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폐 표면 활성제의 발달적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미숙아에게서 나타난다. 이 질환은 폐포의 붕괴를 유발하여 호흡 곤란, 빠른 호흡, 청색증 등의 증상을 보인다. 진단은 임상 증상, 흉부 X-선 검사, 혈액 가스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폐 표면 활성제 보충 요법과 호흡 보조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조산 위험이 있는 산모에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예방할 수 있으며, 미숙아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RDS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폐포액 흡수 지연이 원인이며,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집중 치료 의학 - 산소 중독
    산소 중독은 고농도의 산소 흡입으로 발생하는 유독한 상태로, 폴 베르의 연구로 밝혀진 후 초고압 산소요법 발전과 함께 폐, 중추신경계, 눈 등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었으며, 발작, 염증, 미숙아 망막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수중 잠수, 고압산소치료, 의료적 산소 공급 등이 원인이 되며, 현재 산소 분압 조절, 노출 시간 단축, 항산화제 등을 통한 관리 및 치료법이 연구 중이다.
  • 집중 치료 의학 - 글래스고 혼수척도
    글래스고 혼수척도는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을 평가하여 의식 수준을 측정하는 신경학적 척도로, 총점 3점에서 15점으로 표시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의식 수준이 낮고, 뇌 손상 환자 평가에 널리 사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일본 혼수척도와 함께 사용되고 2세 미만 어린이는 소아 글래스고 혼수척도를 사용한다.
  • 호흡기 질환 - 천식
    천식은 만성적인 기도 염증으로 쌕쌕거림,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폐활량 검사로 진단하며, 유발 요인 회피와 약물 요법으로 증상 조절 및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하다.
  • 호흡기 질환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증후군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증후군 - 수근관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터널 내 정중신경 압박으로 인해 저림, 통증을 유발하며 유전적 요인, 당뇨병, 반복적인 손목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질병 개요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흉부 엑스레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IRDS)의 흉부 엑스레이, 미세한 과립상 불투명도, 기관지 공기 조영, 종 모양 흉곽
다른 이름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신생아 호흡기 질환
식별
ICD-10P22
ICD-9769
OMIM267450
메들린플러스 (MedlinePlus)001563
eMedicine 주제emerg/15
DiseasesDB6087
MeSHD012127
추가 정보
영어 명칭Infan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RDS)

2. 병태 생리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RDS)은 주로 폐의 미성숙, 특히 폐 표면 활성제(Pulmonary surfactant)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폐 표면 활성제는 폐포 내부 표면의 표면 장력을 낮춰 폐가 쉽게 팽창하고 호기 시 폐포가 완전히 찌그러지는 것을 막는 중요한 물질이다.

폐 표면 활성제는 II형 폐포 세포(Type II pneumocyte)에서 생성되는 지질, 단백질, 당단백질 복합체로, 세포 내에서 층상체(Lamellar body) 형태로 만들어져 폐포 공간으로 분비된다. 분비된 표면 활성제는 폐포 표면을 덮어 표면 장력을 줄인다. 표면 장력은 폐를 수축시키려는 힘의 약 2/3를 차지하므로, 이것이 감소하면 숨을 내쉴 때 폐포가 완전히 닫히는 것을 막고, 숨을 들이쉴 때 더 적은 힘으로 폐포를 열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미숙아 등 폐가 미성숙한 신생아는 폐 표면 활성제를 충분히 생성하지 못한다. 특히 당뇨병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는 인슐린의 영향으로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12] 폐 표면 활성제가 부족하면 폐포의 표면 장력이 높아져 호기 시 폐포가 쉽게 허탈(atelectasis)되고, 다시 팽창시키기 어려워져 호흡 곤란이 발생한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폐 표면 활성제가 부족한 폐는 허탈된 폐포와 과도하게 팽창된 폐포가 번갈아 나타나며 혈관 울혈 소견을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 폐포 내벽에 유리질 막(Hyaline membrane)이 형성되는데, 이는 피브린, 세포 찌꺼기, 적혈구 등으로 구성되어 가스 교환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산소 농도는 낮아지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높아져 저산소증과 산증이 발생한다. 폐 자체의 구조적 미성숙(가스 교환 단위 감소, 폐포벽 비후)도 증상을 악화시킨다.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산소 요법이나 양압 환기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미성숙한 폐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2. 1. 위험 요인

