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예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예천군은 신라 경덕왕 때부터 '예천'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지역으로, 경상북도에 위치해 있다. 1895년 안동부 예천군과 용궁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예천군과 용궁군이 통폐합되어 현재의 예천군이 되었다. 현재 2개의 읍(예천읍, 호명읍), 10개의 면(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0년대 15만 명이었던 인구는 감소 추세였으나, 경북도청 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증가하여 2019년에는 54,666명을 기록했다.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28호선이 지나며, 경북선 철도와 예천공항이 위치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경북도립대학교, 고등학교 4개, 중학교 9개, 초등학교 12개가 있으며, 예천곤충생태원, 예천진호국제양궁장 등 다양한 문화·관광 시설이 있다. 경북도청 신도시 건설과 서울 마포구, 군포시, 구로구, 대구 수성구와의 교류를 통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6년 설치 - 삭녕군
    삭녕군은 고구려 소읍두현에서 시작하여 조선 시대 경기도에 속했던 군으로, 승녕현 편입, 안협현과의 합병 및 분리 과정을 거쳐 1895년 삭녕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연천군과 철원군에 편입되었고 한국 전쟁 이후 남북 분단으로 그 경계가 변화한 분단과 전쟁의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이다.
  • 1416년 설치 - 함경감영
    함경감영은 조선시대 함경도의 행정 중심 관청으로, 함흥에 설치되어 영흥으로 이전되기도 했으나 다시 함흥으로 돌아왔으며, 1895년 폐지 후 함경남도 관찰사 소재지가 되었고, 현재 선화당과 징청헌 두 동이 남아있다.
  • 예천군 - 경상북도청신도시
    경상북도청신도시는 경상북도 안동시와 예천군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2016년 경상북도청과 경상북도의회가 신청사로 이전한 신도시이다.
  • 예천군 - 경상북도립예천공공도서관
    경상북도립예천공공도서관은 1990년 개관하여 시설 확장 및 현대화를 진행해왔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예천군
지도 정보
대한민국 경상북도 예천군 위치
위치
기본 정보
이름예천군
유형
한글 표기예천군
한자 표기醴泉郡
로마자 표기Yecheon-gun
맥큔-라이샤워 표기Yech'ŏn-gun
지역영남
방언경상 방언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 읍, 11
인구 정보
총 인구54,873명
인구 조사 기준2024년 9월
인구 밀도87.9명/km²
면적
총 면적660.7 km²
상징
예천군 휘장
예천군 휘장
예천군 기
예천군 기
군목은행나무
군화목련
군조독수리
행정 및 정치
소속 국가대한민국
경상북도
군수김학동 (국민의힘)
국회의원김형동 (국민의힘, 안동시·예천군)
군청 소재지예천군 예천읍 충효로 111 (대심리 353)
기타
홈페이지예천군청 홈페이지

2. 역사

예천군은 신라 경덕왕 때부터 '예천'(醴泉)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삼국사기에는 '포주'(甫州)로 기록되어 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예천군, 용궁군으로 개편되었으며,[16]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군으로 개편되었다.[17] 1906년 안동군 감천면을 편입하였다. 화장·동로소면은 문경군으로, 현내·현서·현동·현남면은 비안군으로 이관되었다.

