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선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선재는 1942년 영국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떼제 공동체 수사로 활동했다. 1980년 한국에 와서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면서 한국 현대 문학 작품을 번역했으며, 구상, 고은, 신경림 등 다수의 문인 작품을 영어로 소개했다. 1994년 한국으로 귀화하여 한국왕립아시아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문화훈장 옥관장과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서양 문학, 한국 문화를 다룬 책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한국어 번역가 - 피천득
피천득은 간결하고 섬세한 문체로 일상적인 소재를 다룬 수필가이자 영문학자, 시인으로, 《인연》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와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 영어-한국어 번역가 - 안정효
안정효는 소설가, 번역가, 언론인, 영문학자로서 《백년 동안의 고독》을 번역하며 번역가로 데뷔했고, 소설 《하얀 전쟁》으로 등단했으며, 2023년에 사망했다. - 서강대학교 교수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 서강대학교 교수 - 남덕우
남덕우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과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고 제14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안선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본명 | 앤서니 그레이엄 티그 |
한국어 이름 | 안선재 |
로마자 표기 | An Seonjae |
출생일 | 1942년 1월 3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전 서강대학교 교수, 전 한국왕립아시아학회 회장, 번역가, 영문학자 |
종교 | 천주교 |
소속 | 떼제 공동체 |
웹사이트 | 앤서니 수사 개인 웹사이트 |
학력 | |
모교 |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 |
수상 | |
훈장 | 옥관문화훈장 (대한민국), MBE (대영제국 문화훈장) |
2. 생애
안선재는 1942년 1월 3일 영국 콘월에서 태어났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중세와 현대 언어를 공부하고, 1969년 프랑스의 떼제 공동체에 합류하였다.[1] 필리핀 빈민가에서 3년간 봉사한 후,[4] 1980년 5월 김수환 추기경의 초청으로 한국에 왔다. 이후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며 한국 문학 작품을 번역하는 일에 매진했다.
1988년부터 구상, 고은 등 여러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며 한국 현대 문학 번역을 시작했다. 1991년 코리아타임스 한국 현대문학번역상을 수상했고, 1994년에는 한국으로 귀화하여 안선재라는 이름을 얻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왕립아시아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이는 최장기 재임 기록이다.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한 공로로 문화훈장 옥관장을 받았고, 대영 제국 훈장도 받았다.[16] 현재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및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2. 1. 영국에서의 삶과 떼제 공동체
안선재는 1942년 1월 3일 영국 콘월에서 토머스 레슬리 티그 (Thomas Leslie Teague; 1914년 2월 2일 - 1985년 3월 26일)와 난 알비나 그린 (Nan Albina Green; 1911년 7월 24일 - 1991년 2월 3일) 사이에서 태어났다.[10]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중세와 현대 언어를 공부했고, 1969년에 개신교, 성공회 및 가톨릭 전통의 남성들로 구성된 수도회인 프랑스의 떼제 공동체에 합류하였다.[11]2. 2. 한국으로의 이주와 학문적 활동
1980년 5월, 안선재는 김수환 추기경의 초청으로 한국의 떼제 공동체 수사들과 합류하였다.[11] 이후 약 30년 간 서울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면서 한국 현대 문학 작품 번역을 비롯해 문학과 번역에 관한 책과 논문을 발표하였다.1988년부터 구상, 고은, 천상병, 서정주, 김수영, 신경림, 이시영, 김광규, 박연희, 이문열 등 한국 현대 문학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기 시작했다.[13] 1991년 고은의 시집 '아베교장' 번역으로 코리아타임스에서 한국 현대문학번역상을 수상했으며, 1996년부터 2021년까지 해당 공모전 심사 위원으로 활동했다.[13] 1994년 한국으로 귀화하여 안선재(An Sonjae)라는 한국 이름을 갖게 되었는데, '선재'는 불교 경전 '간다뷰하 수트라(Gandavyuha Sutra)'에 나오는 '작은 순례자' 선재동자(Sudhana)에서 따온 것이다.
