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희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출신이다. 14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국회부의장과 국회의장을 지냈다.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과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을,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했다. 위안부 문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국회 특수활동비 관련 꼼수 논란, 아들 지역구 세습 논란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천년민주당의 정치인 - 심재권
심재권은 제16, 19, 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위안부 문제와 독도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새천년민주당의 정치인 - 전용학
전용학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언론인, 국회의원, 기업인으로 활동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한국조폐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 대통합민주신당의 정치인 - 양승조
대한민국의 정치인 양승조는 충청남도 천안 출신으로, 4선 국회의원과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충청남도지사를 역임했으나 재선 및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고, 의료 공공성 강화와 국민 권익 보호에 힘쓴 정치인이다. - 대통합민주신당의 정치인 - 이철 (1948년)
학생운동으로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던 이철(1948년)은 신한민주당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정당을 거치며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한국철도공사 사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적상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서적상 - 마르틴 슐츠
마르틴 슐츠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축구 선수에서 정계에 입문하여 유럽 의회 의장과 사민당 총리 후보를 역임했으며 친유럽주의자로 활동했다.
문희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문희상 |
로마자 표기 | Mun Huisang |
한자 표기 | 文喜相 |
출생일 | 1945년 3월 3일 |
출생지 | 양주, 게이키도, 대한제국 |
서명 | Moon Hee-sang signature.svg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 의장 | 재임 시작: 2018년 7월 13일 재임 종료: 2020년 5월 29일 대통령: 문재인 부의장: 이주영 주승용 전임: 정세균 후임: 박병석 |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 재임 시작: 2014년 9월 28일 (임시) 재임 종료: 2015년 2월 9일 전임: 박영선 (임시) 후임: 문재인 |
민주당 대표 | 재임 시작: 2013년 1월 9일 (임시) 재임 종료: 2013년 5월 4일 전임: 이해찬 후임: 김한길 |
열린우리당 의장 | 재임 시작: 2005년 4월 2일 재임 종료: 2005년 10월 28일 전임: 임채정 (임시) 후임: 정세균 (임시) |
국회의원 | 재임 시작: 2004년 7월 14일 재임 종료: 2020년 5월 29일 지역구: 의정부시 갑 전임: 홍문종 후임: 오영환 |
국회의원 (이전) | 재임 시작: 2000년 5월 30일 재임 종료: 2003년 3월 7일 지역구: 의정부시 전임: 홍문종 후임: 홍문종 |
국회의원 (초선) | 재임 시작: 1992년 5월 30일 재임 종료: 1996년 5월 29일 지역구: 의정부시 전임: 김문원 후임: 홍문종 |
대통령 비서실 | |
대통령 비서실장 | 재임 시작: 2003년 2월 25일 재임 종료: 2004년 7월 13일 대통령: 노무현 전임: 박지원 후임: 김우식 |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 | 재임 시작: 1998년 2월 25일 재임 종료: 1998년 5월 18일 대통령: 김대중 |
개인 정보 | |
학력 | 서울대학교 법학과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바오로) |
군 복무 | 대한민국 해군 중위 전역 |
배우자 | 김양수 |
자녀 | 아들 문석균 |
기타 정보 | |
국적 | 대한민국 |
소속 군 | 대한민국 해군 |
계급 | 중위 |
본관 | 남평 문씨 |
웹사이트 | 문희상 의원 홈페이지 |
2. 학력
3. 경력
- 1976년: 학교법인 경해학원 이사장
- 1985년: 제34대 한국청년회의소(JC) 중앙회장
- 1987년: 민주연합청년동지회 중앙회장
- 1987년: 평화민주당 행정위원
- 1988년~1991년: 평화민주당 경기도 지부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
- 1991년: 신민주연합당 경기도 지부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
- 1991년~1995년: 민주당 경기도 지부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
- 1992년 3월 26일: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의정부시, 민주당, 초선)
- 1992년 5월~1996년 5월: 제14대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 초선)
- 1995년~1996년: 제14대 국회 후반기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직무대행
- 1995년~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경기도 지부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
