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한카드는 1986년 익스프레스 크레티트 카드로 설립되어, 2007년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된 대한민국의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발급 회사이다. 2007년 LG카드와 합병되었고, 유니온페이 발급, LG카드와의 전산망 통합, 중국은련과의 파트너십 체결 등의 연혁을 거쳤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BC카드를 발급하며, 비자, 마스터카드, JCB, URS, 중국은련 등의 브랜드와 제휴한다. 후불교통카드 서비스도 제공하며, 전국 지하철 및 버스에서 사용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 - 신한은행
1982년 재일한국인 자본으로 설립된 신한은행은 조흥은행 합병을 통해 국내 2위 은행으로 성장, 신한금융지주 자회사로서 국내외 영업망을 갖추고 디지털 금융 혁신을 추진 중이나, 금융사고, 사회적 논란, 보안 문제, 부실채권 증가 가능성 등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이 요구된다. -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 - 제주은행
제주은행은 1969년 설립되어 1972년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은행으로, 비자카드를 취급하며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제공하고 2002년 신한금융지주 계열사로 편입, 2022년 본점을 이전했다. - 신한금융지주 - 신한은행
1982년 재일한국인 자본으로 설립된 신한은행은 조흥은행 합병을 통해 국내 2위 은행으로 성장, 신한금융지주 자회사로서 국내외 영업망을 갖추고 디지털 금융 혁신을 추진 중이나, 금융사고, 사회적 논란, 보안 문제, 부실채권 증가 가능성 등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이 요구된다. - 신한금융지주 - 제주은행
제주은행은 1969년 설립되어 1972년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은행으로, 비자카드를 취급하며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제공하고 2002년 신한금융지주 계열사로 편입, 2022년 본점을 이전했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신한카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명칭 | 신한카드 주식회사 |
원어 명칭 | Shinhan Card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일 | 1986년 3월 1일 (존속법인 LG카드) |
통합법인 출범일 | 2007년 10월 1일 (통합법인 신한카드) |
이전 회사 | 신한카드 LG카드 |
국가 | 대한민국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00 (명동) |
대표이사 사장 | 문동권 |
산업 | 여신 금융 서비스업 |
주요 제품 | 신용카드 법인리스금융 할부금융 여신금융 |
자본금 | 626,847,000,000원 (2020년) |
영업 이익 | 1260.5억원 (2020년 10월) |
순이익 | 487,782,053,598원 (2020년) |
자산 총액 | 32조 5364억원 |
주주 | 신한금융지주: 100% |
계열사 | 신한금융지주 |
슬로건 | Lead By 신한카드 |
종업원 수 | 3062명 (2020년 7월) |
웹사이트 | 신한카드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2003년 LG그룹은 경영권을 포기했다.[1] 2007년 3월 23일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1] 같은 해 10월 1일 신한카드와 LG카드가 인수 합병되었다. 청산 종결 시까지 존속 법인은 SHC매니지먼트로 유지되었다.[1] 이후 2008년 2월 4일 유니온페이 발급을 시작했고, 같은 해 8월 18일 LG카드와 신한카드의 전산망 통합이 완료되었다. 2016년 12월 22일 중국은련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1]
2. 1. 설립 초기
1986년 익스프레스 크레디트 카드로 설립되었다.[1] 1987년 코리안익스프레스신용카드로, 1988년에는 LG신용카드로, 1999년에는 LG캐피탈로, 2001년에는 LG카드로 사명을 변경하였다.[2][3][4][5]2. 2. LG카드 시절 및 신한금융지주 편입
2003년 LG그룹은 경영권을 포기했다.[1] 2007년 3월 23일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1] 2007년 10월 1일 신한카드와 LG카드가 인수 합병되었다. 청산 종결 시까지 존속 법인은 SHC매니지먼트로 유지되었다.[1]2. 3. 신한카드-LG카드 합병 이후
- 2008년 2월 4일: 유니온페이 발급을 시작하였다.
- 2008년 8월 18일: LG카드와 신한카드의 전산망 통합이 완료되었다.
- 2016년 12월 22일: 중국은련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였다.
3. 브랜드
신한카드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모두 발급하며, 조흥은행에서 물려받은 BC 카드 라이선스 하에 운영된다.[4] 신한카드와 BC카드의 제휴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3. 1. 신한카드 브랜드
신한카드는 다음과 같은 브랜드의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발급한다.[4]브랜드 | 종류 | 비고 |
---|---|---|
국내전용 | 신용카드, 체크카드 | 9XXX로 시작 |
URS | 신용카드 | JCB 제휴 |
비자카드 | 신용카드, 체크카드 | |
비자 일렉트론 | 체크카드 | |
마스터카드 | 신용카드, 체크카드 | |
마에스트로 | 체크카드 | |
JCB카드 | 신용카드, 체크카드 | [5] |
중국은련 | 신용카드, 체크카드 | [6] |
3. 2. BC카드 브랜드
BC카드는 다음과 같은 브랜드로 발급된다.[4]
4. 취급 카드
각 카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자사 카드
신한카드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모두 발급하며, 조흥은행에서 물려받은 BC 카드 라이선스 하에 운영된다.[4]- 국내전용: 대한민국 국내 거래 시스템 전용. 신용 카드 및 체크 카드 번호는 모두 9XXX로 시작한다.