2007년 서강대학교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한 후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및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16]
2. 3. 귀화와 사회 활동
1994년 안선재(An Sonjae)라는 한국 이름으로 귀화했다. '선재'는 불교 경전 '화엄경'의 '작은 순례자'인 선재동자에서 가져온 것이다.[13]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https://raskb.com 한국왕립아시아학회](RAS Korea) 회장을 역임했으며, 이는 RAS Korea 회장 최장 기간 재임 기록이다.[14][15]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한 공로로 문화훈장 옥관장을 받았다. 2007년 서강대학교 교수직을 정년 퇴임한 후,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5년에는 영국으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MBE)을 받았다.[16] 현재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3. 번역 활동
안선재는 주로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했으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한국어에서 영어로 번역했다. 번역 대상은 시, 소설, 논픽션 등 다양하다.
시
작가 | 작품명 | 출판사 | 출판연도 |
---|---|---|---|
구상 | 《불의 언덕》 // 《황무지 시집》 | Forest Books // DapGae | 1990 // 2000 |
구상 | 《한국의 세기 (크리스토퍼의 강; 들판의 일기)》 | Forest Books | 1991 (절판) |
구상 | 《어린아이의 빛》 (온라인 텍스트 및 이미지) | Samseong | 1991 (절판) |
김광규 | 《사랑의 희미한 그림자》 | Forest Books | 1991 (절판) |
고은 | 《내 파도의 소리》 | Cornell EAS // Cornell – DapGae | 1991 |
미당 서정주 | 《초기 가사》 | Forest Books // Cornell - DapGae | 1991 // 1998 |
천상병 | 《하늘로》 | Cornell EAS // Cornell - DapGae | 1995 // 1996 |
고은 | 《뭐?: 108개의 선시》 (formerly Beyond Self영어) | Parallax (Berkeley) | 2008 (1997) |
신경림 | 《농무》 | Cornell - DapGae | 1999 |
김수영, 신경림, 이시영 | 《변주》 | Cornell | 2001 |
구상 | 《앵두나무의 매듭조차 이야기한다》 | DapGae | 2004 |
구상 | 《오늘의 영원》 | Seoul Selection | 2005 |
김영무 | 《가상 현실》 | DapGae | 2005 |
김광규 | 《조개의 깊이》 | White Pine Press | 2005 |
고은 | 《만인의 생명》 | Green Integer (Los Angeles) | 2005 |
김광규 | 《서울 여행》 | DapGae | 2006 |
고은 | 《찰나의 꽃》 | BOA | 2006 |
정지마 | 《이슬의 눈》 | White Pine Press | 2006 |
《특별한 아이들, 사랑을 심는 시》 | Seoul Selection | 2008 | |
고은 | 《내일을 위한 노래》 | Green Integer | 2009 |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 | MerwinAsia | 2010 |
김승희 | 《빨래 줄에서 걷기》 | Cornell EAS | 2011 |
고은 | 《차령의 키스》 (bilingual, poems for children about his daughter영어) | 바우솔 | 2011 |
고은 | 《히말라야 시집》 | Green Integer | 2011 |
고은 | 《제1인칭 슬픈》 | Bloodaxe | 2012 |
(프랑스어에서 번역) 피에르 에티엔 형제, 《선집》 | Taize | 2013 | |
홍윤숙 | 《먼 곳의 햇살》 | Foreign Language Publications Ohio State U. | 2013 |
박연희 | 《공허의 그림자》 | Seoul Selection | 2014 |
이시영 | 《패턴》 | Green Integer | 2014 |
고은 | 《만인보: 평화와 전쟁》 | Bloodaxe | 2015 |
김수복 | 《철을 두드리며》 | Green Integer | 2015 |
《앤솔로지, 새벽의 색》 | Manoa | 2016 | |
도종환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은 없다》 | Seoul Selection | 2016 |
오세영 | 《밤하늘 체커보드》 | Phoneme Media | 2016 |
심보선 | 《슬픔 없는 15초》 | Parlor Press | 2016 |
정호승 | 《보내지 않은 편지》 | Seoul Selection | 2016 |
정호승 | 《꽃이 져도 당신을 잊지 않았습니다》 | Seoul Selection | 2016 |
