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상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상(1919-2004)은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서울에서 태어나 함경남도 원산에서 성장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는 니혼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해방 후 월남하여 언론계에 투신했다. 한국 전쟁에 종군 기자로 참여했고,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언론 운동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이후 영남일보 편집장, 경향신문 논설위원, 중앙대학교 강사 등으로 활동하며 시를 비롯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다. 그의 작품은 가톨릭 신앙에 기반하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주요 시집으로는 《초토의 시》 등이 있으며, 2004년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 대학교 교수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하와이 대학교 교수 - 서대숙
    서대숙은 김일성 항일 운동 연구로 북한 연구에 기여한 한국의 정치학자이자 대학교수로, 미국 여러 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하와이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 동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조명균
    조명균은 대한민국 공무원으로, 통일부 교류협력국 국장, 개성공단사업지원단 단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비서관 등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제39대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 동성고등학교 (서울) 동문 - 정성호 (희극인)
    정성호는 1998년 MBC 코미디언 공채 시험에 합격하여 희극 배우로 데뷔, 《개그야》, 《SNL 코리아》 등에서 활동하며 MBC 방송연예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현재 방송, 드라마, 영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방송인이다.
  • 폐질환으로 죽은 사람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폐질환으로 죽은 사람 - 조양호
    조양호는 대한항공 회장과 한진그룹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과 조직위원장을 지냈으나, 2019년 이사 재선임안 부결로 이사회에서 물러났고, 폐섬유증으로 사망했다.
구상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919년 9월 16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성부 이화동
사망일2004년 5월 11일
사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본명구상준
운성
종교천주교 (세례명: 세례자 요한)
직업
직업시인
언론인
문학평론가
사회평론가
수필가
극작가
학력
학력일본 니혼대학교 종교학과 학사
가족
배우자서영옥
자녀구홍 (장남)
구성 (차남)
구자명 (딸)
친척김의규 (사위)
구자욱 (종증손)
활동 기간
활동 기간1946년 ~ 2004년
웹사이트
웹사이트구상문학관

2. 생애

1919년 서울에서 태어나, 일가족과 함께 함경남도 함흥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대부분 함경남도 원산에서 성장하였다. 1938년 원산 덕원 성 베네딕도회 수도원 부설 신학교 중등과를 수료하고, 1941년 니혼 대학교 전문부 종교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6]

1946년 원산의 작가동맹에서 펴낸 시집 《응향》에 자신의 시를 실었으나, 응향 사건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으로부터 반동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월남하였다.[16] 이후 언론계에 투신, 1950년 한국 전쟁 발발하자 종군기자단에 참가하였다.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민주언론 운동을 하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기도 했지만 곧 무죄로 석방되었다.[16]

1960년 4·19 혁명 이후 민주당 정권과 박정희가 정계 입문을 권유하였으나 모두 거절하였다.[17] 이후 현실 정치와는 거리를 두고 언론과 문학, 교육 활동에만 몰두하였다. 그의 작품은 주로 가톨릭 신앙에 바탕한 것으로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프랑스 문부성에서 선정한 세계 200대 시인에 들기도 하였다. 화가 이중섭, 승려 중광, 장애인 화가 김기창, 시인 고은 등 다양한 방면의 예술가와 교류하였다.[17]

2004년 5월 11일 폐질환과 교통사고 후유증이 악화되어 향년 86세(만 8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경기도 안성시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17]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19년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일가족과 함께 함경남도 함흥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대부분 함경남도 원산에서 성장하였다.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던 구상은 1938년 원산 덕원 성 베네딕도회 수도원 부설 신학교 중등과를 수료하고, 1941년 니혼 대학교 전문부 종교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6] 본관은 綾城具氏이다.[14] 프로야구 선수 구자욱은 그의 종증손이다.[15]