-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상임위원
- 1995년: 숭문당 사장
- 1998년 2월: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 1998년 5월: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
- 1999년 1월: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 2000년~2003년: 새천년민주당 경기도 지부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
- 2000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의정부시, 새천년민주당, 재선)
- 2000년 5월 30일~2003년 3월 7일: 제16대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 새천년민주당, 재선)
- 2002년: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새천년민주당 대통령선거기획단장
- 2003년 2월~2004년 2월: 제26대 대통령비서실장
- 2003년~2004년: 대통령비서실 정치특보
- 2003년~2008년: 국정자문회의 의장
- 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의정부시 갑, 열린우리당, 3선)
-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제17대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 갑,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 3선)
- 2004년 7월 한일의원연맹 한국 측 회장
- 2004년~2006년: 제17대 국회 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장
- 2005년 4월~2005년 11월: 열린우리당 당의장, 열린정책연구원 이사장
- 2006년~2007년: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 2007년~2008년: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
- 2008년: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 2008년~2011년: 민주당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의정부시 갑, 통합민주당, 4선)
-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 갑, 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 4선)
- 2008년 7월 16일~2010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
- 2011년: “진보개혁의 모임” 공동대표
- 2011년~2013년: 민주통합당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의정부시 갑, 민주통합당, 5선)
-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제19대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 갑,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5선)
- 2011년~2013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 2013년 1월~2013년 5월: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 2013년~2014년: 민주당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민주당 상임고문
- 2013년 5월~2014년 5월: 제19대 국회 전반기 안전행정위원회 위원
- 2014년 6월~2014년 10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2014년 6월~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
- 2014년~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4년 9월~2015년 2월: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 민주정책연구원 이사장
- 2014년 10월~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안전행정위원회 위원
- 2015년~2018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의정부시 갑, 더불어민주당, 6선)
- 2016년 5월 30일 ~2020년 5월 29일: 제20대 국회의원(경기 의정부시 갑, 더불어민주당→무소속, 6선)
- 2016년 6월~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2017년: 대통령비서실 일본 특사
- 2017년 5월 17일: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서 일본 방문.
- 2018년 7월 13일: 국회의장 취임.
- 2018년 7월 ~2020년 5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
- 2020년 5월: 국회의원 임기 만료와 함께 정계 은퇴.
- 2020년 6월~: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2020년 6월~2024년 12월: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후원회장
- 2020년 9월~: 경동대학교 명예총장
- 2020년 10월~: 한일의원연맹 명예회장
- 2021년~: 김대중정치학교장
- 2022년 12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민관합동추진위원회 위원장
- 2023년~: 재단법인 김대중기념사업회 부이사장
- 재단법인 보통사람들의시대 노태우센터 고문
- 그 외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5]
4. 정치 활동
문희상은 1976년 학교법인 경해학원 이사장을 시작으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1985년 한국청년회의소(JC) 중앙회장을 역임하고, 1987년 민주연합청년동지회 중앙회장과 평화민주당 행정위원을 지냈다.