폐의 미성숙으로 인해 폐 계면활성제가 부족해지면 폐 컴플라이언스가 낮아져 폐포가 찌그러지고 폐 혈관 저항이 증가하는 상태가 된다. 보통 생후 2~3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주요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미숙아, 특히 출생 시 재태 주수 32주 미만인 경우 (폐 계면활성제는 보통 재태 34주 이후에 생산됨)
  • 출생 체중 1500g 미만의 극 저체중 출생아
  • 어머니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
  • 제왕 절개로 태어난 아기


또한, 동맥관 개존증(PDA)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3. 임상 양상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주로 출생 직후 또는 수 시간 내에 시작된다. 초기 증상으로는 빠른 호흡(분당 60회 이상), 빈맥(빠른 심박수), 가슴 벽이 움푹 들어가는 흉벽 함몰(retraction), 숨을 내쉴 때 그렁거리는 소리, 코를 벌름거리는 콧구멍 벌렁거림, 호흡 노력 중 피부가 푸르게 변하는 청색증 등이 나타난다.

질병이 진행되면 아기는 혈액 내 이산화 탄소 농도가 증가하는 호흡 부전을 겪거나 호흡을 멈추는 무호흡 증상이 길어질 수 있다. 치료 여부와 관계없이 급성 질환의 임상 경과는 약 2~3일간 지속된다. 첫날에는 상태가 악화되어 더 많은 의료적 지원이 필요하지만, 둘째 날에는 적절한 지원을 통해 상태가 눈에 띄게 안정될 수 있다. 셋째 날에는 빠른 이뇨 작용과 함께 증상이 해결될 수 있다. 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선진국에서 생후 첫 달 내 영아 사망의 가장 흔한 단일 원인으로 남아 있다.

합병증으로는 대사 이상(산증, 저혈당), 동맥관 개존증, 저혈압, 만성적인 폐 변화, 두개 내 출혈 등이 있다. 이 증후군은 조산 및 다른 장기 기능의 미숙과 관련된 문제들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다.[11]

폐가 미성숙하여 폐 계면활성제가 부족해지면 폐의 유연성(컴플라이언스)이 떨어져 폐포가 허탈(collapse)되고 폐 혈관의 저항이 증가하는 병태를 보인다. 발병은 주로 생후 2~3시간 후에 나타난다.

주요 위험 인자는 다음과 같다.

위험 인자설명
미숙아특히 임신 주수 32주 미만 출생 (폐 계면활성제는 보통 34주 이후 생성)
저체중 출생아출생 체중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
모체 당뇨병임신 중 산모의 당뇨병
제왕 절개제왕 절개를 통한 출생



또한, 동맥관 개존증(PDA)이 높은 빈도로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 시 아기에게서 신음 소리, 빠른 호흡 또는 힘든 호흡 양상이 관찰되며,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혈액 가스 분석 검사에서는 동맥혈 산소 분압(PaO2) 감소,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PaCO2) 증가, 산증 소견이 보인다. 흉부 X선 사진에서는 폐 전체에 걸쳐 미만성의 그물 모양 또는 과립 형태의 음영(reticulogranular pattern)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병의 진행 단계(Bomsel 분류)에 따라 II형 이후에는 기관지 내 공기가 보이는 투명한 영상(air bronchogram), IV형에서는 폐가 뿌옇게 보이는 유리 조각 모양(ground-glass opacity) 음영이 관찰될 수 있다.

특징적인 검사로는 양수를 이용한 '''소포 안정성 검사'''(마이크로 버블 테스트)가 있다. 이 검사는 폐 계면활성제가 직경 15μm 이하의 미세 기포(마이크로 버블)를 안정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100배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양수에서 기포 수가 5개/mm2 미만이거나 위액에서 10개/mm2 미만으로 약하게(weak) 나타나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거의 확진할 수 있다.

4. 진단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과 흉부 X선 사진 소견, 혈액 가스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진다.

