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호 펩타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호 펩타이드는 세포가 단백질을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모두에서 신호 펩타이드는 단백질을 특정 채널로 안내하여 이동을 촉진한다. 신호 펩타이드는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며, 동시 번역 또는 번역 후 경로를 통해 작동한다. 이들은 다양한 표적 위치로 단백질을 이동시키며, 분비 효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펩타이드는 항바이러스 치료의 표적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자 발현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유전자 발현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은 유성 생식 생물의 염색체 유전자 교차를 통한 유전자 재배열 현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유전학적 지도 작성에 활용되며,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로 이용된다.
  • 단백질 - 단백뇨
    단백뇨는 소변에서 과도한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지속적인 경우 신장 질환을 의심할 수 있어 의학적 진단과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가 필요하다.
  • 단백질 - 펩타이드 호르몬
    펩타이드 호르몬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물질로,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등이 있으며 기능 이상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신호 펩타이드

2. 기능 (단백질 이동)

신호 펩타이드는 세포 내에서 새로 합성된 단백질을 특정 위치로 정확하게 보내는, 즉 단백질 이동(protein transport) 또는 단백질 표적화(protein targeting)를 안내하는 짧은 펩타이드 서열이다. 이 과정은 단백질이 올바른 세포소기관이나 세포막에서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신호 펩타이드는 마치 단백질의 '우편번호'처럼 작용하여, 단백질이 최종 목적지로 향하도록 돕는다.

일반적으로 신호 펩타이드는 합성되는 단백질을 특정 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통과 채널, 즉 전위체(translocon)로 유도한다. 단백질은 이 채널을 통해 막을 통과하거나 막 자체에 삽입된다. 이러한 이동 과정은 원핵생물진핵생물 모두에서 발견되며, 각 생물계 및 표적 위치에 따라 사용하는 채널과 세부 메커니즘에 차이가 있다.[4]

단백질이 이동하는 주요 목적지 중 하나는 소포체(ER)이며, 특히 소포체로 향하는 신호 펩타이드는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신호 펩타이드가 존재하여 단백질을 여러 세포 소기관으로 안내한다.


  • : 핵 국재화 신호(Nuclear Localization Signal, NLS)는 단백질을 핵막공을 통해 핵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 신호는 보통 단백질 사슬 내부에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핵 내부의 특정 구조인 핵소체로 단백질을 보내는 핵소체 국재화 신호(Nucleolar Localization Signal, NoLS 또는 NOS)와, 반대로 핵에서 세포질로 단백질을 내보내는 핵 외 이행 신호(Nuclear Export Signal, NES)도 존재한다.
  •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기질(matrix)로 단백질을 보내는 신호 펩타이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MTS)는 소수성 아미노산과 염기성 아미노산이 교대로 나타나는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 페록시솜: 페록시솜으로 단백질을 보내는 신호 펩타이드(Peroxisomal Targeting Signal, PTS)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PTS1은 단백질의 카복실 말단(C-말단)에 위치한 3개의 아미노산 서열이며, PTS2는 주로 아미노 말단(N-말단) 근처에 위치한 9개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이처럼 신호 펩타이드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각각 특정 목적지로 단백질을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1. 원핵생물에서의 이동

원핵생물에서 신호 펩타이드는 새로 합성된 단백질을 원형질막에 존재하는 SecYEG 단백질 전달 채널로 안내한다.[4] SecYEG 채널은 일반적으로 전위체라고 불리며, 이 채널을 통과하는 것을 전위라고 한다. 분비 단백질이 채널을 통해 통과하는 동안, 막 횡단 도메인은 전위체의 측면 게이트를 가로질러 확산되어 주변 막으로 분할될 수 있다.