1914년 4월 1일 예천군, 용궁군을 예천군으로 통폐합하였다.(10면)[18]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예천군 동읍면 본동/원동 일부, 광천동/우계동/응동 일부, 통명동 일부/원동 일부/(승도면)본동 일부/고평동 일부예천면동본동, 우계동, 통명동
예천군 서읍면 대무동/흘증동/홍심동 일부/(신당면)하리 일부, 석정동, 지내동/(개포면)상리 일부대심동, 석정동, 지내동
예천군 남읍면 본동 일부, 본동 일부/(서읍면)본동, 왕동동/신기동/(서읍면)홍심동 일부, 청복동남본동, 서본동, 왕신동, 청복동
예천군 북읍면 구산동/(동읍면)갈두동/응동 일부, 노상동, 노하동, 백전동, 나평리/생천동/정산동, 용산동/총동갈구동, 노상동, 노하동, 백전동, 생천동, 용산동
예천군 지서면 마천동, 사곡동, 송전동, 수심동, 죽안동, 중평동, 화전동유천면마천동, 사곡동, 송전동, 수심동, 죽안동, 중평동, 화전동
예천군 당동면 고림동/율현동 일부, 매산동/퇴치리/율현동 일부, 연화동/한천동, 용암동, 율현동 일부/망정동 일부/(유천면)손동 일부, 초적리, 송내동/지곡동/망정동 일부/율현동 일부/(문경군 화정면)흑송리 일부고림동, 매산동, 연천동, 용암동, 율현동, 송지동
예천군 유천면 가리동, 고산동 일부, 광전동/손동 일부, 후평동/성주동/고산동 일부, 장기/손동 일부, 화지동/(개포면)금동가동, 고산동, 광전동, 성평동, 손기동, 화지동
예천군 감천면 상관동/덕율리 일부/하포동 일부/현내동 일부, 상포동/하포동 일부/대산동 일부, 맥곡/우곡 일부/대산동 일부/유동 일부/(보문면)진양동 일부, 석남동/미흘동/유동 일부/우곡 일부/(보문면)평고리 일부, 현내동 일부, 홍현/덕율리 일부, 청전동/오향리, 증거동, 유동 일부/산동 일부, 돈답동/산동 일부/유동 일부, 벌방동 일부, 벌방동 일부/수한동, 장산동 일부/(보문면)지과동 일부감천면덕율동, 포동, 대맥동, 미석동, 현내동, 관현동, 천향동, 증거동, 유동, 돈산동, 벌방동, 수한동, 장산동
예천군 제고면 구계동, 호곡동/사라동 일부, 덕암동/신리동 일부/개방동 일부, 반송동/개방동 일부/사라동 일부, 성암동/와현동/중리동/복천동/신리동 일부, 죽림동, 직동용문면구계동, 노사동, 덕신동, 방송동, 성현동, 죽림동, 직동
예천군 저곡면 상능내동/하능내동/방구동, 상리/하리 일부, 본류동 일부/상금곡동, 선동, 소저동/백학동 일부, 하금곡동, 하리 일부/백학동 일부능천동, 대저동, 상금곡동, 선동, 저곡동, 하금곡동, 하학동
예천군 유리면 사부동 일부/내동/시목동/둔지동/점리동, 인천동/두천동, 우망동/사부동 일부, 신원리/본류동 일부내지동, 두인동, 사부동, 원류동
예천군 보문면 기동 일부/며곡, 독죽동/진양동 일부/평고리 일부, 마촌동 일부/(감천면)장산동 일부, 산성동, 수계동/쌍계동/점리동, 신운리/오류동/문래동 일부, 문암동/오적동, 옥천동/어등동/지과동 일부/기동 일부/(감천면)장산동 일부, 문래동 일부/우평동/(안동군 북후면)석탑동, 작평동/읍곡동보문면기곡동, 독양동, 마촌동, 산성동, 수계동, 오신동, 오암동, 옥천동, 우래동, 작곡동
예천군 승도면 간곡/이방동/(보문면)마촌동 일부/(감천면)덕율리 일부, 고평동 일부/(동읍면)통명동 일부, 미호동, 본동 일부/동막동, 편월동/신탄동/벌곡동간방동, 고평동, 미호동, 승본동, 신월동
예천군 호명면 금릉동 일부, 본동/포저동, 송분동/사곡, 원곡동, 어촌/한어리호명면금릉동, 본포동, 송곡동, 원곡동, 한어동
예천군 양산면 직곡동/간산동/(안동군 풍북면)현애리 일부/수비동 일부, 소망동/황지동직산동, 황지동