환아에게서는 신음, 빠른 호흡(빈호흡), 호흡 시 보조 근육을 사용하는 노력성 호흡 등의 호흡 곤란 증상이 관찰되며,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혈액 가스 분석에서는 동맥혈 산소 분압(PaO2) 감소, 이산화탄소 분압(PaCO2) 증가, 그리고 혈액이 산성화되는 산증이 관찰된다.

흉부 X선 사진에서는 특징적인 소견이 나타난다. 폐 용적이 감소하고(종 모양 가슴), 폐 전체에 걸쳐 작고(0.5–1 mm) 균일한 음영이 보이는데, 이를 '미만성 세망 과립상 음영' 또는 '유리 갈린 모양'이라고 묘사한다. 또한, 공기가 차 있는 기관지가 폐의 음영과 대비되어 뚜렷하게 보이는 '기관지 공기 조영술'(air bronchogram) 소견도 특징적이다.[13] 심한 경우에는 폐 전체가 하얗게 보이는 '백색 불투명'(white-out) 양상을 보이며 심장 경계가 불분명해진다. Bomsel 분류 II형 이후에는 기관지 공기 조영술이, IV형에서는 유리 조각상 음영이 관찰된다고도 한다. 출생 후 약 6시간이 지나면 흉선 음영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진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폐 성숙도를 평가하는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양수나 출생 시 얻은 위 흡인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한다.


  • '''소포 안정성 검사''' (마이크로 버블 테스트): 폐 계면활성제가 미세 기포(직경 15μm 이하)를 안정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100배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양수에서 5/mm2 미만, 위액에서 10/mm2 미만이면 폐 미성숙을 시사하여 진단에 도움이 된다.
  • '''층판 소체 수''' (LBC, Lamellar Body Count): 폐 계면활성제를 저장하는 층판 소체의 수를 측정한다.[19]
  • '''레시틴-스핑고미엘린 비율''' (L/S ratio): 폐 성숙도의 지표로 사용되는 레시틴과 스핑고미엘린의 비율을 측정한다.


헨릭 베르더 교수 등은 위 흡인물을 이용한 폐 성숙도 검사법을 연구해왔다.[18][19][20] 최근에는 화학계량학 전문가 아그나르 호스쿨드손과 협력하여 중간 적색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을 이용해 위 흡인물에서 L/S 비율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현장 검사(Point-of-Care test, POC) 방법을 개발했다.[9][21] 이 방법은 출생 직후 계면활성제 치료 필요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22][9]

최근에는 폐 초음파 검사도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숙련된 의료진이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폐 초음파를 시행하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중증도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다.[10] Brat 등이 처음 기술한 반정량적 폐 초음파 점수는 환아의 산소 포화도와 관련이 있으며,[23] 이를 통해 계면활성제 투여 시기를 더 일찍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24][25][26]

5. 치료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치료는 폐 기능 보조와 합병증 관리에 중점을 둔다. 핵심적인 치료법은 부족한 폐 계면활성제(서팩턴트)를 보충하고, 지속적 기도 양압(CPAP)이나 기계 환기 등을 통해 호흡을 돕는 것이다.[27][28] 또한, 혈당, 혈액 내 염분 농도, 혈압 등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맥 주사로 수액을 공급한다.

동맥관 개존증(PDA)이 동반된 경우에는 사이클로옥시게네이스 억제제(인도메타신 등) 투여와 같은 약물 치료나 필요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병행한다. 이는 RDS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5. 1. 치료 방법

산소는 소량의 지속적 기도 양압(CPAP)과 함께 투여되며, 혈당, 혈액 내 염분 농도, 혈압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맥 주사로 수액을 공급한다. 호흡 곤란이 있는 미숙아에게 CPAP를 적용하는 것은 호흡 부전, 기계 환기 필요성,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관련이 있다.[27] 그러나 CPAP는 보조 산소 투여 여부와 관계없이 자발 호흡에 비해 기흉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27]

