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트리프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트리프틸린은 주요 우울 장애, 신경병성 통증, 편두통 및 만성 긴장성 두통 예방 등에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이다. 다른 치료법이 실패한 경우 6세 이상 어린이의 야뇨증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수의학에서는 개의 분리 불안증 치료에 사용된다. 아미트리프틸린은 우울증,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섭식 장애, 양극성 장애, 불면증 등에도 사용된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구강 건조, 졸음, 어지럼증, 변비 등이 있으며,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자살 사고 및 행동 증가가 보고되어 미국 FDA는 블랙 박스 경고를 추가하도록 요구했다. 아미트리프틸린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TrkB 작용제 -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는 TrkB 및 p75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세포의 생존, 성장, 분화를 촉진하는 단백질로서 뇌의 학습, 기억, 고차원적 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운동, 니아신 섭취, 다양한 신경정신 질환, 시냅스 가소성 조절, 신경 발생 등과 관련되어 있고 유전자 변이는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TrkB 작용제 - N-아세틸세로토닌
N-아세틸세로토닌은 세로토닌에서 합성되어 멜라토닌으로 전환되는 중간 대사물질로서, 멜라토닌 수용체 작용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TrkB 수용체 활성화 등 다양한 생리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혈액뇌장벽 통과가 용이하여 뇌 기능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시그마 작용제 - 아만타딘
아만타딘은 원래 인플루엔자 A 예방약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파킨슨병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그 외 뇌경색 후유증, 외상성 뇌 손상,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의식 장애 치료,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피로 개선에도 사용된다. - 시그마 작용제 - 프로메타진
프로메타진은 항히스타민제로 항알레르기, 진정, 항구토 효과가 있어 알레르기 반응 완화, 감기 증상 완화, 멀미 예방, 수술 전 불안 완화, 불면증 해소 등에 사용되지만, 부작용과 특정 환자군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일부 국가에서는 린 제조에 사용되기도 한다. - 삼환계 항우울제 - 클로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은 강박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 작용하며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삼환계 항우울제 - 독세핀
독세핀은 삼환계 항우울제로서 경구 복용 시 우울증, 불안 장애, 불면증 치료에, 크림 형태로 도포 시 가려움증 완화에 사용되며, 특히 H1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H1 수용체 길항제이다.
아미트리프틸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약물 정보 | |
![]() | |
![]() | |
상품명 | 엘라빌, 기타 |
투여 경로 | 경구, 근육 주사 |
약물 분류 | 삼환계 항우울제 (TCA) |
ATC 코드 | N06AA09 |
법적 규제 | 오스트레일리아: S4 브라질: C1 캐나다: Rx-only 영국: POM 미국: Rx-only |
생체 이용률 | 45%-53% |
단백질 결합률 | 96% |
대사 | 간 (CYP2D6, CYP2C19, CYP3A4) |
대사 산물 | 노르트립틸린, (E)-10-하이드록시노르트립틸린 |
제거 반감기 | 21시간 |
배설 | 소변: 48시간 후 12–80%; 대변: 연구되지 않음 |
화학 정보 | |
CAS 등록 번호 | 50-48-6 |
추가 CAS 등록 번호 | 549-18-8 (염산염) 17086-03-2 (엠보네이트) |
PubChem CID | 2160 |
IUPHAR 리간드 | 200 |
DrugBank | DB00321 |
ChemSpider ID | 2075 |
UNII | 1806D8D52K |
KEGG | D07448 |
ChEBI | 2666 |
ChEMBL | 629 |
IUPAC 명칭 | 3-(10,11-다이하이드로-5H-다이벤조[a,d]사이클로헵텐-5-일리덴)-N,N-다이메틸프로판-1-아민 |
분자식 | C20H23N |
몰 질량 | 277.403 g/mol |
녹는점 | 197.5 °C |
임신 정보 | |
AU 임신 범주 | C |
약동학 | |
생체 이용률 | 30–60% (초회 통과 효과로 인해) |
단백질 결합 | 96% 이상 |
대사 | 간 CYP2C19, CYP1A2, CYP2D6 |
배설 반감기 | 10–50시간, 평균 15시간 |
배설 경로 | 신장 |
2. 의료 용도
아미트리프틸린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1]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에도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때문에 다른 약물이 효과가 없는 일부 환자에게만 사용해야 한다.[33][34][35] 기능성 위장 질환이 있는 소아의 복통에 대한 사용을 뒷받침할 증거는 불충분하다.[36]
2. 1. 정신 질환
아미트리프틸린은 주요 우울 장애에 효과적이지만,[52] 과다 복용 시 독성이 더 높고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지 않아 1차 항우울제로는 드물게 사용된다.[12] 다른 치료법이 실패한 후 2차 치료법으로 우울증에 시도해 볼 수 있다.[13] 치료 저항성 청소년 우울증[14] 또는 암 관련 우울증[15]의 경우, 아미트리프틸린은 위약보다 효과가 없지만, 두 연구 모두에서 치료받은 환자 수가 적었다. 파킨슨병의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지만,[16] 이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다.[17]우울증,[144] 불안 장애, PTSD,[145]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섭식 장애, 양극성 장애, 불면증 등에도 사용된다.
