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일랜드의 국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의 국장은 아일랜드의 국가적 상징으로, 역사적으로 하프를 주요 모티프로 사용해왔다. 하프는 1541년 잉글랜드의 헨리 8세에 의해 아일랜드 왕국의 상징으로 채택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자유국을 거쳐 현재의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도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프는 아일랜드 대통령 깃발, 동전, 여권, 공식 인장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며, 아일랜드와 관련된 기업이나 단체의 문장에도 자주 등장한다. 아일랜드의 네 개 지방인 레인스터, 코노트, 얼스터, 먼스터의 문장도 아일랜드를 상징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상징 -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자 국어로,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했으나 정부의 사용 장려 정책으로 게일타흐트 지역을 보호하고 있다.
  • 아일랜드의 상징 - 하프
    하프는 기원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세계 각지에서 발전해 온 현악기로,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8세기 페달 하프 발명 후 오케스트라와 실내악에서 널리 쓰이고 아일랜드 등 여러 문화권에서 상징으로 여겨진다.
  • 국장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국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 유럽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 유럽 - 벨기에
    벨기에는 서유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창립 회원국으로서,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아일랜드의 국장
국장 정보
아일랜드의 국장
아일랜드의 국장
제정 국가아일랜드
채택 연도1945년 (등록: 아일랜드 문장), 약 1541년 (기록: 아일랜드 왕국), 약 1280년 (기록: 아일랜드 왕)
설명푸른색 바탕에 금색 하프, 은색 현
아일랜드어 설명(푸른색 바탕에 은색 현이 있는 금색 하프)
아일랜드 대통령기
아일랜드 대통령의 표준 깃발로 사용되는 문장기
사용
용도하프는 모든 아일랜드 의회 법률에 사용된다.
아일랜드 대통령의 인장
아일랜드 여권 표지
다양한 정부 부처
아일랜드 유로 동전 앞면
영국 왕실 문장의 왼쪽 하단
북아일랜드의 공식 기관에서 사용하는 배지에 통합됨
이전 버전
아일랜드 왕국 시대 스타일
아일랜드 왕국 시대 스타일
푸른 방패에 세 개의 금색 왕관이 세로로 배열되고 흰색 테두리가 있음
아일랜드 영지 문장
왕좌에 앉아있는 왕
미데 문장

2. 역사

문장학은 본질적으로 봉건제적인 예술이므로, 아일랜드의 문장이 생겨난 것은 1169년 노르만족의 아일랜드 침공 이후이다. 이는 이 예술이 잉글랜드유럽 대륙에서 뿌리내리기 시작한 지 수십 년이 지난 시점이었다. 아일랜드의 첫 문장관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1392년 최초의 아일랜드 문장관의 창설이었다. 1552년에는 독립적인 얼스터 문장관이 설치되었는데, 이름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전체의 문장을 관할했다. 1943년, 얼스터 문장관은 잉글랜드의 노로이 문장관과 합쳐져 노로이 및 얼스터 문장관이 되었다. 아일랜드 수석 문장관의 직함은 얼스터 문장관의 후계자로 만들어졌으며, 아일랜드의 문장은 1945년 11월 9일 아일랜드 수석 문장관에 의해 등록되었다.[3][4]

아일랜드 국장으로서의 하프에 대한 언급은 가장 오래된 중세 문장 목록 중 하나에서 찾을 수 있다. 1280년경에 제작되어 헤이그 네덜란드에 보존된 프랑스 문장 목록인 빈베르겐 목록은 "D'청색에 금색 하프"(금색 하프가 있는 파란색영어)를 아일랜드 왕("le Roi d'Irlande")에게 귀속시켰다.[5] 12세기13세기에 잉글랜드의 존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왕에 의해 중세 아일랜드 주화에 삼각형 장치가 나타났는데, 이는 조잡한 하프였을 수도 있고, 삼각형을 사용하여 아일랜드 주화를 구별하는 것에서 하프가 발전했을 수도 있다.[6]

하프가 아일랜드의 국장이라는 아이디어는 트리스탄의 궁정 전설에서 가상의 인물 "le roi d'irelande"에 대한 언급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또는 13세기 바드 시인인 돈차드 카이르브리크 오브라이언(1242년 사망)이 게일족 톰몬드 왕국에 헌정된 "Tabhroidh Chugam Cruit mo Riogh"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7]

1702년 그레이트 브리튼과 아일랜드 지도, 아일랜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프랑스의 문장 표시. 하프에는 여성의 머리와 가슴이 있다.


