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마사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마사토는 에도 시대 후기의 하타모토 출신으로, 시라카와 번의 다이묘이자 막부의 로주를 역임했다. 그는 1859년 공무합체 추진을 위해 조정과 교섭하는 킨리츠케로 임명되었고, 1861년 가나가와 부교, 1862년 가이코쿠부교를 거쳐 1864년 시라카와 번주가 되었다. 로주로서 요코하마 항구 건설과 서구식 군사력 현대화를 추진했으나, 효고 항 개항을 칙허 없이 결정하여 실각했다. 이후 은퇴하여 칩거하다가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메이지 신정부와 싸웠고, 188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국봉행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외국봉행 - 오쿠보 이치오
오쿠보 이치오는 에도 막부 말기 하타모토 출신으로 막부 관료를 지내며 가쓰 가이슈를 등용하고 슨푸와 교토 마치 부교 등을 역임했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도쿄부 지사를 지낸 인물이다. - 에도 막부 정봉행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에도 막부 정봉행 - 오구리 다다마사
오구리 다다마사는 1827년 에도에서 태어나 견미사절단의 감찰로 미국을 방문하고 요코스카 제철소 건설을 추진하여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대정봉환 반대와 주전론으로 보신 전쟁 중 체포되어 1868년 참수되었다. - 온고쿠부교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온고쿠부교 - 원국봉행
원국봉행은 에도 막부 시대에 로주의 지배 하에 지방 행정, 사법, 치안 유지를 담당했으며, 외국과의 교섭, 무역 관리, 해안 경비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아베 마사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베 마사토 |
한자 표기 | 阿部正外 |
출생 | 1828년 2월 15일 |
사망 | 1887년 4월 20일 |
사망 장소 | 도쿄, 일본 |
국적 | 일본 |
가계 | |
아버지 | 아베 쇼조 |
양아버지 | 아베 마사치카 |
형제 | 아베 마사사다 스다 쓰지로 아베 마사토 구니노스케 |
배우자 | 하세가와 마사나오의 딸 |
자녀 | 아베 마사시즈 가쓰 레이 사부로 등 |
관직 | |
막부 | 가나가와 봉행 외국 봉행 기타마치부교 지샤부교 겸 소샤반 로주 |
번 | 무쓰시라카와번 번주 |
최종 관위 | 종4위하 에치젠노카미 분고노카미 시종 |
기타 정보 | |
씨족 | 아베 씨 |
묘소 | 도쿄도후추시다마 묘원 |
어린 시절 이름 | 구메사쿠 초키치로 |
다른 이름 | 구메사쿠 효고 (통칭) 호신 |
시호 | 고칸인덴 도쿠요 지도 호신 |
2. 출신 및 초기 생애
아베 마사토는 3천 석의 하타모토인 아베 쇼조(阿部正蔵일본어)의 셋째 아들로 에도에서 태어났다. 1848년 아버지 아베 쇼조가 사망하면서 하타모토 직을 계승했다. 마사토는 시라카와 번의 3,000 곡 규모의 하타모토 가신인 아베 쇼조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형인 아베 마사다가 시라카와 다이묘로 선택되면서 그 직위를 물려받았다.[7]
2. 1. 하타모토 시대
1848년, 아버지 아베 쇼조의 뒤를 이어 하타모토직을 계승하였다.1859년,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에 의해 고부 갓타이(公武合体) 정책의 일환으로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가즈노미야의 혼인을 추진하는 비밀 요원으로 발탁되었다. 이이 나오스케에게 중용되어, 안세이 6년 (1859년)에 공무합체 추진을 위해 가즈노미야의 에도 하향을 조정과 공작하는 킨리츠케 역에 임명되어, 상경하여 교토 쇼시다이 사카이 타다요시와 함께 조정 공작에 진력했다.[7] 만엔 원년 (1860년)에 나오스케가 암살된 후에도 계속 조정과의 협의를 진행했다.