아기의 상태가 악화되면 기관 내 삽관을 통해 호흡 튜브를 기관에 삽입하고, 기계 장치를 이용해 간헐적으로 호흡을 보조한다. 이때 폐 계면활성제(서팩턴트)의 외인성 제제(합성 또는 동물 폐에서 추출)를 호흡 튜브를 통해 폐로 직접 투여한다. 계면활성제 약물은 입원한 초저체중 출생아의 사망 위험을 30%까지 줄일 수 있다.[28] 이러한 작은 미숙아들은 몇 달 동안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한 연구에서는 perfluoromethyldecalin과 같은 과불화탄소 에어로졸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IRDS) 돼지 모델에서 염증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29] 심각한 RDS를 겪은 아기에게는 기관지폐 이형성증(BPD)을 포함한 만성 폐 질환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산소 치료, 과도하거나 부족한 환기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임신 27주 이상 된 아기의 사망률은 20% 미만이다.

Henrik Verder|헨릭 베르더eng는 미숙아의 호흡 곤란 치료에 효과적인 INSURE(Intubation Surfactant Extubation: 기관 삽관-표면 활성제 투여-발관) 및 LISA(Less Invasive Surfactant Administration: 최소 침습적 표면 활성제 투여) 방법을 개발한 선구자이다. 이 방법들은 비강 CPAP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그는 1989년에 이 방법을 처음 사용하여 심각한 RDS를 앓던 미숙아를 성공적으로 치료했다.[30] 메타 분석 결과, INSURE 방법은 기계 환기 사용을 줄이고 기관지폐 이형성증(BPD) 발생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1] 1989년 고안된 이후 500편 이상의 학술 논문에서 인용되었으며,[32] 1994년과 1999년에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무작위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33][34] Henrik Verder|헨릭 베르더eng는 이후 출생 시 IRDS를 예측할 수 있는 신속 검사법도 개발했다.[8]

체외 막 산소 공급(ECMO)은 폐의 가스 교환 기능을 대신하는 장치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법으로, 중증 호흡 부전 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신생아의 체중이 2kg 미만일 경우, 카뉼라 삽입을 위한 혈관이 너무 작아 혈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ECMO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임신 주수 34주 미만의 미숙아는 여러 생리적 시스템, 특히 뇌 혈관과 생성 모체(germinal matrix)가 미성숙하여 pH, PaO2, 두개 내압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다. 따라서 임신 32주 미만 미숙아에게 ECMO를 시행할 경우 뇌실내 출혈(IVH)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35]

치료의 핵심은 인공 서팩턴트 투여와 호흡 관리이다. 인공 서팩턴트로는 다나베 미쓰비시 제약의 '서팩텐' 등이 사용된다. 서팩텐 1병(120mg)을 생리식염수 4mL에 잘 섞어 현탁액으로 만든 후, 체중 1kg당 120mg(즉, 체중 1kg당 1병)을 생후 8시간 이내에 기관 내로 투여한다. 폐 전체에 약물이 고르게 퍼지도록 4~5회에 나누어 투여하며, 매 투여 시 아기의 자세를 바꿔준다. 서팩텐의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된 바 없다.

만약 동맥관 개존증(PDA)이 함께 있다면, 표준 치료법인 사이클로옥시게네이스 억제제(인도메타신 등) 투여를 병행한다. PDA가 있는 경우 RDS 치료로 폐 혈관 저항이 낮아지면 동맥관을 통한 혈액의 좌→우 션트(shunt)가 증가하여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PDA 치료를 함께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6. 예방

산모에게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하면 계면활성제의 생성이 빨라져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조산 위험이 높은 경우, 태아 폐 성숙 검사 없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하기도 한다. 미국 산부인과 의사 및 산부인과 의사 협회(ACOG), 왕립 의학 대학 등 주요 단체에서는 임신 주수 34주 이전에 조산 위험이 있는 여성에게 산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36]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여러 번 투여하는 것이 단일 투여에 비해 아이의 사망 또는 신경발달 장애 위험을 특별히 높이거나 낮추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37]

임신 30주 이상에서는 양수 천자를 통해 양수 내 계면활성제 양을 측정하여 태아의 폐 성숙도를 미리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분만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주요 검사 방법과 결과 해석은 다음과 같다.