2. 2. 진핵생물에서의 이동

진핵생물에서도 원핵생물과 유사한 단백질 이동 시스템이 존재한다. 진핵생물에서 신호 펩타이드는 새로 합성된 단백질을 Sec61 채널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Sec61 채널은 원핵생물의 SecYEG 채널과 구조 및 서열 상 상동성을 공유하지만, 세포소기관소포체(ER)에 위치한다.[4] SecYEG와 Sec61 채널은 모두 일반적으로 전위체(translocon)라고 불리며, 단백질이 이 채널을 통과하는 과정을 전위(translocation)라고 한다. 분비 단백질이 채널을 통과하는 동안, 단백질의 막 횡단 도메인은 전위체의 측면 게이트를 통해 주변 막으로 확산되어 삽입될 수 있다.

소포체로 향하는 신호 펩타이드는 가장 연구가 많이 진행된 유형이다. 이 신호 펩타이드는 단백질 분자의 아미노 말단(N-말단)에 위치하며, 주로 5개에서 10개 정도의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서열이다. 단백질 합성이 리보솜에서 시작되어 신호 펩타이드 부분이 먼저 번역되면, 신호 인식 입자(Signal Recognition Particle, SRP)라는 단백질 복합체가 이 신호 서열을 인식한다. SRP는 GTP에 결합하여 활성이 조절되는 단백질이다. SRP가 신호 서열에 결합하면 단백질 번역이 일시적으로 멈춘다. 이후 SRP는 리보솜과 함께 소포체 막에 있는 SRP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렇게 다수의 리보솜이 결합된 소포체를 조면 소포체(rough ER)라고 부른다.

SRP가 SRP 수용체에 결합하면, 신호 서열은 SRP로부터 분리되어 소포체 막에 있는 Sec61 채널을 통해 소포체 내부(lumen)로 이동한다. 동시에 일시적으로 멈췄던 번역 과정이 다시 시작되고, 합성되는 단백질 사슬 전체가 채널을 통해 소포체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만약 단백질이 막 단백질이라면, 막 횡단 도메인이 Sec61 채널의 측면 게이트를 통해 소포체 막으로 삽입된다. 분비 단백질의 경우, 신호 펩타이드는 소포체 내부에 있는 신호 펩티데이스(signal peptidase)라는 효소에 의해 잘려나간다.

소포체로 들어온 단백질은 이후 골지체로 이동하여 추가적인 가공 및 분류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단백질에 특정 신호 서열(예: 카복실 말단(C-말단)의 특정 4개 아미노산 서열)이 있는 경우에는 소포체에 머무르도록 되돌려 보내진다. 다른 특정 신호가 있는 단백질은 페록시솜과 같은 다른 세포 소기관으로 보내지기도 하며, 별다른 신호가 없는 분비 단백질은 최종적으로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3. 구조

신호 펩타이드의 핵심은 소수성 아미노산(약 5~16개 잔기 길이)[5]의 긴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단일 알파 나선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h-영역"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많은 신호 펩타이드는 N-말단에 가까운 짧은 양전하 아미노산 서열("n-영역")로 시작하며, 이는 소위 양성-내부 규칙에 따라 전위 중 폴리펩타이드의 적절한 위상 배열을 돕는다.[6] 신호 펩타이드의 끝에는 일반적으로 신호 펩티다제에 의해 인식되고 절단되는 아미노산 서열(절단 부위)이 있다. 그러나 이 절단 부위는 신호 펩타이드 역할을 하는 막관통 도메인(때때로 신호 앵커 서열이라고도 함)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신호 펩티다제는 전위가 완료되는 동안 또는 후에 절단을 수행하여 자유 신호 펩타이드와 성숙 단백질을 생성한다. 자유 신호 펩타이드는 특정 프로테아제에 의해 분해된다.

서로 다른 세포 내 소기관을 표적으로 하는 신호 펩타이드는 구조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미토콘드리아 표적 펩타이드는 길이가 다양하며, 작고 양전하를 띤 서열과 소수성 서열이 교대로 나타나는 구조를 가진다. 세포핵 표적 신호 펩타이드는 단백질의 N-말단과 C-말단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대부분 절단되지 않고 성숙 단백질의 일부로 남는다.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는 가장 많이 연구된 유형으로, 단백질 분자의 N-말단에 위치한 5~10개 정도의 소수성 아미노산을 중심으로 하는 서열 구조를 가진다.

