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쿠에이리언 에이지 TCG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쿠에이리언 에이지 TCG는 1999년에 시작된 일본의 트레이딩 카드 게임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 전개를 통해 인기를 얻었다. 이 게임은 6개의 세력, 25종류의 분류를 가진 카드들을 활용하여 1대1, 3명 이상, 2대2 태그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다. 카드 게임 외에도 서적,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CD, 라디오, 영화 등 다양한 관련 상품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레이딩 카드 게임 - 초속변형 자이로제타
초속변형 자이로제타는 자동차가 로봇으로 변형하는 자이로제터들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2012년 아케이드 게임을 시작으로 TV 애니메이션, 만화, 완구, 닌텐도 3DS 게임 등으로 전개되었다. - 트레이딩 카드 게임 - 퓨처 카드 버디파이트
퓨처 카드 버디파이트는 부시로드의 트레이딩 카드 게임이자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2030년경 지구를 배경으로 버디파이터가 버디 몬스터와 팀을 이루어 카드 게임 '버디파이트'를 통해 이세계와 연결된 세계에서 대결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아쿠에이리언 에이지 TCG | |
---|---|
개요 | |
![]() | |
종류 | 트레이딩 카드 게임 |
개발사 | 브로콜리 무빅 |
발매 | 일본: 2000년 |
게임 정보 | |
플레이 인원 | 2명 |
2. 게임의 요소
2. 1. 승리 조건
다음의 두 가지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 플레이어는 게임에서 패배하고,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플레이어가 승자가 된다.- 덱에서 카드를 뽑아야 하는 상황에서, 덱에 카드가 없을 때
- 대미지 장의 카드가 10장 이상이 되었을 때
2. 2. 덱 & 카드
; 카드의 종류- 캐릭터 카드: 플레이어가 지배하는 인물, 동물, 기계 등.
- 브레이크 카드: 캐릭터가 그 능력을 각성하거나 성장하여 강해진 형태.
- 프로젝트 카드: 필드와 캐릭터에게 영향을 끼치는 마법, 작전 등. 자신의 차례에만 사용 가능.
- 패스트 카드: 프로젝트 카드와 거의 같지만, 상대 차례에도 사용 가능.
- 퍼머넌트 카드: 무기, 방어구 등의 장비품. 기본적으로 캐릭터 1명에게 1개만 세트 가능.
; 카드의 능력치
카드의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 정신력: 카드의 왼쪽 위에 숫자로 적혀 있다. 정신력을 초과하는 매수의 파워 카드는 세트할 수 없다.
- 공격력: 카드의 왼쪽 아래에 숫자로 적혀 있다. 배틀시에 사용된다.
- 내구력: 카드의 왼쪽 아래에 숫자로 적혀 있다. 배틀시에 사용된다.
; 카드의 사용조건
브레이크 카드, 프로젝트 카드, 퍼머넌트 카드, 패스트 카드의 사용 및 세트를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2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필요 팩터: 브레이크 카드, 퍼머넌트 카드의 오른쪽 위, 프로젝트 카드, 패스트 카드의 왼쪽 위에 있는 세력 마크를 의미한다. 세력 마크 개수 이상의, 해당 세력의 캐릭터를 지배하고 있어야 한다. 효과 처리시에 검사한다.
- 코스트: 필요 팩터의 옆에 있는 숫자를 의미한다. 해당 숫자만큼의 파워 카드를 자신의 지배 캐릭터에서 지불해야 한다. 발동 선언시에 지불한다.
또한 브레이크 카드를 세트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자신의 테리토리에 있는 캐릭터를 브레이크하는 경우, 브레이크 할 캐릭터 카드와 브레이크 카드가 똑같은 분류 아이콘을 최소한 1개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상대의 테리토리에 있는 캐릭터를 브레이크하는 경우, 위 조건에 더해서, 그 캐릭터에 파워 카드가 세트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 덱의 구성
- 덱의 매수는 40장 이상 60장 이하.
- 같은 이름의 카드는 4장까지.
; 세력
모든 카드는 6세력중 임의의 세력에 속해있다. 속한 세력은 카드의 색깔로 알 수 있다.
- E.G.O.: 초능력자집단. 파워 카드에 영향을 받는 캐릭터가 많다. 스튜던트, 워커 분류의 캐릭터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하얀색.
- 아라야식(阿羅耶識): 동양 주술 동맹. 상대의 행동을 제한하거나 정신공격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많다. 영능력자 분류의 캐릭터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빨간색.
- WIZ-DOM: 서양 마법 비밀결사. 상대를 제거, 직접공격하거나 정신공격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많다. 미스틱, 크리처 분류의 캐릭터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파란색.
- 다크로어: 옛 몬스터들의 후손. 스스로의 공격력을 강화하거나, 파워카드에 영향을 끼치는 캐릭터가 많다. 귀신이나 워울프 등의 다른 세력에서는 흔하지 않은 분류가 많다. 세력 색깔은 녹색.
- 극성제국(極星帝國): SagaII부터 등장한 패러렐 월드의 나라. 다른 세력의 캐릭터와 양방 브레이크를 할 수 있는 캐릭터가 존재한다. 필드 전체에 효과를 미치거나, 대미지 장에 있는 카드를 활용하는 카드가 많다. 전체적으로 워리어, 언데드 등의 분류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노란색.
- 이레이저: 외계함대. SagaII에서는 스토리 상의 문제로 등장하지 않았다. 공격력을 특화하여, 상대의 태세가 갖추어지기 전에 공격하는 속공형 캐릭터가 많다. 이레이저, 사이보그 분류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검은색.
; 분류
캐릭터 카드, 브레이크 카드가 어떤 존재인지를 나타내는 아이콘. 카드의 아래쪽에 위치. 총 25종류가 있으며, 남녀 서로 다른 아이콘을 사용한다. (남녀 구별 없이 같은 아이콘을 사용하는 분류도 있다)
- 스튜던트: 학생.
- 워커: 직업을 가지고 생업에 종사하는 캐릭터.
- 애슬릿: 우수한 운동능력을 가진 캐릭터.
- 스칼라: 학자, 현자.
- 탤런트: 재능인, 연예인.
- 영능력자: 영능력을 가진 캐릭터.
- 크리처: 인조생물.
- 미스틱: 마력을 가진 캐릭터.
- 뱀파이어: 흡혈귀.
- 귀신: 귀신, 도깨비.
- 몬스터: 괴물.
- 악마: 악마.
- 워울프: 늑대, 혹은 개과 생물의 특징을 가진 캐릭터.
- 워타이거: 호랑이, 혹은 고양이과 생물의 특징을 가진 캐릭터.
- 안드로이드: 인조인간.
- 이레이저: 우주인, 혹은 천사의 날개를 가진 캐릭터.
- 드라군: 용, 혹은 파충류의 특징을 가진 캐릭터.
- 사이보그: 기계를 이용하여 육체를 강화한 캐릭터.
- 워리어: 전투, 살인을 생업으로 하는 캐릭터.
- 스캐너: 초능력을 가진 캐릭터.
- 트라이: 눈을 3개 가진 캐릭터.
이하 남녀 구분이 없는 분류 아이콘.
- 머메이드: 인어, 수중생물.
- 고스트: 영체, 영혼 등과 같이 실체를 갖지 않는 캐릭터.
- 머신: 기계.
- 언데드: 어떤 방법으로 죽은 뒤에 되살아나거나, 생명 없이 활동하고 있는 캐릭터.
; 카드 텍스트의 용어
- 오너: 효과를 사용하고 있는 플레이어, 카드의 주인을 의미한다.
- 액티브 캐릭터: 세력 파티의 가장 위에 있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2. 2. 1. 카드의 종류
; 캐릭터 카드: 플레이어가 조우하거나 지배하는 인물, 괴물, 기계 등
; 브레이크 카드
: 위의 캐릭터가 각성, 성장한 것으로, 캐릭터에 비해 능력이 향상된다.
; 네임 레벨
: 브레이크, 또는 극히 일부의 캐릭터 중에는 고유한 이름을 부여받은 것이 존재한다(전술한 주요 캐릭터인 후지미야 마유미나 이츠쿠시마 미하루 등의 멤버, 또는 플래티넘 팩 수록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이러한 캐릭터들은 『'''네임 레벨'''』이라고 불리며, 각 세력의 에이스나 간부 클래스의 캐릭터, 또는 널리 이름을 알린 존재를 나타낸다. 룰상, 이러한 캐릭터들은 강력한 능력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추가적인 브레이크의 가능성을 가진 것도 존재한다. 단,
:* 기본적으로 필드상에 동일한 네임 레벨은 1장밖에 존재할 수 없다(세력・분류에 관계없이 "“ ”" 내 표기가 동일)
:* 데미지에 의해 제거된 경우 또는 상대에게 브레이크된 경우, 캐릭터라도 버려진 카드 보관 장소가 아닌 데미지 보관 장소에 놓인다.