예천군 신당면 내동/신동/하리 일부/담암동 일부, 담암동 일부, 인포동/월촌동/서당동 일부, 종산동/사평동/고산동/서당동 일부내신동, 담암동, 월포동, 종산동
예천군 위라면 백송동, 본동 일부, 간음동/신기동 일부/산합동 일부, 오천동/방구동, 형호동백송동, 본동, 산합동, 오천동, 형호동
예천군 개포면 경진동/옥산동/기옥동/검암동, 지동/금동 일부, 동송동, 상리동 일부, 도장동/원동/우감동 일부/이사동 일부, 이사동 일부개포면경진동, 금동, 동송동, 상동, 우감동, 이사동
용궁군 북상면 가오리/원곡리/화산리/송계리/종산리 일부/신화리 일부, 갈마리/봉암동/송포리 일부/입암리 일부/종산리 일부, 신기리/화음리, 입암리 일부/봉산동 일부, 장화동/적현동/송동 일부/성도동 일부/봉산동 일부/(신읍면)지동 일부/신읍리 일부/월오동 일부, 풍정리 일부/송포리 일부/입암리 일부, 가산동/황전동/신천동/보수동/송동 일부/(구읍면)대은동 일부가곡리, 갈마리, 신음리, 입암리, 장송리, 풍정리, 황산리
용궁군 구읍면 동림동/대은동 일부/교촌리 일부/석정리 일부/(북상면)신화리 일부, 서문리/진포리/무촌리 일부/교촌리 일부/원당리 일부, 무동 일부/지동 일부/대은동 일부, 산택리/등암리/산평리/원당리 일부/(신읍면)화미동 일부, 향사리/성저리/석정리 일부/무촌리 일부/교촌리 일부용궁면대은리, 무이리, 무지리, 산택리, 향석리
용궁군 신읍면 가야리/장승리/화미동 일부/후평리 일부/산암리 일부, 훤평리/남부리/서부리 일부/금원리 일부/(구읍면)무촌리 일부/(서면)왕태리 일부/(문경군 산동면)연평리 일부, 덕동/녹동/보계리/송천리 일부/(문경군 화장면)지내리 일부, 인암리/송천리 일부/경암리 일부/산암리 일부/후평리 일부/(문경군 산동면)양보리 일부, 나산리/장평리/월오동 일부/송천리 일부/경암리 일부/(구읍면)무동 일부/(북상면)풍정리 일부/봉산동 일부/성도동 일부, 동부리/북부리/서부리 일부/금원리 일부/(문경군 산동면)연평리 일부/연화동 일부/연소동 일부/송천리가야리, 금남리, 덕계리, 송암리, 월오리, 읍부리
용궁군 신상면 대죽리 일부/암천리 일부, 초동/화양동/삼송동/도마동 일부, 신풍리/상리/직동/방학동/구룡동/대죽리 일부, 암천리 일부/(안동군 풍서면)구담동 일부지보면대죽리, 도화리, 신풍리, 암천리
용궁군 내상면 마산리/어화리/(구읍면)용포동 일부, 만화리/구태리/방화리 일부, 상월리, 오송리/외평리/고슬리/방화리 일부, 수동리/서월리, 율리/신전리/갈동리/어소리/신류리마산리, 만화리, 상월리, 송평리, 수월리, 어신리
용궁군 내하면 도경리/익장동 일부/(신상면)도마동 일부, 마전동/석계리/원학리/(비안군 현내면)반룡동 일부, 창동/매포리/내포리, 소동/한여리, 지보리/익장동 일부/(신상면)도마동 일부도장리, 마전리, 매창리, 소화리, 지보리
용궁군 남상면 삼강동, 오지동 일부/(비안군 현서면)공암동 일부, 구룡동/사막동/성당동/하리동/상리동 일부, 용호동/하풍동, 신흥동/양정동/임천동 일부/(비안군 현서면)공암동 일부풍양면삼강리, 오지리, 청운리, 하풍리, 흥천리
용궁군 남하면 우망리/운교동/별곡동 일부/(남상면)오지동 일부, 청감동/구산동/별곡동 일부, 효동/흔전동/임천동 일부우망리, 청곡리, 흔효리
비안군 현서면 수상동/고천동, 덕동/시동/동림동/공암동 일부/(용궁군 남하면)임천동 일부, 소역동/당촌동/도안동/삼괴동, 직신동/신풍동/산성동/풍덕동고산동, 공덕동, 괴당동, 풍신동
문경군 영순면 습의동/삼청동/공암동 일부/(용궁군 남상면)오지동 일부, 신기동/서동/동동/(용궁군 남상면)심천동/상리동 일부, 효제동/갈전동낙상동, 와룡동, 효갈동



