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사쿠라 다카카게 (149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쿠라 다카카게는 1493년에 태어나 1548년에 사망한 인물로, 아사쿠라 사다카게의 뒤를 이어 에치젠의 슈고 다이묘가 되었다. 그는 무로마치 막부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주변 지역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며 아사쿠라 가문의 세력을 키웠다. 특히 교토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이치조다니에 번영을 가져왔으며, 많은 문화인들을 초빙하여 에치젠을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하지만 군사적인 면에서는 직접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가신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아사쿠라 가문의 멸망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사쿠라씨 -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에치젠 아사쿠라 씨의 당주로, 문화와 외교에 능했으나 우유부단한 태도와 군사적 능력 부족으로 가문을 멸망시켰다.
  • 아사쿠라씨 - 아네가와 전투
    아네가와 전투는 1570년에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이 승리하였으나 아자이 가문의 몰락을 가속화시키고 노부나가 포위망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 1548년 사망 - 레 장종
    레 장종은 막 왕조 찬탈 후 응우옌 김에 의해 옹립되어 후 레 왕조를 재건했으나, 실권은 응우옌 김과 찐끼엠에게 있어 꼭두각시 노릇을 하였다.
  • 1548년 사망 - 성세창
    성세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사화에 연루되어 귀양 갔으며, 선조 때 신원되어 시호는 문장이다.
  • 1493년 출생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 1493년 출생 -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는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아들로, 스위스 용병의 도움으로 밀라노 공작이 되었으나 마리냐노 전투에서 패배 후 프랑수아 1세에게 밀라노를 양도하고 파리에서 사망했다.
아사쿠라 다카카게 (1493년)
기본 정보
씨명아사쿠라 씨
이름아사쿠라 다카카게
시대전국 시대
생년월일1493년12월 30일
사망일1548년4월 30일
이명손지로, 단조쇼에몬노조, 입도 성안재
계명성안사전대휴종순대거사
관위좌위문위
주군아시카가 요시타네요시하루→요시테루
씨족아사쿠라 씨
부모아버지: 아사쿠라 사다카게, 어머니: 사이토 도시쿠니의 딸 (상산정공)
형제자매다카카게, 가게타카, 가게쿠니, 가게노리, 하타노 미치사토(하타노 가문으로), 가게노부, 다이조묘교쿠(승려)
배우자정실: 다케다 모토노부의 딸, 고토쿠인
자녀요시카게

2. 약력

아사쿠라 다카카게는 에이쇼 9년(1512년) 아버지 사다카게가 매사냥 도중 급사하면서 가독을 이어받았다. 에이쇼 13년(1516년)에는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로부터 흰 양산과 양탄자로 만든 안장을 쓰는 것을 허락받았다.[1]

막부의 명으로 주변국에 출병하여 군사적 우위를 점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가가의 잇코슈(잇코 잇키)와 화평을 성립하는 등 아사쿠라 가문의 세력을 크게 확대했다. 조정, 무로마치 막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본거지 이치조다니에 교토풍 문화를 만개시키는 등 에치젠에 번영을 가져왔다.

군사면에서는 직접 나서기보다는 아사쿠라 소테키와 같은 일족의 주요 인물들을 대리로 파견하는 경우가 많았다. 통치면에서는 고쿠진 영주들을 완전히 휘하에 두지 못했고, 동생 아사쿠라 가게타카와 대립하는 등 내분도 있었다. 경제면에서는 잦은 군사 파견, 조정과 막부에 대한 막대한 헌상금 등에서 아사쿠라 가문의 번영을 엿볼 수 있다. 덴분 17년(1548년) 3월 22일에 사망했으며, 향년 56세였다. 뒤는 16세의 적자 延景(후의 아사쿠라 요시카게)이 이었다.[1]

2. 1. 주요 사건


  • 에이쇼 9년(1512년) 3월, 아버지 아사쿠라 사다카게가 매 사냥 중에 급사하여 가독을 이었다.[1]
  • 에이쇼 13년(1516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로부터 흰 우산 주머니 및 모전 안장 덮개를 면제받았다.
  • 에이쇼 14년(1517년), 아사쿠라 소테키를 군봉행으로 삼아 와카사, 단고에 출병하여 다케다 모토노부를 도와 반란을 진압했다.
  • 에이쇼 15년(1518년), 미노에서 사이토 도시요시와 도키 요리타케가 에치젠으로 망명했다.
  • 에이쇼 16년(1519년), 아사쿠라 가게타카가 미노에 출진하여 사이토 도시요시와 도키 요리타케를 복귀시켰다.
  • 다이에이 5년(1525년), 아사쿠라 소테키가 오미 오다니 성으로 출진하여 롯카쿠 사다요리아자이 스케마사 사이를 조정했다.
  • 다이에이 7년(1527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의 요청으로 아사쿠라 소테키 등이 교토로 출병하여 미요시 모토나가 군을 격퇴하고 교토를 실효 지배했다.
  • 다이에이 8년(1528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의 고쿄슈에 임명되었으나, 간레이 호소카와 다카쿠니와 대립하여 교토에서 철병했다.
  • 쿄로쿠 원년(1528년), 호소카와 다카쿠니가 이치조다니로 내려와 교토 파병을 요청했으나 거절했다.
  • 쿄로쿠 4년(1531년), 가가가 일향종의 내분(교로쿠・텐분의 난#교로쿠의 혼란)에 아사쿠라 소테키를 파견하여 공격했다.
  • 덴분 원년(1532년), 롯카쿠 씨와 밀약을 맺고 가가 일향종과 화의를 성립했다.
  • 덴분 5년(1536년), 도키 요리타케와 도키 요리노리 형제의 슈고직 분쟁에 관여했다.
  • 덴분 9년(1540년), 아사쿠라 가게타카가 반(反) 다카카게 운동을 획책했으나 실패하고 추방되었다.
  • 덴분 13년(1544년), 미노 슈고 자리를 두고 오다 노부히데와 연합하여 사이토 도산을 공격했으나 패배했다(가노구치의 전투).
  • 덴분 17년(1548년), 사찰 참배 귀가 도중에 급사했다.[1]