:* 기본적으로, 네임 레벨의 캐릭터를 브레이크할 수 있는 것은 동일한 이름을 가진 브레이크 카드뿐
: 과 같은 특별한 규칙이 적용된다.
; 프로젝트 카드
: 필드나 캐릭터에 영향을 미치는 마법이나 작전 등. 자신의 턴에만 사용 가능.
; 패스트 카드
: 프로젝트 카드와 거의 같지만, 상대의 턴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
; 퍼머넌트 카드
: 무기나 방어구와 같은 장비품을 나타낸다. 『여교황의 눈』에서, 특정 캐릭터에게 장비시킴으로써 추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카드가 등장했다.
; 파워 카드
: 캐릭터의 정신력을 나타낸다. 고유의 카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위의 카드를 뒷면으로 하여 캐릭터 아래에 배치한다. 공격이나 프로젝트 카드・패스트 카드의 코스트(스킬이나 카드의 효과에 따라 손으로 되돌아가는 카드 후보)로 사용되므로, 항상 운용 배분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중요한 요소. 어떠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엎어진 카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2. 2. 2. 카드의 능력치
카드의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정신력''' : 카드의 왼쪽 위에 표시되어 있으며, 파워 카드를 세트할 때 제한치가 된다.
- '''공격력''' : 카드의 왼쪽 아래에 표시되어 있으며, 배틀 시에 사용된다.
- '''내구력''' : 카드의 왼쪽 아래에 표시되어 있으며, 배틀 시에 사용된다.
2. 2. 3. 카드의 사용 조건
카드의 사용 조건은 다음과 같다.- '''필요 팩터''': 카드의 세력 마크 개수 이상으로 해당 세력의 캐릭터를 지배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효과를 처리할 때 검사한다.
- '''코스트''': 필요 팩터 옆에 표시된 숫자만큼 파워 카드를 지불해야 한다. 이는 발동을 선언할 때 지불한다.
- '''브레이크 카드 추가 조건''': 브레이크 카드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팩터와 코스트 외에도 추가적인 조건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할 때는 분류 아이콘이 같아야 한다 (예외 있음).
2. 2. 4. 덱 구성
덱은 40장 이상 60장 이하로 구성해야 한다. 같은 이름의 카드는 덱에 최대 4장까지만 넣을 수 있다.2. 2. 5. 세력
모든 카드는 6개의 세력 중 하나에 속하며, 카드의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 '''E.G.O.''': 초능력자 집단. 파워 카드에 영향을 받는 캐릭터가 많다. 스튜던트, 워커 분류의 캐릭터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하얀색이다.
- '''아라야식'''(阿羅耶識): 동양 주술 동맹. 상대의 행동을 제한하거나 정신 공격에 내성을 가진 캐릭터가 많다. 영능력자 분류의 캐릭터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빨간색이다. 이름의 유래는 불교 용어인 "아뢰야식"이다.
- '''WIZ-DOM''': 서양 마법 비밀결사. 상대를 제거, 직접 공격하거나 정신 공격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많다. 미스틱, 크리처 분류의 캐릭터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파란색이다. 이름의 유래는 "wisdom(지혜)"이다.
- '''다크로어''': 옛 몬스터들의 후손. 스스로의 공격력을 강화하거나, 파워 카드에 영향을 끼치는 캐릭터가 많다. 귀신이나 늑대인간 등 다른 세력에서는 흔하지 않은 분류가 많다. 세력 색깔은 녹다.
- '''극성제국'''(極星帝國): SagaII부터 등장한 패러렐 월드의 나라. 다른 세력의 캐릭터와 양방 브레이크를 할 수 있는 캐릭터가 존재한다. 필드 전체에 효과를 미치거나, 대미지 장에 있는 카드를 활용하는 카드가 많다. 전체적으로 워리어, 언데드 등의 분류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노란색이다. 극성이란 북극성을 의미한다.
- '''이레이저''': 외계 함대. SagaII에서는 스토리 상의 문제로 등장하지 않았다. 공격력에 특화되어, 상대의 태세가 갖추어지기 전에 공격하는 속공형 캐릭터가 많다. 이레이저, 사이보그 분류가 많으며, 세력 색깔은 검은색이다.
천적 관계는 아라야시키 > WIZ-DOM > 다크 로어 > 아라야시키, E.G.O. > 극성 제국 > 이레이저 > E.G.O. 와 같다 (왼쪽이 우위). 다만, Saga1 시절에는 E.G.O. = 이레이저, Saga2 시절에는 E.G.O = 극성 제국과 서로 천적이었다 (당시에는 5세력이었다).
2. 2. 6. 분류
캐릭터 카드, 브레이크 카드는 어떤 존재인지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카드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총 25종류가 있으며, 남녀 서로 다른 아이콘을 사용한다. (남녀 구별 없이 같은 아이콘을 사용하는 분류도 있다)- 스튜던트: 학생.
- 워커: 직업을 가지고 생업에 종사하는 캐릭터.
- 애슬릿: 우수한 운동능력을 가진 캐릭터.
- 스칼라: 학자, 현자.
- 탤런트: 재능인, 연예인.
- 영능력자: 영능력을 가진 캐릭터.
- 크리처: 인조생물.
- 미스틱: 마력을 가진 캐릭터.
- 뱀파이어: 흡혈귀.
- 귀신: 귀신, 도깨비.
- 몬스터: 괴물.
- 악마: 악마.
- 워울프: 늑대, 혹은 개과 생물의 특징을 가진 캐릭터.
- 워타이거: 호랑이, 혹은 고양이과 생물의 특징을 가진 캐릭터.
- 안드로이드: 인조인간.
- 이레이저: 우주인, 혹은 천사의 날개를 가진 캐릭터.
- 드라군: 용, 혹은 파충류의 특징을 가진 캐릭터.
- 사이보그: 기계를 이용하여 육체를 강화한 캐릭터.
- 워리어: 전투, 살인을 생업으로 하는 캐릭터.
- 스캐너: 초능력을 가진 캐릭터.
- 트라이: 눈을 3개 가진 캐릭터.
이하 남녀 구분이 없는 분류 아이콘.
2. 2. 7. 카드 텍스트 용어
- 오너: 효과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카드의 주인을 의미한다.
- 액티브 캐릭터: 세력 파티 맨 위에 있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2. 3. 필드의 구성
- 지배 에이리어: 지배된 캐릭터를 놓는 곳.
- 세력 에이리어: 아직 지배되지 않은 캐릭터를 놓는 곳. 이곳에 캐릭터를 놓을 경우 세력별로 분류해서 겹쳐 놓는다.
- 세력 파티: 세력 에이리어에 세력별로 분류된 분류 하나.
- 프로젝트 카드&패스트 카드 놓는 곳: 효과를 발휘중인 프로젝트 카드와 패스트 카드를 놓는 곳.
- 무덤(스테후다 오키바/捨て札置き場일본어): 사용이 끝난 카드나 파괴된 카드를 놓는 곳.
- 대미지 장(다메지 오키바/ダメージ置き場일본어): 대미지의 양을 표시하는 카드를 놓는 곳.
- 테리토리(Territory): 한 플레이어의 지배 에이리어, 세력 에이리어, 프로젝트 카드&패스트 카드 놓는 곳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
- 장(場): 모든 플레이어의 테리토리를 합쳐서 부르는 명칭.
2. 4. 특수 처리
- ▼ (어그레시브): 세력 페이즈에 액티브 캐릭터가 이 스킬을 가지고 있었을 경우, 플레이어에게 어택 선언한다.
- 드로우±X: 드로우 페이즈에 카드를 드로우하는 매수가 증감한다.
- 차지 X: 파워카드 페이즈에 덱에서 파워카드를 세트할 수 있는 매수가 증감한다.
- 인터셉트: 가드 선언시에 지불하는 가드 코스트가 1 감소한다.
- 부스트 X: 어택 선언시에 X장까지의 파워 카드를 추가로 지불하는 것으로, 상대의 가드 코스트를 같은 수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 브레이크스루: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브레이크 하지 않은 캐릭터에게 가드받지 않는다.
- 퍼머넌트±X: 퍼머넌트 카드를 세트 가능한 매수가 증감한다.
- 이니셔티브(이니셔티브/Initiative영어): 상대보다 먼저 공격을 가한다. 이 캐릭터의 공격으로 상대가 쓰러질 경우, 상대 캐릭터로부터의 대미지는 없다. 서로가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의 배틀을 실행한다.
