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일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일사는 927년 영조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대구광역시 앞산 중턱에 위치해 있다. 1915년에는 독립운동가들이 비밀결사인 조선국권회복단의 중앙총부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의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2015년부터는 독립운동 선열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사찰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으며, 대웅전, 관음전 등을 건립하고 어린이집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볼거리로는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된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왕건이 머물렀다는 왕굴, 남북통일을 기원하는 통일기원돌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화사 - 은적사 (대구 남구)
    은적사는 대구광역시 남구에 있는 사찰로, 926년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 중창과 재건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다양한 활동과 함께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 등을 보유하고 있다.
  • 동화사 -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는 죽은 이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에 사용되는 불화로, 1728년 제작되었으며, 조선 후기 삼장보살도 연구에 중요한 기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구광역시의 절 - 파계사
    파계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아홉 갈래 물줄기를 모아 기운을 보존한다는 의미를 지닌 사찰로, 조선시대 왕실의 보호를 받았으며, 현재 다양한 전각과 여러 지정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절 - 부인사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되어 고려 시대 초조대장경을 봉안하며 번성했던 부인사는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으로 소실 후 중건되었으며, 대웅전, 선덕묘와 함께 승시가 열렸던 절터, 포도밭, 당간지주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 신라의 절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신라의 절 - 범어사
    범어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고, 조선시대 불교 탄압에도 존속하며 근대 고승들의 수행을 통해 선불교 전통을 계승하고, 현재도 한국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사찰이다.
안일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안일사 전경
안일사 전경
위치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440 (대명동)
종류사찰
상세 정보
지정 번호미지정
시대미상
소유자안일사

2. 역사

927년(경순왕 1년) 영조대사가 안일사를 창건하였으나, 근대까지의 역사는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2]

안일사는 대구 지역 독립운동의 장소로써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1915년 윤상태, 서상일, 이시영 등 13인의 독립운동가들은 안일사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를 조직하였고, 1919년 3·1 운동 이후에는 상해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군자금 모금 운동을 벌이는 등 항일운동의 본부 역할을 했다.[3]

1932년 경송이 중창하였고, 1960년에는 주지 철인이, 1972년에는 주지 시진이 대웅전을 중창하였다.

1990년대부터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여, 2000년 주지 혜정이 새 대웅전 건립 불사를 진행, 2008년 주지 선광이 대웅전을 완공하였다. 2013년에는 관음전을 건립하고 천수천안관세음보살삼존좌상을 조성했으며, 2018년에는 일주문, 종각, 요사채를 건립하였다.

1990년부터 대명동 주택가에 포교당과 반야어린이집을 운영하며, 2015년부터 조선국권회복단선양회와 함께 독립운동 선열 36인의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안일사 불자들은 신행 혁신을 실천하며, 지역 내 소외된 이웃에게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4]

2. 1. 창건과 조선시대

927년(경순왕 1년) 영조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근대까지의 역사는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2]

2. 2.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1915년 1월 15일, 윤상태, 서상일, 이시영 등 13인의 독립운동가들이 안일사에서 대한민국의 광복을 위해 비밀결사인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를 조직하였다. 1919년 3·1 운동 이후에는 상해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군자금 모금 운동을 벌이는 등 항일운동의 본부 역할을 했다.[3] 안일사는 대구 지역 독립운동의 장소로써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3]

2. 3. 현대

1932년 경송이 안일사를 중창하였고, 1960년에는 주지 철인이, 1972년에는 주지 시진이 대웅전을 중창하였다.[2]

199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안일사의 현재 모습이 갖추어지기 시작했다. 2000년 주지 혜정이 새 대웅전 건립 불사를 진행하였고, 2008년 주지 선광이 대웅전을 완공하였다. 2013년에는 관음전을 건립하고 천수천안관세음보살삼존좌상을 조성했으며, 2018년에는 일주문, 종각, 요사채를 건립하였다.[4]

1990년부터 대명동 주택가에 포교당과 반야어린이집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반야어린이집은 어린이 불자 양성과 불교 및 사찰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하고 안일사와 지역민을 연결하는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대구 지역 독립운동의 대표격인 안일사는 2015년부터 조선국권회복단선양회와 함께 독립운동 선열 36인의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또한 안일사 불자들은 '''신묘장구대다라니 108독 수행정진'''을 통해 신행 혁신을 실천하며, 지역 내 소외된 이웃과 저소득층 주민에게 라면과 김치를 나누는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4]

3. 현황

안일사는 대구시민의 휴식공원 역할을 하는 앞산의 중턱에 위치해 있으며, 탁 트인 경관으로 인해 마음이 시원하게 열리는 공간이다. 앞산순환도로에서 1km 정도 거리에 있어 접근성도 좋으며, 도심 속의 산중 사찰로 각인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 덕분에 안일사는 불자들과 대구시민들에게 산중에 있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드문 사찰로 자리 잡았다.[5]

4. 주요 볼거리

안일사에는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태조 왕건이 머물렀다고 전해지는 왕굴, 김종환 씨가 남북통일을 기원하며 쌓은 통일기원돌탑 등이 있다.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되었으며, 1694년에 조성되었다.[1] 통일기원돌탑은 전국 최대 규모의 돌탑으로, 높이는 23m, 둘레는 75m이다.

4. 1.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되었다.[1] 이 불상은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상호나 착의법 등에서 17세기 후반 목조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1] 복장유물인 석가모니불조성기(釋迦牟尼佛造成記)에 따르면, 조각승 탁밀(卓密)과 보웅(普雄) 등이 1694년(숙종 20)에 조성한 것이다.[1]

4. 2. 왕굴

태조 왕건이 머물렀다고 전하는 동굴이다.

4. 3. 통일기원돌탑

김종환 씨가 남북통일을 기원하며 쌓은 전국 최대 규모의 돌탑이다. 높이는 23m, 둘레는 75m이며, 15ton 트럭 528대 분량의 돌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웹인용 안일사 - 대구광역시 남구 문화 https://nam.daegu.kr[...]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2024-10-11
[2] 웹인용 안일사 - 대구역사문화대전 : 중구 https://www.grandcul[...] 2024-10-11
[3] 웹인용 왕건과 독립운동의 역사가 서려 있는 안일암 https://www.ohmynews[...] 2024-10-11
[4] 웹인용 "[가고 싶은 절] 대구 앞산 안일사" https://www.ibulgyo.[...] 2024-10-11
[5] 웹인용 대한민국 구석구석 - 안일사 (대구) https://korean.vis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