2. 2. 해방 전후 활동

1946년 원산의 작가동맹에서 펴낸 시집 《응향》에 자신의 시를 실었으나, 응향 사건이 발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으로부터 반동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월남하였다.[16] 이후 언론계에 투신하였고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종군기자단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제자들에게 아무리 사회에 올바름이 없더라도, 기독교인은 차라리 바르게 살아야 한다고 가르칠만큼 올바름에 대한 올곧은 추구를 중요하게 생각한 구상 시인은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민주언론 운동을 하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기도 했지만 곧 무죄로 석방되었다.[16]

2. 3. 언론 활동과 투옥

1946년 '응향 사건'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으로부터 비판을 받고 월남한 후, 언론계에 투신하였다.[16]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종군기자단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민주언론 운동을 하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기도 했지만 곧 무죄로 석방되었다.[16]

2. 4. 정치적 권유와 거절

1960년 4·19 혁명 이후 민주당 정권과 1949년 육군정보국에서 일하던 시절부터 친분을 쌓은 박정희가 구상에게 정계 입문을 권유하였으나, 구상은 모두 거절하였다.[17]

2. 5. 문학 및 교육 활동

1946년 원산문학가동맹에서 펴낸 시집 《응향》에 〈밤〉, 〈여명도〉, 〈길〉 등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하였다.[3] 그러나 1947년 《응향》에 발표한 〈여명도〉, 〈길〉 등의 작품이 반사회주의적이라는 이유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부터 반동 작가로 비판받자 월남하였다.[16] 이후 잡지 《백민》에 〈발길에 채인 돌멩이와 어리석은 사나이〉(1947), 〈유언〉(1948), 〈사랑을 지키리〉(1949)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종군기자단에 참가하였다.[16]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민주언론 운동을 하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기도 했지만 곧 무죄로 석방되었다.[16]

그 뒤로는 현실 정치와는 거리를 두고 언론과 문학활동에만 몰두하였다.[16] 1948년부터 1950년까지는 연합신문 문화부장, 한국 전쟁 종군작가단 부단장, 승리일보, 영남일보, 경향신문, 가톨릭신문 등의 편집국장 및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4] 또한 효성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으며, 1970년부터 1974년까지 미국 하와이 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한국문학을 강의하기도 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그의 반독재 경력을 높이 산 민주당 정권과, 1949년 육군정보국에서 일하던 시절부터 친분을 쌓은 박정희가 정계입문을 권하기도 하였으나 모두 거절하였다.[16]

1976년부터 중앙대학교에서 시론 강의를 했고, 1979년부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1996년부터 중앙대학교 대학원 객원교수, 1998년부터 흥사단 명예단우로 활동하면서 시를 비롯하여 희곡, 시나리오, 수필 등의 작품 활동을 병행했다.

그의 작품은 주로 가톨릭 신앙에 바탕한 것으로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프랑스 문부성에서 선정한 세계 200대 시인에 들기도 하였다. 화가 이중섭, 승려 중광, 장애인 화가 김기창, 시인 고은 등 다양한 방면의 예술가와 교류하였다.[17]

2. 6. 사망과 사후

구상은 2004년 5월 11일에 지병인 폐질환과 교통사고 후유증이 악화되어 향년 86세(만 8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경기도 안성시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17]

3. 작품 세계

구상은 소천주(So Chong-ju)와 같은 시인들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세련된 상징과 수사법 대신 직접적이고 솔직한 표현을 사용했다.[6] 그의 시는 도시나 자연 속에서 개인적인 인식의 순간을 불러일으키고, 더 일반적인 중요성에 대한 고찰과 영원의 존재에 대한 명상으로 이어진다. 환경 오염, 건강, 영성 등이 그의 시의 주제였다.[6]

구상은 현대 사회의 불의, 불평등, 부조리를 비판하고,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시적 미학을 추구했다. 그는 영적인 깊이가 없는 예술적 감성과 역사의식이 없는 지성을 모두 거부했으며, 한국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고통을 극복하고 구원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했다. 또한 선(禪)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들을 기독교적 구원 신앙과 융합하여 인간 존재의 깊이를 탐구했다.[7][8]