- 페네트레이트(페네트레이트/Penetrate영어): 공격시에 이 캐릭터의 공격력이 상대 캐릭터의 수비력보다 높을 경우, 그 차이만큼 상대 플레이어에게 대미지를 준다. 세력 캐릭터를 공격했을 경우에는 세력 열의 아래쪽 캐릭터에게 대미지를 준다. 공격을 받을 때나 정신공격일 때는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 스텔스: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다른 세력의 캐릭터에게 가드되지 않는다. (가드 선언은 가능)
- 싱크로: 다음의 두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었을 경우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로 리스폰스로서 어택 또는 가드 선언하면, 아군 캐릭터와 동시에 배틀에 참가할 수 있다. 공격력은 합해지며 세력&분류&특수능력도 공유된다. 단 내구력은 그대로이며 상대에게서 오는 공격은 각각의 캐릭터에게 따로 가해진다.
- *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 이외의 자신의 캐릭터가 어택 선언하여, 상대의 캐릭터가 가드 선언했을 경우.
- * 상대의 캐릭터가 자신에게 어택 선언하여,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 이외의 캐릭터로 가드 선언했을 경우.
- 캐퍼시티±X: 패 상한 매수가 X만큼 증감한다.
- 리무브 X: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를 지배하고 있는 경우, 세력 페이즈 개시시에 X장의 파워 카드를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에서 지불하지 않으면 지배 에이리어로 이동한다.
- 레지스트 ?: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에 해당하는 세력 또는 분류의 캐릭터에게 배틀로 인한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 프로텍트 ?: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에 해당하는 세력의 프로젝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 인피니티: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에서 지불된 어택 선언, 가드 선언, 이펙트의 코스트는 오너의 패로 되돌아온다.
- 오펜시브: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다른 플레이어를 목표로 어택 선언했을 경우 그 코스트는 오너의 패로 되돌아온다.
- 디펜시브: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지배 캐릭터의 어택 선언에 대해 가드 선언했을 경우 그 코스트는 오너의 패로 되돌아온다.
- 실드: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배틀 이외의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 바인드 X: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장에서 제거 될 경우, X 코스트를 대미지 장에 두는 것으로 이 캐릭터와 이 캐릭터에게 세트되어있는 카드를 장에 남길 수 있다.
; 기타 특수능력
- 이펙트: 원숫자(①, ② 등) 또는 ⓧ로 시작하는 특수능력. 해당 숫자만큼의 코스트를 해당 캐릭터에서 지불하는 것으로 사용 가능.
- 어빌리티: 카드 텍스트란에 문장의 형태로 쓰여있는 특수능력. 조건이 맞는 한 자동으로 적용된다.
- 정신공격: ( ) 괄호로 둘러싸여있는 공격력. 보통의 공격력이 내구력에 가해지는 것과 반대로 정신공격은 해당 캐릭터에게 세트되어 있는 파워 카드를 파괴한다. 세트되어 있는 파워카드의 수보다 큰 수치의 정신공격이 가해지면 캐릭터는 파괴된다. 단, 세력 캐릭터에게 정신공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정신력과 정신공격력을 비교하여, 정신력 이상의 정신공격이 가해진 경우 파괴된다.
; 리스폰스
다른 선언에 끼어드는 형식으로 보다 빨리 효과를 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스폰스로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나중에 발동한 선언이 먼저 처리된다. 리스폰스로 발동 가능한 선언은 이펙트, 가드, 패스트 카드뿐이다.
; 네임 레벨
캐릭터 카드, 브레이크 카드 중에는 " "로 둘러싸인 고유한 이름(네임)을 가지고 있는 카드가 있다. 이런 카드를 '네임 레벨 캐릭터'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특수한 룰이 적용된다.
- 같은 네임의 캐릭터는 장에 1명밖에 존재할 수 없다.
- 장의 네임 레벨 캐릭터를 브레이크 할 경우, 그 캐릭터와 같은 네임을 가진 브레이크 카드로만 브레이크 할 수 있다.
- 네임 레벨 캐릭터가 파괴된 경우, 그 캐릭터를 구성하는 카드 중 네임을 가진 캐릭터는 무덤이 아니라 대미지 장에 놓인다.
2. 4. 1. 스킬
- ▼ (어그레시브): 세력 페이즈에 액티브 캐릭터가 이 스킬을 가지고 있었을 경우, 플레이어에게 어택 선언한다.
- 드로우±X: 드로우 페이즈에 카드를 드로우하는 매수가 증감한다.
- 차지 X: 파워카드 페이즈에 덱에서 파워카드를 세트할 수 있는 매수가 증감한다.
- 인터셉트: 가드 선언시에 지불하는 가드 코스트가 1 감소한다.
- 부스트 X: 어택 선언시에 X장까지의 파워 카드를 추가로 지불하는 것으로, 상대의 가드 코스트를 같은 수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 브레이크스루: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브레이크 하지 않은 캐릭터에게 가드받지 않는다.
- 퍼머넌트±X: 퍼머넌트 카드를 세트 가능한 매수가 증감한다.
- 이니셔티브(Initiative): 상대보다 먼저 공격을 가한다. 이 캐릭터의 공격으로 상대가 쓰러질 경우, 상대 캐릭터로부터의 대미지는 없다. 서로가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의 배틀을 실행한다.
- 페네트레이트(Penetrate): 공격시에 이 캐릭터의 공격력이 상대 캐릭터의 수비력보다 높을 경우, 그 차이만큼 상대 플레이어에게 대미지를 준다. 세력 캐릭터를 공격했을 경우에는 세력 열의 아래쪽 캐릭터에게 대미지를 준다. 공격을 받을 때나 정신공격일 때는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 스텔스: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다른 세력의 캐릭터에게 가드되지 않는다. (가드 선언은 가능)
- 싱크로: 다음의 두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었을 경우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로 리스폰스로서 어택 또는 가드 선언하면, 아군 캐릭터와 동시에 배틀에 참가할 수 있다. 공격력은 합해지며 세력&분류&특수능력도 공유된다. 단 내구력은 그대로이며 상대에게서 오는 공격은 각각의 캐릭터에게 따로 가해진다.
- *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 이외의 자신의 캐릭터가 어택 선언하여, 상대의 캐릭터가 가드 선언했을 경우.
- * 상대의 캐릭터가 자신에게 어택 선언하여,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 이외의 캐릭터로 가드 선언했을 경우.
- 캐퍼시티±X: 패 상한 매수가 X만큼 증감한다.
- 리무브 X: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를 지배하고 있는 경우, 세력 페이즈 개시시에 X장의 파워 카드를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에서 지불하지 않으면 지배 에이리어로 이동한다.
- 레지스트 ?: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에 해당하는 세력 또는 분류의 캐릭터에게 배틀로 인한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 프로텍트 ?: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에 해당하는 세력의 프로젝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 인피니티: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에서 지불된 어택 선언, 가드 선언, 이펙트의 코스트는 오너의 패로 되돌아온다.
- 오펜시브: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다른 플레이어를 목표로 어택 선언했을 경우 그 코스트는 오너의 패로 되돌아온다.
- 디펜시브: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지배 캐릭터의 어택 선언에 대해 가드 선언했을 경우 그 코스트는 오너의 패로 되돌아온다.
- 실드: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배틀 이외의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 바인드 X: 이 스킬을 가진 캐릭터가 장에서 제거 될 경우, X 코스트를 대미지 장에 두는 것으로 이 캐릭터와 이 캐릭터에게 세트되어있는 카드를 장에 남길 수 있다.
2. 4. 2. 기타 특수능력
- 이펙트: 원숫자(①, ② 등) 또는 ⓧ로 시작하는 특수능력이다. 해당 숫자만큼의 코스트를 해당 캐릭터에서 지불하는 것으로 사용 가능하다.
- 어빌리티: 카드 텍스트란에 문장의 형태로 쓰여있는 특수능력이다. 조건이 맞는 한 자동으로 적용된다.
- 정신공격: ( ) 괄호로 둘러싸여있는 공격력이다. 보통의 공격력이 내구력에 가해지는 것과 반대로 정신공격은 해당 캐릭터에게 세트되어 있는 파워 카드를 파괴한다. 세트되어 있는 파워카드의 수보다 큰 수치의 정신공격이 가해지면 캐릭터는 파괴된다. 단, 세력 캐릭터에게 정신공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정신력과 정신공격력을 비교하여, 정신력 이상의 정신공격이 가해진 경우 파괴된다.
2. 4. 3. 리스폰스
다른 선언에 끼어드는 형식으로 보다 빨리 효과를 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스폰스로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나중에 발동한 선언이 먼저 처리된다. 리스폰스로 발동 가능한 선언은 이펙트, 가드, 패스트 카드뿐이다.2. 4. 4. 네임 레벨
캐릭터 카드, 브레이크 카드 중에는 " "로 둘러싸인 고유한 이름(네임)을 가지고 있는 카드가 있다. 이런 카드를 '네임 레벨 캐릭터'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특수한 룰이 적용된다.- 같은 네임의 캐릭터는 장에 1명밖에 존재할 수 없다.
- 장의 네임 레벨 캐릭터를 브레이크 할 경우, 그 캐릭터와 같은 네임을 가진 브레이크 카드로만 브레이크 할 수 있다.