- 비자카드: 구 동화은행, 구 신한은행, 구 강원은행, 구 LG카드에서 발급[4]
- 마스터카드: 구 신한카드, 구 LG카드에서 발급[4]
- AMEX카드: 구 신한카드에서 발급[4]
- JCB카드: 구 신한카드, 구 LG카드에서 발급[5]
- 중국은련[6]
4. 1. 1. URS 카드 (유어스)
신한카드에서 일본 JCB사와 독점 계약을 체결하여 발급하는 국내외 겸용 카드이다. KB국민카드의 JCB K-World, NH농협카드의 JCB W, 하나카드의 JCB One Way 카드처럼, 국내전용 연회비로 해외 JCB 가맹점을 이용할 수 있다. JCB URS를 사용할 시 해외 신판 한정으로 1%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6] 일본 JCB사와 라이센스 종료 후에도 카드 유효기간 만기일까지 해외 JCB 가맹점을 이용할 수 있다.4. 1. 2. S& 카드 (에스엔)
S& 카드는 아메리칸 엑스프레스와 제휴한 해외 사용 브랜드로 2014년 7월에 출시되었다.[4] 신용카드인 "Code9 23.5"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이후 출시되는 상품에도 S& 브랜드가 적용되고 있다. 국내 전용 연회비 그대로, KB국민카드의 JCB K-World나, NH농협카드의 JCB W처럼, 외국 아멕스 가맹점에서 사용할 때 해외 신용판매 한정으로만 1% 수수료를 받고 대한민국 내 사용에 대해서는 아멕스에게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는 방식이다.[4]4. 1. 3. 통합복지카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이패스 기능과 신한은행 현금카드 기능을 제공한다. 무임용 교통카드 기능은 서울, 인천, 대전, 충남, 대구, 부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7]4. 2. 발급 기관
은행권 및 증권사 카드에는 제휴 금융기관의 현금카드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4. 2. 1. 은행권
은행권 카드들은 제휴 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다.4. 2. 2. 증권사
은행권과 증권사의 카드들은 제휴 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다.4. 2. 3. 카드망 공유기관
5. 후불교통카드
신한카드 후불교통카드는 청소년 보호법상 만 19세 이상부터 발급받을 수 있으며,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바일 후불티머니 세 가지 종류가 있다.[1] 2018년 상반기 개정으로 2019년 하반기부터 만 12세 이상도 발급받을 수 있어야 했으나, 2020년 2월 기준으로 시스템 구축이 지연되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1]
지하철/버스 사용 | 사용 가능 지역 |
---|---|
지하철/버스 사용 지역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 수도권 전철 서해선 포함), 동남권(부산, 울산, 양산 - 동해선 광역전철 포함), 대경권(대구, 경산), 대전, 광주, 아산, 천안, 춘천 |
경전철 사용 지역 | 의정부, 용인, 부산~김해, 우이신설 |
버스 전 사용 지역 | 세종, 울산, 전북, 제주, 충남, 충북, 경남, 강원 |
경북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경주, 경산,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영주, 포항, 안동, 예천, 영천, 고령, 성주, 청도, 칠곡, 울릉, 울진, 의성 |
전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고흥, 담양, 무안, 보성, 신안, 영암, 장성, 함평, 해남, 화순, 강진, 구례 (곡성, 완도, 영광, 장흥, 진도 차후 예정) |
5. 1. 개요
신한카드는 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만 19세 이상부터 발급받을 수 있다. 발급 종류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바일 후불티머니 등 세 가지이다.[1] 2018년 상반기 개정으로 2019년 하반기부터 만 12세 이상도 후불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어야 했지만, 2020년 2월 기준으로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지 않아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1] 곧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체크카드에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추가되어 만 12세 이상 미성년자도 사용 가능할 예정이다.[1] 단, 만 12세~만 18세 미성년자는 월 한도 5만 원으로 발급되며, 연체 시에는 카드가 정지된다.[1] 이 경우, 신용등급에는 문제가 없도록 정부 예산에서 관리한다.[1]신한카드의 후불교통카드는 다음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구분 | 사용가능지역 |
---|---|
지하철/버스 사용지역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 수도권 전철 서해선 포함), 동남권(부산, 울산, 양산 - 동해선 광역전철 포함), 대경권(대구, 경산), 대전, 광주, 아산, 천안, 춘천 |