고형렬 | 《메뚜기의 눈》 | Parlor Press. | 2017 |
이성복 | 《아, 말 없는 것들》 | Green Integer | 2017 |
고은 | 《고은의 시》 | Asia | 2017 |
안도현 | 《안도현의 시》 | Asia | 2017 |
김종길 | 《검은 연》 | MerwinAsia | 2017 |
안상학 | 《안상학의 시》 | Asia | 2018 |
김사인 | 《침묵 속의 애정》 | White Pine. | 2019 |
유안진 | 《혼자 걷는 길》 | MerwinAsia | 2020 |
안현미 | 《깊은 작업》 | Asia | 2020 |
김승희 | 《희망은 고독하다》 | Arc | 2020 |
안주철 | 《감정은 멈추지 않는다》 | Asia | 2020 |
김수열 | 《호모 마스쿠스》 | Asia | 2020 |
박노해 | 《걷는 동안 읽기》 | 느린걸음 | 2021 |
이설야 | 《동굴 소년들》 | Asia | 2021 |
고은 | 《만인보 21-25권》 | Green Integer | 2022 |
문동만 | 《슬픈 일에 대해 덜 생각하기》 | Asia | 2022 |
신용목 | 《숨겨진 단어》 | Black Ocean | 2022 |
김일연 | 《지구의 모든 딸들》 | Seoul Selection | 2023 |
고은 | 《만인보 26-30권》 | Green Integer | 2023 |
송경동 | 《내일 다시 쓸게요》 | Asia | 2023 |
김병호 | 《몸으로 부르는 사랑 노래》 | Asia | 2023 |
박노해 | 《Labor of Love영어》 | 하와이 | 2024 |
소설
- 이문열, 《시인》 (Harvill Press, 1994 / Vintage, 2001)
- 이어령, 《장군의 수염 / 유령 다리》 (Homa & Sekey, 2002)
- 고은, 《작은 순례자》 (Parallax (Berkeley), 2005)
- 방현석, 《새벽에 전투를 위해 출발》 (Translated with Dafna Zur영어) (Asia Publishers, 이중 언어판, 2013)
- 이문열, 《Son of Man영어》 (Dalkey Archive, 2015)
- J. M. G. Le Clézio, 《Bitna: Under the Sky of Seoul영어》 (Seoul Selection (USA), 2017)
- 정호승, 《Loving영어》 (Seoul Selection, 2020)
- 정호승, 《Lonesome Jar영어》 (Seoul Selection, 2020)
- J. M. Lee, 《Broken Summer영어》 (Amazon Crossing, 2022)
- 이금희, 《The Picture Bride영어》 (Forge/Scribe, 2022)
- 이금희, 《Can't I Go Instead영어》 (Forge/Scribe, 2023)
- 임성순, 《The Consultant영어》 (Raven Books, 2023)
논픽션
- 목선옥, 《시인 내 남편》 (Seoul Selection, 2006)
- (프랑스어에서 번역) 다니엘 드 몽몰린, 《La pratique des glaçures de grès : minéraux, roches, cendres프랑스어》 (파리: La Revue de la Céramique et du Verre프랑스어, 2005)
- 성 김대건 안드레아, 《Letters of Saint Kim Taegon영어》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한국어, 2021)
- 토마스 최양업, 《Letters of Father Thomas Choe Yang-eop영어》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한국어, 2022)
3. 1. 주요 번역 작품
안선재는 시, 소설, 논픽션 등 다양한 장르의 한국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하여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고은, 구상 등 여러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며 한국 문학의 다양성을 세계에 알렸다.'''시'''
고은, 구상, 김광규, 신경림, 이시영 등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하였다. 특히,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들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시대정신을 세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소설'''
이문열한국어의 ''The Poet'' , ''Son of Man'', 이어령한국어의 ''The General's Beard / Phantom Legs'', 고은한국어의 ''Little Pilgrim'', 방현석한국어의 ''Off to Battle at Dawn'', J. M. G. Le Clézio의 ''Bitna: Under the Sky of Seoul'', 정호승한국어의 ''Loving'', ''Lonesome Jar'' 등을 번역했다.
'''논픽션'''
목선옥한국어의 ''My Husband the Poet''와 다니엘 드 몽몰린프랑스어의 ''La pratique des glaçures de grès : minéraux, roches, cendres''를 번역했다.