검사 종류설명결과 해석
레시틴-스핑고미엘린 비율 (L/S 비율)레시틴과 스핑고미엘린의 비율을 측정한다.2:1 미만일 경우 태아 폐에 계면활성제가 부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G)양수 내 포스파티딜글리세롤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PG가 존재하면 일반적으로 태아 폐가 성숙했음을 나타낸다.
계면활성제-알부민 비율 (S/A 비율)단백질 1g당 계면활성제의 양(mg)을 측정한다.35 미만: 폐 미성숙
35~55: 불확실
55 이상: 성숙한 계면활성제 생산 (L/S 비율 2.2 이상과 유사)


7. 역학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IRDS)은 미숙아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38] 전체 출산 합병증 중에서는 1% 정도만 차지하지만, 미숙아에게서는 발생 빈도가 훨씬 높다.[39] IRDS 발생률은 재태 연령(GA)과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 즉, 더 일찍 태어난 미숙아일수록 IRDS 발생 위험이 커진다.

재태 연령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발생률
재태 연령 (주)발생률 (%)
2498[41]
28 이하93[39]
3050[39]
345[41]
37< 1[41]



IRDS는 주로 출생 후 몇 시간 안에 진단되며, 미숙아의 이환율과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39] IRDS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남아, 백인, 늦은 미숙아 출산(late preterm birth), 산모의 당뇨병, 주산기 저산소증(낮은 산소 노출) 및 허혈(혈류 감소), 저체중 출생아 등이 있다.[40] 실제로 IRDS로 진단받은 아기 중 70%는 재태 연령 29주에서 34주 사이에 태어났으며, 여아보다 남아가 발생할 가능성이 55% 더 높다.[39]

미국에서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IRDS 유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이애미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미숙아 생존 출생 1,000명당 IRDS 발생 건수는 170건에서 360건으로 늘어났다.[42] 같은 기간 평균 입원 기간도 32일에서 38일로 약 일주일 증가했다.[42]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평균 유병률은 생존 출생 1,000명당 260건으로 나타났으며,[42] 이는 2008년 버몬트 옥스퍼드 네트워크가 보고한 생존 출생 1,000명당 300건과 유사한 수치이다.[43]

8.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과도성 빈호흡영어: '''TTN''')은 과거에 '젖은 폐'(wet lung) 또는 'II형 RDS'라고도 불렸다. 출생 직후 폐포에 남아있는 폐액이나 양수의 흡수가 늦어져 RDS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진단은 생후 6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빠른 호흡(빈호흡, 분당 60회 이상)과 함께 다른 호흡기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빈호흡이 주요 증상이며, 청진 시 호흡음은 비교적 깨끗하게 들린다. 흉부 단순 X선 촬영에서는 폐문 주변의 혈관 음영이 증가하고 폐 말초 부위에 공기가 갇힌 모습(공기 포획)이 관찰될 수 있다. 소포 안정성 검사(shake test)는 일반적으로 양성으로 나타난다.

증상은 RDS와 비슷하지만 발생 원리는 다르며, 일반적으로 30~40% 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는 것만으로 특별한 후유증 없이 회복된다. 또한, 5cmH2O 정도의 압력으로 지속적 기도 양압(CPAP) 치료를 하는 것도 폐액 흡수를 도와 효과적이다. 드물게 폐포에서 혈청 성분이 새어 나와 이차적으로 계면활성제 부족을 일으켜 상태가 심각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RDS와 마찬가지로 계면활성제를 투여하는 치료를 시행한다.

