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십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십리역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독도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명 변경을 거쳤다. 현재 서울 지하철 2호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ITX-청춘이 운행하며, 2026년 동북선이 개통되면 5개 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2008년 민자역사 비트플렉스가 개장하여 쇼핑몰, 영화관 등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대학교,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의 전철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성동구의 전철역 - 상왕십리역
    상왕십리역은 1983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2014년 열차 추돌 사고가 발생했고 신당역과 왕십리역 사이에 위치한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왕십리역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왕십리 (성동구청)
로마자 표기Wangsimni (Seongdong-gu Office)
한자 표기往十里 (城東區廳)
주소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1동 246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개업일1983년 9월 16일 (2호선)
1995년 11월 15일 (5호선)
2011년 10월 15일 (경의·중앙선)
2012년 10월 6일 (수인·분당선)
승강장6개
선로8개
노선2호선
5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2호선 역명판
5호선 역명판
경의중앙선 역명판
수인분당선 역명판
역 정보 (서울교통공사)
역 번호 (2호선)|208}}
역 코드 (2호선)|0208}}
역 번호 (5호선)|540}}
역 코드 (5호선)|2541}}
영업 거리 (2호선)시청 기점 5.7 km
영업 거리 (5호선)방화 기점 30.8 km
이전 역 (2호선)상왕십리
다음 역 (2호선)한양대
이전 역 (5호선)행당
다음 역 (5호선)마장
역 정보 (한국철도공사)
역 번호 (경의·중앙선)|K116}}
역 번호 (수인·분당선)|K210}}
소속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청량리관리역
등급3급
영업 거리 (경의·중앙선)용산 기점 10.3 km
영업 거리 (수인·분당선)청량리 기점 2.4 km
이전 역 (경의·중앙선)응봉
다음 역 (경의·중앙선)청량리
이전 역 (수인·분당선)청량리
다음 역 (수인·분당선)서울숲
노선별 정보
경의·중앙선 운행 계통노선:
전역: K115 응봉
전방면: 문산
전거리: 1.4
후역: K117 청량리
후방면: 지평
후거리: 2.4
노선:
종별: 경의선
전역: K115 응봉
전방면: 문산
전거리: 1.4
후역: K117 청량리
후방면: 용문
후거리: 2.4
노선:
종별: 중앙선
전역: K114 옥수
전방면: 문산
전거리: 3.2
후역: K117 청량리
후방면: 용문
후거리: 2.4
노선: 경춘선
종별:
전역: K114 옥수
전방면: 용산
전거리: 3.2
후역: K117 청량리
후방면: 춘천
후거리: 2.4
수인·분당선 운행 계통노선:
전역: K209 청량리
전방면: 청량리
전거리: 2.4
후역: K211 서울숲
후방면: 인천
후거리: 2.2
노선:
종별: 분당선
전역: K209 청량리
전방면: 청량리
전거리: 2.4
후역: K211 서울숲
후방면: 고색
후거리: 2.2
이용 정보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2호선: 35,958명
5호선: 12,460명
경의·중앙선: 21,298명 (수인선 포함)
다국어 표기
한국어왕십리(성동구청)
영어Wangsimni(Seongdong-gu Office)
한자往十里(城東區廳)
중국어往十里
일본어往十里(ワンシムニ)

2. 역사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개통과 함께 '독도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14년 4월 11일 현재의 역명인 '''왕십리역'''으로 변경되었다. 1978년 12월 9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었고, 1983년 9월 16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성수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1995년 11월 15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왕십리~상일동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운행을 개시하였고, 2012년 10월 6일 분당선 선릉~왕십리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2년 11월 1일부터 ITX-청춘 열차가 평일에 한하여 정차하기 시작, 2014년 11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모든 요일에 정차하게 되었다.[14]

2014년 12월 18일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의 왕십리역 역명이 '''왕십리(성동구청)역'''으로 변경되었다.[15]

2026년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되면 5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2. 1. 한국철도공사 (1911~현재)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의 철도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8] 1913년 2월 11일에는 화물 취급을 시작하였다. 1914년 4월 11일 '''왕십리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으로 지정되었으나,[9] 1977년 5월 16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11] 1993년 2월 15일 무연탄화물 도착 취급역 지정도 취소되었다.[13]

1978년 12월 9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전신인 용산역성북역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2005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분리되기 전까지 해당 계통이 운행되었다.