6세 이상 어린이의 야뇨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치료법이 실패한 경우에 한한다.[1]
2. 2. 통증
아미트리프틸린은 신경병성 통증 치료에 사용된다.[1]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완화하며,[18] 여러 지침에서 1차 또는 2차 치료제로 권장된다.[18] 가바펜틴이나 프레가발린만큼 효과적이지만 내약성은 떨어진다.[19] 둘록세틴만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며, 아미트리프틸린과 프레가발린을 함께 사용하면 하나의 약물로 통증이 잘 조절되지 않는 사람들에게 추가적인 통증 완화를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안전하다.[20][21]저용량 아미트리프틸린은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수면 장애를 개선하고 통증과 피로를 줄인다.[23] 독일 과학 의학 협회는 우울증이 동반된 섬유근육통에 대해 아미트리프틸린을 권장하며,[23] 유럽 류마티즘 퇴치 연맹은 운동을 1차 치료로, 아미트리프틸린을 2차 치료 옵션으로 권장한다.[24] 아미트리프틸린과 플루옥세틴 또는 멜라토닌을 함께 사용하면 단독 약물보다 섬유근육통 통증을 더 줄일 수 있다.[25]
암 환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다. 아편유사제가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 비화학요법 유발 신경병성 또는 혼합 신경병성 통증에 대한 2차 치료제로만 권장된다.[26]
비정형 안면 통증에 아미트리프틸린 사용을 지지하는 적절한 증거가 있다.[27] 다발성 경화증에서 뇌와 척수의 통증 조절 경로 손상으로 인한 팔다리의 고통스러운 감각 이상(작열감, 따끔거림, 찌르는 듯한 통증 등)을 치료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28]
성인의 주기적인 편두통 예방에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벤라팍신 및 토피라메이트와 효능이 유사하지만 토피라메이트보다 부작용이 더 크다.[29] 많은 환자에게 아주 소량만 복용해도 도움이 되며, 이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30]
만성 긴장성 두통의 빈도와 지속 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미르타자핀보다 부작용이 더 심하다. 전반적으로 생활 습관 조언과 함께 긴장성 두통 예방에 권장되며, 진통제와 카페인 섭취를 피해야 한다.[32]
일본에서는 말초성 신경병성 통증에 대한 적응증이 있다.[143]
2. 3. 기타
삼환계 항우울제는 주기성 구토 증후군 에피소드의 빈도, 심각도 및 지속 시간을 감소시킨다. 아미트리프틸린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로서, 이 질환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된다.[37]아미트리프틸린은 방광 통증 증후군과 관련된 통증 및 절박뇨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 증후군의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38][39] 소아의 야간 유뇨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치료가 종료된 후에는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 알람 치료가 단기 및 장기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한다.[40]
미국에서는 아미트리프틸린이 자극제와 함께 보조 치료제로 ADHD가 있는 소아에게 흔히 사용되지만, 이 관행을 뒷받침하는 증거나 지침은 없다.[41] 영국(및 미국)의 많은 의사들은 불면증에 아미트리프틸린을 흔히 처방하지만,[42] 코크란 검토자들은 이 관행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무작위 대조 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43] 2022년에 발표된 불면증 치료를 위한 약물에 대한 주요 체계적 검토 및 네트워크 메타 분석에서도 아미트리프틸린의 불면증 치료에 대한 사용을 뒷받침할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44] 그러나 아미트리프틸린의 잘 알려진 진정 효과는 이 관행에 대한 이해와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당성을 뒷받침한다. 이는 이와 관련하여 독세핀과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독세핀에 대한 증거는 더 강력하다.[45] 트리미프라민은 R.E.M. 수면을 억제하지 않고 밝게 하는 경향이 있어 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46][47][48]
수의학 분야에서는 개의 분리 불안증 치료에 사용된다.
3. 진료 지침
세계 보건 기구(WHO)의 주요 우울 장애 가이드라인에서는 아미트리프틸린을 선택 사항 중 하나로 제시하지만, 1차 선택지는 SSRI로 하며 심리 치료를 병용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고령자, 심혈관 질환 환자에게는 가능한 한 처방을 피하도록 권고한다.[145] PTSD 가이드라인에서는 1차 선택지가 될 수 없으며, 근거는 제한적이라고 한다.[145]
신경통 가이드라인에서는 아미트리프틸린이 둘록세틴, 가바펜틴, 프레가발린과 함께 선택 사항 중 하나로 제시된다.[146]
4. 부작용
아미트리프틸린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아미트리프틸린 사용이 금지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1]
- 심근 경색 또는 부정맥(특히 심장 차단), 관상 동맥 질환 병력
- 포르피린증
- 중증 간 질환 (예: 간경변)
- 6세 미만
-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 복용 중이거나 지난 14일 이내 복용
또한, 간질, 간 기능 장애, 갈색 세포종, 요저류, 전립선 비대, 갑상선 기능 항진증, 유문 협착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1] 얕은 안구 전방과 좁은 전방각을 가진 환자는 급성 녹내장 발작 위험이 있으며, 정신병 또는 조울증 환자는 조증으로 전환될 수 있다.[1]
CYP2D6 저대사자는 부작용 증가로 인해 아미트리프틸린을 피해야 하며, 사용 시 반감량을 권장한다.[49]
4. 1. 흔한 부작용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은 사용자의 20% 이상에서 나타나는 구강 건조, 졸음, 어지럼증, 변비, 체중 증가(평균 1.8 kg[51])이다.[52] 다른 흔한 부작용으로는 두통, 약시, 시야 흐림, 빈맥, 식욕 증가, 떨림, 피로, 무력증, 느려짐, 소화 불량이 있다.[52]4. 2. 덜 흔한 부작용
아미트리프틸린의 덜 흔한 부작용으로는 배뇨 문제(8.7%)가 있다.[52]4. 3. 기타 부작용
아미트리프틸린의 흔하지 않은 부작용으로는 배뇨 문제가 있다.[52]아미트리프틸린은 24세 미만의 사람에게서 자살 사고와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블랙 박스 경고가 미국 FDA 처방 라벨에 추가되었다.[77][53] 아미트리프틸린과 관련된 성 기능 장애(발생 빈도 6.9%)는 주로 우울증을 앓는 남성에게 나타나며, 발기 부전과 낮은 성욕 장애가 주된 증상이고, 사정 및 오르가즘 문제의 빈도는 더 낮다. 우울증 이외의 다른 적응증으로 치료받는 남성과 여성의 성 기능 장애 발생률은 위약과 큰 차이가 없다.[54]
아미트리프틸린을 복용하는 환자의 10–12%에서 간 기능 검사 이상이 나타나지만, 이는 대개 경미하고 증상이 없으며 일시적이다.[57] 모든 환자의 3%에서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55][56] 효소 수치가 간 독성 3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드물며,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간 독성 사례는 드물다.[57]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미트리프틸린은 간 독성 위험이 더 큰 항우울제 그룹에 속한다.[55]
아미트리프틸린은 QT 간격을 연장시킨다.[58] 이러한 연장은 치료 용량에서는 비교적 작지만[59] 과다 복용 시 심각해진다.[60]
약물 치료 종료 시에는 적어도 4주에 걸쳐 서서히 감량해야 한다. 구토, 두통, 권태감, 정동 불안, 수면 장애 등의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서서히 감량해야 한다.