경전철 사용 지역 | 의정부, 용인, 부산~김해, 우이신설 |
버스 전 사용지역 | 세종, 울산, 전북, 제주, 충남, 충북, 경남, 강원 |
경북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경주, 경산,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영주, 포항, 안동, 예천, 영천, 고령, 성주, 청도, 칠곡, 울릉, 울진, 의성 |
전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고흥, 담양, 무안, 보성, 신안, 영암, 장성, 함평, 해남, 화순, 강진, 구례 (곡성, 완도, 영광, 장흥, 진도 차후 예정) |
5. 2. 사용 가능 지역
신한카드의 후불교통카드는 청소년 보호법상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발급되며,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바일 후불티머니 3가지 종류가 있다.[1] 2018년 상반기 개정으로 2019년 하반기부터 만 12세 이상도 후불교통카드 발급이 가능해야 했으나, 2020년 2월 기준으로 시스템 구축이 지연되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1] 곧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체크카드에도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되어 만 12세 이상 미성년자도 사용 가능할 예정이며, 월 한도는 5만 원으로 제한된다.[1] 미성년자가 대금을 갚지 못하는 경우 카드가 정지되지만, 신용등급에는 영향이 없도록 정부 예산으로 관리된다.[1]5. 2. 1. 지하철/버스 사용 지역
지하철/버스 사용 | 사용가능지역 |
---|---|
지하철/버스 사용지역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 수도권 전철 서해선 포함), 동남권(부산, 울산, 양산 - 동해선 광역전철 포함), 대경권(대구, 경산), 대전, 광주, 아산, 천안, 춘천 |
경전철 사용 지역 | 의정부, 용인, 부산~김해, 우이신설 |
버스 전 사용지역 | 세종, 울산, 전북, 제주, 충남, 충북, 경남, 강원 |
경북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경주, 경산,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영주, 포항, 안동, 예천, 영천, 고령, 성주, 청도, 칠곡, 울릉, 울진, 의성 |
전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고흥, 담양, 무안, 보성, 신안, 영암, 장성, 함평, 해남, 화순 , 강진, 구례 (곡성, 완도, 영광, 장흥, 진도 차후 예정) |
5. 2. 2. 경전철 사용 지역
의정부, 용인, 부산~김해, 우이신설에서 사용 가능하다.[1]5. 2. 3. 버스 전 사용 지역
5. 2. 4. 경북 일부 버스 사용 지역
경주, 경산,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영주, 포항, 안동, 예천, 영천, 고령, 성주, 청도, 칠곡, 울릉, 울진, 의성5. 2. 5. 전남 일부 버스 사용 지역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고흥, 담양, 무안, 보성, 신안, 영암, 장성, 함평, 해남, 화순, 강진, 구례 (곡성, 완도, 영광, 장흥, 진도 차후 예정) |
6. 해외 결제 (체크카드)
2020년 3월 3일부터 해외에서 체크카드로 결제할 때, 대부분의 경우 돈이 바로 빠져나가도록 바뀌었다. 하지만 외화통장과 연결된 체크카드는 예전처럼 결제 후 일정 시간 동안 돈이 묶여 있다가 나중에 빠져나간다. 중국은련 체크카드는 처음 나왔을 때부터 돈이 바로 빠져나가는 방식이었다.[1]
마에스트로 마크가 있는 해외 결제 가능 체크카드는 2020년에 모두 사라졌다.[1]
참조
[1]
웹사이트
About Shinhan Card - Credit cards, Check(debit) cards and other information - bankmeister Korea
https://bankmeister.[...]
2020-09-28
[2]
문서
BC신용카드와 일부 카드(롯데, 현대, 삼성)상품은 신한은행 계좌로만 발급이 가능하다.
[3]
문서
신용카드만 발급하며, 산업은행 홈페이지상 구 LG카드로 표기되었는데, 신한카드와 LG카드가 포함되었으므로 신한카드로 본다. 현재는 발급 불가.
[4]
웹사이트
신한카드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hinhanc[...]
[5]
문서
대한민국에서는 유일무이하게 체크카드로도 발행하였으나, 현재는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신용카드만 단독으로 발행하고 있다.
[6]
문서
BC카드와 달리 신한 자체 중국은련 신용/체크카드는 아마존닷컴 같은 온라인에서 해외신판이 가능하다. 그리고 신한은행만 연결할 수 있다.
[7]
문서
신용카드 한해서만 가능하다.
[8]
문서
BC는 포함되지 않는다.
[9]
문서
KB국민카드의 가맹점망을 공유하기도 한다.
[10]
문서
독립된 기업이 아닌 NH농협은행 소속 브랜드이다.
[11]
문서
BC는 포함되지 않는다.
[12]
문서
농협은행과 농축협이 각각 다른 회원사로 취급된다.
[13]
문서
한미은행(현재:한국씨티은행)이 신세계백화점 카드 신용부문을 인수하였다.
[14]
문서
롯데카드와 롯데백화점카드를 롯데카드로 통합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