등포역을 경유하여 안산역으로 갑종회송된 후, 수서차량기지를 경유하여 분당선 연결선로를 통해 분당차량사업소로 이송되었다.

신분당선 개통에 따라 제작된 차량으로, 2010년 4월 11일부터 2011년 1월 22일까지 1차분(신분당선 주식회사 소유) 6량 12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2. 2. 2차 도입 (2014년~2015년)

2016년 1월 30일 정자~광교 구간 개통을 앞두고 도입되었다.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두 가지 방식으로 도입됐는데, D13~D14편성은 의왕역으로 갑종회송된 후 트레일러에 적재되어 광교차량기지로 을종회송되었고, D15~D20편성은 왕십리역으로 갑종회송된 후 정자역 연결선로를 통해 광교차량사업소로 이송되었다.

광교역까지의 연장에 대비하여, 2014년 9월 22일부터 2015년 5월 7일까지 2차분(경기철도 소유) 6량 8개 편성이 도입되었다.[1]

2. 3. 3차 도입 (2020년)

2022년 5월 28일 강남~신사 구간 개통을 앞둔 시점에 3차분(신서울철도 소유) 6량 3개 편성이 도입되었다.[1]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2가지 방식으로 도입됐는데, D21~D22편성은 2020년 7월 20일9월 9일일로역으로 1차 갑종회송된 후 시운전을 하다가 동년 11월 17일12월 1일왕십리역으로 2차 갑종회송되어 정자역 구내 연결선로를 통해 광교차량기지로 이송됐고, D23편성은 2020년 11월 22일왕십리역으로 갑종회송되어 똑같은 경로로 이송됐다.

3. 기술적 사양

중전철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신분당선에 도입된 무인운전 환경을 고려하고 신기술을 도입하여 제작된 차량으로서 기술시험전동차 AUTS의 기술이 다수 사용되고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출입문은 플러그 인 방식을 채택하여 차음성과 기밀성이 향상되었다.

광교 차량 사업소가 준공될 때까지 분당선의 분당 차량 사업소를 임시로 사용하고 있으며, 분당 차량 사업소로의 입출고에 필요한 분당선용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도 탑재하고 있다.

3. 1. 차체 및 디자인

2010년 4월 11일부터 2011년 1월 22일까지 신분당선 개통에 따라 1차분(신분당선 주식회사 소유) 6량 12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광교역 연장에 대비하여 2014년 9월 22일부터 2015년 5월 7일까지 2차분(경기철도 소유) 6량 8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2022년 신사역 연장에 대비하여 2020년에 3차분(신서울철도 소유) 6량 3개 편성이 도입되었다[1]

차체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으며, 전면에는 대형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다. 비상문은 관제실에서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휠체어 이용도 가능하다. 승강문은 플러그식이다.

보안 장치로는 한국 최초로 CBTC에 의한 무인 운전 시스템이 탑재되어, 통상적인 영업 운전은 완전 자동 운전으로 실시되지만,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동승하며, 비상시에는 수동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경전철 등을 제외하면 대형 차량 중 유일하게 무인 운전 시스템을 갖춘 차량이다.

주간 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 방식이지만, 통상적으로는 격납되어 있으며, 수동 운전시에만 사용된다[2]

3. 2. 무인 운전 시스템

신분당선은 전 구간에 RF-CBTC를 사용한 무인운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기본적인 차량 시스템은 차내의 VOBC라는 차상 신호장치가 지상의 VCC 관제 시설과 통신하여 열차 간격과 운행 지령을 통제한다. VOBC는 차내의 TCMS를 통해 차량 상태를 파악하고 차량의 이상 발생 시 이를 관제사에게 통보하며, 관제사는 통신 지령을 통해 조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실이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평시 운행 때는 제어대를 덮개로 덮고 운행되며, 필요시 기관사 업무를 수행하는 안전요원이 항상 승차해 비상시를 대비한다. 제어대 내부에는 일반적인 전동차의 운전 제어 기기가 있으며 접이식 간이 의자도 내장되어 있다.

보안 장치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CBTC에 의한 무인 운전 시스템이 탑재되어, 통상적인 영업 운전은 완전 자동 운전으로 실시되지만,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동승하고 있으며, 비상시에는 수동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경전철 등을 제외하면 대형 차량 유일의 무인 운전 시스템 탑재 차량이다.[2]

3. 3. AUTS 기술 적용

2010년 가을에 제작된 기술시험전동차인 AUTS에 도입된 일부 기술들이 본 전동차에 먼저 도입되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 싱글암 팬터그래프 및 소형 경량화된 MCB
  • WTB와 MVB통신체계가 적용된 신형 TCMS
  • 화재감지 시스템 및 CCTV 설비
  • 통합형 HVAC

3. 4. 실내 구성

선두차 각 전두부에는 관제실의 지령에 따라 유압으로 작동되는 비상 탈출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휠체어 이용이 가능하다. 실내는 주황색과 파란색으로 나뉜 모켓시트가 설치된 롱시트 구조이다. 출입문 좌우 측면에는 열림 방향을 표시하는 LED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내등 또한 모두 LED 방식이다. 신분당선주식회사의 전동차는 백열 전조등과 램프 형식의 차내 노선도를 사용하고, 후기에 반입된 경기철도 전동차는 백열 전조등 대신 LED 등과 디지털 모니터 형식의 차내 노선도를 사용한다.

4. 운용 현황

현재 모든 차량은 광교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일부는 분당차량사업소에서 경·중정비 및 검수를 위탁받아 운영한다.[1]

4. 1. 배속

D01~D23편성은 광교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6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열차는 경·중정비 및 검수를 위해 분당차량사업소에서 위탁 운영을 받기도 한다.[1]

4. 2. 운행 구간

신분당선 신사역 - 광교(경기대)

4. 3. 분당선 구간 운행

신분당선 정자역 - 광교역 구간 개통 및 광교차량기지 완공 이전까지 신분당선주식회사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분당차량기지에서 검수를 위탁받았다. 미금역 - 정자역 간 연결선을 통해 입출고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일부 경·중정비 및 검수를 위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열차에는 AT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때에는 기관사가 탑승해 직접 수동 운전하며 여객은 취급하지 않았다. 광교 차량 사업소가 준공될 때까지 분당선의 분당 차량 사업소를 잠정적으로 사용했으며, 분당 차량 사업소로의 입출고에 필요한 분당선용 ATC도 탑재하고 있다.[2]

5. 편성

(Tc1)D2XX
(M1)D3XX
(M2)D4XX
(T)D7XX
(M1)D0XX
(Tc2)광교 방향 →



편성 번호는 4자리 차량 번호 중 호차를 의미하는 백의 자리를 제외한 3자리로 표현한다. (예: 1호차가 D101인 편성 = D01 편성) 8량 편성에 대비하여 D500형, D600형은 결번이다.

 신사 - 광교 
호차123456제작 연도소유 회사
형식D100형D200형D300형D400형D700형D000형
구분Tc1M1M2TM1Tc2
차량 번호D101

D110
D201

D210
D301

D310
D401

D410
D701

D710
D001

D010
2010년신분당선
D111
D112
D211
D212
D311
D312
D411
D412
D711
D712
D011
D012
2011년
D113
D114
D213
D214
D313
D314
D413
D414
D713
D714
D013
D014
2014년경기철도
D115

D120
D215

D220
D315

D320
D415

D420
D715

D720
D015

D020
2015년
D121

D123
D221

D223
D321

D323
D421

D423
D721

D723
D021

D023
2020년신서울철도


참조

[1] 웹사이트 국가철도공단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4-10-12
[2] 문서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