1988년부터 1995년까지 평화민주당, 신민주연합당, 민주당에서 경기도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했다.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의정부시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상임위원 및 숭문당 사장을 역임했다.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제14대 국회 후반기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았다.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의정부시에 출마하여 재선되었고, 2003년까지 새천년민주당 경기도 의정부시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의정부시 갑에 출마하여 3선에 성공, 같은 해 한일의원연맹 한국 측 회장과 제17대 국회 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열린우리당과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및 최고위원, 통합민주당 상임고문을 지냈다.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의정부시 갑에 출마하여 4선에 성공, 2010년까지 제18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했다. 2011년까지 민주당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의정부시 갑에 출마하여 5선에 성공, 2013년까지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을 지냈다. 2014년까지 민주당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과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제19대 국회 전반기 안전행정위원회 위원,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및 정보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과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정책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과 경기도당 의정부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의정부시 갑에 출마하여 6선에 성공, 2018년까지 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20년부터 한일의원연맹 명예회장,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및 중앙당 후원회장을 맡고 있다. 경동대학교 명예총장(2020년), 김대중정치학교장(2021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민관합동추진위원회 위원장(2022년), 재단법인 김대중기념사업회 부이사장(2023년)을 역임하고 있으며, 재단법인 보통사람들의시대 노태우센터 고문으로 있다.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일본을 방문[11]하여 내각총리대신아베 신조와 한일셔틀외교 부활 및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논의하고, 민진당 대표 렌호 등과 회담했다.[12]
4. 1. 김대중 정부 시절
문희상은 1998년 2월 김대중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으로 임명되었다.[5] 그해 5월에는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을, 1999년 1월에는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5] 2002년에는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과 새천년민주당 대통령선거기획단장을 맡았고, 2003년에는 대통령비서실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5]4. 2. 노무현 정부 시절
노무현 정부 시절, 2002년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및 대통령선거기획단장을 역임했다.[5] 2003년에는 노무현 대통령비서실 비서실장을 역임했다.[5] 2004년에는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역임했다.[5]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 열린우리당 의장을 역임했다.[5]4. 3.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절
2012년 대선에서 민주통합당이 패배한 직후, 그리고 박영선 원내대표의 탈당 문제로 내분 상태에 빠진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비상대책위원장을 역임하는 등[9][10], 선거 패배 등으로 당이 혼란에 빠질 때마다 당을 수습하는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4. 4. 문재인 정부 시절
2017년 5월 17일, 문희상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했다.[5] 2018년 7월 13일 국회의장에 취임했으며,[5] 2020년 5월 국회의원 임기 만료와 함께 정계를 은퇴했다.[5]5. 논란
문희상은 여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20대 국회 특수활동비 세부 집행 내역을 공개하라는 법원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하여 논란이 되었다. 또한, 국회 특수활동비를 삭감하면서도 국회의장단 경비는 남겨두어 꼼수라는 비판을 받았다.[43][44]
패스트트랙 4법 국회 대치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들과의 몸싸움 과정에서 임이자 의원과 관련된 성추행 논란이 있었다. 자유한국당이 '성추행' 현수막을 미리 준비한 것을 두고 의도된 논란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대한항공에 처남 김승수의 취업을 청탁했다는 의혹[45]과 아들 문석균의 지역구 세습 논란도 있었다. 문석균은 제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려 했으나, 세습 정치라는 비판에 직면하여 출마를 철회했다. 이후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37][38]