3. 1. 1. 시
안선재는 한국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하여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한 번역가이다. 특히 시 번역에 있어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다음은 안선재가 번역한 주요 시 작품 목록이다.작가 | 작품명 | 출판사 | 출판연도 |
---|---|---|---|
구상 | 불의 언덕 // 황무지 시집 | Forest Books // DapGae | 1990 // 2000 |
구상 | 한국의 세기 (크리스토퍼의 강; 들판의 일기) | Forest Books | 1991 (절판) |
구상 | 어린아이의 빛 (온라인 텍스트 및 이미지) | Samseong | 1991 (절판) |
김광규 | 사랑의 희미한 그림자 | Forest Books | 1991 (절판) |
고은 | 내 파도의 소리 | Cornell EAS // Cornell – DapGae | 1991 |
미당 서정주 | 초기 가사 | Forest Books // Cornell - DapGae | 1991 // 1998 |
천상병 | 하늘로 | Cornell EAS // Cornell - DapGae | 1995 // 1996 |
고은 | 뭐?: 108개의 선시(구: 자아 너머) | Parallax (Berkeley) | 2008 (1997) |
신경림 | 농무 | Cornell - DapGae | 1999 |
김수영, 신경림, 이시영 | 변주 | Cornell | 2001 |
구상 | 앵두나무의 매듭조차 이야기한다 | DapGae | 2004 |
구상 | 오늘의 영원 | Seoul Selection | 2005 |
김영무 | 가상 현실 | DapGae | 2005 |
김광규 | 조개의 깊이 | White Pine Press | 2005 |
고은 | 만인의 생명 | Green Integer (Los Angeles) | 2005 |
김광규 | 서울 여행 | DapGae | 2006 |
고은 | 찰나의 꽃 | BOA | 2006 |
정지마 | 이슬의 눈 | White Pine Press | 2006 |
특별한 아이들, 사랑을 심는 시 | Seoul Selection | 2008 | |
고은 | 내일을 위한 노래 | Green Integer | 2009 |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 | MerwinAsia | 2010 |
김승희 | 빨래 줄에서 걷기 | Cornell EAS | 2011 |
고은 | 차령의 키스 (이중 언어, 딸에 대한 아이들을 위한 시) | 바우솔 | 2011 |
고은 | 히말라야 시집 | Green Integer | 2011 |
고은 | 제1인칭 슬픈 | Bloodaxe | 2012 |
(프랑스어에서) 피에르 에티엔 형제, 선집 | Taize | 2013 | |
홍윤숙 | 먼 곳의 햇살 | Foreign Language Publications Ohio State U. | 2013 |
박연희 | 공허의 그림자 | Seoul Selection | 2014 |
이시영 | 패턴 | Green Integer | 2014 |
고은 | 만인보: 평화와 전쟁 | Bloodaxe | 2015 |
김수복 | 철을 두드리며 | Green Integer | 2015 |
앤솔로지, 새벽의 색 | Manna | 2016 | |
도종환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은 없다 | Seoul Selection | 2016 |
오세영 | 밤하늘 체커보드 | Phoneme Media | 2016 |
심보선 | 슬픔 없는 15초 | Parlor Press | 2016 |
정호승 | 보내지 않은 편지 | Seoul Selection | 2016 |
정호승 | 꽃이 져도 당신을 잊지 않았습니다 | Seoul Selection | 2016 |
고형렬 | 메뚜기의 눈 | Parlor Press. | 2017 |
이성복 | 아, 말 없는 것들 | Green Integer | 2017 |
고은 | 고은의 시 | Asia | 2017 |
안도현 | 안도현의 시 | Asia | 2017 |
김종길 | 검은 연 | MerwinAsia | 2017 |
안상학 | 안상학의 시 | Asia | 2018 |
김사인 | 침묵 속의 애정 | White Pine. | 2019 |
유안진 | 혼자 걷는 길 | MerwinAsia | 2020 |
안현미 | 깊은 작업 | Asia | 2020 |
김승희 | 희망은 고독하다 | Arc | 2020 |
안주철 | 감정은 멈추지 않는다 | Asia | 2020 |
김수열 | 호모 마스쿠스 | Asia | 2020 |
박노해 | 걷는 동안 읽기 | 느린걸음 | 2021 |
이설야 | 동굴 소년들 | Asia | 2021 |
고은 | 만인보 21-25권 | Green Integer | 2022 |
문동만 | 슬픈 일에 대해 덜 생각하기 | Asia | 2022 |
신용목 | 숨겨진 단어 | Black Ocean | 2022 |
김일연 | 지구의 모든 딸들 | Seoul Selection | 2023 |
고은 | 만인보 26-30권 | Green Integer | 2023 |
송경동 | 내일 다시 쓸게요 | Asia | 2023 |
김병호 | 몸으로 부르는 사랑 노래 | Asia | 2023 |
박노해 | 노동의 새벽 | 하와이 | 2024 |
안선재는 고은, 구상, 김광규, 신경림, 이시영 등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하였다. 특히,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들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시대정신을 세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2. 소설
이문열한국어의 ''Teh Poet'' (Harvill Press, 1994 / Vintage, 2001), ''Son of Man'' (Dalkey Archive, 2015), 이어령한국어의 ''Teh General's Beard / Phantom Legs'' (Homa & Sekey, 2002), 고은한국어의 ''Little Pilgrim'' (Parallax, 2005), 방현석한국어의 ''Off to Battle at Dawn'' (Dafna Zur와 함께 번역, Asia Publishers, 2013, 이중 언어판), J. M. G. Le Clézio의 ''Bitna: Under teh Sky of Seoul'' (Seoul Selection, 2017), 정호승한국어의 ''Loving'' (Seoul Selection, 2020), ''Lonesome Jar'' (Seoul Selection, 2020) 등을 번역했다.3. 1. 3. 논픽션
- 다니엘 드 몽몰린(Daniel de Montmollin), La pratique des glaçures de grès : minéraux, roches, cendres프랑스어, 파리: La Revue de la Céramique et du Verre프랑스어. 2005. (프랑스어에서 번역)
- 목선옥, My Husband the Poet영어, 서울 셀렉션, 2006.