1923년 영주군 상리면, 하리면을 편입하였다. (12면)[19] 1937년 7월 1일 예천면이 예천읍으로 승격하였다.[20] (1읍 11면) 1973년 7월 1일 개포면 상동을 예천읍으로 편입하였다.[21] 1983년 2월 15일 보문면 마촌동을 감천면으로, 보문면 고평동을 예천읍으로 편입하였다.[22] 1987년 1월 1일 용문면 두인동을 두천동으로 개칭하였다.

2000년 10월 1일 호명면 월포리 일부가 예천읍 청복리로 편입되었다.[23] 2007년 3월 2일 예천읍 상리를 상동리로 개칭하였다.[24] 2015년 3월 21일 경상북도청신도시 건설로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일부가 예천군에, 호명면 산합리 일부가 안동시에 편입되었다.[25] 2016년 2월 1일 상리면, 하리면을 효자면, 은풍면으로 개칭하였다.[26] 2018년 2월 12일 군청을 대심리로 이전하였다. 2024년 2월 1일 호명면이 호명읍으로 승격하였다. (2읍 10면)

3. 지리

예천군은 동경 128°15′~128°37′, 북위 36°27′~36°51′에 위치한다. 동으로는 안동시영주시, 남으로는 의성군상주시, 서로는 문경시, 북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과 접한다.

동북지역은 소백산맥의 산악지대로, 1,000m 이상의 산봉우리가 연달아 있고, 지맥에는 옥녀봉(890m)·자구산(784m)·부용봉(688m)·가재봉(851m)·매봉(865m)이 있다. 군의 동쪽에는 학가산(870m)·보문산(643m)이 있다. 서남쪽에는 낙동강 강변과 내성천 천변에 일부 평야지대가 있다. 군의 면적은 661Km2이며, 55.4%는 임야이다.

4. 행정 구역

예천군은 2개 , 10개 , 265개 로 구성되어 있다.[27] 1965년에는 인구가 165,886명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경북도청 이전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행정 구역도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
예천읍醴泉邑7,24715,17747.37
호명읍虎鳴邑6,98317,91162.3
용문면龍門面1,3402,38971.18
효자면孝子面6751,19467.32
은풍면殷豊面7111,38834.46
감천면甘泉面1,4842,70665.02
보문면普門面9521,71964.78
유천면柳川面1,3962,53138.72
용궁면龍宮面1,3892,51931.79
개포면開浦面9131,56336.22
지보면知保面1,5863,47378.44
풍양면豊壤面1,8543,29763.23


  • '''예천읍''': 경상북도 예천군에 속하며, 군의 행정, 교육, 교통 중심지이다. 갈구리, 고평리, 남본리, 노상리, 노하리, 대심리, 동본리, 백전리, 상동리, 생천리, 서본리, 석정리, 왕신리, 용산리, 우계리, 지내리, 청복리, 통명리가 있다.
  • '''호명읍''': 경상북도청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금릉리, 내신리, 담암리, 백송리, 본리, 본포리, 산합리, 송곡리, 오천리, 원곡리, 월포리, 종산리, 척산리, 한어리, 형호리, 황지리가 있다.
  • '''용궁면''': 예천군 서부에 위치하며, 용궁권의 중심지이다. 농업과 전통문화가 발달하였다. 읍부리, 금남리, 가야리, 무이리, 대은리, 향석리, 무지리, 산택리, 월오리, 송암리, 덕계리가 있다.
  • '''기타 면''': 용문면은 구계리, 내지리, 노사리, 능천리, 대저리, 덕신리, 두천리, 방송리, 사부리, 상금곡리, 선리, 성현리, 원류리, 저곡리, 죽림리, 직리, 하금곡리, 하학리를 관할한다. 효자면은 고항리, 도촌리, 두성리, 명봉리, 백석리, 보곡리, 사곡리, 석묘리, 용두리, 초항리를 관할한다. 은풍면은 금곡리, 동사리, 부초리, 송월리, 시항리, 오류리, 우곡리, 율곡리, 은산리, 탑리를 관할한다. 감천면은 관현리, 대맥리, 덕률리, 둔산리, 마촌리, 미석리, 벌방리, 수한리, 유리, 장산리, 진평리, 증거리, 천향리, 포리, 현내리를 관할한다. 보문면은 간방리, 기곡리, 독양리, 미호리, 산성리, 수계리, 섭본리, 신월리, 오신리, 오암리, 옥천리, 우래리, 작곡리를 관할한다. 유천면은 가리, 고림리, 고산리, 광달리, 마천리, 매산리, 사곡리, 성평리, 손기리, 송달리, 송지리, 수심리, 연천리, 용암리, 율현리, 죽안리, 중평리, 초죽리, 화전리, 화지리를 관할한다. 개포면은 가곡리, 갈마리, 경진리, 금리, 동송리, 신음리, 우감리, 이사리, 립암리, 장송리, 풍정리, 황산리를 관할한다. 지보면은 대죽리, 도장리, 도화리, 마산리, 마전리, 만화리, 매창리, 상월리, 소화리, 송평리, 수월리, 신풍리, 암천리, 어신리, 지보리를 관할한다. 풍양면은 고산리, 공덕리, 괴당리, 낙상리, 삼강리, 오지리, 와룡리, 우망리, 청곡리, 청운리, 풍신리, 하풍리, 효갈리, 흥효리, 흥천리를 관할한다.