3. 이치조다니의 번영

15세기 말, 일본 국내는 전란이 끊이지 않았지만, 에치젠은 아사쿠라 다카카게의 통치 아래 비교적 평온했다. 이러한 안정된 환경 덕분에, 혼란스러운 교토에서 많은 귀족과 문화인들이 이치조다니로 피난하여 정착하였다. 다카카게는 교토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축국은 아스카이 류를 전수받고, 와카는 산조니시 사네타카에게 비평을 의뢰하는 등 문화 예술을 장려했다.[3]

게이슈 주케이는 다카카게를 "치세는 물론, 장수로서 병법을 논할 때조차, 시가를 평하는 묘함이 있다"고 칭송했고, 슌타쿠 에이온은 "문도를 왼쪽에, 무도를 오른쪽에 둔 풍류 태수"라고 평가하는 등, 다카카게는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칭송받았다.

다카카게는 의학에도 관심을 가져, 다니노 잇파쿠, 나카라이 무네타카, 아키타카, 단바 지카타카 등의 의학자들을 초빙하여 지식을 흡수하였다. 명나라의 의학 서적 《팔십일난경》을 주석하여 이치조다니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3. 1. 초빙된 문화인

분야인물
유학기요하라 노부카타[2], 스가와라 아키나가, 스가와라 나가아쓰
와카레이제이 다메카쓰[3]
축국아스카이 마사쓰나
신토요시다 가네미기
구게이치조 후사후유, 니조 하루요시, 산조 기미요리, 요쓰쓰지 스에토오, 간주지 하루히데, 간로지 모토나가


4. 인물

아사쿠라 다카카게(1493년)는 문치에 뛰어난 정치가였다. 이치조다니에 키요하라 노리타카, 아스카이 마사츠나 등 다양한 분야의 명망 높은 인물들을 초빙하여 교토에 버금가는 문화 중심지로 만들고, 에치젠의 번영을 이끌었다.[1]

그러나 무장으로서의 역량은 사료상 명확하지 않고, 직접 군을 이끌었다는 기록도 거의 없다. 잦은 대외 출병은 대부분 무로마치 막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고, 아사쿠라 가문 자체의 영토 확대는 거의 없었다. 군사 지휘는 주로 일족인 아사쿠라 소테키에게 맡겼다. 이러한 점은 아들 아사쿠라 요시카게에게 이어져 후에 아사쿠라 가문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가신들 사이에서는 "군략", "검술" 연구가 활발했다고 전해진다. 츄조류를 중심으로, 토미타 시게마사, 카네마키 지사이 등 뛰어난 검객들을 배출했다.

또한 다카카게는 의학에도 관심을 가져, 의 의학서 팔십일난경을 주석한 "불청자속해팔십일난경"을 판목본으로 이치조다니에서 출판하기도 했다.

5. 관련 작품


  • 날뛰는 괴력 장사 (1966년, 배우: 히라타 아키히코)

참조

[1] 논문 戦国期の守護権をめぐって:越前朝倉氏の場合 https://kusw.repo.ni[...] 関西福祉大学社会福祉学部研究会 2009-03
[2] 문서 전국시대 교토의 문신이자 학자(1475년 ~ 1550년 8월 24일). 관위는 정3위 쇼나곤(少納言). 원래는 요시다(吉田)씨였으나 명경박사 기요하라 무네카타(清原宗賢)의 양자로 들어가 성을 바꾼다. 궁중에서 강의를 행하면서 명경도(明經道)를 정리하였다. 1529년에 관직을 그만두고 출가한 뒤 학문에 전념하다 에치젠 이치조타니에서 76세로 사망. 일본 역사상 굴지의 석학으로서 국학과 유학 방면에서 많은 저서를 남겼으며 그가 남긴 각종 주석서는 오늘날까지 일본학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고 있다.
[3] 문서 무로마치 시대의 문신이자 가인(歌人). 고셋케의 하나였던 레이제이케(冷泉家) 집안의 당주로 관위는 정2위 다이나곤(大納言). 스루가와 노토, 오미 등지를 돌아다니던 중 이마가와 집안의 의뢰로 사가미의 고호조 집안이나 가이의 다케다 집안 소유의 영지로 들어가 현지 가단(歌壇)을 지도하기도 했으며, 이마가와와 다케다 집안 사이에 혼인동맹이 맺어진 뒤 이마가와 집안의 외교 사절로서 활약했다. 덴분 18년([[1549년]]) 동짓날에 사망. 문집 《위화경집(為和卿集)》이 전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