2008년에는 민자역사가 일부 개장하여 이마트와 복합 쇼핑몰 엔터식스 등이 입점하였고,[12] 2009년 12월 1일에는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0년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2년 11월 1일부터 ITX-청춘 열차가 평일에 한하여 정차하기 시작하였으나, 2014년 11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모든 요일에 정차하게 되었다.[14] 2012년 12월 1일에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중앙선이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어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ITX-청춘 열차가 정차하고 있으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노선 명칭상 경원선이지만, 운행 계통상으로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안내된다. 역 번호는 '''K116'''이다.

  • 연혁

날짜내용
1911년 10월 15일독도역(纛島驛,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1913년 2월 11일화물 취급 개시
1914년 4월 11일왕십리역으로 역명 변경
1971년 9월 10일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8]
1977년 5월 16일수소화물 취급 중지[9]
1978년 12월 9일수도권 전철 개통
1993년 2월 15일무연탄화물 도착 취급역 지정 취소[11]
2005년 12월 15일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 역번호 K126에서 K116으로 변경
2005년 12월 16일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 개시
2008년 9월 12일민자역사 일부 개장 (이마트, 엔터식스 (스카이 라운지 제외), 4층 푸드코트 <테라스>)
2008년 9월 19일민자역사 영업개시
2009년 12월 1일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0년경의·중앙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2012년 11월 1일ITX-청춘 평일 1일 왕복 3편성 정차
2012년 12월 1일화물 취급 중지[13]
2014년 11월 1일ITX-청춘 1일 왕복 3편성 정차[14]
2014년 12월 27일중앙선이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노선명 변경


  • 승강장


2. 2. 서울교통공사 (1983~현재)

2. 3. 향후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완공되면 서울 경전철 동북선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3. 역 구조

왕십리역은 14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위치하며, 각각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2호선 개찰구는 지하 1층에 동쪽과 서쪽에 있으며, 내선·외선 승강장별로 나뉘어 있다. 5호선 개찰구는 지하 1층에 1곳 있으며, 다이소가 근처에 있다. 서울교통공사 관할 출구는 1번부터 11번까지, 그리고 6-1번을 포함하여 총 12개이다.[1]

한국철도공사 관할 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승강장은 지상역(고가역)으로, 비트플렉스라는 역빌딩 내부에 있다.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비트플렉스에는 성동광장, 엔터식스, CGV, 아이맥스 영화관, 식당, 이마트, 워터파크, 실내 골프장 등이 있다. 개찰구는 2층에 1곳, 환승 통로는 지하에 있다. 한국철도공사 관할 출구는 12번과 13번, 총 2개이다.[1]

3. 1.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

왕십리역의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내선과 외선 순환 열차가 운행되며, 성수, 잠실, 삼성 방면과 을지로입구, 홍대입구, 신도림 방면으로 운행된다. 모든 승강장에는 풀스크린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개찰구는 지하 1층에 동쪽과 서쪽 2곳에 있으며, 내선·외선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다. 서울교통공사 관할 출구는 1번부터 11번까지, 그리고 6-1번을 포함하여 총 12개가 있다.[1]

왕십리역 2호선 승강장
승강장노선행선지
내선순환-- 2호선성수·종합운동장·삼성·서울대입구·신도림 방면
외선순환-- 2호선을지로입구·홍대입구·신도림 방면



2호선 승강장

3. 2.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

왕십리역 5호선 승강장에는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첫차와 막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안내상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서쪽 방향여의도, 김포공항, 방화, 청구 방면
동쪽 방향군자, 천호, 마천, 강동 방면



왕십리역 승강장
승강장노선행선지
상행-- 5호선여의도·김포공항·방화 방면
하행-- 5호선군자·천호·상일동·마천 방면


3. 3.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회기역, 오이도역과 비슷하게 양 노선이 각각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사용되므로 평면 환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간 환승 시 횡단해야 한다.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까지 운행하는 수인분당선은 출발하자마자 지하로 진입하며, 청량리역 방면으로 향하는 수인·분당선 상행 전철은 경원선 선로와 수인·분당선 간의 연결선이 설치되어 이 역과 청량리역간의 선로는 연결되어 운행된다.[17]



4. 역명

이 역은 본역명과는 다르게, 왕십리동이 아닌 행당동에 있다. 이 역에서 성동소방서 행당119 안전센터 방향에 왕십리동이 있다.

'''왕십리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명, '''왕십리(성동구청)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명으로, 2호선과 5호선의 역명 중 성동구청은 병기역명이다.