3. 1. 주요 특징

구상은 대학생 시절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초기 시들은 원산문학예술가협회에서 발간한 시집에 실렸다. 이 시들은 북한 공산당으로부터 심한 비판을 받았고, 그는 남한으로 탈출했다.[5]

구상은 문학, 사회 문제, 종교에 관한 수필과 희곡도 썼으며, 문학 작품집을 편집하기도 했다. 그의 많은 시들은 한국 역사 속에서 그가 살아온 삶을 보여주며, 이러한 시들은 『모과나무의 매듭까지도(Even the Knots on Quince Trees)』에 수록되어 있다.[6]

학자들은 그의 시에 직접적이고 언어적 장치가 부족한 점을 지적했다. 한국 시에 대한 권위자인 안토니오 형제(Brother Anthony)에 따르면, 그의 시는 "소천주(So Chong-ju)와 같이 종종 더 높이 평가받는 시인들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세련된 상징과 인위적인 수사법을 거부하는 특징이 있다. 대신 구상은…[종종] 도시나 자연 속에서 개인적인 인식의 순간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시를 시작하여, 거기에서 더 일반적인 중요성에 대한 고찰로 옮겨가며, 시는 종종 시간 속에서 영원의 존재에 대한 명상으로 바뀐다." 그의 시의 주제에는 환경 오염, 건강, 영성 등이 포함된다.[6]

구상의 시는 현대 사회의 불의, 불평등, 부조리를 강력하게 비판한다. 그의 작품은 동시에 그의 기독교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시인에게 영원한 개인적 회개의 원천을 제공한다. 구상의 작품은 견고한 존재론적 토대에서 나오는 시적 미학을 추구하는 시인의 탐구에 몰두하고 있다. 구상은 영적인 깊이가 부족한 예술적 감성과 역사의식이 부족한 조잡한 지성을 모두 거부한다. 그의 시집 『황무지 시(Wasteland Poems)(Chotoui Si)』는 이러한 시인의 입장을 생생하게 드러낸다.[7]

이 시들은 구상 자신의 한국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극복하고 구원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한다. 구상은 그의 시적 활동을 확고한 기독교 신앙에 근거하고 있지만, 다양한 다른 영적, 종교적 영향도 받아들인다. 그의 시는 한국 민족의 건국 신화, 한국 전통 문화, 중국 문학의 엘리트 문화, 자연의 작용, 선(禪) 불교의 사색 전통, 도교 사상 등을 언급한다. 구상은 이러한 다양한 사상들을 기독교적 구원의 신앙과 매끄럽게 융합한다. 한국 전통과 종교적 신앙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그의 시는 역사의 의미에 대한 끊임없는 의식을 가지고 인간 존재의 깊이를 탐구한다. 동시에 그의 시는 절대적인 신앙의 영역을 포착하려고 한다.[8]

3. 2. 다양한 영적, 종교적 영향

구상의 시는 현대 사회의 불의, 불평등, 부조리를 강하게 비판한다. 그의 작품은 기독교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시인에게 영원한 개인적 회개의 원천을 제공한다.[7] 구상은 영적인 깊이가 부족한 예술적 감성과 역사의식이 부족한 조잡한 지성을 모두 거부한다. 그의 시집 《황무지 시(Wasteland Poems)》(초토의 시)는 이러한 시인의 입장을 잘 보여준다.[7]

이 시들은 한국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극복하고 구원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한다. 구상은 시적 활동의 기반을 확고한 기독교 신앙에 두면서도, 다양한 다른 영적, 종교적 영향도 받아들인다. 그의 시는 한국 민족의 건국 신화, 한국 전통 문화, 중국 문학, 선(禪) 불교의 사색, 도교 사상 등을 언급한다. 구상은 이러한 다양한 사상들을 기독교적 구원의 신앙과 매끄럽게 융합한다. 한국 전통과 종교적 신앙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그의 시는 역사의 의미를 탐구하며 인간 존재의 깊이를 파고드는 동시에 절대적인 신앙의 영역을 포착하려고 한다.[8]