3. 2. 번역의 특징과 의의
안선재는 주로 한국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하여 해외에 소개하는 작업을 해왔다. 그의 번역은 원작의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영어권 독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문체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안선재는 구상, 고은, 김광규, 서정주, 천상병, 신경림, 김수영, 이시영, 김영랑, 김승희, 도종환, 오세영, 심보선, 정호승, 이성복, 안도현, 김종길, 김사인, 유안진, 박노해 등 다양한 한국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했다. 특히 고은 시인의 작품을 많이 번역했는데, What?: The 108 Sūtras of Ko Un영어 (구: 자아 너머), Songs for Tomorrow: A Collection of Poems 1961-2001영어, Abiding Places: Korea South and North영어 (구: 내 파도의 소리), Maninbo: Peace and War영어 등이 대표적이다.
소설 번역으로는 이문열의 The Poet영어와 The Son of Man영어, 이어령의 The General's Mustache영어, 고은의 Little Pilgrim영어, 방현석의 Time to Go to the Battle in the Dawn영어 (Dafna Zur와 함께 번역), J. M. G. Le Clézio의 Bitna: Under the Sky of Seoul영어, 정호승의 Loving영어와 Lonely Jar영어 등이 있다.
안선재의 번역은 한국 문학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번역 작품들은 해외 독자들에게 한국 문학의 다양성과 깊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4.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1991 | 코리아타임즈 번역상 |
1995 | 대산번역상 |
(미상) | 대한민국 문학상 |
(미상) | 한국 PEN 번역상 |
2008 | 대한민국 정부 문화훈장 옥관 |
2015 | 명예 대영 제국 훈장(MBE) |
2024 | 만해문학상 |
4. 1. 국내 수상
4. 2. 국외 수상
- 1991년 코리아타임즈 번역상을 수상했다.[3]
- 1995년 대산번역상을 수상했다.[3]
- 2015년 영국으로부터 명예 대영 제국 훈장(MBE)을 받았다.[3]
5. 저서
안선재는 영문학, 한국 차 문화, 한국 고전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했다.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89 | Classical and Biblical Backgrounds to Western Literature|서양 문학의 고전 및 성경적 배경영어 | 서강대학교 출판부 | 2000년 개정 및 증보 |
1997 | Literature in English Society before 1660: Volume One, Teh Middle Ages|1660년 이전 영국 사회의 문학: 제1권, 중세영어 | 서강대학교 출판부 | |
1998 | Literature in English Society: Part Two, Teh Renaissance 1485 - 1660|영국 사회의 문학: 제2부, 르네상스 1485-1660영어 | 서강대학교 출판부 | |
2002 | Textual Criticism of Chaucer's Canterbury Tales|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의 텍스트 비평영어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이동춘과 공저 |
2007 | Korean Way of Tea|한국의 차 문화영어 | 서울 셀렉션 | 홍경희와 공저 |
2010 | Korean Tea Classics|한국 차의 고전영어 | 서울 셀렉션 | 홍경희, 스티븐 D. 오영과 공저 |
2013 | Eerie Tales from Old Korea|옛 한국의 기괴한 이야기영어 | 서울 셀렉션 | |
2016 | Brief Encounters: Early Reports of Korea by Westerners|짧은 만남: 서양인들의 초기 한국 보고서영어 | 서울 셀렉션 | 로버트 네프와 공저 |
2016 | Romantic Tales from Old Korea|옛 한국의 낭만적인 이야기영어 | 서울 셀렉션 |
5. 1. 영문학 관련 저서
Classical and Biblical Backgrounds to Western Literature영어(서양문학에 대한 고전적, 성서적 배경).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9, 개정 및 확대, 2000.Literature in English Society before 1660: Volume One, Teh Middle Ages영어 (1660년 이전 영국 사회의 문학: 제1권, 중세).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Literature in English Society: Part Two, Teh Renaissance 1485 - 1660영어 (영국 사회의 문학: 2부, 르네상스 1485-1660).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Textual Criticism of Chaucer's Canterbury Tales영어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 대한 텍스트 비평). Brother Anthony and Lee Dong-Chun.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 서양 문학의 고전 및 성경적 배경.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1989, 개정 및 증보, 2000.