4. 동시 번역 및 번역 후 이동

원핵생물진핵생물 모두에서 신호 서열은 단백질이 세포 내 특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이 과정은 크게 동시 번역 경로와 번역 후 경로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4. 1. 동시 번역 경로

동시 번역 경로는 신호 펩타이드가 리보솜에서 나오면서 시작되며, 신호 인식 입자(SRP)에 의해 인식된다.[7] SRP는 진핵생물에서 번역 과정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후 SRP는 신호 서열-리보솜-mRNA 복합체를 SRP 수용체로 이동시킨다. SRP 수용체는 원핵생물의 경우 원형질막 표면에, 진핵생물의 경우 소포체 표면에 존재한다.[8] 막 표적화가 완료되면 신호 서열은 단백질 통로인 트랜스로콘에 삽입된다. 이어서 리보솜은 트랜스로콘의 세포질 쪽에 물리적으로 결합하고, 중단되었던 단백질 합성이 다시 시작된다.[9]

4. 2. 번역 후 경로

번역 후 경로는 단백질 합성이 완료된 후에 시작된다. 원핵생물에서 번역 후 기질의 신호 서열은 SecB 샤페론 단백질에 의해 인식되어 단백질을 SecA ATPase로 전달하며, SecA ATPase는 차례로 단백질을 트랜스로콘을 통해 펌핑한다. 진핵생물에서 번역 후 전위가 발생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그 과정은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 효모에서 번역 후 전위는 트랜스로콘과 두 개의 추가 막 결합 단백질인 Sec62 및 Sec63가 필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0]

5.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는 가장 연구가 많이 진행된 신호이며, 단백질 분자의 아미노 말단(N-말단; H₂N-)에 있는 5~10개 정도의 소수성 아미노산을 중심으로 하는 서열이다. 리보솜에 의해 번역이 시작되어 먼저 신호 부분이 합성되면, 신호 인식 입자(Signal recognition particle: SRP)가 이 신호 서열을 인식한다. SRP는 GTP 결합성 조절 단백질이다. 그러면 번역이 일시적으로 중지되고, SRP는 리보솜과 결합하며, 더 나아가 소포체 막에 있는 SRP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처럼 다수의 리보솜을 결합한 소포체를 조면 소포체라고 한다. 신호 서열이 SRP로부터 해리되어 막에 있는 작은 구멍을 관통하여 소포체 내로 이동함과 동시에 번역이 재개되고, 단백질이 소포체 내로 밀려 들어간다. 막 단백질은 그대로 수송되지만, 그 외의 분비 단백질은 신호가 소포체 내의 펩티데이스에 의해 절제된다. 더 나아가 단백질은 골지체로 수송되지만, 소포체 보존 신호(카르복실 말단(C-말단; -COOH)의 4 아미노산을 중심으로 함)가 있는 경우에는 소포체로 되돌려 보내지고, 그 외의 신호가 있다면 페록시솜 등으로 수송되며, 그 외에는 세포 외로 분비된다.

6. 기타 수송 신호 펩타이드

핵 국재화 신호(Nuclear localization signal: NLS)는 단백질을 핵막공을 통해 핵 안으로 이동시키는 서열이다. 이 신호는 펩타이드 사슬 내부에 위치하며, 주로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핵 내부의 특정 구조인 핵소체로 단백질을 보내는 핵소체 국재화 신호(Nucleolar localization signal: NoLS 또는 NOS)도 존재한다. 반대로, 단백질을 핵 밖으로 내보내는 핵 외 이행 신호(Nuclear exporting signal: NES) 역시 밝혀졌다.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단백질을 보내는 신호 펩타이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MTS)는 2~3개의 소수성 아미노산과 염기성 아미노산이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을 가진다.

