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철은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자 대학 총장으로, 스핀트로닉스와 나노자기학 분야를 연구했다. 서울대학교 응용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KAIST 부총장,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초대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했으며,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 한국물리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나노스핀닉스 분야를 개척하고, 31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학술적 업적을 쌓았으며,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로버트 B. 로플린
로버트 B. 로플린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며, 분수 양자 홀 효과 이론을 제시하여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동문 - 허원제
허원제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제신문 기자로 시작하여 KBS, SBS 등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동문 - 정근모
정근모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과학기술정책가로서, 주요 과학기술 기관 설립을 주도하고 과학기술처 장관 등을 역임하며 국내 기초연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한국형 원전 표준 설계 사업을 주도하여 원자력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 한국과학기술원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 로버트 B. 로플린
로버트 B. 로플린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며, 분수 양자 홀 효과 이론을 제시하여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다.
신성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신성철 |
로마자 표기 | Sin Seongcheol |
출생일 | 1952년 7월 19일 |
출생지 | 대전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스핀트로닉스, 나노자성 |
소속 기관 | KAIST |
모교 | 서울대학교 KAIST 노스웨스턴 대학교 |
수상 | |
수상 내역 |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2012년) 대한민국 학술원상 (2009년) 미국 물리학회 석학회원 (2009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0년) |
2. 학력 및 생애
신성철(Shin Sung-Chul영어)은 1952년 7월 19일 대전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응용물리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체물리학 석사, 노스웨스턴 대학교 재료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핀트로닉스와 나노자기학 분야를 연구했다. 특히, 금속인 비스무트와 반도체인 납텔루라이드(PbTe)의 구조적 유사성에 착안하여 초격자 다층박막 구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1989년 귀국 후 KAIST에서 나노스핀닉스(Nanospinics) 분야를 개척했다.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 한국물리학회 회장, 한국자기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또한,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하여 130여 회의 대중 과학 강연, TV 과학 프로그램 진행, 언론 칼럼 기고 등을 했다.
KAIST 부총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초대 총장, 울산대학교 Fellow,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전략분과의장 및 부의장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 KAIST 총장을 맡아 2021년 2월까지 재임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이스만 코닥(Eastman Kodak) 연구소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1989년 KAIST 물리학과 조교수로 부임했다. 이후 KAIST에서 22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고등과학원 설립 원장, KAIST 나노스핀소재연구센터 소장, KAIST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 등을 역임했다.
KAIST에서 학생부처장, 국제협력실장, 기획처장, 부총장 등을 역임하며 행정 경험을 쌓았다. 또한 엑스포과학공원 이사, 대덕클럽 회장, KBS 과학 프로그램 진행, 정부 과학 정책 자문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및 미래전략위원회 위원장, 국방과학연구소 이사, 세계 경제 포럼 제4차 산업혁명 글로벌 네트워크 자문 위원회 이사 등으로도 활동했다.
2004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설립 후 2011년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어 6년간 재임하며 DGIST를 국내 최고의 연구 대학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제16대 KAIST 총장으로 취임하여 KAIST 최초의 동문 출신 총장으로서 융합 교육, 융합 연구, 세계화에 힘썼다.
2. 1. 학력
2. 2. 생애
1952년 7월 19일 대전에서 출생하였다. 서울대학교 응용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고체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연구분야는 스핀트로닉스와 나노자기학이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박사과정에서 금속인 비스무트와 반도체인 납텔루라이드(PbTe)의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해, 두 물질로 초격자 다층박막 구조를 세계 최초로 만들어 초격자 구조 신물질을 제작했다. 1989년 귀국해 KAIST에서 나노자성체 스핀 동력학을 연구하는 나노스핀닉스(Nanospinics) 분야를 처음으로 시작했다. 20여년간 논문을 310여편 발표했고 초청 강연을 160여회 했다. 나노스핀닉스는 나노 세계의 자기장인 스핀을 사용해 전자회로를 구현하는 분야다.[1]2008년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출됐으며, 한국물리학회 회장, 한국자기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30여회 대중 과학 강연, TV 과학 프로그램 진행, 언론 칼럼 기고 등으로 과학 대중화에도 앞장서고 있다.[1]
KAIST에서 부총장을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초대 총장으로 부임하여 2017년까지 제2대 총장을 역임하였다.[1]
울산대학교의 Fellow,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전략분과의장, 부의장, 미국물리학회(APS)의 석학회원을 역임하고, 2017년부터 KAIST 총장을 맡았고 2021년 2월 퇴임하였다.[1]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이스만 코닥(Eastman Kodak) 연구소에 선임 연구원으로 입사하여 1989년까지 연구를 수행했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해외 과학자들에게 귀국하여 국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젊은 과학자와 기술자를 양성할 것을 촉구했다.