항콜린 작용이 강하여 구갈, 변비, 어지럼증, 졸음, 배뇨 장애 등 삼환계 항우울제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이 나타나기 쉽다. 또한 심장성 부정맥, 자해 행위 위험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일본 첨부 문서에서는 사용상의 주의 사항에서 자살 충동, 자살 기도, 공격성·충동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의약품 라벨에도 경고 틀에 24세 이하의 자살 위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5. 금기
아미트리프틸린은 다음 환자에게 투여해서는 안 된다.[1]
- 심근 경색 병력이 있는 환자
- 부정맥 병력, 특히 모든 정도의 심장 차단 환자
- 관상 동맥 질환 환자
- 포르피린증 환자
- 중증 간 질환(예: 간경변) 환자
- 6세 미만
-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를 복용 중이거나, 지난 14일 이내에 복용한 환자
- 녹내장 환자
- 심근 경색 회복 초기 환자
- 요폐(전립선질환 등) 환자
-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셀레길린)를 복용 중인 환자
CYP2D6 저대사자는 부작용 증가로 인해 아미트리프틸린을 피해야 한다. 사용이 필요한 경우 반감량을 권장한다.[49] 아미트리프틸린은 SSRI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 임신 및 수유 중에 사용할 수 있다.[50]
6. 약리 작용
아미트리프틸린은 뇌 내에서 여러 가지 약리 작용을 나타낸다. 주요 작용 기전은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 억제와 특정 수용체 및 이온 채널에 대한 조절 작용이다.
아미트리프틸린 및 주요 활성 대사체 노르트립틸린의 분자 표적은 아래 표와 같다.[80]
사이트 | 아미트리프틸린 (AMI) | 노르트립틸린 (NTI) | 종 | 참고 |
---|---|---|---|---|
SERT | 2.8–36 | 15–279 | 인간 | [81][82] |
NET | 19–102 | 1.8–21 | 인간 | [81][82] |
DAT | 3,250 | 1,140 | 인간 | [81] |
5-HT1A | 450–1,800 | 294 | 인간 | [83][84] |
5-HT1B | 840 | 쥐 | [85] | |
5-HT2A | 18–23 | 41 | 인간 | [83][84] |
5-HT2B | 174 | 인간 | [86] | |
5-HT2C | 4-8 | 8.5 | 쥐 | [87][88] |
5-HT3 | 430 | 1,400 | 쥐 | [89] |
5-HT6 | 65–141 | 148 | 인간/쥐 | [90][91][92] |
5-HT7 | 92.8–123 | 쥐 | [93] | |
α1A | 6.5–25 | 18–37 | 인간 | [94][95] |
α1B | 600–1700 | 850–1300 | 인간 | [94][95] |
α1D | 560 | 1500 | 인간 | [95] |
α2 | 114–690 | 2,030 | 인간 | [82][83] |
α2A | 88 | 인간 | [96] | |
α2B | >1000 | 인간 | [96] | |
α2C | 120 | 인간 | [96] | |
β | >10,000 | >10,000 | 쥐 | [97][88] |
D1 | 89 | 210 (쥐) | 인간/쥐 | [98][88] |
D2 | 196–1,460 | 2,570 | 인간 | [83][98] |
D3 | 206 | 인간 | [98] | |
D4 | ||||
D5 | 170 | 인간 | [98] | |
H1 | 0.5–1.1 | 3.0–15 | 인간 | [98][99][100] |
H2 | 66 | 646 | 인간 | [99] |
H3 | 75,900;>1000 | 45,700 | 인간 | [98][99] |
H4 | 34–26,300 | 6,920 | 인간 | [99][101] |
M1 | 11.0–14.7 | 40 | 인간 | [102][103] |
M2 | 11.8 | 110 | 인간 | [102] |
M3 | 12.8–39 | 50 | 인간 | [102][103] |
M4 | 7.2 | 84 | 인간 | [102] |
M5 | 15.7–24 | 97 | 인간 | [102][103] |
σ1 | 287–300 | 2,000 | 기니피그/쥐 | [104][105] |
hERG | 3,260 | 31,600 | 인간 | [106][107] |
PARP1 | 1650 | 인간 | [108] | |
TrkA | 3,000 (작용제) | 인간 | [109] | |
TrkB | 14,000 (작용제) | 인간 | [109] | |
값은 Ki (nM)이며,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그렇다.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해당 부위에 더 강력하게 결합한다. |
6. 1. 신경전달물질 재흡수 억제
아미트리프틸린은 세로토닌 수송체(SERT)와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NET)를 억제하여 시냅스 내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농도를 증가시킨다.[77] 아미트리프틸린의 주요 활성 대사체인 노르트립틸린은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에 더 강력하게 작용하여 아미트리프틸린의 효과를 증폭시킨다. 도파민 수송체(DAT)에 대한 억제 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하다.[81]사이트 | 아미트리프틸린 (AMI) | 노르트립틸린 (NTI) |
---|---|---|
세로토닌 수송체(SERT) | 2.8–36 | 15–279 |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NET) | 19–102 | 1.8–21 |
