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가루 노부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가루 노부히사는 히로사키 번의 4대 번주로, 1710년 아버지 쓰가루 노부마사의 사망으로 번주가 되었다. 그는 아버지의 묘소에 다카테루 신사를 건립하고, 검술과 서예, 일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능했으며, 오가와 하리츠를 후원하여 쓰가루 번의 공예 발전에 기여했다. 난부씨와의 경계 분쟁에서 승소했으나, 이와키 산의 화산 폭발과 흉작으로 번의 재정이 악화되었다. 노부히사는 1731년 은거하고, 손자인 쓰가루 노부야스를 보좌하다가 174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의 문인 - 오규 소라이
오규 소라이는 에도 시대의 유학자이자 경세가로, 주자학 비판적 재해석과 고문사학 확립, 『정담』을 통한 독자적 정치 사상 제시, 호엔 학파 형성에 기여했으며 겐로쿠 아코 사건에 대한 견해는 그의 철학적 입장을 보여준다. - 에도 시대의 문인 - 와타나베 가잔
와타나베 가잔은 에도 시대 후기의 화가, 사상가, 정치가로서, 서양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번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만사의 옥에 연루되어 할복했다. - 히로사키번주 - 쓰가루 노부요시
쓰가루 노부요시는 에도 시대 초 히로사키 번의 2대 번주로, 번 내 소동을 겪으면서 경제 발전과 문화 진흥에 힘썼으나, 고집 세고 거친 성격으로 '조팟파리 영주'라는 평을 받았다. - 히로사키번주 - 쓰가루 노부유키
쓰가루 노부유키는 히로사키 번의 10대 번주로, 방탕한 생활과 무능함으로 번의 재정을 악화시켜 막부로부터 강제 은거 명령을 받았으며, 요타카노도노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1746년 사망 - 콜린 매클로린
콜린 매클로린은 스코틀랜드의 수학자로, 테일러 급수를 활용하고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을 발견하는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저서로 《플럭시온 논문》 등이 있다. - 1746년 사망 - 프랜시스 허치슨
프랜시스 허치슨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글래스고 대학교 윤리철학 교수로, 도덕 감각 이론을 통해 인간 본성의 특징을 규명하고 고전 자유주의적 세계관을 스코틀랜드 사상에 도입하여 미국 독립혁명과 후대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쓰가루 노부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쓰가루 노부히사 |
일본어 이름 | 津軽 信寿 |
출생일 | 1669년 6월 22일 |
사망일 | 1746년 3월 10일 |
사망 장소 | 에도, 일본 |
국적 | 일본 |
직업 | 히로사키 번 다이묘 (1656–1710) |
가계 | |
배우자 | 시라카와 번 다이묘 마쓰다이라 다다나오의 딸 |
아버지 | 쓰가루 노부마사 |
형제 | 장남, 노부히사, 나스 스케노리, 4남, 쓰가루 히사요, 춘대원, 여자 3명 |
자녀 | 쓰가루 노부오키, 차남, 3남, 쓰가루 아키노리, 5남, 오소메, 부쇼인 주호 에이신, 마쓰다이라 노부키요 정실, 여자 3명 |
관직 | |
전임 | 쓰가루 노부마사 |
후임 | 쓰가루 노부아키 |
관위 | 종5위하 도사노카미 |
생애 |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중기 |
유아명 | 다케치요 |
초명 | 노부시게 |
이명 | 노부히사, 지쿠오, 에이오 (号) |
시호 | 겐케이인덴 쇼조 텟신 다이코지 |
묘소 | 도쿄도다이토구 우에노의 진료인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노부 → 이에쓰구 → 요시무네 |
씨족 | 쓰가루 씨 |
부모 | 아버지: 쓰가루 노부마사, 어머니: 마스야마 마사토시 딸, 후묘히메 |
2. 생애
1710년, 아버지 쓰가루 노부마사가 사망하면서 히로사키 번의 번주가 되었다. 아버지의 묘소 사당에 다카테루 신사를 건립하였다.