- 네임 레벨 캐릭터가 파괴된 경우, 그 캐릭터를 구성하는 카드 중 네임을 가진 캐릭터는 무덤이 아니라 대미지 장에 놓인다.
3. 게임의 진행
3. 1. 시작 전
서로 덱을 대전상대에게 넘겨준다. 대전상대에게서 넘겨받은 덱을 셔플하여 되돌려준다. 가위바위보 등으로 선공 후공을 결정한다. 모든 플레이어는 덱에서 카드를 7장 드로우한다.드로우한 패에 만족할 수 없는 경우, 선공이 아닌 플레이어는 1회에 한해 패를 새로 드로우 할 수 있다. 준비가 끝났으면 선공 플레이어부터 턴을 시작한다.
3. 2. 턴의 진행
턴은 크게 5개의 페이즈로 나뉘며, 각 페이즈 별로 할 수 있는 일과 해야 하는 일이 정해져 있다.드로우 페이즈덱에서 카드를 드로우하여 패에 넣는다. 기본적으로 1장을 드로우하지만, 스킬 드로우±X를 가진 캐릭터를 지배하고 있는 경우, X 만큼 드로우 매수가 증감한다.
세력 페이즈자신의 세력 파티의 액티브 캐릭터가 스킬 ▼ (어그레시브)를 가지고 있는 경우, 플레이어에게 어택을 선언한다. 세력 체크는 E.G.O. → 아라야식 → WIZ-DOM → 다크로어 → 극성제국 → 이레이저의 순서로 진행된다.
메인 페이즈다양한 카드를 사용하거나 상대를 공격할 수 있다.
- 캐릭터 카드의 세트: 패에 있는 캐릭터 카드를 자신의 세력 에이리어에 세트할 수 있다.
- 브레이크 카드의 세트: 패에 있는 브레이크 카드를 장의 캐릭터에게 세트할 수 있다. 브레이크에 성공했을 경우 기존 캐릭터의 능력은 전부 사라지고, 새로운 브레이크 카드의 능력만이 적용된다. 캐릭터에 겹쳐서 놓는다. 상대 테리토리의 캐릭터를 브레이크했을 경우 상대 캐릭터는 파괴되고 자신의 브레이크 카드만이 지배 에이리어에 세트된다.
- 퍼머넌트 카드의 세트: 패에 있는 퍼머넌트 카드를 장의 캐릭터에 세트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카드의 사용: 패에 있는 프로젝트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패스트 카드의 사용: 패에 있는 패스트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어택 선언: 자신의 지배 캐릭터에서 어택 코스트(기본적으로 1장)를 지불하여, 다른 플레이어 또는 자신의 세력 파티를 목표로 어택 선언 할 수 있다.
파워 카드 페이즈세력 에리어에 놓은 캐릭터에 "파워 카드"를 세트하여 지배한다. 캐릭터 고유의 정신력만큼 파워 카드를 세트하여 지배할 수 있다.
디스카드 페이즈패의 상한 이하가 될 때까지 패 매수를 조정한다.
3. 3. 배틀
자신이 지배하는 캐릭터로 상대를 공격하는 것을 "어택(Attack)"이라고 하며, 반대로 상대의 어택에 대해서는 자신이 지배하고 있는 캐릭터를 사용하여 "가드(Guard)"도 할 수 있다.어택, 가드 모두 자신의 지배 캐릭터에 세트되어 있는 파워 카드를 코스트로 지불한다. 따라서, 한 번의 턴에서는 그 시점에서 세트되어 있는 파워 카드의 수만큼만 어택을 할 수 있다. 또한, 어택 선언과 어택 자체는 별개(가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선언이 이루어져도 상황에 따라 어택 또는 가드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해당하는 캐릭터가 제거된 경우 등)도 있다.
각 카드의 발동 조건도 "어택/가드"와 "선언"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택에 대해 가드가 성립하면 캐릭터끼리의 배틀이 되며, 각자의 공격력(왼쪽 아래)과 방어력(오른쪽 아래)으로 결과가 판정되며, 진 쪽은 버려진다.
단, 공격력의 수치가 '''( )'''로 둘러싸인 값은 '''정신 공격력'''이라고 불리며, 정신 공격력에 의한 공격(정신 공격)의 경우, 파워 카드(세력 에어리어의 캐릭터에 대해서는 정신력)에 대한 공격이 된다. 정신 공격을 받은 캐릭터(세력 에어리어의 캐릭터 제외)는 정신 공격력의 수만큼 파워 카드를 버리는 곳에 보내진다(단, 파워 카드를 다 지불할 수 없는 경우(치명타)는 져서 버려진다. 치명타를 받은 경우는 파워 카드를 버리는 곳에 보내지지 않는다(캐릭터가 버려지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함께 버려지는 곳으로 보내지지만, "바인드X"를 사용하여 캐릭터를 필드에 남긴 경우에 이 규칙이 의미를 갖는다). 이 때문에, 치명타가 되는 정신 공격보다 파워 카드 전부를 버리는 곳에 보낼 수 있는 정신 공격 쪽이 효과가 큰 경우도 있다).
공격력과 정신 공격력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으며, 정신 공격력을 가진 캐릭터에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를 사용한 경우, 올라가는 공격력은 정신 공격력으로 환산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 공격력과는 별도로 공격력을 가진다(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예를 들어, (3)점의 정신 공격력을 가진 캐릭터에 3점의 공격력 업 효과를 사용한 경우, (3)점의 정신 공격력 + 3점의 공격력을 가진다. 또한, 공격력 및 정신 공격력이 0점이어도 "0점의 데미지를 준다"라고 하며, 공격 자체는 성립하는 것에 주의(특히, 매직 더 개더링에서는 0점의 공격을 했을 경우 공격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공격이 실패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배틀의 결과 버려진 네임 레벨은 마인드 브레이커(Mind Breaker)에 대한 데미지가 된다.
자신의 캐릭터가 가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어택한 상대 캐릭터의 공격력(과 정신 공격력)의 수만큼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넘겨, 그것이 캐릭터 카드라면 세력 에어리어에 세트, 캐릭터 이외라면 마인드 브레이커에 대한 데미지가 된다.
데미지의 축적이 10이 되거나, 덱의 카드가 제로가 되어, 더 이상 카드를 뽑을 필요가 생기면 패배한다.
3. 4. 상대 턴
상대 턴에 대한 내용은 현재 비어있다. 내용을 추가해 주기를 바란다.4. 익스팬션
각 카드에는 각 팩에 봉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호가 그려져 있다. 동일한 카드라도 팩에 따라 그림이나 레어리티가 다른 경우가 있다.
- 메모리얼 셀렉션: (2009년 7월 30일)
- * 「유우키 노조미 덱」, 「이츠쿠시마 미하루 덱」, 「요바네 아슈레이 덱」의 구축형 덱, 또한 메모리얼 셀렉션을 동봉한 메모리얼 박스도 동시 발매되었다.
- 정의의 고동 (어나더 저스티스): (2009년 8월 28일)
- 엑스트라 익스펜션・퀸즈 블레이드: (2009년 10월 23일)
- * 엑스트라 구축형 덱도 동시 발매되었다.
- 수행자의 혼 (스피릿 오브 시커): (2009년 11월 27일)
- 망각의 탑 (타워 오브 윌): (2010년2월 26일)
- * 드라마 CD를 동봉한 스페셜 박스도 발매되었다.
- 엑스트라 익스펜션・블레이블루: (2010년 2월 26일)
- 조화의 잔 (컵 오브 하모니): (2010년 6월 25일)
- 명약의 소녀 (데들리 이노센스): (2010년 10월 8일)
- 바보의 보석 (판타스틱 쥬얼): (2010년 12월 24일)
- * 베스트 셀렉션
- 여제의 성쐐 (세이 크리드 웨지): (2011년2월 25일)
- 약속의 세계 (피스 오브 더 월드): (2011년 6월 24일)
- 시작의 지구 (호시): (2011년 10월 28일)
- * 구축형 덱 2종류, 스페셜 박스 동시 발매
- 마력의 수령 (스이레이): (2012년2월 24일)
- 명락의 문: (2012년 6월 22일)
- 금색의 번희: (2012년 11월 9일)
- 여명의 여신: (2013년8월 23일)
또한, 플래티넘 팩이라는 스페셜 팩이 있으며, 주로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의 캐릭터가 카드가 되어 있다.