그 기원이 무엇이든, 하프는 1541년 잉글랜드의 헨리 8세에 의해 설립된 새로운 아일랜드 왕국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다. 얼스터 문장관 사무실의 문서에는 헨리 8세의 말년 통치 또는 그의 아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6세의 초기 통치 중, 그들이 아일랜드 왕국의 문장이라고 명시되어 있다.[7] 이 문장은 1603년 세 왕국의 왕관 연합에 따라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통일된 영국 왕실 문장에 통합되었다. 아일랜드 자유국1922년 영국에서 분리되면서, 하프는 독립 아일랜드 국가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다.

1984년, 수석 문장관의 승인을 받은 현대 디자인의 예시는 파리 산업 재산 보호 협약의 제6조의3에 따라 아일랜드 정부에 의해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에 등록되었으며, 이는 국가 상징과 관련이 있다.[14][8][9] 아일랜드 법무 장관 사무실은 오른쪽을 바라보는 이미지도 등록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특허 대리인은 이것이 1870년대부터 로고에 이러한 하프를 사용해 온 기네스 양조장의 사용을 방해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10]

2. 1. 대통령 깃발

1945년부터 하프는 아일랜드 대통령의 문장이자 깃발로 사용되고 있다. 대통령 깃발은 대통령 깃발 형태로 제작되어 더블린의 대통령 관저인 아라스 언 우악타란, 더블린 성에 게양되며, 대통령 전용 차량에도 사용된다. 대통령 깃발은 반 기 게양되지 않으며, 아일랜드의 국기보다 우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국 왕실 기장은 영국의 국기보다 우선한다.[1]

2. 2. 이전의 문장



아일랜드 영지는 1171년부터 1541년까지 잉글랜드 왕관 아래 존재했던 중세 왕국으로, 별도의 문장을 가지고 있었다. 1467년에서 1468년 사이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4세의 위원회는 아일랜드의 문장을 조사하여 "파란색 바탕에 금색 왕관 셋이 수직으로 배열되고, 흰색 테두리가 있는" 형태로 문장을 표기했다.[7][12][13] 이 문장이 아일랜드와 연관된 것은 14세기 초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의 스코틀랜드 전쟁에 참전한 아일랜드 유력자(노르만과 게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성 에드문드의 문장이었는데, 아일랜드 영주들은 잉글랜드 영주들이 성 조지의 기와 동일시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이를 깃발로 채택했다. 그러나 이 문장은 다른 중세 맥락에서도 잘 알려져 있었으며 종종 아서 왕에게 귀속되기도 한다.[7]

세 개의 왕관은 잉글랜드의 헨리 8세가 교황과의 관계를 단절한 후 아일랜드의 문장으로 폐기된 것으로 여겨진다. 엄밀히 말해, 12세기 노르만족의 침략 이후 아일랜드는 잉글랜드 군주의 종주권 아래 교황의 봉건적 소유였다. 세 개의 왕관 문장을 변경하기로 한 결정은 "세 개의 왕관이 교황의 봉건적 주권을 나타낼 수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는데, 교황의 교황관에는 세 개의 왕관이 있으며, "잉글랜드 왕은 아일랜드 영주로서 그의 봉신"이었다.[3][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개의 왕관 문장에 대한 기억은 1562년 이른 시기에 동전, 지도 및 인장에 나타나는 하프의 엘리자베스 시대 변형과 함께 잠시 남아 있었을 수 있는데, 영주의 문장에 있는 세 개의 왕관을 각각 대체하는 세 개의 하프를 사용했다. 이는 새롭게 설립된 얼스터 문장관의 창작물로 보이며, 헨리 8세 통치 이후 사용된 단일 하프 문장을 대체할 만큼 대중의 상상을 충분히 사로잡지 못했다. 따라서, 대영 도서관에 있는 필사본에 묘사된 1603년 엘리자베스 1세의 장례 행렬에서 클랜리카르데 백작은 빈장겐 롤과 마찬가지로 아일랜드의 를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7]