2019년에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왕의 사과가 필요하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일었다. 그는 "전쟁범죄 주범의 아들"이 사과해야 한다고 언급하여 일본 정부의 강한 반발을 샀다.[13][15] 아베 신조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치인들은 문 의장의 발언을 비판하며 사과와 철회를 요구했으나,[17][18] 문 의장은 이를 거부했다.[19][20] 한국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문 의장을 옹호했다.[21][22] 이후 문 의장은 일본 측에 유감을 표명하고,[28][29] 와세다대학 강연에서 일본 국민에게 사과했다.[32] 그러나 천황에게 사과 편지를 보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33]
5. 1. 특수활동비 논란
문희상은 20대 국회 특수활동비 등 세부집행내역을 공개하라는 1심 법원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해 논란이 되었다. 법원 판결에 대한 항소 결정권은 국회의장이었던 문희상이 가지고 있었다.[43] 또한 상임위원장단 몫을 포함한 올해 국회 특수활동비를 모두 삭감하되 국회의장단이 사용할 최소한의 경비는 남기기로 방침을 세워 꼼수 논란이 있었다.[44]5. 2. 임이자 성추행 논란
패스트트랙 4법 국회 대치 사태 중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국회의장실을 점거하고 몸싸움을 벌이는 과정에서 임이자 의원과 관련된 논란이 발생했다. 자유한국당이 '성추행' 현수막까지 미리 준비한 것을 두고, 성추행 논란을 의도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5. 3. 처남 취업 청탁 논란
대한항공에 처남 김승수(전 농협 야구선수)의 취업을 청탁했다는[45] 논란이 불거져 곤혹을 치렀다.5. 4. 아들 지역구 세습 논란
제21대 총선에서 문희상 의장의 아들 문석균은 더불어민주당 의정부시 갑 지역구 상임부위원장을 지냈으며, 같은 지역구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려 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 세습 정치인이라는 비판 여론이 쏟아져 출마를 철회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의정부와 연고가 없는 오영환을 전략 공천하자, 문석균은 이에 반발하며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투표 결과, 문석균은 8.5%의 득표율로 낙선했다.[37][38]5. 5. 일왕 사죄 요구 발언 논란
2019년 2월 7일, 문희상 국회의장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총리나 천황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을 대표하는 총리 또는 곧 퇴위하시는 천황이 좋겠다. 그분은 전쟁범죄 주범의 아들이 아닌가. 그런 분이 한번 할머니의 손을 잡고 정말 죄송했다고 한마디만 하면, 완전히 해결될 것이다”라고 발언했다.[13]2019년 2월 9일, 한국 국회 보도관은 문 의장이 천황을 “전쟁범죄 주범의 아들”이라고 표현하지 않았다고 아사히 신문에 해명했지만,[14] 2019년 2월 11일, 블룸버그는 문 의장의 인터뷰 음성 데이터를 공개하며 “Isn’t he the son of the main culprit of war crimes? So, if a person like that holds the hands of the elderly and says he’s really sorry, then that one word will resolve matters once and for all영어”이라고 발언한 것을 확인했다.[15]
같은 날, 문 의장은 “전쟁범죄 주범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중요한 위치에 있는 지도자의 진심 어린 사과를 강조하는 맥락에서 나온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의 책임 있는 지도자가 위안부에 대해 납득할 만한 진심 어린 사과를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일본 측은 수십 번 사과했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그런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또한 일본의 비판에 대해서는 “한일 양국 간에 불필요한 논쟁을 바라지 않으며, 일어나서도 안 된다”라며 사태 진정을 촉구했다.[16]
2019년 2월 12일,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문 의장의 발언에 대해 “부적절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유감이다”라고 말했다.[17] 고노 다로 외무대신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매우 무례한 발언”이라고 비판하며 일본 정부가 한국 측에 사과와 철회를 요구했음을 밝혔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역시 “매우 부적절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유감이라는 점을 강력히 전달하고 강하게 항의했다. 동시에 사과와 철회를 요구했다”라고 보고했다.[18]
같은 날, 문 의장은 사과와 발언 철회 요구에 대해 “왜 큰 문제가 되는가. 아베 총리까지 나서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발언은 사과할 사안이 아니라고 거부했다. 그는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에 대해서도 “합의서가 수십 건 있어도 무엇이냐” “피해자의 마지막 용서가 있을 때까지 사과하라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위안부 문제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오직 하나, 마음을 담은 사과”라는 견해를 보였다.[19][20]
한국 정부도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이 문 의장의 발언을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명예·존엄(회복)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피해자 중심의 접근으로 일본이 진지한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취지의 언급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21]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도 “문 의장의 발언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일본 측이 진정성 있는 자세를 보일 것을 촉구한 것이다.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단 한 번도 사과다운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우 적절한 지적”이라고 지지했다.[22]