4. 1. Saga I
1999년 7월 30일에 발매된 '각성의 처녀들(覚醒の乙女たち일본어)'에서는 세력 '극성제국'이 등장하지 않았다. 극성제국은 SagaII부터 등장한다. 1999년 11월 25일에 발매된 '쌍아궁의 거울(双児宮の鏡일본어)'에서는 쌍방향 브레이크가 처음으로 등장했다.2000년 5월 25일에는 '사자궁의 전기(獅子宮の戦旗일본어)'가 발매되었다. 2000년 11월 30일 발매된 '천갈궁의 숙명(天蠍宮の宿命일본어)'에서는 '인피니티', '캐퍼시티', '싱크로', '부스트', '브레이크스루', '프로텍트', '리무브' 스킬이 등장하였고, 3단 브레이크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2001년 5월 18일 발매된 '유구한 처녀궁(悠久の処女宮일본어)'에는 '쌍아궁의 거울'과 '각성의 처녀들'의 재록 카드가 다수 수록되었다. 2001년 10월 25일 발매된 '몽환의 천칭궁(夢幻の天秤宮일본어)'에는 3단 브레이크와 4장 조합 브레이크가 수록되었다.
2002년 2월 27일에는 '마갈궁의 여신(磨蠍宮の女神일본어)'이 발매되었다. 2002년 11월에 발매된 '오리온의 소년(オリオンの少年일본어)'은 첫 독립형 익스팬션이자 남성 캐릭터가 처음으로 등장한 확장팩이다. 각 카드에는 각 팩에 봉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호가 그려져 있으며, 동일한 카드라도 팩에 따라 그림이나 레어리티가 다른 경우가 있다.
4. 2. Saga II
- 스타터 팩 / 부스터 팩 (スターターパック・ブースターパック일본어) 2002년 11월 1일 발매. 세력 '극성제국'이 등장, 스토리 상의 문제로 '이레이저'가 일시 소멸.
- 빛나는 카시오페이아 (麗しのカシオペア일본어) 2003년 2월 27일 발매. 프리미엄 익스팬션.
- 금우궁의 맹습 (金牛宮の猛襲일본어) 2003년 5월 23일 발매. 프로젝트, 퍼머넌트 카드가 강화.
- 사랑의 안드로메다 (愛しのアンドロメダ일본어) 2003년 7월 25일 발매. 캐릭터 카드로만 구성된 프리미엄 익스팬션.
- 쌍어궁의 심연 (双魚宮の深淵일본어) 2003년 10월 24일 발매. SagaI의 캐릭터 재록.
- 섬광의 서던크로스 (閃光のサザンクロス일본어) 2003년 12월 25일 발매. 심플 스타일을 위한 익스팬션.
- 유니콘의 연인 (ユニコーンの恋人일본어) 2004년 2월 20일 발매. 프리미엄 익스팬션.
- 정열의 백양궁 (情熱の白羊宮일본어) 2004년 5월 20일 발매. 4장 조합 브레이크 재등장.
- 피닉스의 날개 (フェニックスの羽일본어)는 프리미엄 익스팬션.
- 페르세우스의 용자 (ペルセウスの勇者일본어) 2004년 7월 29일 발매. 심플 스타일을 위한 익스팬션.
- 마탄의 사수자리 (魔弾の射手座일본어) 2004년 10월 21일 발매. 3단 브레이크 다수수록.
- 뱀주인의 지팡이 (蛇使いの杖일본어) 2005년 2월 24일 발매.
각 카드에는 각 팩에 봉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호가 그려져 있다. 동일한 카드라도 팩에 따라 그림이나 레어리티가 다른 경우가 있다.
4. 3. Saga III
Saga III는 2005년 6월 30일에 발매된 역습의 거해궁(逆襲の巨蟹宮일본어)에서 시작되었다. 이레이저가 부활하고, 카드 텍스트에서 효과를 받는 목표를 확실히 구분하게 되었다. 2005년 10월 28일에 발매된 마술사의 주문(魔術師の呪文일본어)에서는 익스팬션 이름이 별자리에서 타로 카드(메이저 아르카나)로 변경되었고, 프로젝트와 패스트 카드가 강화되었다.이후, 악마의 계약(悪魔の契約일본어)이 2006년 4월 27일에, 연인들의 협주곡(恋人達の協奏曲일본어)이 2006년 6월 29일에 발매되었다. 연인들의 협주곡은 버니어 익스팬션 제1탄이었다. 2006년 11월 10일에는 여교황의 눈동자(女教皇の瞳일본어)가 발매되었는데, 특정 캐릭터 전용 퍼머넌트가 등장했다.
2007년 2월 22일에는 버니어 익스팬션 제2탄인 태양의 은혜(太陽の恵み일본어)가 발매되었다. 이 익스팬션부터는 '''아쿠에리안 에이지 얼터너티브'''의 카드가 포함되었는데, 이 카드들은 아쿠에리안 에이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2007년 5월 25일에는 달빛의 비의(月光の秘儀일본어)가 발매되었으며, 이 익스팬션부터 비주얼 프레임이 등장했다.
2007년 8월 24일에는 버니어 익스팬션 제3탄인 운명의 수레바퀴(運命の輪일본어)가 발매되었다. 2007년 11월 22일에는 유전자의 힘(遺伝子の力일본어)이 발매되었다.
각 카드에는 각 팩에 봉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호가 있으며, 동일한 카드라도 팩에 따라 그림이나 레어리티가 다른 경우가 있다.
5. 등장 세력 및 캐릭터
E.G.O.(Evolutional Generation Organization)는 초능력자 집단으로, 스스로를 인류 진화의 다음 단계라고 주장한다. 주로 젊은 층(대부분 10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초능력과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다이쇼 시대에 아라야시키를 이탈한 사에키 사라시나가 일으킨 사에키 재벌을 기반으로, 당대의 사에키 유메이가 설립하였다. E.G.O. 소속 학생들은 사에키 재벌이 운영하는 학교에 다니고, 메이드들은 사에키 재벌 소속인 등, 대부분의 캐릭터가 사에키 재벌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사에키 재벌이 개발한 수많은 신병기를 보유하고 있다. 파워 카드의 매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캐릭터가 많으며, 스튜던트나 워커를 메인 아이콘으로 사용한다. 세트할 수 있는 파워 카드가 많아 빠른 브레이크 속도를 자랑한다.
아라야시키는 3세기 무렵부터 이어져 온 동양 주술 동맹으로,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원주민도 포함한다. '아라야시키'라는 명칭은 불교 용어인 "아뢰야식"에서 유래했다. 동양 마법사, 음양사들을 대표하며, 정령 및 자연과의 소통 능력, 무술, 동양 고대 무기 등에 능숙하다. SagaII 프리 스토리에서는 극성 제국에 의해 중국 본부가 괴멸되고, 일본 지부가 임시 본부가 되었다. 이츠쿠시마 미스즈가 전사한 것은 이 직후의 일이다. 방어에 뛰어나고, 상대의 움직임을 무효화하는 카드가 많지만, 공격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WIZ-DOM의 천적이라는 설정에 따라 정신 공격에 대한 내성을 가진 카드도 많다. 영능자(무녀 등)가 주를 이룬다.
WIZ-DOM은 4세기 무렵부터 이어져 온 서양 마술의 비밀 결사로, 중동 지역도 포함한다. 'WIZ-DOM'이라는 이름은 "wi'''s'''dom(지혜)"에서 유래했다. 서양 마법을 대표하며, 마녀, 흑마법사, 마법사 등 다양한 유럽의 영향을 받은 마법 관련 인물들을 포함한다. 최고 기관은 5부문(전투, 경제, 생산, 교육, 종교)의 장으로 구성된 "5인 회의"이다. 각 부문장의 지위는 동등하지만, 지략 차이로 인해 클라리스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종교 부문이 존재하는 것처럼 종교 관계자도 소속되어 있지만, 마녀 사냥을 겪으며 쇠퇴한 역사가 있다. 정신 공격력을 가진 캐릭터와 상대를 직접 공격・제거하는 카드가 많다. 미스틱(공격 마법사와 종교 관계자), 스칼라(그 외의 마법사), 호문쿨루스가 대표적이다.
다크로어는 인류 탄생 이전인 60만 년 전부터 존재해 온 고대 몬스터들의 후예이다. 데미 휴먼과 몬스터로 구성되며, 늑대인간, 요정, 인어, 엘프, 뱀파이어, 오니, 요정, 언데드 등이 포함된다. 명확한 조직이 아닌 임시 집단이기 때문에, 조직적인 행동에는 미숙하다. 몬스터와 신의 경계가 모호하여 신의 이름을 가진 자도 존재하며, 아라야시키의 신(일본 신화나 힌두교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진 자도 있다. 공격력 강화형 카드가 풍부하며, 파워 카드에 영향을 미치는 카드가 많다. 오니나 늑대인간 등, 다른 세력에게 잘 브레이크되지 않는(반대로 말하면 다른 세력에서 브레이크하기 어려운) 아이콘이 많다.
