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펠리디움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펠리디움과는 아펠리디움강, 아펠리디움목에 속하는 균류이다. 아펠리디움과는 진균류와 자매군이며, 후편모생물 내에서 계통 분류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로미코타 -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는 후편모생물에 속하는 강으로, 폰티쿨라류와 누클레아리아류를 포함하며 1998년 Cavalier-Smith에 의해 명명되었고 폰티쿨리다목과 누클레아리다목으로 나뉜다. - 홀로미코타 - 오피스토스포리디아
오피스토스포리디아는 후편모생물 내 균류/오피스토스포리디아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홀로미코타에 포함되며, 홀로미코타는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와 오피스토스포리디아로 구성된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아펠리디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아펠리디움과 | |
계 | 균계 |
문 | 아펠리디움문 (Aphelidiomycota 또는 Aphelida) |
문 명명 | Tedersoo 2018 |
강 | 아펠리디움강 (Aphelidiomycetes 또는 Aphelidea) |
강 명명 | Tedersoo 2018 |
목 | 아펠리디움목 (Aphelidiales 또는 Aphelidida) |
목 명명 | Tedersoo et al. 2018 |
과 | 아펠리디움과 (Aphelidiaceae 또는 Aphelididae) |
과 명명 | Gromov 2000 |
하위 분류 | |
속 | 본문 참조 |
![]() |
2. 하위 분류
2. 1. 아펠리디움강 (Aphelidiomycetes)
'''아펠리디움강'''(''Aphelidiomycetes'') Tedersoo 2018은 아펠리디움문에 속하는 균류의 강이다.[4] 이전 학명은 ''Aphelidea'' Gromov 2000이다. 하위 분류로 아펠리디움목(''Aphelidiales'')을 포함한다.2. 1. 1. 아펠리디움목 (Aphelidiales)
- '''아펠리디움과''' (Aphelidiaceae 또는 Aphelididae)
- * ''Amoeboaphelidium''
- * ''Paraphelidium''
- * ''Pseudaphelidium''
- * 아펠리디움속 (''Aphelidium'')
3. 계통 분류
다음은 후편모생물의 계통 분류이다.[5][6][7][8]
3. 1. 후편모생물 내 계통
다음은 후편모생물 내에서 아펠리디움과의 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낸다.[5][6][7][8] 후편모생물은 크게 홀로미코타(Holomycota)와 홀로조아(Holozoa)로 나뉘며, 아펠리디움과는 홀로미코타에 속한다.- 홀로미코타
-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Cristidiscoidea)
- 누클레아리아류 (Nucleariida)
- 폰티쿨라류 (Fonticulida)
- 균류/오피스토스포리디아 (Fungi/Opisthosporidia)
- BCG2[9]
- (이름 없는 분기군)
- (이름 없는 분기군)
- 진균류 (Fungi)
- 아펠리디움류 (Aphelida)
- (이름 없는 분기군)
- BCG1[9]
- 로젤라아계/은진균문 (Rozellomycota/Cryptomycota)
- 로젤라목 (Rozellida)
- (이름 없는 분기군)
- Namako-37
- 미포자충류 (Microsporidia)
- 홀로조아
- 이크티오스포레아 (Ichthyosporea)
- 플루리포르메아 (Pluriformea)
- (이름 없는 분기군)
- 코랄로키트리움속 (Corallochytrium)
- 시소모나스속 (Syssomonas)
- 필로조아 (Filozoa)
- 필라스테레아 (Filasterea)
- 깃편모충류 (Choanozoa)
- 동정편모충류 (Choanoflagellata)
- 동물 (Animalia)
이 계통 분류에 따르면, 아펠리디움류는 진균류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이 두 그룹은 미포자충류, 로젤라목 등을 포함하는 더 큰 그룹인 오피스토스포리디아 내에 위치한다. 오피스토스포리디아는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와 함께 홀로미코타를 구성하며, 홀로미코타는 동물계를 포함하는 홀로조아와 함께 후편모생물의 주요 분기군을 이룬다.
3. 2. 진균류 내 계통 (2018년 테더수 등)
2018년 테더수(Tedersoo) 등의 연구에 따른 후편모생물 내에서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6][7][8] 후편모생물은 크게 홀로미코타와 홀로조아로 나뉜다. 홀로미코타는 다시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와 오피스토스포리디아로 분류된다. 오피스토스포리디아 내에서, 아펠리디움류는 진균류와 가장 가까운 자매 그룹을 형성한다. 이 (아펠리디움류 + 진균류) 그룹은 (BCG1[9] + 로젤라아계(은진균문)) 그룹과 자매 관계에 있다. 더 상위 분류군인 오피스토스포리디아는 BCG2[9] 그룹을 포함하며,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와 자매 그룹을 이룬다.참조
[1]
저널
Early evolution of eukaryote feeding modes, cell structural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the protozoan phyla Loukozoa, Sulcozoa, and Choanozoa
[2]
저널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3]
저널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
[4]
저널
Morphology, phylogeny and ecology of the aphelids (Aphelidea, Opisthokonta) and proposal for the new superphylum Opisthosporidia
[5]
저널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http://rstb.royalsoc[...]
2008-04-27
[6]
저널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2011-08-16
[7]
저널
Novel Predators Reshape Holozoan Phylogeny and Reveal the Presence of a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 in the Ancestor of Animals
[8]
저널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02-22
[9]
문서
BCG1 = basal clone group 1, BCG2 = basal clone group 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