노부히사는 오노-하 잇토류 검술을 연마한 유명한 검객이었다. 가노파의 거장들에게 일본 서예와 일본화를 배웠으며, 일본 칠기 장인 오가와 하리쓰를 후원하여 쓰가루 번의 산업으로 이 공예를 발전시켰다. 히로사키의 다이묘가 된 후,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시작한 새로운 논과 관개 사업을 계속 발전시키는 것 외에도 예술 작품과 쓰가루 가문의 역사를 의뢰했다.
모리오카 번의 난부씨와의 경계 분쟁에서 성공적으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도쿠가와 막부는 쓰가루 가문에 전적으로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 이 문제는 107년 후인 1821년, 난부의 사무라이가 소마 다이사쿠 사건에서 쓰가루 다이묘를 암살하려 시도하면서 다시 불거졌다.
히로사키 번은 악천후와 이와키 산의 잦은 화산 폭발로 인해 잦은 흉작이 발생하여 심각한 재정적 문제를 겪고 있었다. 번은 가신들의 봉급을 삭감하고, 세금을 반복적으로 인상했으며, 엄격한 사치 금지법을 시행했으며, 결국 많은 하급 가신들을 내쫓을 수밖에 없었다. 반면, 노부히사는 에도 저택에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계속했다. 이 소식이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귀에 들어가 교호 개혁의 절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1731년, 적자인 쓰가루 노부오키가 일찍 세상을 뜨자, 음력 5월 16일에 노부오키의 아들 쓰가루 노부아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머리를 깎고 호를 죽옹(竹翁일본어), 나중에는 영옹(栄翁일본어)으로 하였다. 1744년에 노부아키마저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한 어린 증손 쓰가루 노부야스의 보좌를 맡았다. 1746년에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가독 상속
1669년 5월 24일, 4대 번주 쓰가루 노부마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어머니와의 연으로 '''다케치요'''였다. 처음 이름은 '''쓰가루 노부시게'''였다. 1710년, 아버지 노부마사가 사망하자 42세의 나이로 히로사키 번주 가문을 상속하였다.그 후 처음 귀국했을 때는 장대한 행렬을 이루어 입국했고, 7일 이상 연회를 열었으며, 쇼군으로부터 받은 세키가하라 합전도 병풍을 공개했으며, 아버지의 묘소에 다카테루 신사(고쇼 레이샤)를 창건하고 천궁 제사를 성대하게 거행했다. 당시 히로사키 번에는 아직 여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부히사는 오노 지로자에몬 타다오, 타다카즈에게 오노파 일도류를 배우고 직전(직접 전수)을 받았으며, 그 직전을 오노가의 타다카타에게 다시 전수해 줄 정도의 검의 달인이었다. 또한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도 있었던 듯, 서예를 잘했고, 그림에서도 가노파를 배우는 등 다방면에 재능을 보였다. 1737년에는 스스로 그림이 들어간 하이쿠 서적인 『코마 쓰레즈레구사』를 2권 편찬했다.
1723년에 에도의 칠예 장인 오가와 하리쓰를 고용하여 창작 활동을 지원했고, 이 "쓰가루 님 고용"이라는 간판이 하리쓰의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당대 최고의 교양인이라는 평판도 있었으며, 문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1731년, 적자인 노부오키가 일찍 세상을 뜨자, 그해 음력 5월 16일, 노부오키의 적자 노부아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2. 2. 검술 및 문예 활동
노부히사는 오노 다다카즈에게 오노 파 일도류(小野派一刀流)를 직접 전수받고, 이를 다시 오노 가문의 오노 다다카타에게 전수할 정도로 검술 실력이 뛰어났다. 또한 가노 파의 그림을 배우는 등 회화에도 조예가 깊었다. 1723년에는 에도의 칠 공예가 오가와 하리쓰(小川破笠|오가와 하리쓰일본어)의 창작활동을 후원하여 그의 명성을 높여주었고, 1737년에는 하리쓰와 함께 시와 하이쿠, 그림을 담은 종합예문서 『도쿠라쿠토젠슈(独楽徒然集|도쿠라쿠토젠슈일본어)』 2책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또 쓰가루 마사카타(津軽政方|쓰가루 마사카타일본어)에게 명하여 『쓰가루 일통지(津軽一統志|쓰가루 일통지일본어)』를 편찬하게 했다.2. 3. 치세와 재정 악화
쓰가루 노부히사 시대의 히로사키 번은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었다. 이와키 산의 잦은 화산 폭발과 악천후로 인해 흉작이 반복되었다. 번은 가신들의 봉급을 삭감하고 세금을 지속 불가능한 수준으로 인상했으며, 엄격한 사치 금지법을 시행하고, 결국 많은 하급 가신들을 내쫓아야 했다.번 수입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히로사키 번은 가신의 급여를 이전의 봉록제에서 지행제로 변경했다. 이는 토지 수입 변동에 따른 부담을 번사 개개인에게 전가하는 방식이었다. 검약령을 발포하고 번사 급여를 일률적으로 1할 삭감했으며, 대량 해고를 단행했다. 영민에게는 연공률을 올리고, 부유한 상인과 농민에게는 어용금과 어용미를 부과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노부히사는 에도 저택에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계속했다. 영내에 있으면서 온천 순례와 별저에서의 대연회를 즐기고, 에도 체류 중 교제비와 유흥비도 증가했지만, 가신단을 이끌고 요시와라 유흥을 그만두지 않았다.