1861년 11월 11일, 가나가와 부교에 임명되어 서구 열강과의 외교 관계를 담당했다.[6] 분큐 원년 (1861년)에 하향이 결정되자 가나가와 봉행으로 전임했다.
1862년 8월 21일에 일어난 나마무기 사건으로 인한 외교적 위기를 겪었다. 같은 해 윤8월 4일에는 가이코쿠 부교(외국 봉행)로 승진하였다.[6]
1863년 4월 23일, ''에도 키타마치 부교'' 직에 임명되었다.[6]
연도 | 사건 |
---|---|
1848년 | 아버지의 가독을 이어받아 3000석 하타모토가 됨 |
1859년 | 이이 나오스케에 의해 고부 갓타이 추진 비밀 요원으로 발탁 |
1861년 | 가나가와 봉행 임명 |
1862년 | |
1863년 | 기타마치 부교(기타마치 봉행) 임명 |
1864년 막부의 명에 따라 시라카와 번 10만 석을 상속받아 번주가 되었다. 번주 취임 직후, 지샤부교와 소자반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다.
3. 시라카와 번주 시대
아베 마사토의 시라카와 번주 시대 연표는 다음과 같다.연도 사건 1864년 3월 4일 막부의 명령으로 시라카와 번 상속. 1864년 6월 22일 지샤부교 겸 소자반 임명. 1864년 6월 24일 지샤부교 면직, 로주 취임. 1865년 10월 1일 로주 면직. 1866년 은거, 칩거.
3. 1. 로주로서의 활동
1864년 6월 24일 로주로 임명된 아베 마사토는 요코하마 항구 및 외국인 거류지 건설 관련 협상을 주도했다.[3] 또한 시라카와 번의 군사력을 서구식으로 현대화하고 소총으로 재무장하도록 명령했다.[3]
1865년 2월 5일,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고메이 천황의 회동을 준비하기 위해 마쓰다이라 무네히데와 함께 4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교토로 상경하여, 22일 참내하여 조정과의 교섭에 임했다.[11] 24일 아베는 에도로 돌아왔다.[11] 이후 이에모치는 다시 교토로 향했고, 이때 마사토도 이에모치를 수행하였다.[3] 5월 16일 이에모치 3번째 상경에 아베는 수행하였고, 파병을 명령한 시라카와 번 병사 약 1200명이 육로와 해로로 나뉘어 오사카성에 집결했다.[11] 윤 5월 22일에 참내한 후 25일에 오사카로 내려왔다.[12]
오사카로 내려간 마사토는 9월 23일, 마쓰마에 다카히로와 함께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3국이 요청한 효고 항 개항과 오사카 시장 개방을 둘러싼 교섭을 개시했다.[3] 3국이 개항에 관하여 신속한 답변이 나오지 않으면 막부와의 교섭을 그만두고 천황과 직접 협상하겠다는 주장을 펴자, 마사토와 다카히로 두 로주는 25일 칙허가 없는 상태에서 개항을 허가하기로 결정하였다.[3][12] 이튿날, 오사카성으로 온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는 칙허 없이 조약을 체결함은 불가하다고 주장하였지만, 두 로주는 외국들이 막부를 넘어 조정과 직접 교섭을 하기 시작하면 막부는 붕괴할 것이라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3]
3. 2. 효고 개항과 실각
1865년, 조정으로부터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재상락과 양이 결행 요청이 내려졌을 때, 교토의 양이파 귀족과 낭인들을 견제하기 위해 음력 2월 5일, 마쓰다이라 무네히데와 함께 4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상락하여 조정과의 교섭에 나섰다.[3] 교섭 이후 조정의 요청에 따라 이에모치는 다시 교토로 향했고, 이때 마사토도 이에모치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오사카로 내려가 음력 9월 23일, 마쓰마에 다카히로와 함께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3국이 요청한 효고 항 개항과 오사카 시장 개방을 둘러싼 교섭을 개시했다. 3국이 개항에 관하여 신속한 답변이 나오지 않으면 막부와의 교섭을 그만두고 천황과 직접 협상하겠다는 주장을 펴자, 마사토와 다카히로 두 로주는 이틀 뒤, 칙허가 없는 상태였지만 개항을 허가하기로 결정하였다.