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재권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6대, 제19대,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무역학과를 중퇴하고 모나시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새천년민주당, 민주통합당,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위안부 문제와 독도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으며, 관련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천년민주당의 정치인 - 문희상
문희상은 1992년 정계 입문 후 6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국회의장까지 오른 더불어민주당 계열의 정치인이지만, 위안부 발언 논란, 아들 세습 논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인 후 2020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 새천년민주당의 정치인 - 전용학
전용학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언론인, 국회의원, 기업인으로 활동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한국조폐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 전주완산초등학교 동문 - 이철승
이철승은 일제강점기 학병 징집과 창씨개명을 거부하고 광복 후 반탁학생운동을 주도한 학생운동가이자, 3대, 4대, 5대, 8대, 9대, 10대, 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신민당 대표최고위원과 국회부의장을 역임했으며 유신체제 하에서 중도통합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 전주완산초등학교 동문 - 김영석 (배우)
1980년 드라마로 데뷔한 김영석은 드라마와 영화, 연극 무대에서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며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민주당 (2005년 대한민국) 당원 - 안규백
안규백은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평화민주당 당직자를 거쳐 제18대 국회에 입성한 후 서울 동대문구 갑에서 다선 의원을 지내며 국방위원회 위원, 더불어민주당 주요 당직을 수행하고 현재 이재명 대표 총괄특보단장 및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다. - 민주당 (2005년 대한민국) 당원 - 조은희 (정치인)
조은희는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서울대 대학원과 단국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청와대, 우먼타임스, (주)조&커뮤니케이션 등에서 활동하다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관, 정무부시장을 거쳐 서초구청장을 역임, 현재 서초구 갑 국회의원으로 활동 중인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이다.
심재권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심재권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46년 8월 15일 |
출생지 | 미 군정 조선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
본관 | 청송 |
배우자 | 정명숙 |
자녀 | 슬하 1남 |
종교 | (정보 없음) |
병역 | 병역면제(고령) |
거주지 | (정보 없음) |
학력 | |
학력 | 호주 모나쉬대학 국제정치학 박사 |
경력 | |
경력 |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부의장 제16·19·20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김대중 총재 비서실장 새천년민주당 기획조정실장 새천년민주당 사무총장 권한대행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간사 국회 보훈특별위원회 간사 새천년민주당 조순형 대표 비서실장 시민일보 사장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대통합민주신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통합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간사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간사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이사 대한민국헌정회 서울특별시 시도지회장 |
정당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역구 | |
지역구 | 서울 강동구 을(16·19·20) |
의원 정보 |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6·19·20 |
당내 직책 | |
당내 직책 | 일반고문 및 당무위원 |
기타 직책 | |
기타 직책 | (정보 없음) |
서명 | |
서명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학력
3. 경력
주요 경력 | |
---|---|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위원장 |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부의장 |
새정치국민회의 서울특별시 지부 강동구 을 지구당위원장 | 새천년민주당 서울특별시 지부 강동구 을 지구당위원장 |
배명중고등학교 총동문회 이사 |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이사 |
시민일보 사장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2004년 ~ 2007년) |
대통합민주신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겸 국민경선위원회 부위원장(전당대회 부의장) (2007년 ~ 2008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2008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강동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2008년 ~ 2011년) | 민주통합당 서울특별시당 강동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2011년 ~ 2013년)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강동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2013년 ~ 2014년) | 새정치민주연합 서울특별시당 강동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2014년 ~ 2015년)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강동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2015년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 대한민국헌정회 서울특별시 시도지회장 |
국회의원 경력 | |
---|---|
2000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강동구 을, 새천년민주당, 초선)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6대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새천년민주당) | |
* 새천년민주당 김대중 총재 비서실장 | |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강동구 을, 민주통합당, 재선) |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 |
* 2012년 7월 ~ 2013년 3월: 제19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간사 (민주통합당) | |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강동구 을, 더불어민주당, 3선)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더불어민주당) | |
*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
4. 주요 활동
심재권 의원은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위원장을 지냈으며, 새정치국민회의와 새천년민주당에서 정책위원회 부의장, 서울특별시 지부 강동구 을 지구당위원장 등 주요 직책을 맡았다. 새천년민주당에서는 김대중 총재 비서실장, 기획조정실장, 사무총장 권한대행, 조순형 대표 비서실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강동구 을 지역구에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된 후, 19대,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연이어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16대 국회에서는 문화관광위원회와 보훈특별위원회 간사를, 19대 국회에서는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및 외교통일위원회 간사,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대 국회에서는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후반기에는 외교통일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이사, 대한민국헌정회 서울특별시 시도지회장을 맡고 있다.
4. 1. 일본군 위안부 문제
심재권 의원은 2015년 6월 19일 한국 외교부가 위안부 추모일 제정에 반대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며 비판했다.[2] 2016년 10월 13일에는 국회 감사 석상에서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 파기와 화해·치유 재단 해체, 재협상을 요구하는 의견을 표명했다.[3]4. 2. 독도 문제
2018년 5월 23일, 독도에 상륙하여 수비대를 격려했다. 당시 상륙한 의원은 심재권 의원 한 명뿐이었고, 관련 동향이 언론에 보도된 바도 적어 일본 측의 대응이 늦어졌다.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주일 한국대사관 공사에게 유감을 표명한 것은 5일 뒤인 같은 달 28일이었다.[4]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96년 | 제15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 30,416표 (32.36%) | 2위 | 낙선 | |
2000년 | 제16대 총선 | 새천년민주당 | 42,997표 (48.43%) | 1위 | 당선 | 초선 |
2004년 | 제17대 총선 | 새천년민주당 | 17,087표 (16.40%) | 3위 | 낙선 | |
2008년 | 제18대 총선 | 통합민주당2008 | 30,147표 (39.44%) | 2위 | 낙선 | |
2012년 | 제19대 총선 | 민주통합당 | 51,451표 (54.17%) | 1위 | 당선 | 재선 |
2016년 | 제20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 42,096표 (41.15%) | 1위 | 당선 | 3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2]
웹사이트
韓国外務省が「慰安婦の日」制定に反対、野党議員が「情けないことこの上ない」と批判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8-06-22
[3]
웹사이트
韓国国会委員長、慰安婦合意無効を要求 「あまりに一方的」と韓日議員連盟会長が抗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8-06-22
[4]
웹사이트
韓国国会議員が竹島上陸 日本政府が抗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8-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