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계통 분류
다음은 후편모생물의 계통 분류이다.[15][16][17][18]
홀로미코타는 균류와 그와 가까운 단세포 생물들을 포함하는 그룹이며, 홀로조아는 동물을 포함하는 그룹이다.
2. 1. 홀로미코타
홀로미코타는 균류와 그와 가까운 단세포 생물들로 구성된다.[15][16][17][18]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폰티쿨라류, 누클레아리아류, 그리고 넓은 의미의 균류(오피스토스포리디아)를 포함한다.다음은 홀로미코타의 계통 분류이다.
2. 1. 1.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Cristidiscoidea)는 폰티쿨리다목(Fonticulida)과 누클레아리다목(Nucleariida)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15][16][17][18]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크리스티디스코이데아의 계통 분류[5][6][7][8][9][10][11]는 다음과 같다.
- 폰티쿨리다목(Fonticulida) Cavalier-Smith 1993
- ** 폰티쿨리과(Fonticulidae) Worley, Raper & Hohl 1979
폰티쿨라속(Fonticula) Worley, Raper & Hohl 1979
파르불라리아속(Parvularia) López-Escardó 2017[12]
* 파르불라리아 아틀란티스(P. atlantis) López-Escardó 2017
- 누클레아리다목(Nucleariida) Cavalier-Smith 1993
- ** 누클레아리아과(Nucleariidae) Cann & Page 1979
누클레아리아속(Nuclearia) Cienkowski 1865
2. 1. 2. 균류 / 오피스토스포리디아
넓은 의미의 균류는 진균류, 아펠리디움류, 로젤라아계 (은진균문), 미포자충류 등을 포함한다.[15][16][17][18]2. 2. 홀로조아
홀로조아는 동물과 가까운 단세포 생물들로 구성된 생물군이다. 메소미케토조에아(이크티오스포레아), 플루리포르메아, 필로조아를 포함한다.[15][16][17][18]2. 2. 1. 메소미케토조에아 / 이크티오스포레아
메소미케토조에아(이크티오스포레아)는 후편모생물에 속하는 생물군이다.[15][16][17][18]2. 2. 2. 플루리포르메아
코랄로키트리움속과 시소모나스속을 포함한다.[15][16][17][18]2. 2. 3. 필로조아
필로조아는 필라스테레아와 깃편모충류를 포함하며, 깃편모충류는 다시 동정편모충류와 동물로 나뉜다.[15][16][17][18]참조
[1]
논문
Phylogeny of the "Forgotten" Cellular Slime Mold, Fonticula alba, Reveals a Key Evolutionary Branch within Opisthokonta
2009-12-01
[2]
논문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
[3]
논문
Phylogenetic taxon definitions for Fungi, Dikarya, Ascomycota and Basidiomycota
2018
[4]
논문
Novel Diversity of Deeply Branching Holomycota and Unicellular Holozoans Revealed by Metabarcoding in Middle Paraná River, Argentina
2018-07-12
[5]
간행물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http://www.paru.cas.[...]
2012-09
[6]
간행물
Protistes Eucaryotes :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7]
간행물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04-29
[8]
웹사이트
Nuclearia
https://www.biolib.c[...]
1999
[9]
웹사이트
Nuclearia
http://www.nies.go.j[...]
2007
[10]
웹사이트
Astrodisculus
http://www.nies.go.j[...]
2007
[11]
웹사이트
Nuclearia
https://species.wiki[...]
[12]
논문
Parvularia atlantis gen. et sp. nov., a Nucleariid Filose Amoeba (Holomycota, Opisthokonta)
[13]
문서
중국어 위키백과 핵형충강(核形蟲綱)을 번역한 용어.
[14]
저널 인용
Phylogeny of the "Forgotten" Cellular Slime Mold, Fonticula alba, Reveals a Key Evolutionary Branch within Opisthokonta
http://mbe.oxfordjou[...]
2009-12-01
[15]
저널 인용
The Ediacaran emergence of bilaterians: congruence between the genetic and the geological fossil records
http://rstb.royalsoc[...]
2008-04-27
[16]
저널 인용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2011-08-16
[17]
저널 인용
Novel Predators Reshape Holozoan Phylogeny and Reveal the Presence of a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 in the Ancestor of Animals
[18]
저널 인용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02-22
[19]
문서
BCG1 = basal clone group 1, BCG2 = basal clone group 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