참조

[1] DorlandsDict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ine/20112947
[2] 논문 Pulmonary disease following respirator therapy of hyaline-membrane disease. Bronchopulmonary dysplasia 1967-02-16
[3] 논문 Risk of Early-Onset Neonatal Infection with Maternal Infection or Colonization: A Global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 서적 Essential neonatal medicine John Wiley & Sons
[5] 서적 Neonatal-perinatal medicine: diseases of the fetus and infant Mosby
[6] 논문 Respiratory Distress of the Term Newborn Infant 2013-03-01
[7] 웹사이트 Infan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RDS information https://patient.info[...] 2022-04
[8] 논문 European Consensus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22 Update 2023-03
[9] 논문 Predicting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t birth using a fast test based on spectroscopy of gastric aspirates: 2. Clinical part 2020-02
[10] 논문 Can lung ultrasound score accurately predict the need for surfactant replacement in preterm neona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 2021-07-28
[11] 논문 Respiratory Distress in the Newborn 2014-10
[12] 논문 Insulin inhibits the accumulation of the major lung surfactant apoprotein in human fetal lung explants maintained in vitro
[13] 논문 Early versus delayed selective surfactant treatment for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12-11-14
[14] 논문 Prophylactic or early selective surfactant combined with nCPAP in very preterm infants https://pubmed.ncbi.[...] 2010-06
[15] 논문 Prophylaxi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y treatment with modified porcine surfactant at birth: a multicentre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https://pubmed.ncbi.[...] 1996
[16] 웹사이트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 2023-05-23
[17] 논문 Surfactant therapy guided by tests for lung maturity in preterm infants at risk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18-11-06
[18] 논문 Prediction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y the microbubble stability test on gastric aspirates in newborns of less than 32 weeks' gestation https://pubmed.ncbi.[...] 2003-06
[19] 논문 Lamellar body counts on gastric aspirates for prediction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https://pubmed.ncbi.[...] 2011-02
[20] 논문 Early surfactant guided by lamellar body counts on gastric aspirate in very preterm infants https://pubmed.ncbi.[...] 2013
[21] 논문 Rapid test for lung maturity, based on spectroscopy of gastric aspirate, predict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high sensitivity 2017-03
[22] 논문 European Consensus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22 Update 2023-03
[23] 논문 Lung Ultrasonography Score to Evaluate Oxygenation and Surfactant Need in Neonates Treated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2015-08
[24] 논문 Lung Ultrasound Score for Prediction of Surfactant Administration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2024-08-09
[25] 논문 Can lung ultrasound score accurately predict surfactant replac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diagnostic test studies. 2023-05
[26] 논문 Quantitative Lung Ultrasonography to Guide Surfactant Therapy in Neonates Born Late Preterm and Later. 2024-05-01
[27] 논문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for respiratory distress in preterm infants https://doi.org/10.1[...] 2020-10-15
[28] 논문 Effect of surfactant on morbidity, mortality, and resource use in newborn infants weighing 500 to 1500 g 1994-05-26
[29] 논문 Aerosolized perfluorocarbon suppresses early pulmonary inflammatory response in a surfactant-depleted piglet model 2002-02
[30] 웹사이트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2023-05-23
[31] 논문 Early surfactant administration with brief ventilation vs selective surfactant and continued mechanical ventilation for preterm infants with or at risk for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04
[32] 웹사이트 Henrik Verder research profile https://www.research[...] 2014-07-15
[33] 논문 Surfactant therapy and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for newborn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Danish-Swedish Multicenter Study Group. 1994-10-20
[34] 논문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d early surfactant therapy for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wborns of less than 30 weeks' gestation. 1999-02
[35] 논문 Post-conceptional age and IVH in ECMO patients 2004-08
[36] 웹사이트 Antenatal use of glucocorticoids in women at risk for preterm delivery http://www.uptodate.[...] 2013-12-16
[37] 논문 Multiple Courses of Antenatal Corticosteroids for Preterm Birth Study: Outcomes in Children at 5 Years of Age (MACS-5) 2013-12-01
[38] 논문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ackling A Worldwide Problem 2019
[39] 논문 Neonatal Outcomes of Extremely Preterm Infants From the NICHD Neonatal Research Network https://publications[...] 2010-09-01
[40] 논문 Maternal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meta-analysis https://pubmed.ncbi.[...] 2019
[41] 논문 Approach to infants born at 22 to 24 weeks' gestation: relationship to outcomes of more-mature infants 2012
[42] 논문 Trends in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the United States http://dx.doi.org/10[...] 2019-01-20
[43] 논문 The Vermont Oxford Network: A Community of Practice http://dx.doi.org/10[...] 2010
[44] 뉴스 A Kennedy Baby's Life and Death https://www.nytimes.[...] 2013-07-29
[45] 뉴스 Justice https://www.vanityfa[...] 2008-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