도파민 수송체(DAT) | 3,250 | 1,140 |
이러한 신경전달물질 재흡수 억제는 신경 전달을 종료하는 재흡수 과정을 방해하여 세로토닌성 및 아드레날린성 뉴런의 활동을 강화하거나 연장시킨다. 이는 아미트리프틸린의 항우울 효과의 주요 기전으로 여겨진다.[77]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는 척수의 후회색 기둥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농도를 증가시켜 진통 작용에 기여한다. 증가된 노르에피네프린은 알파-2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척수 내 뉴런 사이의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전달을 증가시켜 진통 효과를 유도한다. 아미트리프틸린의 나트륨 채널 차단 효과 또한 통증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115]
아미트리프틸린은 쥐의 뇌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고, 생쥐 뇌 절편에서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레세르핀 및 테트라베나진에 대한 길항 작용을 보이며, 생쥐에서 레세르핀에 의한 체온 저하와 테트라베나진에 의한 진정 작용을 억제한다. 마취된 개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승압 반응을 증강시키는 효과도 관찰되었다.[150]
6. 2. 수용체 길항 작용
아미트리프틸린은 5-HT2A, 5-HT2C와 같은 세로토닌 수용체와 α1A-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히스타민 H1 수용체, 그리고 M1-M5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억제제(길항제)로 작용한다.[80]6. 3. 이온 채널 차단
아미트리프틸린은 여러 이온 채널, 특히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 Nav1.3, Nav1.5, Nav1.6, Nav1.7, Nav1.8[110][111][112] 및 전압 개폐 칼륨 채널 Kv7.2/Kv7.3,[113] Kv7.1, Kv7.1/KCNE1,[114] hERG[106]를 비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아미트리프틸린의 나트륨 채널 차단 효과는 통증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115]6. 4. 기타
아미트리프틸린은 TrkA와 TrkB 수용체의 작용제이다.[109]7. 약동학
아미트리프틸린은 위장관에서 쉽게 흡수되지만(90-95%),[1] 간에서 처음 대사되는 과정(간 초회 통과 효과) 때문에 실제로 몸에서 이용되는 비율(생체 이용률)은 약 50% (45%[116]-53%[1]) 정도이다. 아미트리프틸린은 주로 CYP2C19 효소에 의해 활성 대사체인 노르트립틸린으로 바뀌고, CYP2D6 효소에 의해 여러 수산화 대사체로 바뀐다. 이 중 가장 중요한 대사체는 (''E'')-10-하이드록시노르트립틸린이다.[63][1] CYP3A4 효소도 아미트리프틸린 대사에 일부 관여한다.[70]
노르트립틸린은 그 자체로 항우울 효과를 가지는 활성 대사체이다. 노르트립틸린은 혈장에서 아미트리프틸린보다 10%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AUC는 40% 더 높다. 따라서 노르트립틸린은 아미트리프틸린의 전반적인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16][63]
(''E'')-10-하이드록시노르트립틸린은 또 다른 활성 대사체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는 노르트립틸린보다 4배 약하다. (''E'')-10-하이드록시노르티프틸린의 혈중 농도는 노르트립틸린과 비슷하지만, 뇌척수액 농도는 노르트립틸린보다 2배 높다. 따라서 (''E'')-10-하이드록시노르트립틸린도 아미트리프틸린의 항우울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117]
아미트리프틸린과 노르트립틸린의 혈중 농도, 그리고 아미트리프틸린의 전반적인 약물 흡수 및 배설 정도는 개인마다 최대 10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118] 정상 상태에서의 AUC 변동성 또한 높기 때문에, 약물 용량을 천천히 늘려가는 적정 과정이 필요하다.[6]
혈액 내에서 아미트리프틸린은 96%, 노르트립틸린은 93-95%, (''E'')-10-하이드록시노르티프틸린은 약 60%가 혈장 단백질과 결합한다.[1][119][117] 아미트리프틸린의 제거 반감기는 21시간,[116] 노르트립틸린은 23-31시간,[120] (''E'')-10-하이드록시노르티프틸린은 8-10시간이다.[117] 48시간 이내에 아미트리프틸린의 12-80%가 대사체 형태로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121] 변화하지 않은 약물은 2%가 소변으로 배설된다.[122]
아미트리프틸린의 치료 농도는 75-175 ng/mL (270-631 nM)이며,[123] 아미트리프틸린과 그 대사체 노르트립틸린을 합쳐 80-250 ng/mL이다.[124]
아미트리프틸린은 주로 CYP2D6 및 CYP2C19 효소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아미트리프틸린 대사에 영향을 주어 체내 약물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125] 아미트리프틸린 농도가 증가하면 항콜린성 부작용 및 신경계 부작용 위험이 커질 수 있고, 농도가 감소하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다.[126][127][128][129]