극성 제국은 북극성(하늘의 중심)을 의미한다. 오리지널 캐릭터에는 별의 이름이 붙어 있다. SagaII부터 등장한 "평행 세계의 지구"로부터 온 침략자들이다. 다른 차원의 지구에서 온 침략자 집단으로, 기사, 드래곤, 언데드와 같은 판타지 캐릭터들로 구성된다. 이전에는 일곱 개의 왕국으로 분열되어 있었으나, 레무리아의 왕이자 그쪽 세계에서는 최강의 마인드 브레이커인 막시밀리안 레무리아스 베아리스가 통일을 이루고 초대 황제가 되었다. OVA에서의 황제는 초등학생 정도의 소년의 모습을 하고 있다. 평행 세계라는 설정 덕분에, 다른 세력의 캐릭터와 상호 브레이크가 가능한 네임 캐릭터가 존재한다. 또한, 이쪽 세계의 영웅을 언데드로 부활시켜 수하로 삼고 있으며, 이들은 거역하면 잿더미가 되도록 장치가 되어 있다. 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카드가 많고, 데미지 놓는 곳에 있는 카드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어그레시브를 가진 캐릭터를 "황제에게 거역할 가능성이 있는 자"로 저격하는 카드가 많으며, 브레이크스루나 바인드를 가진 캐릭터도 많다. 전체적으로 워리어, 언데드 아이콘 등이 많지만, 평행 세계라는 설정 덕분에 아라야시키, WIZ-DOM, 다크로어와 관련된 아이콘은 모두 가지고 있다. 반대로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로 등을 제외하고 기계 계열의 아이콘은 전혀 없다.
이레이저는 이성인 함대를 지칭한다. 모든 것을 멸망시키는 격렬한 공격 때문에 지구 측에서는 이레이저(지우는 자)라고 불린다. 지구 기반이 아닌 유일한 세력으로, 외계에서 온 침략자들이다. 천사와 드래곤 형태를 띠며, 첨단 과학 기술과 시간을 멈추는 능력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방면군에 불과하며, 전모는 불분명하다. SagaII에서는 철수 명령을 받았다고 하여 사용이 불가능했지만(일부 캐릭터는 다른 세력에 소속된 형태로 등장), Saga3부터 다시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천사의 모습을 한 네임 레벨 캐릭터는, 여성은 천사의 라틴어명, 남성은 아라비아어를 가지고 있어, 과거에 지구에 방문하여 인류를 이끌었다고도 전해진다. 그 때문에 WIZ-DOM은 이레이저와 동맹을 맺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는 ィー아리스, 라유 등 한국어로는 발음이 어려운 네임이 많다. 공격력에 특화되어, 상대의 턴이 갖춰지기 전에 공격하는 속공형 캐릭터가 많다. 이레이저 아이콘, 사이보그, 천사, 드래곤 등이 많으며, 우주선도 등장하지만 게임 밸런스상 죽도로 두 동강 나기도 한다.
마인드브레이커는 다른 세력의 구성원들을 통제하고 잠재력을 발휘시키는 능력을 가진 개인들이다. 각자 고유한 목표와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싸우기도 한다.
아라야시키 > WIZ-DOM > 다크로어 > 아라야시키, E.G.O. > 극성 제국 > 이레이저 > E.G.O. 와 같이 천적 관계가 있다(왼쪽이 우위). 다만, Saga1 시절에는 E.G.O. = 이레이저, Saga2 시절에는 E.G.O. = 극성 제국과 서로 천적이었다(당시에는 5세력이었다).
5. 1. 세력
E.G.O.(Evolutional Generation Organization)는 초능력자 집단으로, 인류 진화의 다음 단계라고 주장한다. 젊은 연령층(대부분 10대)이 많고, 다양한 초능력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2] 다이쇼 시대에 아라야시키를 이탈한 사에키 사라시나가 일으킨 사에키 재벌이 기반이 되어, 당대의 사에키 유메이가 설립했다. E.G.O.에 소속된 학생은 사에키 재벌 운영의 학교에 다니고, 메이드는 사에키 재벌 소속 등, 대부분의 캐릭터가 사에키 재벌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사에키 재벌이 개발한 수많은 신병기를 가지고 있다. 파워 카드의 매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캐릭터가 많다. 메인 아이콘은 스튜던트나 워커로, 세트할 수 있는 파워 카드가 많고, 그것에 의한 브레이크의 속도가 장점이다.아라야시키는 3세기 무렵부터 이어진 동양의 주술 동맹으로,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원주민도 포함된다. 이름의 유래는 불교 용어인 "아뢰야식"이다. 동양 마법사, 음양사들을 대표하며, 정령 및 자연과의 소통 능력, 무술, 동양 고대 무기에 능숙하다. SagaII의 프리 스토리에서 극성 제국에 의해 중국 본부가 괴멸되고, 일본 지부가 임시 본부가 된다. 미스즈가 전사한 것은 이 직후. 방어에 뛰어나고, 상대의 움직임을 무효화하는 카드가 많지만, 공격력이 낮은 것이 단점이다. 또한, WIZ-DOM의 천적이라는 설정에서 정신 공격에 내성을 가진 카드도 많다. 영능자(무녀 등)가 많다.
WIZ-DOM은 4세기 무렵부터 이어진 서양 마술의 비밀 결사이지만, 중동도 포함된다. 이름의 유래는 "wi'''s'''dom(지혜)"이다. 서양 마법을 대표하며, 마녀, 흑마법사, 마법사 등 다양한 유럽의 영향을 받은 마법의 상징들을 포함한다. 최고 기관은 5부문(전투, 경제, 생산, 교육, 종교)의 장에 의한 "5인 회의". 각 장의 지위는 동등하지만, 지략의 차이로 인해 클라리스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듯하다. 또한, 종교 부문이 있는 것처럼 종교 관계자도 소속되어 있지만, 마녀 사냥을 겪고 쇠퇴한 시대가 있다. 정신 공격력을 가진 캐릭터와 상대를 직접 공격・제거하는 카드가 많다. 미스틱(공격 마법사와 종교 관계자), 스칼라(그 외의 마법사), 호문쿨루스가 메인.
다크로어는 인류 탄생 전인 60만 년 전부터 존재하는 고대의 몬스터들의 후예이다. 데미 휴먼과 몬스터로 구성되며, 늑대인간, 요정, 인어, 엘프, 뱀파이어, 오니, 요정, 언데드 등이 포함된다. 명확한 조직이 아니라 임시로 모인 집단이기 때문에, 조직적인 행동은 서투르다. 몬스터와 신의 경계가 애매해서인지, 신의 이름을 가진 자도 존재하고, 아라야시키의 신(일본 신화나 힌두교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진 자까지 있다. 공격력 강화형 카드가 풍부하다. 또한, 파워 카드에 영향을 미치는 카드가 많다. 오니나 늑대인간 등, 다른 세력에게 잘 브레이크되지 않는(반대로 말하면 다른 세력에서 브레이크하기 어렵다) 아이콘이 많다.
극성 제국은 북극성(하늘의 중심)을 말한다. 오리지널 캐릭터에는 별의 이름이 붙어 있다. SagaII부터 등장한 "평행 세계의 지구"로부터의 침략자. 다른 차원의 지구에서 온 침략자 집단으로, 기사, 드래곤, 언데드와 같은 판타지 캐릭터들로 구성된다. 이전에는 일곱 개의 왕국으로 다투었지만, 레무리아의 왕이며, 그쪽 세계에서는 최강의 마인드 브레이커인 막시밀리안 레무리아스 베아리스가 통일을 이루고 초대 황제가 된다. 또한, OVA에서의 황제는 초등학생 정도의 소년의 모습을 하고 있다. 평행 세계라는 설정에서, 다른 세력의 캐릭터와 상호 브레이크가 가능한 네임 캐릭터가 존재한다[3]。또한, 이쪽 세계의 영웅을 언데드로 부활시켜 수하로 삼고 있다[4]。이쪽 세계에서 부활한 언데드는 거스르면 잿더미가 되도록 장치가 되어 있다. 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카드가 많은 외에도, 데미지 놓는 곳에 있는 카드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어그레시브를 가진 캐릭터를 "황제에게 거역할 가능성이 있는 자"로 저격하는 카드가 많다. 게다가 브레이크스루나 바인드를 가진 캐릭터도 많다. 전체적으로 워리어, 언데드 아이콘 등이 많지만, 평행 세계라는 설정에서 아라야시키, WIZ-DOM, 다크로어와 관련된 아이콘은 모두 가진다. 반대로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로 등을 제외하고 기계 계열의 아이콘은 전혀 없다.
