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국봉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국봉행(遠国奉行)은 에도 막부 시대에 로주의 지배 하에 있던 지방 행정 관청으로, 해당 지역의 행정, 사법, 치안 유지 등을 담당했다. 주요 역할로는 외국과의 교섭, 무역 관리, 해안 경비 등이 있었으며, 관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다. 주요 온고쿠부교로는 나가사키 부교, 하코다테 부교, 가나가와 부교 등이 있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재판소로 계승되어 각 부 또는 현으로 개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행 - 군함봉행
군함봉행은 에도 막부 말기에 해안 방어, 군함 건조 및 관리, 해군 인력 양성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막부 해군력 강화에 기여한 해군 담당 직책으로, 외국과의 문제 처리도 담당했다. - 봉행 - 오봉행
오봉행은 도요토미 정권의 행정 실무를 담당한 5명의 중신으로, 사법, 행정, 토목, 재정, 종교 분야를 분담하여 교토와 그 주변 지역을 통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 온고쿠부교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온고쿠부교 - 아베 마사토
아베 마사토는 에도 막부 말기의 하타모토 출신 다이묘이자 막부 관료로서, 가나가와 봉행, 외국 봉행, 마치부교 등을 역임하고 시라카와 번주와 로주를 지내며 막부 말기 외교 및 군제 개혁을 주도했으나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싸웠다. - 에도 막부의 직제 - 군함봉행
군함봉행은 에도 막부 말기에 해안 방어, 군함 건조 및 관리, 해군 인력 양성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막부 해군력 강화에 기여한 해군 담당 직책으로, 외국과의 문제 처리도 담당했다. - 에도 막부의 직제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원국봉행 | |
---|---|
관직 정보 | |
관직명 | 원국봉행 (遠国奉行) |
유형 | 에도 시대의 관직 |
소속 | 사찰봉행, 교토 쇼시다이, 오사카 조다이 |
역할 | 막부 직할령 외의 지역 관리 감독 |
상세 정보 | |
정원 | 3명 (시기별 변동 가능) |
임명 | 후다이 출신의 오모테 고부교 |
직위 | 종5위하 (従五位下) |
직책 | 제반 보고 청취 및 필요 시 조치 건의 |
관할 지역 | 사찰봉행: 사찰, 신사 관련 업무 교토 쇼시다이: 교토, 오사카 지역의 치안 유지 및 관리 오사카 조다이: 오사카 성 관리 및 서일본 지역 감독 |
설치 시기 | 간에이 연간 (寛永年間) |
주요 업무 | |
사찰봉행 | 전국 사찰, 신사 관련 소송 판결 승려, 신관 임명 관리 사찰, 신사 건축 허가 |
교토 쇼시다이 | 교토 치안 유지 황실 감시 서일본 다이묘 감시 막부와의 연락 담당 |
오사카 조다이 | 오사카 성 관리 성하 도시 관리 서일본 다이묘 감시 막부 재정 지원 |
참고 사항 | |
특징 | 막부 직할령이 아닌 지역을 관리, 감독하는 특수 관직 |
중요성 | 막부의 권위를 유지하고 지방 통제를 강화하는 데 기여 |
2. 설치 배경 및 목적
에도 막부는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각 지역에 부교(奉行)를 파견했다. 부교는 행정, 사법, 치안 등 다양한 권한을 가지고 지역을 통치했다. 특히, 중요한 지역에는 원국봉행(遠国奉行)을 설치하여 중앙 정부의 통제를 강화했다. 원국봉행은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통치를 수행했다. 개항 이후, 원국봉행은 외교와 통상의 최전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온고쿠부교는 로주의 지배를 받았으며, 부용간에 자리했다. 이들은 해당 지역의 행정, 사법, 재판, 치안 유지 등을 담당했다.[1] 특히, 항구 도시의 부교는 외국과의 교섭, 무역 관리, 해안 경비 등의 역할도 수행했다. 각 부교는 관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다.
원국봉행은 로주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막말 시점에서는 교토 마치부교, 오사카 마치부교, 슨푸 마치부교와, 나가사키 봉행, 후시미 봉행, 야마다 봉행, 닛코 봉행, 나라 봉행, 사카이 봉행, 사도 봉행, 우라가 봉행, 시모다 봉행, 니가타 봉행, 하코다테 봉행, 가나가와 봉행, 효고 봉행을 통칭했다. 이들은 1000석에서 2000석까지 임지에 따라 다른 녹봉을 받았다.
3. 주요 역할 및 권한
명칭 주요 역할 및 권한 나가사키 봉행 외교, 무역 관리 (원국 봉행 수좌) 사도 봉행 광산 관리 닛코 봉행 도쇼구 관리 슨푸 마치부교 슨푸성다이와 협력하여 여러 다이묘들을 감시하고, 스루가, 이즈 지역 통치 시모다 봉행, 우라가 봉행 에도만으로 들어오는 선박 감시, 화물 검사, 밀무역 단속 하코다테 봉행 에조치(아이누 거주 지역) 관리, 방위, 무역, 아이누 회유 정책 니가타 봉행 니가타 주변 지역 통치, 니가타항 관리, 출입 선박 감시, 밀무역 단속, 해안 경비 나라 봉행 가스가 대사 경비 및 신사 행사
슨푸 마치부교는 슨푸성다이와 협력하여 슨푸를 통행하는 여러 다이묘와 무사들을 감시하고, 스루가와 이즈의 재판, 구노산 도쇼구의 경비를 담당했다. 슨푸 마치부교는 요코우치구미 정봉행과 오테마치 정봉행 2명으로 구성되었으나, 겐로쿠 15년(1702년) 이후 1명으로 변경되었다.
우라가 봉행과 시모다 봉행은 에도 만으로 들어오는 선박을 감시하고, 화물 검사와 밀무역 단속을 수행했다. 우라가 봉행은 분카 시대에 외국 선박 내항으로 인해 에도 만 경비 역할이 추가되었다.
하코다테 봉행은 에조치 관리, 방위, 무역, 아이누 회유 정책을 담당했다. 간세이 11년(1799년) 임시 상지 이후 교와 2년(1802년) 영구 상지 위에 설치되었으며, 분카 4년(1807년) 마쓰마에 봉행으로 변경되었다가 막부 말 하코다테 개항을 계기로 다시 설치되었다.
니가타 봉행은 덴포 14년(1843년) 니가타 주변 지역이 천령이 되면서 신설되었으며, 니가타에 주재하며 민정, 출입 선박 감시, 밀무역 단속, 해안 경비 등을 담당했다.
나라 봉행은 흥복사·도다이지 등 남도의 대사찰 감시와 그 문전 마을 지배를 위해 설치되었으며, 교토 쇼시다이의 지휘를 받았다. 주요 임무는 가스가 대사 경비와 신사 행사였다.
3. 1. 재정
원국봉행은 1,000석에서 2,000석 사이의 녹봉을 받았으며, 임지에 따라 야쿠다카(役高)와 야쿠료(役料)가 지급되었다. 시대에 따라 야쿠킨(役金)이 지급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게이오 3년(1867년)에는 슨푸 마치부교는 1500냥, 효고 봉행은 3000냥을 받았다.[1]
4. 주요 온고쿠부교
오쓰 재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