개인이 어떤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CYP2D6 또는 CYP2C19 대사 유형을 저대사자, 중간대사자, 광범위대사자, 초고속대사자로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약 77-92%)은 광범위대사자이며,[49] 아미트리프틸린을 정상적으로 대사한다. 저대사자와 중간대사자는 약물 대사가 느려 부작용을 겪을 확률이 높다. 초고속대사자는 아미트리프틸린을 매우 빠르게 대사하여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126][127][49][129]
임상 약물유전체학 구현 컨소시엄(Clinical Pharmacogenetics Implementation Consortium)은 CYP2D6 초고속 또는 저대사 환자에게는 아미트리프틸린 사용을 피하고, CYP2C19 초고속 대사 환자에게는 CYP2C19에 의해 대사되지 않는 다른 약물을 고려할 것을 권장한다. CYP2D6 중간 대사자와 CYP2C19 저대사 환자에게는 초기 용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아미트리프틸린 사용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치료 약물 모니터링을 통해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49] 네덜란드 약물유전체학 실무 그룹(Dutch Pharmacogenetics Working Group) 또한 CYP2D6 저대사자 또는 초고속 대사 환자에게는 다른 약물을 선택하거나 아미트리프틸린의 혈장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CYP2D6 중간 대사 환자에게는 다른 약물을 선택하거나 초기 용량을 줄일 것을 권장한다.[130]
8. 화학적 성질
아미트리프틸린은 옥탄올-물 분배 계수(pH 7.4)가 3.0,[131]이며, 자유 염기의 log P는 4.92로 보고된 고지질성 분자이다.[132] 아미트리프틸린 자유 염기의 물 용해도는 14 mg/L이다.[133] 디벤조수베란을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생성된 중간 생성물을 염산과 가열하여 물을 제거하여 제조한다.[115]
아미트리프틸린은 물, 에탄올, 아세트산에 잘 녹고, 다이에틸 에테르에는 잘 녹지 않는다. 맛이 쓰고 마비성이 있다.
9. 역사
아미트리프틸린은 1950년대 후반 미국의 제약 회사인 머크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1958년, 머크는 아미트리프틸린의 정신분열증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을 제안하며 여러 임상 연구자들에게 접근했다. 이 연구자 중 한 명인 프랭크 에이드는 대신 아미트리프틸린을 우울증 치료에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에이드는 130명의 환자를 치료했으며, 1960년에 아미트리프틸린이 당시 유일하게 알려진 삼환계 항우울제인 이미프라민과 유사한 항우울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134] 이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은 1961년 아미트리프틸린의 우울증 치료를 승인했다.[7]
유럽에서는 당시 특허법의 특이한 점, 즉 화학적 합성에만 특허를 허용하고 약물 자체에는 허용하지 않음에 따라 로슈와 룬드벡이 1960년대 초에 아미트리프틸린을 독립적으로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었다.[135]
정신약리학 역사가인 데이비드 힐리의 연구에 따르면 아미트리프틸린이 전구체인 이미프라민보다 훨씬 더 많이 판매되는 약물이 된 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 아미트리프틸린은 훨씬 강력한 항불안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머크는 우울증을 임상적 실체로 인식하도록 임상의들의 인식을 높이는 마케팅 캠페인을 벌였다.[135][134]
10. 사회와 문화
2021년 영화 ''뉴어크의 많은 성자들''에서 아미트리프틸린(엘라빌이라는 상품명으로 언급됨)이 영화 줄거리의 일부로 등장한다.[136]
11. 제형
아미트리프틸린은 대한민국에서 염산염 형태로 판매되며, 10mg 정제와 25mg 정제가 있다. 주요 상품명은 다음과 같다.[151]
- '''트립타놀''' (니치이코 제약 판매): 2010년 12월 27일 MSD (구 만유제약)로부터 제조 판매 권리를 승계했다.
- '''란트론''' (아스텔라스 제약 판매): 원래는 후지사와 약품 공업을 흡수 합병한 야마노우치 제약의 상품이었다.
- '''아미트리프틸린 염산염 정 "사와이"''' (사와이 제약 판매): 구칭은 '''노르말룬'''이었으며, 2014년 12월 말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었다.
12. 연구 동향
참조
[1]
웹사이트
Amitriptyline
https://web.archive.[...]
2021-01-06
[2]
웹사이트
Amitriptyline Use During Pregnancy
https://www.drugs.co[...]
2020-09-02
[3]
웹사이트
RDC Nº 784 - Listas de Substâncias Entorpecentes, Psicotrópicas, Precursoras e Outras sob Controle Especial
https://www.in.gov.b[...]
Diário Oficial da União
2023-08-16
[4]
논문
Amitriptyline Hydrochloride
1974
[5]
웹사이트
Amitriptyline Tablets BP 50mg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PC)
http://www.medicines[...]
Actavis UK Ltd.