1989년 KAIST 물리학과 조교수로 부임했다. 2009년 KAIST 석좌교수가 되었다. KAIST에서 22년 동안 한국고등과학원 설립 원장(1996년), KAIST 나노스핀소재연구센터 소장(1998년–2005년), KAIST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2001년~2003년)을 역임했다. 2008년부터 미국물리학회(APS) 회원이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대한물리학회 회장을,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자기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제 자성 회의(ICM2012) 의장을 맡았으며 2009년부터 J.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나노과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신성철의 연구는 자기 재료의 인공적 합성 및 특성 분석, 자기 이방성, 자기 광학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나노스핀소재연구센터 소장,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며 나노스핀스 연구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KAIST에서 나노스핀소재연구실을 이끌고 있다. 37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310편이 넘는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160회 이상의 국내외 초청 강연을 했으며, 80명 이상의 석사, 박사, 박사후 연구원을 지도했다.
KAIST에서 학생부처장, 국제협력실장, 기획처장, 부총장(2004년–2005년)을 역임했다. 엑스포과학공원 이사, 대덕클럽(대덕연구개발특구 과학기술 리더스 클럽) 회장(2002년–2008년), KBS에서 방송되는 과학 프로그램 진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미래창조과학부를 포함한 정부에 과학 정책 자문을 제공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전략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했다. 2014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2018년부터 세계 경제 포럼의 제4차 산업혁명 글로벌 네트워크 자문 위원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대한민국 정부는 연구소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을 설립했으며, 2008년에는 DGIST가 학위 과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을 개정했다. DGIST는 연구소에서 대학교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2011년 3월에 대학원 과정을 개설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신성철을 이 신생 대학교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했다. 2011년부터 6년간 DGIST를 이끌었다. 새로 설립된 기관의 초대 총장으로서 DGIST를 국내 최고의 연구 대학 중 하나로 만들기 위해 혁신적인 이니셔티브를 추진했다.
제16대 KAIST 총장이다. KAIST 총장으로 재임하는 최초의 동문이다. 융합 교육, 융합 연구, 세계화에 전념하며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3. 경력
신성철은 KAIST, DGIST 등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행정 직책을 맡았다.
연도 | 기관 | 직책 |
---|---|---|
1991년~1996년 | KAIST | 학생부처장, 국제협력실장, 기획처장 |
1999년~2005년 | 엑스포과학공원 | 이사 |
2002년 | 과학기술 앰배서더 | |
2002년~2008년 | 사단법인 대덕클럽 | 회장 |
2004년~2005년 | KAIST | 부총장 |
2004년~2010년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국제협력부장 |
2011년 2월~2017년 2월 | DGIST | 초대·제2대 총장 |
2013년 9월~2015년 11월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미래전략분과의장 |
2014년~현재 | 국방과학연구소 | 이사 |
2015년 1월~현재 | 대구창조경제협의회 | 위원 |
2015년 1월~2015년 12월 | KBS대구방송총국 시청자위원회 | 위원장 |
2015년 11월~2016년 11월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부의장 |
2017년 2월~2021년 2월 | KAIST | 제16대 총장 |
2018년~현재 | 세계 경제 포럼 4차산업혁명센터 | 자문위원 |
2019년~현재 | 헌법재판소 | 자문위원회 위원 |
3. 1. 연구 경력