[3] 이튿날, 오사카성으로 온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는 칙허 없이 조약을 체결함은 불가하다고 주장하였지만, 두 로주는 외국들이 막부를 넘어 조정과 직접 교섭을 하기 시작하면 막부는 붕괴할 것이라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조정은 칙허 없이 함부로 개항 허가를 내린 마사토와 다카히로를 문책하고, 두 사람의 관위와 영지를 박탈할 것을 명하였고, 이에모치는 두 사람을 로주 직에서 제외하였다.[3] 1866년, 마사토는 은퇴, 칩거 명령을 받았고, 영지 4만 석이 삭감되었다.[3] 장남 마사키요가 그 뒤를 이었으며, 마사토는 1887년에 6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4. 은거 및 보신 전쟁
1866년, 아베 마사토는 다나구라 번으로 이봉되었으나, 연기 작전을 통해 이듬해까지 이주를 미루었다. 1868년, 보신 전쟁 발발 직전 시라카와 번으로 복귀하였다.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싸웠으나 패배하였다.[4] 5월 1일에는 시라카와 성이, 6월 24일에는 다나쿠라 성이 함락되었고, 아베 마사토 등은 호바라 진야에서 신정부군에 항복하였다. 번령은 10만 석에서 6만 석으로 줄었다.[13]
5. 사망 및 평가
1866년 은퇴 및 칩거 명령을 받았고, 영지 4만 석이 삭감되었다. 장남 마사키요가 그 뒤를 이었으며, 마사토는 1887년 도쿄에서 6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그의 묘는 도쿄도 후추시의 다마 묘지에 있다.[4]
아베 마사토는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발맞춰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시대적 한계와 보수 세력의 반발로 좌절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그의 개항 추진은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수 있으나, 칙허를 받지 않고 독단적으로 결정한 것은 비판받을 여지가 있다. 그의 몰락은 봉건 시대의 종말과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사건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6. 가계
구 분 | 내 용 |
---|---|
실부 | 아베 쇼조 |
실모 | 난부 노부자네의 딸 |
양부 | 아베 마사토시 |
정실 | 치요 - 하세가와 마사나오의 딸 |
자녀 | |
장남 | 아베 마사즈미 |
카츠 | 아베 마사토모의 양녀, 이이지마 요시카즈의 처[14] |
레이 | 오카이 미치노부의 양녀 |
아베 사부로 (삼남) | 아베 마사요시의 양자 |
7. 등장 작품
- 1990년 NHK 대하드라마 날아오르듯 - 야마모토 히로시 역[1]
참조
[1]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2]
서적
Select Documents on Japanese Foreign Policy, 1853-1868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French Policy in Japan During the Closing Years of the Tokugawa Regim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4]
서적
江戸時代全大名家事典 (Edo period Daimyo Encyclopaedia)
Tokyo Publishing
[5]
간행물
학습원대학사료관、P393
[6]
간행물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7]
간행물
白河市、P394、P491
[8]
간행물
藩主人名事典編纂委員会、P84
[9]
간행물
白河市、P394、P491 - P497、久住、P200 - P201、松浦、P262 - P263、P266 - P270
[10]
간행물
安田、P54
[11]
간행물
野口、P106 - P112、白河市、P498 - P500、久住、P203 - P205
[12]
간행물
野口、P132 - P138、白河市、P394 - P395、P500 - P510、久住、P209 - P211、松浦、P275 - P276
[13]
간행물
白河市、P395、P513 - P515、P521 - P522、P535 - P537
[14]
간행물
학습원대학사료관、P3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