메스 왕립 주의 문장 변형도 한때 아일랜드의 문장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레인스터 주의 일부인 메스는 한때 아일랜드 최고 왕의 주였다. 그 문장은 파란색 바탕에 왕이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아일랜드의 문장으로 사용된 변형은 청색(파란색) 바탕 대신 검은색 바탕에 장엄함을 나타낸다.[14]

3. 디자인

현재 아일랜드 국장에 사용되는 하프 디자인은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 소장되어 있는 중세 후기 게일 하프인 ''브라이언 보루 하프''를 모델로 한다.[15] 이 디자인은 영국의 조각가인 퍼시 메트칼프의 작품으로, 1928년 아일랜드 주화 디자인 공모전에 출품된 것이다. 메트칼프의 디자인은 이후 아일랜드 국가 상징으로서 하프를 표현하는 공식적인 모델이 되었다.

현대 디자인은 이전의 하프 묘사와는 상당히 다르다. 17세기에는 하프 기둥을 여성의 머리와 가슴을 가진 인물상처럼 묘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프의 줄은 항상 은색이며, 하프 자체는 금색이다. 줄의 개수는 9개 이상이면 30개를 모두 표시할 필요는 없다.[14]

하프는 파란색 배경 위에 놓인다. 이 배경색은 성 파트리치오의 파란색이라고도 불리며, 아일랜드와 관련된 파란색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현재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디자인에서는 배경이 항상 짙은 파란색으로 표현된다. 문장에서 파란색을 사용하는 것은 아일랜드의 게일 신화 속 국가 의인화인 고르프라트|Gormfhlaithga와 관련이 있다. 고르프라트|Gormfhlaithga는 gorm|파란색ga과 flaith|군주ga의 합성어이며, 초기 아일랜드 문헌에서 아일랜드 왕조 정치와 관련된 여러 여왕들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일랜드 국립 도서관은 문장의 파란색 배경이 초기 아일랜드 신화에서 아일랜드의 주권(Flaitheas Éireann|Flaitheas Éireannga)을 상징하는 파란색 로브를 입은 여성으로 표현된 것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14]

4. 문장의 활용

오늘날 하프 이미지는 아일랜드 공화국 동전, 아일랜드 여권, 공식 인장에 사용되며, 북아일랜드 경찰청 등 북아일랜드의 여러 단체 문장에도 통합되어 있다.[14] 기네스, 라이언에어와 같은 아일랜드 회사들의 로고에도 자주 사용된다.[10] 몬트세랫 문장, 캐나다 문장 등 아일랜드나 영국과 역사적 관계가 있는 국가들의 문장에도 나타난다.[14]

5. 아일랜드 4개 지방의 문장

아일랜드 4개 주 기.
아일랜드 전체를 대표하는 인기 기로 분기된 아일랜드의 4개 주 기


아일랜드의 네 전통적인 아일랜드의 주인 레인스터, 코노트, 얼스터, 먼스터의 문장은 아일랜드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 문장들은 보통 4분할되어 하나의 문장으로 표시되는데, 레인스터가 첫 번째, 코노트가 두 번째, 얼스터가 세 번째, 먼스터가 네 번째 순서로 배치된다.