1911년 경원선철도역으로 먼저 개업하였고, 1978년부터 경원선을 경유하여 용산역성북역 구간을 다니는 용산~성북 운행 계통이 운행되었다. 이후 1983년서울 지하철 2호선1995년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05년 용산~성북 운행 계통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2012년에는 분당선의 시·종착역이 되었다. 2012년 11월 1일부터 ITX-청춘 열차가 평일에 한하여 정차하였으나, 2014년 11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모든 요일에 정차한다. 추후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완공되면 서울 경전철 동북선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5. 민자역사 비트플렉스

2008년 민자역사 '''비트플렉스'''로 탈바꿈하였다. 비트플렉스에는 야외시설인 성동광장과 더불어 의류 쇼핑몰 엔터식스를 포함하여 CGV, IMAX 영화 상영관, 각종 레스토랑, 대형마트 (이마트), 가전, 기타 (일렉트로마트), 드러그스토어 (롭스), 생활용품 (아트박스, 아성다이소), 웨딩몰, 실내 골프장 등이 있다.[1]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2]


  • CGV 아이맥스: 한국에서 가장 큰 아이맥스 스크린을 갖춘 영화관
  • 포시즌: 서울 도심 유일의 워터파크
  • 엔터식스: 한국 최대 규모의 의류 쇼핑몰
  • 이마트
  • 돔골프: 실내 골프장

6. 역 주변

왕십리역 주변 주요 시설
공공기관 및 시설상업 시설교육 기관


  • 6번 출구
  • 살곶이공원

7. 이용객 변동

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은 개찰구를 공유하므로 수인·분당선의 모든 승차량은 경의·중앙선의 것으로 간주한다.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8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18]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호선(중앙선)승차1,4092,8351,4681,4413,1746,1166,2876,3146,7338,586[18]
하차1,2028701,3561,4313,2975,4775,7395,8016,2708,226
2호선승차12,90613,39813,62513,43014,19014,74315,29215,32716,13517,194[19]
하차10,52010,66211,02110,93511,66512,26512,46412,68813,73214,139
승하차23,42624,06024,64624,36525,85527,00827,75628,01529,86831,334
5호선승차5,0105,0474,9055,0405,2255,4675,4465,3125,4835,576[19]
하차5,4405,3895,1885,1545,4185,7105,6995,5725,8836,528
승하차10,45010,43610,09310,19410,64311,17711,14510,88411,36612,105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경의·중앙선승차9,75210,35412,12618,41519,63620,09320,24720,01519,73719,72813,95413,84315,806[18]
하차9,4099,96411,80917,88718,94619,36419,56219,54619,07319,04113,83213,67015,581
2호선승차18,44919,45619,99220,72721,07520,69420,66220,14219,909빈칸빈칸빈칸빈칸[19]
하차14,85715,63216,21717,22017,44717,44117,25516,31816,221빈칸빈칸빈칸빈칸
승하차33,30635,08836,20937,94738,52238,13537,91736,46036,130빈칸빈칸빈칸빈칸
5호선승차5,7485,7145,7115,5405,4595,2335,2085,2095,209빈칸빈칸빈칸빈칸[19]
하차6,7297,0206,9836,5576,5916,3396,2366,1566,123빈칸빈칸빈칸빈칸
승하차12,47712,73512,69412,09712,05011,57211,44411,36511,332빈칸빈칸빈칸빈칸
ITX-청춘승차미개통116199260319316328402433386419빈칸[18]
하차158264345414411442530572504520빈칸


8. 인접한 역

경춘선옥수역용산 방면청량리역춘천 방면경원선본선 완행응봉역문산 방면청량리역지평 · 용문 방면경원선중앙선 급행옥수역문산 방면청량리역용문 방면경원선 · 수인·분당선완행
(출발 전용)청량리역청량리 방면서울숲역인천 · 고색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Wiki
[3] 웹사이트 왕십리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8-30
[4] 웹사이트 왕십리역 https://terms.naver.[...] 철도역 정보 2019-07-19
[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6]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7] Wiki
[8]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37호 1971-09-09
[9]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0호 1977-05-07
[10]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http://event.seoul.g[...] 1983-06-30
[11]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3-13호 1993-02-13
[1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http://gwanbo.mois.g[...] 2012-09-18
[13]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853호 http://gwanbo.mois.g[...] 2012-12-05
[14] 웹사이트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길라잡이 중 ITX-청춘 시각표 확인
[15]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36호 http://event.seoul.g[...] 2014-12-18
[16] 뉴스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https://news.naver.c[...]
[17] Wiki
[1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1
[19]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