2013-12-01
[6]
논문
Pharmacokinetic Variability of Drugs Used for Prophylactic Treatment of Migraine
2017-05
[7]
논문
Half a century of antidepressant drugs: on the clinical introduction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tricyclics, and tetracyclics. Part II: tricyclics and tetracyclics
2008-02
[8]
서적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World Health Organization
[9]
웹사이트
Amitriptyline Hydrochloride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4-09-25
[10]
웹사이트
The Top 300 of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1]
웹사이트
Amitriptyline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2]
서적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13]
서적
Top 100 drugs : clinical pharmacology and practical prescribing
Churchill Livingstone
2015
[14]
논문
Systematic review of management for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in adolescents
2014-11
[15]
논문
Reevaluating the role of antidepressants in cancer-relate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
[16]
웹사이트
Parkinson's disease
http://www.merckmanu[...]
Merck Sharp & Dohme Corp.
2007-08
[17]
논문
The Movement Disorder Society Evidence-Based Medicine Review Update: Treatments for the non-motor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2011-10
[18]
논문
Treating Pain in Diabetic Neuropathy: Current and Developmental Drugs
2020-03
[19]
논문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Painful Peripheral Neuropathies: A Systematic Review
2021-06
[20]
논문
Combination therapy for painful diabetic neuropathy is safe and effective
https://evidence.nih[...]
2023-04-06
[21]
논문
Comparison of amitriptyline supplemented with pregabalin, pregabalin supplemented with amitriptyline, and duloxetine supplemented with pregabalin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ic pain (OPTION-DM): a multicentre, double-blind, randomised crossover trial
2022-08
[22]
논문
Tricyclic antidepressants as long-acting local anesthetics
2003-05
[23]
논문
"[Drug therapy of fibromyalgia syndrome : Updated guidelines 2017 and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 articles]"
2017-06
[24]
논문
EULAR revised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fibromyalgia
2017-02
[25]
논문
Combination pharmac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fibromyalgia in adults
2018-02
[26]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Pain in Cancer Patients: The Role of Adjuvant Analgesics, a Systematic Review
2017-03
[27]
논문
Neuromodulators for Atypical Facial Pain and Neuralgi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6
[28]
웹사이트
Elavil for MS
https://web.archive.[...]
2023-07-07
[29]
논문
Evidence-based guideline update: pharmacologic treatment for episodic migraine prevention in adults: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Headache Society
2012-04
[30]
논문
Pharmacologic Prevention of Migraine: A Narrative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in 2018
2018-11
[31]
논문
Practice guideline update summary: Pharmacologic treatment for pediatric migraine prevention: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Headache Society
2019-09
[32]
논문
Headache (chronic tension-type)
2016-02
[33]
논문
Medication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2014
[34]
논문
Amitriptyline at Low-Dose and Titrated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as Second-Line Treatment in primary care (ATLANTIS):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2023-11
[35]
논문
Irritable bowel syndrome: low-dose antidepressant improves symptoms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NIHR)
2024-04-12
[36]
논문
Antidepressants for functional abdominal pai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21-02-01
[37]
논문
Guidelines on management of cyclic vomiting syndrome in adults by the American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Society and the Cyclic Vomiting Syndrome Association
2019-06-01
[38]
논문
An evaluation of the pharmacotherapy for interstitial cystitis
2018-07-01
[39]
논문
Clinical Management of Bladder Pain Syndrome/Interstitial Cystitis: A Review on Current Recommendations and Emerging Treatment Options
2020-01-01
[40]
논문
Tricyclic and related drugs for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2016-01-01
[41]
논문
Somnolence-Producing Agents: A 5-Year Study of Prescribing for Medicaid-Insured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2019-01-01
[42]
논문
GPs' management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insomnia: a survey and qualitative interview study
2014-02-01
[43]
논문
Antidepressants for insomnia in adults
2018-05-01
[44]
논문
Comparative effects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 acute and long-term management of insomnia disorder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22-07-01
[45]
논문
Drugs for Insomnia beyond Benzodiazepines: Pharmacology, Clinical Applications, and Discovery
2018-04-01
[46]
논문
Trimipramine,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1989-01-01
[47]
논문
Trimipramine in primary insomnia: results of a polysomnographic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2002-09-01
[48]
논문
Trimipramine: a challenge to current concepts on antidepressives
1996-01-01
[49]
논문
Clinical Pharmacogenetics Implementation Consortium guideline for CYP2D6 and CYP2C19 genotypes and dosing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2013-05-01
[50]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unipolar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breast-feeding--a clinical overview
2012-06-01
[51]
논문
Clinical review: Drugs commonly associated with weight chan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2-01
[52]
논문
Amitriptyline versus placebo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2012-12-01
[53]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3-07-18
[54]
논문
Amitriptyline and Sexual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Updated for Sexual Health Practice
2018-03-01
[55]
논문
Antidepressant-induced liver injury: a review for clinicians
2014-04-01
[56]
논문
A study of blood count and serum transaminase in prolonged treatment with amitriptyline
1962-01-01
[57]
서적
Amitriptyline
http://www.ncbi.nlm.[...]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2-01-06
[58]
논문
Association of antipsychotic and antidepressant drugs with Q-T interval prolongation
http://www.medscape.[...]
2008-06-01
[59]
논문
QTc Time Correlates with Amitriptyline and Venlafaxine Serum Levels in Elderly Psychiatric Inpatients
2019-01-01
[60]
논문
Drug-specific risk of severe QT prolongation following acute drug overdose
2020-12-01
[61]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https://archive.org/[...]
Pharmaceutical Press
[62]
웹사이트
Endep Amitriptyline hydrochloride
https://www.ebs.tga.[...]