- 1660년 이전 영국 사회의 문학: 제1권, 중세.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1997
- 영국 사회의 문학: 제2부, 르네상스 1485 - 1660.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의 텍스트 비평. 안선재와 이동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2.
5. 2. 한국 문화 관련 저서
안선재는 한국의 차 문화와 관련된 책을 여러 권 저술했다.- '''한국의 차 문화''' (Korean Way of Tea). 안선재와 홍경희 공저. 서울: 서울 셀렉션, 2007[1]
- '''한국 차의 고전''' (Korean Tea Classics). 안선재, 홍경희, 스티븐 D. 오영 공저. 서울: 서울 셀렉션, 2010[2]
- '''옛 한국의 기괴한 이야기''' (Eerie Tales from Old Korea). 안선재 편역. 서울: 서울 셀렉션, 2013[3]
- '''짧은 만남: 서양인들의 초기 한국 보고서''' (Brief Encounters: Early Reports of Korea by Westerners). 안선재와 로버트 네프 편저. 서울: 서울 셀렉션, 2016[4]
- '''옛 한국의 낭만적인 이야기''' (Romantic Tales from Old Korea). 안선재 편역. 서울: 서울 셀렉션, 2016[5]
참조
[1]
서적
Little Pilgrim
https://archive.org/[...]
Parallax Press, Berkeley
[2]
웹사이트
Kea, Feock, Baldhu, Grampound, Cookham {{ndash}} The Teague, Dunn, Green & Greswell families {{ndash}} My Family Origins
http://hompi.sogang.[...]
Sogang
2014-01-08
[3]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Brother Anthony of Taizé
http://www.asymptote[...]
2013-11-24
[4]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Brother Anthony of Taizé
http://cordite.org.a[...]
Cordite Poetry Review
2013-11-24
[5]
뉴스
Korea Times translation award recognizes budding talent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0-11-12
[6]
뉴스
Winners of 55th Moder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wards
https://www.koreatim[...]
2024-11-01
[7]
뉴스
RAS Korea begins presidential successio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0-12-01
[8]
뉴스
Professor Brother Anthony Receives Cultural Ord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8-10-20
[9]
뉴스
Brother Anthony honored by Queen Elizabeth II
https://www.koreatim[...]
2015-12-07
[10]
웹인용
Kea, Feock, Baldhu, Grampound, Cookham {{ndash}} Teh Teague, Dunn, Green & Greswell families {{ndash}} My Family Origins
http://hompi.sogang.[...]
Sogang
2014-01-08
[11]
웹인용
An interview with Brother Anthony of Taizé
http://www.asymptote[...]
2013-11-24
[12]
웹인용
An interview with Brother Anthony of Taizé
http://cordite.org.a[...]
Cordite Poetry Review
2009-11-24
[13]
뉴스
Korea Times translation award recognizes budding talents
https://www.koreatim[...]
Teh Korea Times
2020-11-12
[14]
뉴스
RAS Korea begins presidential succession
https://www.koreatim[...]
Teh Korea Times
2020-12-01
[15]
뉴스
Professor Brother Anthony Receives Cultural Order
https://www.koreatim[...]
Teh Korea Times
2008-10-20
[16]
뉴스
Brother Anthony honored by Queen Elizabeth II
http://www.koreatime[...]
2015-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