이 4분할 문장은 배너 형태로 표시되거나, 다른 문장이나 상징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문장관이 이끄는 족보 서재의 문장은 4개 주의 문장이 "빨간색 수장에, 금색 튜더의 철책과 두 개의 은색 두루마리" 아래에 4분할되어 표시된다.[26]

각 지방의 문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각 문서를 참조하라.

  • 레인스터
  • 코노트
  • 얼스터
  • 먼스터

5. 1. 레인스터



레인스터의 문장(''Vert, a Harp Or, stringed Argent'')은 녹색 바탕에 금색 하프와 은색 줄이 있는 형태이다.[14] 이 문장은 색상 변경을 통해 아일랜드 자체의 문장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7] 아일랜드는 문장과 마찬가지로 하프가 그려진 국기와 오랫동안 연관되어 왔는데, 이 국기는 파란색 대신 녹색 바탕에 금색 하프와 은색 줄이 있는 형태였다.

18세기와 19세기의 자료에서 이 국기는 아일랜드의 국기로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해군 기로 사용되었고, 아일랜드의 비공식 녹색 엔사인의 기반이 되었다. 이 국기는 레인스터 지방의 문장과 동일하며, 레인스터 문장은 이 국기로부터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5. 2. 코노트

Party Per Pale Argent and Azure, in the first an eagle dimidiated and displayed Sable in the second issuant from the partition an arm embowed and vested, the hand holding a sword erect, all Argent영어로 묘사된다. 은색과 파란색으로 나뉘며, 은색 부분에는 검은 독수리가, 파란색 부분에는 갑옷을 입고 검을 든 팔이 묘사된다.[7] 이 문장은 중세 레겐스부르크 (독일)의 Schottenklöster (게일 수도원)의 문장에서 채택된 것으로 여겨진다.[7] 14세기부터 시작된 레겐스부르크 Schottenklöster의 문장은 신성 로마 황제의 문장(수도원이 보호를 받은 곳)을 반으로 나누어 오브라이언 왕조 문장의 볏과 연결될 수 있는 상징과 결합했다(11세기 오브라이언은 수도원의 "기증자"로 등재되어 있다).[7] 이 문장은 코노트의 왕이자 노르만 침공 이전 마지막 아일랜드의 최고 왕인 루아이드리 우아 콘코버에게 그의 후원을 돌려주기 위해 수도원에서 선물로 수여되었을 수 있다.[7] 문장은 약 1575년경 애슬론 추기경인 에드워드 플레처에 의해 아일랜드의 "옛 시대 문장"으로 주어졌으며, 색상의 약간의 변화로 17세기에 코노트의 문장이 되었다.[7]

5. 3. 얼스터

얼스터의 문장은 얼스터 백작의 문장인 드 부르 가문의 문장과 오닐 왕조의 붉은 손 봉인이 결합된 것이다. 이 두 왕조와 상징은 얼스터와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 두 가지의 조합은 금색 바탕에 붉은 십자가 있고, 그 위에 은색 바탕에 붉은 오른손이 그려진 작은 방패가 있는 형태로 묘사된다.[7]

5. 4. 먼스터

먼스터의 문장(''Azure, three antique crowns Or'')은 이전 아일랜드 영주령의 문장이나 1386년 로버트 드 베르를 위해 만들어진 단명한 아일랜드 공작령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19] 왕관은 현재 일반적으로 "앤티크" 또는 "동양"으로 묘사되는데, 8개의 날카롭고 삼각형인 광선이 있는 금색 가장자리로, 그 중 5개가 보인다.[19]