Alphapharm Pty Limited
2012-12-10
[63]
논문
The metabolic fate of amitriptyline, nortriptyline and amitriptylinoxide in man
2004-10-01
[64]
논문
Effect of adjunctive paroxetine on serum levels and side-effects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in depressive inpatients
2000-01-01
[65]
논문
The use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data to document kinetic drug interactions: an example with amitriptyline and nortriptyline
1994-02-01
[66]
논문
Fluvoxamine and fluoxetine: interaction studies with amitriptyline, clomipramine and neuroleptics in phenotyped patients
1995-06-01
[67]
논문
Tricyclic antidepressant plasma levels after fluoxetine addition
1992-01-01
[68]
논문
Prolonged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 between terbinafine and amitriptyline
2005-10-01
[69]
논문
Cimetidine interaction with amitriptyline
1985-01-01
[70]
논문
Relative contribution of CYP3A to amitriptyline clearance in human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2001-10-01
[71]
논문
Decreased plasma levels of amitriptyline and its metabolites on comedication with an extract from St. John's wort ( Hypericum perforatum )
2002-02
[72]
논문
Drug interactions between hormonal contraceptives and psychotropic drugs: a systematic review
2016-12
[73]
논문
Effects of divalproex sodium on amitriptyline and nortriptyline pharmacokinetics
1996-07
[74]
논문
A review of serotonin toxicity data: implications for the mechanisms of antidepressant drug action
2006-06
[75]
논문
Pharmacokinetic interactions of topiramate
2004
[76]
논문
Insidious and prolonged antagonism of guanethidine by amitriptyline
1970-08
[77]
웹사이트
AMITRIPTYLINE HYDROCHLORIDE tablet, coated
https://dailymed.nlm[...]
2024-05-24
[78]
논문
Possible toxic interaction between disulfiram and amitriptyline
1982-06
[79]
웹사이트
CHAPTER 132 ORAL ANTICOAGULATION | Free Medical Textbook
https://medtextfree.[...]
2012-02-09
[80]
웹사이트
PDSP Ki Database
https://pdsp.unc.edu[...]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81]
논문
Pharmacological profile of antidepressants and related compounds at human monoamine transporters
1997-12
[82]
논문
Neurotransmitter receptor and transporter binding profile of antidepressants and their metabolites
1997-12
[83]
논문
Binding of antidepressants to human brain receptors: focus on newer generation compounds
1994-05
[84]
논문
Antimigraine drug interactions with serotonin receptor subtypes in human brain
1988-05
[85]
논문
Pharmacological differenti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5-HT1A, 5-HT1B, and 5-HT1C binding sites in rat frontal cortex
1986-08
[86]
논문
Activation of meningeal 5-HT2B receptors: an early step in the generation of migraine headache?
1996-05
[87]
논문
Interaction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with the serotonin 5-HT2c receptor
1996-08
[88]
논문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tidepressants and their metabolites on reuptake of biogenic amines and on receptor binding
1999-08
[89]
논문
'[3H]quipazine' degradation products label 5-HT uptake sites
1989-11
[90]
논문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chromosomal localization of a human 5-HT6 serotonin receptor
1996-01
[91]
논문
Differenc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distribution and pharmacology of the mouse 5-hydroxytryptamine-6 receptor compared with rat and human receptors investigated by radioligand binding,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molecular modeling
2003-12
[92]
논문
Clon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serotonin receptor with high affinity for tricyclic psychotropic drugs
1993-03
[93]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5-hydroxytryptamine7 serotonin receptor subtype
1993-08
[94]
논문
The tricyclic antidepressants amitriptyline, nortriptyline and imipramine are weak antagonists of human and rat alpha1B-adrenoceptors
2010
[95]
논문
The affinity and selectivity of α-adrenoceptor antagonists,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for the human α1A, α1B, and α1D-adrenoceptors
2020-08
[96]
논문
High-throughput screening with a miniaturized radioligand competition assay identifies new modulators of human α2-adrenoceptors
2012-12
[97]
논문
Beta adrenergic receptor binding in membrane preparations from mammalian brain
1976-07
[98]
논문
Potential utility of histamine H3 receptor antagonist pharmacophore in antipsychotics
2009-01
[99]
논문
Interactions of recombinant human histamine H₁R, H₂R, H₃R, and H₄R receptors with 34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2012-02
[100]
논문
Novel ligands for the human histamine H1 receptor: synthesis, pharmacology, and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studies of 2-dimethylamino-5-(6)-phenyl-1,2,3,4-tetrahydronaphthalenes
2006-10
[101]
논문
Discovery of a novel member of the histamine receptor family
https://cdr.lib.unc.[...]