이레이저는 이성인 함대이다. 모든 것을 멸망시키는 격렬한 공격에서 지구 측에서는 이레이저(지우는 자)라고 불린다. 지구 기반이 아닌 유일한 세력으로, 외계에서 온 침략자들이다. 천사와 드래곤 형태를 띠며, 첨단 과학 기술과 시간을 멈추는 능력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방면군에 지나지 않고 전모는 불명. SagaII에서는 철수 명령을 받았다고 하여 사용이 불가했다(일부 캐릭터는 다른 세력에 소속된 형태로 등장) 하지만, Saga3부터 다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천사의 모습을 한 네임 레벨 캐릭터는, 여성은 천사의 라틴어명, 남성은 아라비아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지구에 방문하여 인류를 이끌었다고도 한다[5]。그 때문에 WIZ-DOM은 이레이저와 동맹을 맺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는 ィー아리스, 라유 등 한국어로는 발음이 어려운 네임이 많다. 공격력에 특화되어, 상대의 턴이 갖춰지기 전에 공격하는 속공형 캐릭터가 많다. 이레이저 아이콘, 사이보그, 천사, 드래곤 등이 많다. 우주선도 등장하지만, 게임 밸런스상 죽도로 두 동강 나기도 한다[6]。
마인드브레이커는 다른 세력의 구성원들을 통제하고 잠재력을 발휘시키는 능력을 가진 개인들이다. 각자 고유한 목표와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싸우기도 한다.
아라야시키 > WIZ-DOM > 다크로어 > 아라야시키, E.G.O. > 극성 제국 > 이레이저 > E.G.O. 와 같이 천적 관계가 있다(왼쪽이 우위). 다만, Saga1 시절에는 E.G.O. = 이레이저, Saga2 시절에는 E.G.O. = 극성 제국과 서로 천적이었다(당시에는 5세력이었다).
5. 2. 주요 캐릭터
E.G.O. 최강의 사이킥 능력을 가진 여고생 에스퍼 후지미야 마유미(藤宮真由美)는 E.G.O 창설자 중 한 명이자 사이키 유메의 딸이자, 마인드 브레이커 후지미야 신고의 딸이다. 갓난아기 때 능력 폭주로 과거로 타임슬립하여, 친아버지인 신고의 의붓 여동생으로 길러졌다.아라야시키의 간부이자 이츠쿠시마 신사 종가의 딸 이츠쿠시마 미스즈(厳島美鈴)는 다른 세력과의 다툼을 싫어하며 공투를 호소한다. OVA판(SagaII 시작 시점)에서 극성 제국 십장군 중 한 명인 관우와의 전투에서 여동생을 감싸고 목숨을 잃지만, "무나카타 삼여신"의 명에 따라 수호령으로 부활하여 아라야시키를 지켜보고 있다. 이츠쿠시마 미하루(厳島美晴)는 미스즈의 여동생으로, 언니를 대신하여 젊은 나이에도 현재 아라야시키의 지도적 입장을 맡고 있다.
WIZ-DOM의 전투 부문 수장을 맡고 있는 최강의 흑마법사 스텔라 브라바츠키(ステラ・ブラヴァツキ)는 블라바츠키 부인이 이름의 유래이다. WIZ-DOM의 생산 부문 수장을 맡고 있는 연금술사 클라리스 파라켈수스(クラリス・パラケルスス)는 파라켈수스가 이름의 유래이며, 도쿄에 파라켈수스의 탑을 세우고(평범한 빌딩으로 위장되어 있음), 일본에서의 WIZ-DOM의 전선 기지로 삼고 있다.
전설에 남은 오니 공주, 스즈카 고젠의 환생인 스즈카 고젠(鈴鹿御前)은 일본 다크 로어의 톱이다. 격세 유전으로 뱀파이어의 피가 깨어난 여고생 요코 아슐리(夜羽子・アシュレイ)는 동유럽과 일본인의 혼혈이다.
극성 제국 간부인 "십장군"의 일석을 맡는 여전사 레이나 아르크투르스(レイナ・アークトゥルス)는 제국 성립 전부터 황제를 섬기며, 황제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맹세한다. 이레이저 함대의 지휘관인 삼안 인종 라유(ラユュー)는 극성 제국의 십장군 "라유 알비레오"와는 평행 존재에 해당한다. 이레이저의 종속 종족 "드래군족"의 유일한 여왕은 이아리스(ィアーリス)이다.
6. 기타
6. 1. 참여 일러스트레이터
아쿠에이리언 에이지 TCG에는 여러 일러스트레이터가 참여했다. 시리즈에 따라 참여하는 일러스트레이터는 다르다.- 고토 나오 (고토 나오/後藤なお일본어)
- 코가도 스튜디오(工画堂スタジオ)
- 나나오 나루 (나나오 나루/七尾奈留일본어)
- 나나세 아오이(나나세 아오이/七瀬葵일본어)
- 나루세 치사토(나루세 치사토/成瀬ちさと일본어)
- 노비 노비타 (노비 노비타/野火ノビタ일본어)
- 니시다 아사코 (니시다 아사코/西田亜沙子일본어)
- 니시마타 아오이(니시마타 아오이/西又葵일본어)
- 닛타 야스나리 (닛타 야스나리/新田靖成일본어)
- 라미야 료우 (라미야 료우/蘭宮涼일본어)
- 모리시마 쁘띠 (모리시마 쁘띠/森嶋プチ일본어)
- 무로이 후미에 (무로이 후미에/室井ふみえ일본어)
- 미나카미 히로키 (미나카미 히로키/水上広樹일본어)
- 미즈키 마사토 (미즈키 마사토/みずきまさと일본어)
- 미즈키 타케히토 (미즈키 타케히토/みづきたけひと일본어)
- 미키모토 하루히코(미키모토 하루히코/美樹本晴彦일본어)
- 사사키 무츠미(사사키 무츠미/ささきむつみ일본어)
- 사카이 큐타 (사카이 큐타/坂井きゅう太일본어)
- 사쿠라자와 이즈미 (사쿠라자와 이즈미/桜沢いづみ일본어)
- 사토야스 (사토야스/さとやす일본어)
- 슈우 카즈키 (슈우 카즈키/愁☆一樹일본어)
- 스기야마 겐쇼 (스기야마 겐쇼/すぎやま現象일본어)
- 스미 케이이치(스미 케이이치/純珪一일본어)
- 스에미 쥰 (스에미 쥰/末弥純일본어)
- 신타로 (신타로/しんたろー일본어)
- 아라키 카나오 (아라키 카나오/あらきかなお일본어)
- 아사기 사쿠라(아사기 사쿠라/あさぎ桜일본어)
- 아즈마 키요히코(아즈마 키요히코/あずまきよひこ일본어)
- 아즈미 토오루(아즈미 토오루/あづみ冬留일본어)
- 야노 타쿠미 (야노 타쿠미/矢野たくみ일본어)
- 야마구치 야스시 (야마구치 야스시/山口恭史일본어)
- 야마다 J타 (야마다 J타/山田J太일본어)
- 오모이아타루 (오모이아타루/思い当たる일본어)
- 오오노 테츠야 (오오노 테츠야/大野哲也일본어)
- 오오바 카게로우 (오오바 카게로우/大場陽炎일본어)
- 오오하시 카오루 (오오하시 카오루/大橋薫일본어)
- 오자키 히로키 (오자키 히로키/尾崎弘宜일본어)
- 오토미야 츠바사(오토미야 츠바사/音宮つばさ일본어)
- 와타나베 마유미 (와타나베 마유미/渡辺真由美일본어)
- 우루시하라 사토시(우루시하라 사토시/うるし原智志일본어)
- 이시다 아츠코(이시다 아츠코/石田敦子일본어)
- 이이즈카 타케시 (이이즈카 타케시/飯塚武史일본어)
- 이즈미 레이 (이즈미 레이/依澄れい일본어)
- 이쿠타타카논 (이쿠타타카논/いくたたかのん일본어)
- 이쿠미 미아 (이쿠미 미아/征海未亜일본어)
- 이치카와 키즈쿠 (이치카와 키즈쿠/壱河きづく일본어)
- 츄오히가시구치 (츄오히가시구치/中央東口일본어)
- 카난 (카난/かなん일본어)
- 카츠 아키(카츠 아키/克・亜樹일본어)
- 코게 돈보(코게 돈보/コゲどんぼ일본어)
- 쿠라모토 카야 (쿠라모토 카야/椋本夏夜일본어)
- 쿠스노키 케이(쿠스노키 케이/楠桂일본어)
- 키리가 유키 (키리가 유키/霧賀ユキ일본어)
- 키미즈카 아오이 (키미즈카 아오이/きみづか葵일본어)
- 타구치 쥰코 (타구치 쥰코/田口順子일본어)
- 타카기 노부유키 (타카기 노부유키/髙木信孝일본어)
- 타카오 우쿄 (타카오 우쿄/高雄右京일본어)
- 텐히로 나오토 (텐히로 나오토/天広直人일본어)
- 토우게 히로 (토우게 히로/峠比呂일본어)
- 토쿠미 유이코 (토쿠미 유이코/篤見唯子일본어)
- 포요용♡록 (포요용♡록/ぽよよん♡ろっく일본어)
- 하네하네 키로 (하네하네 키로/羽々キロ일본어)
- 하나야시키 보탄 (하나야시키 보탄/花屋敷ぼたん일본어)
- 하라다 타케히토 (하라다 타케히토/原田たけひと일본어)
- 하야세 아키라 (하야세 아키라/早瀬あきら일본어)
- 후미오 (후미오/フミオ일본어)
- 후지에다 미야비 (후지에다 미야비/藤枝雅일본어)
- 후지와라 히사시 (후지와라 히사시/藤原ひさし일본어)
- 히나。 (히나。/ひな。일본어)
- 히노우에 이타루(히노우에 이타루/樋上いたる일본어)
- 히비키 레이네 (히비키 레이네/ひびき玲音일본어)
- 히카미 쿄코(히카미 쿄코/氷上恭子일본어)
- CARNELIAN
- CLAMP
- E=mc²
- Niθ
- OKAMA
- PEACH-PIT
- POP
6. 2. 레어도
레어도는 스페셜(Special), 레어(Rare), 언커먼(Uncommon), 커먼(Common)으로 분류되며, 스페셜 카드에는 특수한 홀로그램 처리가 되어 있다. 각 카드의 하단부분에 있는 별의 개수로 레어도를 알 수 있다. 스페셜은 별 3개, 레어는 별 2개, 언커먼은 별 1개, 커먼은 별이 없다.6. 3. 관련 상품 및 미디어 믹스
{{|아쿠에이리언 에이지는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을 중심으로, 서적,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CD, 음악 CD, 라디오,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 상품이 출시되었다.