3. 3. 작품 목록

구상은 대학생 시절부터 시를 썼고, 문학, 사회 문제, 종교에 관한 수필도 썼으며 문학 작품집을 편집하기도 했다. 그의 시는 한국 역사 속 그의 삶을 보여주는 작품(『모과나무의 매듭까지도』[6])과 현대 사회의 불의, 불평등, 부조리를 비판하고 기독교 신앙에 뿌리를 둔 작품으로 나뉜다. 또한, 선 불교 사색, 도교 사상 등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8] 희곡도 썼다.

3. 3. 1. 시집


  • 구상 시집 (1951)
  • 초토의 시 (청구문화사, 1956)[7][8]
  • 말씀의 실상 (1980)
  • 까마귀 (한국문학도서관, 1981)
  • 드레퓌스의 벤치에서 (1984)
  • 구상연작시집 (시문학사, 1985)
  • 개똥밭 (자유문학사, 1987)
  • 유치찬란 (한국문학도서관, 1989)
  • 조화 속에서 (한국문학도서관, 1991)
  • 오늘 속의 영원, 영원 속의 오늘 (미래문화사, 1996)
  • 인류의 맹점에서 (문학사상사, 1998)
  • 두 이레 강아지만큼이라도 마음의 눈을 뜨게 하소서 (성바오로딸수녀회, 2001)

3. 3. 2. 번역 작품

'''영어'''

  • ''WASTELANDS OF FIRE: 구상 시집'', Brother Anthony 번역. Forest Books: 런던. 1989
  • ''Infant Splendor: 시와 그림'', Brother Anthony 번역. Samseong: 서울. 1990
  • ''River and Fields: 한국의 한 세기'', Brother Anthony 번역. Forest Books: 런던, 1991

'''독일어'''

  • 드뢰퓌스의 벤치 (''Deurepwiseu-ui benchi-eseo'')[9]

'''스웨덴어'''

  • 영원한 삶: 시 (''Gusangsiseon '')[10]

'''이탈리아어'''

  • 크리스토퍼의 강 (''Gusangsiseon'')[11]

'''프랑스어'''

  • 불탄 땅 (''Choto-ui si'')[12]
  • 현대 한국 시인 12인 (''Hanguk hyeondaesi'')[13]

4.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1955년금성화랑 무공훈장
1957년서울시 문화상
1970년국민훈장 동백장
1980년대한민국 문학상 본상
1993년대한민국 예술원상
2004년금관문화훈장


5. 구상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s://web.archive.[...] 2013-09-03
[2] 간행물 The Poetry of KuSang[:] Consonance of Existence and Eternity koreana.kf.or.kr/vie[...] 1994
[3] 웹사이트 Ku Sang (1919 - 2004) https://web.archive.[...] Sogang Hompi 2013-11-21
[4]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s://web.archive.[...] 2013-09-03
[5] 간행물 The Poetry of KuSang[:] Consonance of Existence and Eternity koreana.kf.or.kr/vie[...] 1994
[6] 웹사이트 Ku Sang: Biography https://web.archive.[...] 2009-12-12
[7]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s://web.archive.[...] 2013-09-03
[8]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s://web.archive.[...] 2013-09-03
[9] 작품 드레퓌스의 벤치에서
[10] 작품 구상시선 <영원히>
[11] 작품 구상시선
[12] 작품 초토의 시
[13] 작품 한국 현대시
[14] 웹사이트 (73)능성 구씨(綾城具氏)-120,503명 http://www.seoulecon[...] 2014-09-12
[15] 웹사이트 삼성 구자욱, 알고보니 구상 시인의 종증손 http://www.munhwa.co[...]
[16] 서적 청년아, 울더라도 뿌려야 한다 홍성사
[17] 뉴스 [week&커버스토리] 추모여행,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소풍’ https://web.archive.[...] 중앙일보사 2009-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