2001-03
[102]
논문
Antagonism of the five cloned human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s expressed in CHO-K1 cells by antidepressants and antihistaminics
1993-06
[103]
논문
Antagonism by olanzapine of dopamine D1, serotonin2, muscarinic, histamine H1 and alpha 1-adrenergic receptors in vitro
1999-05
[104]
논문
1,3-Di(2-[5-3H]tolyl)guanidine: a selective ligand that labels sigma-type receptors for psychotomimetic opiates and antipsychotic drugs
1986-11
[105]
논문
A comparison of the binding profiles of dextromethorphan, memantine, fluoxetine and amitriptyline: treatment of involuntary emotional expression disorder
2007-10
[106]
논문
Blockade of the HERG human cardiac K(+) channel by the antidepressant drug amitriptyline
2000-04
[107]
논문
Pharmacophore modeling for hERG channel facilitation
2012-02
[108]
논문
Crystal structure-based discovery of a novel synthesized PARP1 inhibitor (OL-1) with apoptosis-inducing mechanisms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2016-12
[109]
논문
Amitriptyline is a TrkA and TrkB receptor agonist that promotes TrkA/TrkB heterodimerization and has potent neurotrophic activity
2009-06
[110]
논문
Antidepressants inhibit Nav1.3, Nav1.7, and Nav1.8 neuronal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more potently than Nav1.2 and Nav1.6 channel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2017-12
[111]
논문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dentifying repurposed drugs to treat SCN8A epilepsy
2018-04
[112]
논문
Block of human heart hH1 sodium channels by amitriptyline
2000-03
[113]
논문
Amitriptyline is a potent blocker of human Kv1.1 and Kv7.2/7.3 channels
http://www.anesthesi[...]
2009-10-15
[114]
논문
Molecular determinants of Kv7.1/KCNE1 channel inhibition by amitriptyline
2018-06
[115]
논문
Classics in Chemical Neuroscience: Amitriptyline
2021-02
[116]
논문
Discrepancies between pharmacokinetic studies of amitriptyline
1985
[117]
논문
Active hydroxymetabolites of antidepressants. Emphasis on E-10-hydroxy-nortriptyline
1995-01
[118]
논문
Amitriptyline.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chronic pain states
1996-06
[119]
웹사이트
Pamelor, Aventyl (nortriptyline)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http://reference.med[...]
WebMD
2013-12-02
[120]
논문
The pharmacokinetics of nortriptylin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1981-07
[121]
논문
Elimination and pharmacological effects following single oral doses of 50 and 75 mg of amitriptyline in man
1983
[122]
웹사이트
Amitriptyline
https://www.drugbank[...]
2019-01-29
[123]
서적
Kaplan & Sadock's Concise Textbook of Clinical Psychiatr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24]
논문
Therapeutic monitoring of antidepressant drugs: guidelines updated
1989-09
[125]
논문
Metabolism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1999-06
[126]
논문
Genetic variability of drug-metabolizing enzymes: the dual impact on psychiatric therapy and regulation of brain function
2013-03
[127]
논문
Clinical implications of pharmacogenetics of cytochrome P450 drug metabolizing enzymes
2007-03
[128]
논문
Clinical Pharmacogenetics Implementation Consortium guideline for CYP2D6 and CYP2C19 genotypes and dosing of tricyclic antidepressants
https://deepblue.lib[...]
2018-11-04
[129]
서적
Medical Genetics Summaries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0-02-06
[130]
논문
Pharmacogenetics: from bench to byte--an update of guidelines
2011-05
[131]
간행물
The Pharmaceutical Codex.
Pharmaceutical press
1994
[132]
서적
Exploring QSAR.Hydrophobic, electronic and steric constants.
American Chemical Society
1995
[133]
논문
Equilibrium versus kinetic measurements of aqueous solubility, and the ability of compounds to supersaturate in solution--a validation study
2006-06
[134]
서적
The Antidepressant Er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35]
서적
The Psychopharmacologists II
https://www.research[...]
Arnold
1999
[136]
웹사이트
The Sopranos Fan's Guide to The Many Saints of Newark
https://www.vanityfa[...]
2021-01-10
[137]
서적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1-14
[138]
서적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9]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Pharmacological Agents: Properties and Synonym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40]
웹사이트
Amitriptyline
https://www.drugs.co[...]
2017-08-13
[141]
논문
Incidence and prevalence of primary care antidepressant prescribing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England, 1998-2017: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2020-07
[142]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therapy of eating disorders
2012-03
[143]
간행물
루프스腎炎に対するセルセプトなど保険適用に公知申請の事前評価終了により3薬剤の適応外処方認められる
https://medical.nikk[...]
日経ドラッグインフォメーション
2015-08-07
[144]
뉴스
日本医事新報
[145]
보고서
CG2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e management of PTSD in adults and children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http://www.nice.org.[...]
英国国立医療技術評価機構
2005-03
[146]
보고서
CG173: Neuropathic pain – pharmacological management: The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neuropathic pain in adults in non-specialist settings
http://www.nice.org.[...]
英国国立医療技術評価機構
2013-11
[147]
서적
慢性頭痛の診療ガイドライン2013
http://www.jhsnet.or[...]
医学書院
2013
[148]
논문
The patient with daily headaches
http://www.aafp.org/[...]
[149]
논문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omparison of amitriptyline, duloxetine, and pregabalin in patients with chronic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ic pain: impact on pain, polysomnographic sleep, daytime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150]
간행물
"トリプタノール錠 添付文書"
http://database.japi[...]
日医工 株式会社
2011-02-09
[151]
간행물
日本薬局方 アミトリプチリン塩酸塩錠『トリプタノール錠25』製造販売承認 承継に伴う包装仕様変更のご案内
http://www.nichiiko.[...]
[152]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Definition of amitriptyline (British & World English)
http://www.oxforddic[...]
[153]
웹인용
Amitriptyline Hydrochloride
http://www.drugs.com[...]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4-09-25
[154]
저널
Amitriptyline versus placebo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2012-12
[155]
서적
Drug Discovery a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
[156]
저널
Half a century of antidepressant drugs: on the clinical introduction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tricyclics, and tetracyclics. Part II: tricyclics and tetracyclics
2008-02
[157]
웹인용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http://www.who.int/m[...]
201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