번 재정을 관리하던 다케다 사다키요가 검약과 징세 강화로 번 내의 원한을 사고 있다고 판단되자, 노부히사는 그에게 할복을 명했다. 대신 예스맨적인 가신을 중용했고, 특히 사토 스게츠네는 노부히사에게 중용되어 에도 저택에 연못을 만들고, 연못에서 배를 마련하여 노부히사 일행과 함께 요시와라로 가는 유흥을 주선하며 주군의 환심을 샀다.
이러한 유흥비로 번의 빚이 늘어나자, 사토는 빚 상환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부유한 농민과 상인에게 어용금, 어용미를 부과했다. 이러한 상황은 검소와 절약을 중시하는 교호 개혁을 추진하던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귀에 들어가게 되었다.
2. 4. 은거와 사망
1731년, 적자인 노부오키(信興일본어)가 일찍 세상을 뜨자, 그해 음력 5월 16일, 노부오키의 적자 노부아키(信著일본어)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그는 머리를 깎고 호를 죽옹(竹翁일본어), 나중에는 영옹(栄翁일본어)으로 하였다. 1744년에 노부아키마저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한 어린 증손 노부야스(信寧일본어)의 보좌를 맡았다. 1746년에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30년(1730년)에 적자인 노부오키가 요절했기 때문에, 1731년(1731년) 5월 16일에 노부오키의 아들, 즉 손자인 노부아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여 삭발하고 '''죽오'''(竹翁), 후에 '''에이오'''(栄翁)라고 불렀다. 노부아키는 당시 13세였기 때문에 노부히사가 후견인으로서 보좌를 했다. 노부히사가 노령으로 인해 은거, 은퇴한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였지만, 13세의 손자에게 상속한 것은 너무 빨랐다. 이것은 노부히사의 화려한 생활 방식에 대한, 검소 절약을 추진하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 및 막부의 징벌적 조치라고도 한다.
엔쿄 원년(1744년)에 노부아키가 26세로 요절했다. 히로사키 번주는 노부아키의 적자인 노부야스가 상속했지만, 당시 6세였기 때문에 증조부인 노부히사가 보좌했다. 『쓰가루 잇토시』(津軽一統志)가 완성된 해인 엔쿄 3년(1746년) 1월 19일에 사망했다. 향년 78세.
3. 평가
쓰가루 노부히사는 쓰가루 노부마사의 둘째 아들이자, 히로사키 번의 4대 다이묘였다. 에도에서 주로 생활하며 검술과 예술을 연마했고, 일본 칠기 장인 오가와 하리츠를 후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번의 재정은 악화되었고, 노부히사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계속하여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1731년, 노부히사는 손자 노부아키에게 은퇴했지만, 이후 노부아키와 증손자 노부야스를 다이묘로 임명하고 뒤에서 계속 통치했다.