4. 1. 예천읍

예천읍(醴泉邑)은 예천군의 행정, 교육, 교통 중심지이다. 경상북도 예천군에 속한다.

예천읍에는 갈구리, 고평리, 남본리, 노상리, 노하리, 대심리, 동본리, 백전리, 상동리, 생천리, 서본리, 석정리, 왕신리, 용산리, 우계리, 지내리, 청복리, 통명리가 있다.

4. 2. 호명읍

경상북도청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금릉리, 내신리, 담암리, 백송리, 본리, 본포리, 산합리, 송곡리, 오천리, 원곡리, 월포리, 종산리, 척산리, 한어리, 형호리, 황지리가 있다.

4. 3. 용궁면

예천군 용궁면예천군 서부에 위치한 면이다. 용궁권의 중심지로, 농업과 전통문화가 발달하였다. 용궁면에는 읍부리, 금남리, 가야리, 무이리, 대은리, 향석리, 무지리, 산택리, 월오리, 송암리, 덕계리가 있다.

4. 4. 기타 면

용문면은 구계리, 내지리, 노사리, 능천리, 대저리, 덕신리, 두천리, 방송리, 사부리, 상금곡리, 선리, 성현리, 원류리, 저곡리, 죽림리, 직리, 하금곡리, 하학리를 관할한다. 효자면은 고항리, 도촌리, 두성리, 명봉리, 백석리, 보곡리, 사곡리, 석묘리, 용두리, 초항리를 관할한다. 은풍면은 금곡리, 동사리, 부초리, 송월리, 시항리, 오류리, 우곡리, 율곡리, 은산리, 탑리를 관할한다.

감천면은 관현리, 대맥리, 덕률리, 둔산리, 마촌리, 미석리, 벌방리, 수한리, 유리, 장산리, 진평리, 증거리, 천향리, 포리, 현내리를 관할한다. 보문면은 간방리, 기곡리, 독양리, 미호리, 산성리, 수계리, 섭본리, 신월리, 오신리, 오암리, 옥천리, 우래리, 작곡리를 관할한다. 유천면은 가리, 고림리, 고산리, 광달리, 마천리, 매산리, 사곡리, 성평리, 손기리, 송달리, 송지리, 수심리, 연천리, 용암리, 율현리, 죽안리, 중평리, 초죽리, 화전리, 화지리를 관할한다.

개포면은 가곡리, 갈마리, 경진리, 금리, 동송리, 신음리, 우감리, 이사리, 립암리, 장송리, 풍정리, 황산리를 관할한다. 지보면은 대죽리, 도장리, 도화리, 마산리, 마전리, 만화리, 매창리, 상월리, 소화리, 송평리, 수월리, 신풍리, 암천리, 어신리, 지보리를 관할한다. 풍양면은 고산리, 공덕리, 괴당리, 낙상리, 삼강리, 오지리, 와룡리, 우망리, 청곡리, 청운리, 풍신리, 하풍리, 효갈리, 흥효리, 흥천리를 관할한다.

