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호는 조선 시대의 인물로, 단의왕후의 아버지이자 경종의 장인이다. 1696년 딸이 왕세자빈으로 간택되면서 영소전 참봉에 제수되었고, 사직서령, 사옹원 첨정을 거쳤다. 사후 우의정에 증직되었으며, 경종 즉위 후 국구로서 청은부원군으로 추봉되고 영의정으로 가증되었다. 명종의 국구 심강의 6대손이며, 박장원의 손녀와 혼인하여 숙종과 사돈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68년 출생 - 각혜황귀비
각혜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이자 효강장황후의 조카이며, 귀비에 책봉된 후 황귀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고, 숙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68년 출생 - 아메노모리 호슈
아메노모리 호슈는 1668년에 태어나 1755년에 사망한 일본의 학자이자 외교관으로, 쓰시마 번에서 조선과의 외교를 담당하며 조선어와 주자학을 배우고 《교린수지》를 저술하여 성신을 강조하며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보였다. - 조선 경종 -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은 1728년 이인좌를 중심으로 소론 강경파가 영조 즉위에 반발하여 일으킨 반란으로, 과도한 세금과 지주 착취에 대한 백성들의 불만이 사회적 배경이 되었으며, 3개월 만에 진압된 후 소론의 세력이 약화되고 탕평책이 추진되었다. - 조선 경종 - 신임사화
신임사화는 경종 시대에 노론과 소론의 당쟁으로 발생한 정치적 숙청 사건으로, 노론의 정국 장악 시도와 소론의 반발, 그리고 이어진 옥사들을 통해 조선 후기 당쟁의 폐해를 드러낸다. - 1704년 사망 - 존 로크
존 로크는 경험론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잉글랜드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서, 인간의 마음을 백지 상태로 보고 경험을 통해 지식이 형성된다고 주장했으며, 사회계약론과 자연권 사상을 발전시켜 자유주의 사상과 민주주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04년 사망 - 김덕원
김덕원은 조선 현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숙종 때 갑인예송으로 남인으로 활동하다가 경신환국 이후 서인 정권에서 중용되었고, 기사환국으로 우의정에 발탁되어 남인 정권을 이끌었으며, 갑술환국으로 유배된 후 향리에 은거했다.
심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귀족 정보 | |
이름 | 심호 |
한자 표기 | 沈浩 |
작위 | 조선 경종의 국구 |
추증 작위 |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 |
출생일 | 1668년 |
사망일 | 1704년 |
가문 | 청송 심씨 |
부친 | 심봉서 - 영의정 심열의 증손 |
모친 | 전주 이씨 - 군수 이성린의 딸 |
배우자 | 영원부부인 고령 박씨 - 이조판서 박장원의 손녀 |
시호 | 효숙공(孝肅公) |
인물 정보 | |
출생지 | 조선 |
사망지 | 조선 |
직업 | 국구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영원부부인 고령 박씨 |
부모 | 심봉서(부) |
자녀 | 2남 2녀 |
딸 | 단의왕후 |
아들 | 심유현 |
친척 | 이성린(외조부) |
2. 생애
심호는 1696년(숙종 22년)에 그의 딸이 왕세자빈(王世子嬪)으로 간택되자[1], 영소전 참봉(永昭殿 參奉)에 제수되었다.[2] 주부(主簿)[3]와 금오랑(金吾郞)[4]을 거쳤다. 1703년(숙종 29년) 사직서령(社稷署令)[5]에 제수되었고, 1704년(숙종 30년) 사옹원 첨정(司饔院 僉正)으로 있다가 사망하였다.[6] 사망직후, 우의정에 증직(贈職)되었다가,[7] 경종 즉위 후, 국구(왕비의 아버지)로서,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으로 추봉(追封)되고, 영의정으로 가증(加贈)되었다.[8][9][10]
사왕 전하(嗣王殿下)의 전비(前妃)는 단의 왕후(端懿王后) 심씨(沈氏)로, 증(贈) 영의정(領議政) 청은 부원군(靑恩府院君) 심호(沈浩)의 따님이고, 중궁 전하(中宮殿下) 어씨(魚氏)는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함원 부원군(咸原府院君) 어유귀(魚有龜)의 따님이다.
2. 1. 주요 관직
3. 가계
명종의 국구 심강(沈鋼)의 6대손으로, 증조부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심희세(沈熙世)이며 할아버지는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심권(沈權)이다. 아버지는 의금부 도사를 지낸 심봉서(沈鳳瑞)이고, 어머니는 군수 이성린(李聖麟)의 딸인 전주 이씨이다.
심호의 부인은 영원부부인 고령 박씨로, 안산군수 박빈(朴鑌)의 딸이자 이조판서 박장원(朴長遠)의 손녀이다. 심호는 단의왕후의 아버지이자 경종의 장인으로, 숙종과는 사돈 관계이다.
3. 1. 왕실과의 관계
심호는 명종의 국구 심강(沈鋼)의 6대손으로, 증조부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심희세(沈熙世)이며 할아버지는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심권(沈權)이다. 아버지는 의금부 도사를 지낸 심봉서(沈鳳瑞)이고, 어머니는 군수 이성린(李聖麟)의 딸인 전주 이씨이다.심호의 부인은 영원부부인 고령 박씨로, 안산군수 박빈(朴鑌)의 딸이자 이조판서 박장원(朴長遠)의 손녀이다. 심호는 단의왕후의 아버지이자 경종의 장인으로, 숙종과는 사돈 관계이다.
4. 평가
5. 숙종실록 기록
참조
[1]
간행물
숙종실록 22년(1696) 4월 8일 1번째 기사
1696-04-08
[2]
간행물
숙종실록 22년(1696) 4월 8일 3번째 기사
1696-04-08
[3]
간행물
숙종실록 27년(1701) 11월 23일 2번째 기사
1701-11-23
[4]
간행물
숙종실록 29년(1703) 7월 6일 1번째 기사
1703-07-06
[5]
간행물
숙종실록 29년(1703) 7월 6일 1번째 기사
1703-07-06
[6]
간행물
숙종실록 30년(1704) 2월 13일 2번째 기사
1704-02-13
[7]
간행물
숙종실록 30년(1704) 4월 23일 2번째 기사
1704-04-23
[8]
간행물
숙종실록 숙종대왕 묘지문
[9]
간행물
경종실록 경종대왕 묘지문
[10]
간행물
경종실록 경종대왕 행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