3. 1. 긍정적 평가
쓰가루 노부히사는 오노-하 잇토류 검술을 연마한 유명한 검객이었다. 그는 또한 가노파의 거장들에게 일본 서예와 일본화를 배웠으며, 일본 칠기 장인 오가와 하리츠를 후원하여 쓰가루 번의 산업으로 이 공예를 발전시켰다. 히로사키 번의 다이묘가 된 후,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시작한 새로운 논과 관개 사업을 계속 발전시켰으며, 예술 작품과 쓰가루 가문의 역사 또한 의뢰했다. 그는 쓰가루 가문의 오랜 숙적인 모리오카 번의 난부씨와의 경계 분쟁에서 성공적인 소송을 제기했으며, 도쿠가와 막부는 쓰가루 가문에 전적으로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3. 2. 부정적 평가
쓰가루 노부히사는 백성들에게 가혹한 세금을 부과하고, 검소하지 못한 생활을 하면서 번 재정에 악영향을 끼쳤다. 번은 가신들의 봉급을 삭감하고, 지속 불가능한 수준으로 세금을 반복적으로 인상했으며, 엄격한 사치 금지법을 시행했으며, 결국 많은 하급 가신들을 내쫓을 수밖에 없었다.히로사키 번은 노부히사가 상속을 할 시점에 번주가 솔선하여 화려한 행동을 거행했지만, 그 이면에서 번 재정은 극도로 악화되어 있었다. 이전부터 흉년이 이어졌고, 노부히사 통치 기간 동안 발생한 자연재해 때문에 번의 수입은 감소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히로사키 번은 가신의 급여를 이전의 봉록제에서 지행제로 변경했다. 이는 토지에서 일정 수입을 번이 모아 번사들에게 나눠주는 봉록제와 달리, 지행제는 토지에서 얻는 수입이 줄면 번사 개인이 부담을 지는 방식이었다.
또한 검약령을 발포하는 한편, 번사의 급여를 일률적으로 1할 삭감하고, 더 나아가 대량 해고를 단행했다. 백성들에게는 연공률을 올리고, 부유한 상인과 농민에게는 어용금과 어용미를 명령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노부히사는 영내에서 온천 순례와 별장에서의 대연회를 즐기고, 에도 출부 중의 교제비도 증가하는 한편, 유흥비도 늘어났지만, 가신단을 이끌고 요시와라 유흥을 그만두는 일은 없었다.
처음에는 번 재정을 보고 있던 것은 선대부터의 다케다 사다키요였지만, 철저한 검약과 검지에 의한 징세 강화를 통해 번 내의 원한을 사고 있다고 판단하자, 노부히사는 억지로 다케다에게 할복을 명했다. 대신 예스맨적인 가신을 중용했고, 특히 사토 스게츠네는 노부히사에게 중용되어, 에도의 저택에 연못을 만들고, "부지 내에 스미다 강과 직결되는 연못을 만들어, 연못에서 직접 배를 마련하여 노부히사 일행과 함께 요시와라로 통하는" 등의 유흥을 프로듀스하며, 주군의 환심을 사는 데 힘썼다.
이러한 유흥비 때문에 번의 빚이 늘어나자, 사토는 고향으로 돌아가 빚 상환을 위한 자금 조달을 했다. 앞서 언급한 부유한 농민과 부유한 상인에게 부과한 어용금, 어용미는, 사실 이것에 충당되었다. 이러한 행동은 검소하고 절약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호 개혁을 추진하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귀에 들어가게 된다.
4. 가족 관계
- 아버지: 쓰가루 노부마사
- 어머니: 후우히메 - 마스야마 마사토시의 딸
- 정실: 호운인 - 마쓰다이라 타다히사의 양녀
- 장남: 쓰가루 노부오키(1695년 ~ 1731년)
- 측실: 2명
- 생모 불명의 자녀
- * 차남: 불명
- * 삼남: 불명
- * 사남: 쓰가루 아키노리(1721년 ~ 1745년)
- * 오남: 불명
- * 장녀: 오소메, 지쇼인 - 쿠제 테루유키 정실, 이후 호시나 마사토시 정실
- * 차녀: 후세인 쥬호에이신 - 이와키 타카오 정실
- * 삼녀: 마쓰다이라 노부키요 정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