5. 인구

예천군의 인구는 1960년대 15만 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10년대 경북도청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2019년에는 54,666명을 기록했다.[28]

연도총인구
1960년150,016명
1966년162,527명
1970년145,085명
1975년143,529명
1980년120,231명
1985년98,495명
1990년79,183명
1995년62,515명
2000년54,291명
2005년46,056명
2010년43,015명
2013년45,573명
2019년54,666명


6. 교통

6. 1. 도로

군의 동쪽을 통과하는 중앙고속도로상에 예천 나들목이 있다. 문경와 안동 방면으로 국도 제34호선이, 영주, 의성 방면으로 국도 제28호선이 지난다. 서울 방향으로 가는 경우 예천 나들목 대신에 중부내륙고속도로점촌함창 나들목을 주로 많이 이용한다.

6. 2.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북선의 39.3 km 구간이 예천을 지난다. 하지만, 여객 수요가 많지 않아서 하루에 각 방향으로 3대 정도의 여객 열차가 다닐 뿐이다. 예천군에는 용궁역, 개포역, 예천역이 있다.

6. 3. 항공

예천공항에서 서울과 제주로 가는 국내선 항공편이 있었으나 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인해 2004년 이후 더 이상 국내선 항공편이 다니지 않는다.

7. 교육 기관

예천군에는 1개의 도립대학과 4개의 고등학교, 9개의 중학교, 그리고 12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8. 문화·관광

예천군에는 다양한 문화·관광 시설이 있다. 예천곤충생태원, 예천진호국제양궁장, 예천충효테마공원, 예천천문우주센터 등이 대표적이다.

9. 출신 인물

김종창은 한국 금융감독원 전 원장이다. 함성득경기대학교 정치학과 석좌교수 겸 정치대학원 원장이다.

10. 미래

10. 1. 경북도청 이전 계획

2008년 6월 8일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로 예천군 호명면과 안동시 풍천면 일대 11.5km2 지구가 결정되었다.[29] 현재 경북도청은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읍 경계에 위치한 경북도청신도시에 소재하고 있다. 경북도청 이전은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예천군 내부의 지역 불균형 심화, 부동산 가격 급등, 구도심 공동화 등의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11. 교류 협력

예천군은 서울 마포구,[30] 경기 군포시,[31] 서울 구로구,[32] 대구 수성구[33]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 1895-05-26
[4]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ko:s: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 1896-08-04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웹사이트 예천군 홈페이지
[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8]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9] 법률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 설치 등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1983-01-10
[10] 법률 예천군조례 제1629호
[11] 법률 대통령령 제26139호 경상북도 안동시와 예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2015-03-11
[12] 법률 예천군리의 명칭 및 구역에 관한 조례 http://www.law.go.kr[...] 2015-12-21
[13] 뉴스 예천군 호명면, 114년 만에 ‘호명읍’ 승격 https://www.idaegu.c[...] 2024-02-04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6]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 1895-05-26
[17]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s: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 1896-08-04
[1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9] 웹사이트 예천군 홈페이지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21]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2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http://www.law.go.kr[...] 1983-01-10
[23] 법률 예천군조례 제1629호
[24] 법률 예천군조례 제1844호 http://www.law.go.kr[...] 2007-03-02
[25] 법률 대통령령 제26139호 경상북도 안동시와 예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2015-03-11
[26] 법률 예천군조례 제2157호 http://www.law.go.kr[...] 2015-12-21
[27] 뉴스 예천군 인구 50년만에 증가…2027년 10만 도시 복귀 기대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16-06-16
[28]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9] 뉴스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 '안동.예천' 결정(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08-06-08
[30] 웹사이트 마포구 - 예천군청 교류협력 https://www.ycg.kr/o[...] 2001-09-20
[31] 웹사이트 군포시 - 예천군청 https://www.ycg.kr/o[...] 1998-11-10
[32] 웹사이트 구로구 - 예천군청 https://www.ycg.kr/o[...] 2011-10-11
[33] 웹사이트 수성구 - 예천군청 https://www.ycg.kr/o[...] 2019-05-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