2019년 2월 14일, 한일의원연맹의 강창일 회장은 라디오 방송에서 “천황의 사과를 요구한 문씨의 발언은 매우 상식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고노 다로 외무상의 “매우 무례한 발언”이라는 항의를 “타국의 국회의장에 대한 매우 무례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23]
2019년 2월 18일, 문 의장은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일본 측의 반발을 “사과해야 할 측이 사과하지 않고, 나에게 사과하라니 무슨 일이냐” “도둑이 제 발 저린 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10년 전 천황으로부터 방한 중재를 부탁받았을 때, “무엇보다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모여 있는 곳에 가서 한마디 ‘죄송합니다’라고만 하면 된다”라고 조언했다고 말했지만,[24] 21일 일본 궁내청은 천황이 문 의장과 만난 기록이 없다는 것을 발표하며 문 의장의 발언을 부정했다.[25]
2019년 2월 22일, 한국 외교부는 문 의장의 발언에 대해 “위안부의 명예와 존엄,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진지한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취지의 언급이라고 일본에 설명했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의 책임 있는 지도자가 우리나라 국회의장에 대해 자제력 없는 말로 비난을 계속하고 있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정치적으로 과도하게 강조하는 것은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라며 일본을 비판했다.[27]
2019년 6월 13일, 문 의장은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를 만나 “(그 발언으로) 마음이 상처 입은 분들에게 죄송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하토야마 전 총리가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이해가 되지만, 일본인에게는 천황까지 거론한 것은 실례라고 생각되는 문제”라고 지적하자, 문 의장은 “전적으로 공감한다”라고 동의했다.[28][29]
2019년 6월 14일,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 보도에 대해 “하토야마씨와의 회담이므로 논평은 삼가겠다”라고 발언하며, 일본 정부의 논평은 없었다.[30]
2019년 9월, 산토 아키코 참의원 의장은 남관표 주일대사에게 문 의장의 발언에 대해 항의했다. 문 의장은 산토 의장에게 서한을 보냈지만, 명확한 발언 철회와 사과는 없었다. 산토 의장은 다시 문 의장에게 발언 철회와 사과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11월 4일에 개최되는 G20 국회의장 회의에 참석하는 문 의장은 산토 아키코와의 면담을 요구했지만, 산토 측은 이를 거절했다.[31]
2019년 11월 3일, 문 의장은 G20 국회의장 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했다. 11월 5일 와세다대학에서 “진정한 신뢰, 창의적인 해결책으로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 복원”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했다. 이 강연에서 문 의장은 “어떤 외신 보도로 일본 여러분의 마음을 상하게 했다”라는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라고 말했다. 이는 한국 국회의장이 일본 언론 공간에서 공식적으로 사과한 첫 사례였다.[32] 그러나 한일의원연맹의 가와무라 다케오 간사장은 문 의장이 천황에게 사과 편지를 보냈다고 말했지만, 국회 보도관실은 “일본 일부 언론에 보도된 문 의장의 천황에게 보낸 사과 편지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33]
2019년 12월 5일, 국회의장실은 문 의원이 제시했던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한 법안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법안은 일본과 한국 기업의 자발적 기부금과 개인 기부금을 배상에 사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정의기억연대는 당사자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며 반대했다.[35][36]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들 | 문석균 | 더불어민주당 경기 의정부갑 지역위원회 상임부위원장 역임 |
여동생 | 문인숙 | 교수 |
여동생 | 문재숙 | 중요무형문화재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 보유자 (인간문화재)[7][8] |
매제 | 이상업 | 국가정보원 제2차장 역임, 문재숙의 남편[7][8] |
조카딸 | 이슬기 | 가야금 연주가, 이상업과 문재숙의 딸[46][7][8] |
조카딸 | 이하늬 | 배우, 이상업과 문재숙의 딸[46][7][8] |
부인 | 김양수 | 김영조의 외동딸[47] |
장인 | 김영조 | 전직 야구 선수 및 야구 지도자[6] |
7.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
국민의 정부 개혁 방향과 과제 | 1999년 |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 2003년 |
8. 수상
연도 | 상 이름 |
---|---|
2014년 | 제16회 백봉신사상 |
2015년 | 대한민국 모범국회의원대상 최고대상 |
9.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88년 | 제13대 총선 | 평화민주당 | 22,492표 (27.50%) | 3위 | 낙선 | 보기 |
1992년 | 제14대 총선 | 민주당 | 40,171표 (38.66%) | 1위 | 당선 | 초선 |
1996년 | 제15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 37,490표 (33.01%) | 2위 | 낙선 | 보기 |
2000년 | 제16대 총선 | 새천년민주당 | 59,722표 (45.76%) | 1위 | 당선 | 재선 |
2004년 | 제17대 총선 | 열린우리당 | 42,823표 (52.12%) | 1위 | 당선 | 3선 |
2008년 | 제18대 총선 | 통합민주당 | 32,211표 (47.49%) | 1위 | 당선 | 4선 |
2012년 | 제19대 총선 | 민주통합당 | 39,252표 (47.01%) | 1위 | 당선 | 5선 |
2016년 | 제20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 38,739표 (42.84%) | 1위 | 당선 | 6선 |
참조
[1]
뉴스
Opposition party picks five-term lawmaker as new interim leader
http://english.yonha[...]