신성철은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이스만 코닥(Eastman Kodak) 연구소에 선임 연구원으로 입사하여 1989년까지 연구를 수행했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해외 과학자들에게 귀국하여 국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젊은 과학자와 기술자를 양성할 것을 촉구했다.[1]이에 신성철은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1989년 KAIST 물리학과 조교수로 부임했다. 2009년 KAIST 석좌교수가 되었다. KAIST에서 22년 동안 한국고등과학원 설립 원장(1996), KAIST 나노스핀소재연구센터 소장(1998–2005), KAIST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2001~2003)을 역임했다.[1] 2008년부터 미국물리학회(APS) 회원이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대한물리학회 회장,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자자기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제 자성 회의(ICM2012) 의장을 맡았으며 2009년부터 J.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
나노과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신성철의 연구는 자기 재료의 인공적 합성 및 특성 분석, 자기 이방성, 자기 광학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나노스핀소재연구센터 소장,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며 나노스핀스 연구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KAIST에서 나노스핀소재연구실을 이끌고 있다. 37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310편이 넘는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160회 이상의 국내외 초청 강연을 했으며, 80명 이상의 석사, 박사, 박사후 연구원을 지도했다.[1]
연도 | 기관 | 직책 |
---|---|---|
1977년~1980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선임연구원 |
1984년~1989년 | 이스만 코닥(Eastman Kodak) 연구소 | 수석연구원 |
1989년~2011년 | KAIST 물리학과 | 교수, 석좌교수 |
1996년 | KAIST 고등과학원 | 설립추진단장 |
1998년~2005년 | KAIST 스핀정보물질창의연구단 | 단장 |
2001년~2003년 | KAIST 나노과학기술연구소 | 초대 소장 |
2008년 | 미국물리학회(APS) | Fellow(석학회원) |
2009년~2010년 | 한국자기학회 | 회장 |
2009년~2012년 | 국제자성학술대회(ICM2012) | 의장 |
2010년 | 울산대학교 | Fellow Professor |
2011년~2012년 | 한국물리학회 | 회장 |
3. 2. 행정 경력
신성철은 KAIST에서 학생부처장, 국제협력실장, 기획처장, 부총장(2004–2005)을 역임했다.[1] 엑스포과학공원 이사[1], 대덕클럽(대덕연구개발특구 과학기술 리더스 클럽) 회장(2002–2008)[1], KBS 과학 프로그램 진행[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미래창조과학부 등 정부 과학 정책 자문[1]을 맡았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및 미래전략위원회 위원장[1], 국방과학연구소 이사(2014년~)[1], 세계 경제 포럼 제4차 산업혁명 글로벌 네트워크 자문 위원회 이사(2018년~)[1]로 활동했다.2011년부터 6년간 DGIST 초대 총장을 역임했다.[1] 2017년 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KAIST 제16대 총장을 역임했다.[1]
3. 3. 학회 활동
- 2000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1]
- 2008년 미국물리학회(APS) Fellow(석학회원)[1]
- 2009년~2010년 한국자기학회 회장[1]
- 2009년~2012년 국제자성학술대회(ICM2012) 의장[1]
- 2011년~2012년 한국물리학회 회장[1]
4. 수상 및 훈장
연도 | 수상 및 훈장 |
---|---|
2019 | 국회의장 공로장 |
2019 | (사)한국유엔봉사단 대한민국 봉사대상 |
2019 | 美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 분야 '올해의 자랑스러운 동문상' |
2017 | 한국물리학회 성봉물리학상 |
2016 | AUMS(아시아자성연합회)상 |
2015 |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 (혁신경영 부문) |
2012 |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인상[1] |
2012 |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 (글로벌경영 부문) |
2011 | KAIST 총동문회 올해의 동문상 |
2011 | KAIST 국제협력대상 |
2009 | 대한민국학술원상 |
2008 | 미국 물리학회 펠로우 |
2007 | 과학기술최고훈장 창조장(1등급) |
2007 | 과학기술부 선정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10인' |
2006 |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
2005 | 한국연구재단 선정, 대한민국 30대 기초 연구자 |
2000 | [http://www.kast.or.k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펠로우 |
1999 | 과학기술부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