페록시솜으로 단백질을 보내는 신호 펩타이드(Peroxisomal targeting signal: PTS)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PTS1은 단백질의 C-말단에 있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PTS2는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주로 단백질의 N-말단 가까이에 위치한다.

7. 신호 서열의 구체적인 예시

서로 다른 세포 내 표적 위치는 각기 다른 종류의 신호 서열을 통해 특정 위치로 보내진다. 예를 들어, 미토콘드리아로 향하는 단백질의 신호 서열은 길이가 다양하며, 작고 양전하를 띤 소수성 서열이 번갈아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으로 향하는 신호 서열(NLS)은 단백질의 N-말단이나 C-말단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성숙 단백질에서도 제거되지 않는다. 주요 표적 위치별 신호 서열의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표적 위치아미노산 서열
소포체 이송H2N-Met-Met-Ser-Phe-Val-Ser-Leu-Leu-Leu-Val-Gly-Ile-Leu-Phe-Trp-Ala-Thr-Glu-Ala-Glu-Gln-Leu-Thr-Lys-Cys-Glu-Val-Phe-Gln-
소포체 잔류-Lys-Asp-Glu-Leu-COOH
핵 이송 (NLS)-Pro-Pro-Lys-Lys-Lys-Arg-Lys-Val-
미토콘드리아 매트릭스H2N-Met-Leu-Ser-Leu-Arg-Gln-Ser-Ile-Arg-Phe-Phe-Lys-Pro-Ala-Thr-Arg-Thr-Leu-Cys-Ser-Ser-Arg-Tyr-Leu-Leu-
페록시좀 (PTS1)-Ser-Lys-Leu-COOH
페록시좀 (PTS2)H2N-----Arg-Leu-X5-His-Leu-


8. 분비 효율 결정

신호 펩타이드는 매우 다양하며, 많은 원핵생물진핵생물의 신호 펩타이드는 종 내 또는 종 간에 기능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며, 모두 단백질 분비 효율을 결정한다.[11][12][13]

9. 뉴클레오타이드 수준 특징

척추동물에서, 신호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mRNA 영역, 즉 신호 서열 코딩 영역(SSCR, Signal Sequence Coding Region)은 특정 활성을 가진 RNA 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 SSCR은 핵에서 만들어진 mRNA가 세포질로 나가는 수출 과정을 촉진하고, mRNA가 소포체 표면에 올바르게 자리 잡도록 돕는다. 또한 SSCR은 다음과 같은 특정 서열 특징을 가진다: 아데닌 함량이 낮고, 특정 서열 모티프가 풍부하며, 유전자의 첫 번째 엑손에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예상보다 높다.[14][15]

10. 대체 분비 기전

신호 펩타이드가 없는 단백질 또한 비전형적인 기전을 통해 분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류킨, 갈렉틴 등이 있다.[16] 이러한 분비 단백질이 세포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비전형적 단백질 분비(UPS)라고 한다. 식물에서는 분비 단백질의 50%가 UPS에 의존적일 수 있다.[17]

11. 비고전적 서열

신호 펩타이드는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N-말단에 위치하지만, 모든 신호 펩타이드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일부 단백질은 C-말단에 신호 펩타이드를 가지거나, 단백질 서열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신호 펩타이드를 갖기도 한다. 이러한 비전형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 펩타이드의 예로는 페록시솜 타겟팅 신호와 핵 국소화 신호 등이 있으며, 이들의 구조는 일반적인 N-말단 신호 펩타이드와는 상당히 다르다.


  • 핵 국소화 신호 (Nuclear Localization Signal, NLS): 단백질이 핵막공을 통과하여 세포핵 내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이 신호는 펩타이드 사슬의 중간 부분, 즉 내부에 위치하며 주로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핵 내부의 특정 구조인 핵소체로 단백질을 보내는 핵소체 국소화 신호(Nucleolar Localization Signal, NoLS 또는 NOS)나, 반대로 핵에서 세포질로 단백질을 내보내는 핵 외 이행 신호(Nuclear Export Signal, NES)와 같은 관련 신호 서열들도 존재한다.