TCG는 다양한 시리즈의 카드 팩, 스타터 팩, 특별판 등이 발매되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영향을 받았지만, 모에 미소녀의 성장 과정을 모티브로 한 이야기성이 있는 규칙과 캐릭터 간의 전투에 중점을 둔 점이 특징이다. 캐릭터는 "E.G.O.(에고)"(백), "아라야시키"(적), "WIZ-DOM(위즈덤)"(청), "다크 로어"(녹), "극성 제국"(황), "이레이저"(흑)의 6개 진영 중 하나에 속하며, 1대1 플레이뿐만 아니라 3명 이상, 2대2 태그전, 솔로 플레이 등 다양한 플레이 패턴을 지원한다.
서적으로는 비주얼 북, 소설, 만화, 공식 가이드북 등이 발매되었다.
- 아쿠에리언 에이지 각성의 처녀들 공식 비주얼 북 (1999년 12월, 카도카와 쇼텐)
- 아쿠에리언 에이지 쌍아궁의 거울 오피셜 비주얼 북 (2000년 3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언 에이지 사자(獅子)의 전선 오피셜 비주얼 북 (2000년 9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언 에이지 천갈궁의 숙명 오피셜 비주얼 북 (2001년 6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언 에이지 오니히메 전생 (2000년 5월, 카도카와 쇼텐)
- 아쿠에리언 에이지 호병궁의 문 1 (2000년 5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언 에이지 호병궁의 문 2 (2001년 3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언 에이지 유구의 처녀궁 (2001년 5월, 카도카와 쇼텐)
- 아쿠에리언 에이지 Sign for Evolution (2002년 3월, 카도카와 쇼텐)
- 아쿠에리언 에이지 Fragments (2012년 1월, 소게이샤)
- 아쿠에리언 에이지 (AQUARIAN AGE) 전 2권 (2000년 3월, 2001년 5월, 와니북스), 만화: 카쿠이 요이치
- 아쿠에리안 에이지 공식 코믹 앤솔로지 (2000년 5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안 에이지 공식 코믹 앤솔로지 2 (2001년 3월, 소니 매거진즈)
- 아쿠에리안 에이지 츠바사의 기억 (翼の記憶) 전 2권 (2001년 6월, 12월, 카도카와 쇼텐), 만화: 야에자키 카오루
- 아쿠루 짱 브레이크 (あくるちゃんブレイク) (2002년 3월, 카도카와 쇼텐), 만화: 슈☆이치주
- 아쿠루 짱 하이! (あくるちゃんHigh!) (2002년 11월, 카도카와 쇼텐), 만화: 슈☆이치주
- 아쿠에리안 에이지 별의 계보 (星の系譜) (2002년 11월, 카도카와 쇼텐), 만화: 야에자키 카오루
- 아쿠에리안 에이지 Girls a War War! (2004년 3월 15일, 학연홀딩스), 각본: 카노 신타, 만화: 아사기 사쿠라
- 아쿠에리안 에이지 오리온의 소년 (オリオンの少年) 전 5권 (스퀘어 에닉스), 만화: 고쿠라쿠인 사쿠라코
- 아쿠에리안 에이지 킹스 브레이커 (KINGS BREAKER) 전 2권 (자이브), 만화: 하바 키로・쇼온 아야
- 노엘☆evolution (2005년 4월 7일, 자이브), 만화: 하바 키로・쇼온 아야
- 아쿠에리안 에이지 시작의 지구 (始まりの地球) (2012년 9월 22일, 카도카와 쇼텐), 각본: 카노 신타
애니메이션으로는 TV 애니메이션 "아쿠에리언 에이지: Sign for Evolution"과 OVA "아쿠에리언 에이지 Saga II ~Don't forget me…~"가 제작되었다.
방송 대상 지역 | 방송국 | 계열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관동 광역권 | TV 도쿄 | TV 도쿄 계열 | 2002년1월 3일 - 3월 28일 | 목요일 25:15 - 25:45[8](금요일 1:15 - 1:45) |
아이치현 | TV 아이치 | 2002년1월 14일 - 4월 1일 | 월요일 25:15 - 25:45[9](화요일 1:15 - 1:45) | |
오사카부 | TV 오사카 | 2002년1월 14일 - | 월요일 26:15 - 26:45[10](화요일 2:15 - 2:45) |
- '''아쿠에리언 에이지 Saga II ~Don't forget me…~'''': 2003년 11월 21일에 발매된 OVA.
게임은 다음과 같다.
- PlayStation 게임 "아쿠에리언 에이지 ~도쿄 워즈~" (2000년 5월 25일 발매)[12]: 플레이어는 마인드 브레이커가 되어 이레이저의 침략으로부터 지구를 구하기 위해 싸운다.[12]
- 아케이드 게임 "아쿠에리언 에이지 얼터너티브" (2006년 제작 발표, 2007년 가동): 타이토 제작 및 판매.
- 닌텐도 DS 게임 "게임북 DS 아쿠에리언 에이지 Perpetual Period" (2010년 2월 25일 발매)[13]
- 소셜 게임 "전희★크라이시스@아쿠에이리언 에이지" (2012년 3월 26일 공개, Mobage)
- 소셜 게임 "여신 마스터즈 powered by 아쿠에리언 에이지" (2012년 4월 3일 공개, GREE)
드라마 CD는 다양한 시리즈가 발매되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Saga I 이전 시대를 이야기로 한 CD 드라마가 격월로 총 5화 발매되었고, "데지코의 방" 내에서 라디오 드라마로 방송된 작품을 드라마 CD화한 vol.1 (2001년 8월 18일), Vol.2&Vol.3 (2001년 12월 29일)가 발매되었다. 또한, 아쿠에리언 에이지 탄생 7주년, 10주년 등을 기념한 드라마 CD도 발매되었다.
음악 CD로는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베스트 앨범 등이 발매되었다.
라디오는 다음과 같다.
- "아츠코와 하야토의 아쿠에리 방송국" (온센에서 매주 화요일 배포, 과거 라디오 간사이에서도 방송)
- "나미카와 다이스케와 신타니 료코의 카오식×아쿠에리안 나이트" ("아츠코와 하야토의 아쿠에리 방송국" 전 프로그램, 과거 온센과 라디오 간사이에서 방송)
- "데지코의 방" (아쿠에리안 에이지 코너에서 소개, 라디오 드라마 등 방송)
영화는 "오리온의 소년"을 기반으로 한 실사 영화가 2008년 봄에 공개되었다.[11]
|}
6. 4. 한국 관련 정보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문서
アルカード
[2]
문서
斎木直哉
[3]
문서
バートリ・エルジェーベト
[4]
문서
織田信長
[5]
문서
ガブリエル
[6]
문서
補給함
[7]
웹사이트
AquarianAge Official Home Page ◆【重要】お知らせ
http://www.aquarian-[...]
[8]
문서
最終回
[9]
문서
最終回
[10]
웹사이트
テレビ大阪番組表
http://www.tv-osaka.[...]
テレビ大阪
2015-01-08
[11]
웹사이트
アクエリアンエイジが初の実写映画化!!
http://www.broccoli.[...]
ブロッコリー
2007-10-26
[12]
서적
電撃PlayStation
メディアワークス
2000-03-24
[13]
웹사이트
【重要なお知らせ】『ゲームブックDS アクエリアンエイジ Perpetual Period』ご購入のお客様へ
http://www.brocco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