참조

[1] 웹사이트 Grant of Arms (Registration): Arms of Ireland http://catalogue.nli[...] National Library of Ireland 1945-11-09
[2] 웹사이트 Heraldry in Ireland, 1943-2018 https://www.nli.ie/e[...] The National Library of Ireland 2020-03-04
[3] 서적 The Irish Book of Arms Irish Genealogical Association 2001
[4] 웹사이트 Civic Heraldry of Ireland, National arms of Ireland http://www.ngw.nl/in[...] ngw.nl 2011-07-13
[5] 웹사이트 Heraldry in Ireland http://www.heraldica[...]
[6] 서적 The Story of the Harp 1905
[7] 간행물 The Arms of Ireland: Medieval and Modern http://www.theherald[...] 1991-Autumn
[8] 웹사이트 Glossary http://www.patentsof[...] Irish Patents Office 2013-05-31
[9] 간행물 C.4304-551 http://www.wipo.int/[...] 1985-02-15
[10] 뉴스 State feared Guinness objections over plan to make harp logo a trademark http://www.irishtime[...] 2013-12-29
[11] 웹사이트 Nicholas Hilliard, Queen Elizabeth I: Design for the Obverse of the Great Seal of Ireland, AD 1584 or earlier https://www.bmimages[...] British Museum 2024-12-08
[12] 서적 British Flags. Their Early History and their Development at Sea; with an Account of the Origin of the Flag as a National Dev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22
[13] 서적 Chambers's Encyclopædia: A Dictionary of Universal Knowledge 1868
[14] 웹사이트 Heraldry in Ireland http://www.nli.ie/Ge[...] National Library of Ireland 2008-03-17
[15] 문서 The Trinity College Harp was once thought to have belonged to Brian Boru, the 11th century High King of Ireland. However, the harp has since been dated to the 14th or 15th century and so cannot have actually belonged to him. It is on permanent display in the Long Room of the library of Trinity College Dublin
[16] 서적 Questions and Answers, Notes and Queries 1855
[17] 서적 The Book of Public Arms London 1915
[18] 웹사이트 17th Century Pictorial Map of Galway City http://archives.libr[...] 2018-11-13
[19] 서적 The Handbook to English Heraldry The Echo Library
[20] 웹사이트 Holdings: Grant of Arms (Registration): Arms of Ireland http://catalogue.nli[...] 2020-06-09
[21] 웹사이트 Heraldry In Ireland 1943-2018 https://www.nli.ie/e[...] アイルランド国立図書館 2020-06-09
[22] 서적 The Irish Book of Arms Irish Genealogical Association 2001
[23] 웹사이트 National Coat of arms of IRELAND http://www.ngw.nl/in[...] 2020-06-08
[24] 웹사이트 Heraldry in Ireland https://www.heraldic[...] 2020-06-08
[25] 서적 The Story of the Harp 1905
[26] 웹사이트 The Arms of Ireland: Medieval and Modern https://www.theheral[...] 2020-06-09
[27] 웹사이트 Heraldry in Ireland http://www.nli.ie/Ge[...] アイルランド国立図書館 2008-03-17
[28] 웹사이트 Glossary https://www.ipoi.gov[...] 2020-06-09
[29] 간행물 C.4304-551 http://www.wipo.int/[...] 2013-05-31
[30] 웹사이트 State feared Guinness objections over plan to make harp logo a trademark https://www.irishtim[...] 2020-06-09
[31] 서적 British Flags. Their Early History and their Development at Sea; with an Account of the Origin of the Flag as a National Dev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22
[32] 서적 Chambers's Encyclopædia: A Dictionary of Universal Knowledge 1868
[33] 문서 トリニティ・カレッジ・ハープは、かつて11世紀の[[アイルランド上王]]の[[ブライアン・ボル]]が所有していたと考えられていた。しかし、ハープは14世紀か15世紀にさかのぼり、実際には所有していなかったことが判明。現在、[[トリニティ・カレッジ (ダブリン大学)|トリニティ・カレッジ]]の図書館の[[ロング・ルーム]]に常設展示されている。
[34] 서적 Questions and Answers, Notes and Queries 1855
[35] 서적 The Book of Public Arms London 1915
[36] 서적 The Handbook to English Heraldry Teddington
[37] 웹사이트 Symbolism - antique crown http://www.houseofna[...] 2020-06-09
[38] 웹사이트 17th Century Pictorial Map of Galway @ NUI Galway On-line http://archives.libr[...] 2020-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