2014-09-18
[2]
웹사이트
https://news.v.daum.[...]
[3]
기타
[4]
뉴스
国会が正常化 新国会議長に文喜相氏
http://world.kbs.co.[...]
2018-07-13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6]
웹사이트
[조희준의 이런 야구]50년대 '영혼의 배터리' 김양중·김영조
https://www.joynews2[...]
2016-08-03
[7]
웹사이트
문희상, ‘미코’ 출신 외조카 이하늬 언급 “나 닮아 예뻐”…이하늬 “살 찌면 외삼촌”
https://www.donga.co[...]
2018-09-29
[8]
웹사이트
국악찬양으로 예수 탄생 축하… ‘얼쑤 크리스마스-어허둥둥 예슈와’
https://news.kmib.co[...]
2014-12-03
[9]
뉴스
韓国:民主党、文喜相非常対策委体制に
http://www.labornetj[...]
2013-01-09
[10]
뉴스
韓国最大野党 非常対策委員長を選出=混乱収拾目指す
http://japanese.yonh[...]
2014-09-18
[11]
웹사이트
慰安婦めぐる主張「日本も理解」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5-20
[12]
웹사이트
蓮舫代表、文喜相・韓国日本担当特使と会談
https://www.minshin.[...]
民進党ホームページ
2017-05-22
[13]
웹사이트
従軍慰安婦問題は天皇の謝罪の一言で解決される-韓国国会議長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9-02-08
[14]
뉴스
韓国議長「天皇の直接謝罪で慰安婦問題は解決できる」
https://www.asahi.co[...]
2019-02-09
[15]
뉴스
South Korea Lawmaker Seeks Imperial Apology for Japan Sex Slaves
https://www.bloomber[...]
2019-02-08
[16]
뉴스
文喜相氏、日本の反発に「慰安婦問題、韓日間で論争あってはいけない」
https://japanese.joi[...]
2019-02-12
[17]
웹사이트
米ブルームバーグが“証拠”突きつけ 韓国・文議長「天皇は戦争犯罪の主犯の息子」音声公開
https://www.zakzak.c[...]
夕刊フジ|ZAKZAK
2019-02-13
[18]
뉴스
韓国国会議長の発言「甚だしく不適切」首相
2019-02-12
[19]
웹사이트
「天皇謝罪」日本の反発に…文喜相氏「安倍氏まで出てきたのは理解できない」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2-13
[20]
뉴스
「最後の許しが出るまで謝罪を」韓国国会議長、抗議に態度硬化
https://web.archive.[...]
2019-02-13
[21]
뉴스
国会議長の発言 「日本が真摯さ示す必要性を強調したもの」=韓国外交部
2019-02-12
[22]
뉴스
韓国与党院内代表「日本指導層の歴史意識は偏狭だ」
https://japanese.joi[...]
2019-02-13
[23]
뉴스
韓日議連会長「日本の外相こそ無礼」 天皇謝罪発言への反発に
2019-02-14
[24]
뉴스
韓国国会議長「追い込まれた安倍首相、慰安婦問題を政略的に争点化」
https://jp.yna.co.kr[...]
2019-02-18
[25]
뉴스
天皇陛下と韓国・文議長「御面会になった記録はありません」 宮内庁、夕刊フジに正式回答で「完全否定」
https://www.zakzak.c[...]
2019-02-23
[26]
뉴스
天皇発言、謝罪の考えなし=報復は「子供のいたずら」
2019-02-18
[27]
뉴스
韓国、河野外相の発言「非常に遺憾」 議長発言めぐり
https://www.asahi.co[...]
2019-02-22
[28]
뉴스
天皇謝罪発言の文喜相氏、日本国民に謝罪「傷ついた方々にお詫び」
https://japanese.joi[...]