  • 페록시솜 타겟팅 신호 (Peroxisomal Targeting Signal, PTS): 단백질을 페록시솜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신호로, 크게 두 가지 유형(PTS1, PTS2)으로 나뉜다.
  • PTS1: 단백질의 가장 끝부분인 C-말단에 위치하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서열이다. C-말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고전적 신호 서열의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 PTS2: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대부분 단백질의 N-말단 부근에 존재한다.

12. 용어

신호 펩타이드는 리더 mRNA에 의해 암호화되는 리더 펩타이드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때때로 둘 다 모호하게 "리더 펩타이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다른 종류의 리더 펩타이드는 단백질 위치 지정에 관여하지 않는 짧은 폴리펩타이드이다. 대신, 주요 단백질전사 또는 번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최종 단백질 서열의 일부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리더 펩타이드는 주로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유전자 조절 형태를 가리킨다. 진핵생물에서도 유사한 메커니즘이 유전자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를 상류 개방형 리딩 프레임(uORF, upstream open reading frameseng)이라고 한다.

13. 치료 표적으로서의 신호 펩타이드

신호 펩타이드는 잠재적인 (치료) 항바이러스 표적이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N-말단에 글리신이 있는 신호 펩타이드는 NMT 저해제의 표적이 되며, 이는 신호 펩타이드의 미리스토일화를 억제하고 신호 펩타이드를 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 대상으로 삼아 바이러스-세포 융합 기전에 영향을 미친다.

참조

[1] 서적 Post-Targeting Functions of Signal Peptides https://www.ncbi.nlm[...] Landes Bioscience 2013-01-01
[2]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signal peptides: Structure, roles, and applications 2018-08
[3] 논문 Transfer of proteins across membranes. I. Presence of proteolytically processed and unprocessed nascent immunoglobulin light chains on membrane-bound ribosomes of murine myeloma 1975-12
[4] 논문 Protein translocation across the eukaryotic endoplasmic reticulum and bacterial plasma membranes 2007-11
[5] 논문 A combined transmembrane topology and signal peptide prediction method 2004-05
[6] 논문 Topogenic signals in integral membrane proteins 1988-07
[7] 논문 Translocation of proteins across the endoplasmic reticulum. I. Signal recognition protein (SRP) binds to in-vitro-assembled polysomes synthesizing secretory protein 1981-11
[8] 논문 Protein translocation across the endoplasmic reticulum. I. Detection in the microsomal membrane of a receptor for the signal recognition particle 1982-11
[9] 논문 A mammalian homolog of SEC61p and SECYp is associated with ribosomes and nascent polypeptides during translocation 1992-10
[10] 논문 Posttranslational protein transport in yeast reconstituted with a purified complex of Sec proteins and Kar2p 1995-05
[11] 논문 Optimized signal peptides for the development of high expressing CHO cell lines 2013-04
[12] 논문 Signal sequences. The limits of variation 1985-07
[13] 논문 Comparison of secretory signal peptides for heterologous protein expression in microalgae: Expanding the secretion portfolio for Chlamydomonas reinhardtii 2018-02-06
[14] 논문 The signal sequence coding region promotes nuclear export of mRNA 2007-12
[15] 논문 Genome analysis reveals interplay between 5'UTR introns and nuclear mRNA export for secretory and mitochondrial genes 2011-04
[16] 논문 Unconventional mechanisms of protein transport to the cell surface of eukaryotic cells 2008
[17] 논문 Plant secretome: unlocking secrets of the secreted proteins 2010-02
[18] 논문 Cellular N-Myristoyl Transferases Are Required for Mammarenavirus Multiplication 2024-08-26
[19] 서적 栄養・生化学辞典「シグナル配列」 朝倉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