2019-06-14
[29]
뉴스
韓国議長が天皇発言を謝罪 鳩山氏に、関係考慮か
https://www.nikkei.c[...]
2019-06-13
[30]
뉴스
菅官房長官、韓国国会議長の「謝罪」論評せず「鳩山氏との会談なので…」
https://www.sankei.c[...]
2019-06-14
[31]
웹사이트
韓国国会議長からの書簡に明確な謝罪なし、山東氏改めて謝罪要求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32]
웹사이트
韓国・文議長、講演で妄言連発! 講演大荒れ「上皇陛下に謝れ!」のヤジも 元徴用工問題では呆れた解決策
https://www.zakzak.c[...]
zakzak
2019-11-06
[33]
웹사이트
菅官房長官「文喜相議長、天皇に謝罪の手紙? 日本政府は知らないこと」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11-08
[34]
웹사이트
文喜相国会議長、習主席に会えず…「中国がまた韓国冷遇」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5-08
[35]
웹사이트
韓国の国会議長、徴用工側と対立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9-12-06
[36]
웹사이트
正義連「尹美香氏、文喜相案に反対したが白紙にしたのではない」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06-06
[37]
웹사이트
'문희상 세습 논란' 아들 문석균, 결국 의정부갑 무소속 출마
https://www.joongang[...]
2020-03-16
[38]
웹사이트
문석균 낙선 인사 “문희상, ‘문석균의 아버지’로 부를 날 만들겠다”
https://m.kmib.co.kr[...]
2020-04-16
[39]
기타
[40]
기타
[41]
뉴스
20대 국회 후반기 의장에 6선 문희상 공식 선출(2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7-13
[42]
웹인용
[Who Is ?] 문희상 국회의장
http://www.businessp[...]
2019-02-13
[43]
뉴스
문희상 의장, 국회 특수활동비 공개 불복해 항소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8-08-09
[44]
뉴스
꼼수 논란인 ‘특활비 폐지’…문희상, 국회의장단 몫 일부 남기고 모두 삭감 방침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8-15
[45]
뉴스
[Who Is ?] 문희상 국회의장
http://www.businessp[...]
비즈니스포스트
2020-02-07
[46]
웹인용
[주간조선] 국악인 겸 배우 이하늬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www.chosun.co[...]
2010-01-30
[47]
뉴스
[조희준의 이런 야구]50년대 '영혼의 배터리' 김양중·김영조
https://sports.news.[...]
조이뉴스24
2016-08-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 대통령, 민주 상임고문단 오찬…"새로운 나라 만드는 데 최선"
민주당 상임고문단 “야당 지도부와 적극 대화해야”···이 대통령 “명심하겠다”
여당서 "추석 전 검찰개혁은 정치적 메시지"…'속도 조절' 아니다?
DJ 서거 16주기 추모식 내일 현충원 개최…여야 대표 등 참석
원로 쓴소리에 정청래 “DJ도 ‘국익 위해 악마와 손 잡으라’ 말씀···잘 새기겠다”
정청래에 쓴소리 한 민주 원로들 “과격하지 말라”, “당원만 보지 말라”
정청래에 쏟아진 원로들의 쓴소리…"당원 아닌 국민 뜻 수렴해야"
정청래에 쏟아진 원로들의 쓴소리…"당원 아닌 국민 뜻 수렴해야"
민주, 본회의 직전 “방송3법 먼저 처리”…국힘도 필리버스터 3시간 만에 대부분 자리 떴다
남북 국회의장, 세계국회의장회의 계기 제네바서 회동 가능성
[점선면]‘헌재 승복’ 여부까지 걱정하게 만드는 윤석열
[바로이뉴스] "윤, '개헌'할 줄 알았는데 '계엄'을…" 김종인, 개헌 직접 해봤다는데
[바로이뉴스] 이재명 위해 개헌하자는 이낙연 "제왕적 권력, 행복한 결론 줄까"
서울대서 개헌 주제 토론회… 전·현직 국회의장 등 정치 원로들 참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