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전지대 (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전지대는 노면전차 정류장이나 넓은 도로의 횡단보도 중간에 설치되어 보행자나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노면전차 궤도가 도로 중앙에 있는 경우 정류장에 플랫폼 형태의 안전지대가 설치되며, 도로 폭이 좁거나 교차로 부근에서는 도로 표시로 대체되기도 한다. 일본의 도로교통법은 안전지대를 노면전차 승강자나 횡단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시설로 정의하며, 안전지대 침범 시 법규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홍콩에서도 넓은 도로의 횡단보도에 안전지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전지대 지시등을 표지판으로 설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행자 시설 - 횡단보도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안전하게 건너도록 지정된 구역으로, 기원전부터 존재했으며 교통량과 안전을 고려해 다양한 형태와 기준으로 설치되고, 예술적인 디자인과 장애인 편의 시설 확대를 포함하여 국가 및 지역별로 설치 기준과 디자인에 차이가 있다.
  • 보행자 시설 - 보행자 공간
    보행자 공간은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차량 통행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구역으로, 대기 오염 감소와 쾌적한 도시 환경 조성에 기여하지만 주차 공간 부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도로 시설 - 갓길
    갓길은 도로 가장자리의 차도와 분리된 공간으로, 긴급차량 통행, 비상 정차, 혼잡 시 추가 차로 활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국가별로 추가 활용 사례와 구조, 폭이 다르다.
  • 도로 시설 - 공도
    공도는 일반 교통에 제공되는 길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도로법에 따라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포함되고, 도로교통법의 적용을 받으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 도로 교통 안전 - 교통안전
    교통안전은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 문제로 교통사고 예방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을 의미하며, 특히 한국은 OECD 국가 중 높은 교통사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교통법규 준수, 안전시설 개선, 안전교육 강화 등의 해결책이 요구된다.
  • 도로 교통 안전 - 볼라드
    볼라드는 본래 선박 계류용 말뚝이었으나, 현대에는 보행자 및 차량 안전 확보와 교통 흐름 제어를 위한 차량 방지턱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어 기능과 디자인을 고려하고, 충격 흡수 기능이 추가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으며, 건물 보호, 주차 공간 확보, 교통 유도, 예술 작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안전지대 (교통)
개요
종류교통 시설
위치도로
목적보행자 안전 확보
정의
정의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나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도로 위에 설치된 구역
설치 기준
보도 미설치 도로보도가 없는 도로에서 횡단보도와 연결되어 설치됨
횡단보도 대기 공간 부족 시횡단보도 앞 대기 공간이 부족할 경우 설치되어 보행자 안전을 확보
효과
보행자 안전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보호
교통 흐름 개선보행자와 차량의 흐름을 분리하여 교통 혼잡을 줄임
문제점
주정차 문제일부 운전자들이 안전지대에 불법 주정차하여 보행자 안전을 위협
관리 미흡안전지대 시설물 파손 및 유지보수 미흡으로 기능 저하
관련 법규
도로교통법안전지대 설치 및 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
보행안전법보행자 안전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규정
안전지대 (교통)
영어Refuge island
일본어安全地帯 (anzen chitai)

2. 정의 및 설치

안전지대는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노면전차에 타고 내리거나 길을 건너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에 설치된 섬 모양의 시설, 도로 표지 또는 도로 표시로 나타내는 도로의 부분을 의미한다.[1]

안전지대는 주로 보행자가 한 번에 건널 수 없는 넓은 도로의 횡단보도 중간에 섬 모양으로 설치된다. 일본의 경우, 노면전차 궤도를 도로 중앙에 설치하고 전차 정류장에 플랫폼 형태의 안전지대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2. 1. 노면전차 정류장

노면전차 궤도는 주로 도로 중앙에 위치하며, 전차 정류장에는 플랫폼 형태의 안전지대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 도로 폭이 좁거나 교차로 부근 등에는 구조물 설치가 어려워 도로 표시로 안전지대를 대신하기도 한다.[1] 도로 표시는 흰색 선이나 노란색 굵은 선으로 안전지대 부분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나타내며, 파란색 바탕에 흰색 V자 모양의 도로 표지판이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1]

2. 2. 횡단보도

폭이 넓은 도로의 횡단보도 중간에는 섬 모양의 안전지대가 설치되는데, 이는 보행자가 한 번에 건너지 못하는 경우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1]

3. 일본의 안전지대

일본 도로교통법에서는 안전지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노면전차에 승강하는 자 또는 횡단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된 섬 모양의 시설 또는 도로 표지 및 도로 표시로 안전 지대임을 나타내는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항 제6호)

일본의 노면전차는 궤도를 도로 중앙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전차 정류장에는 보통 구조물로 된 플랫폼이 설치되는데, 이 플랫폼도 안전지대에 해당한다.

도로 폭이 좁거나 교차로 부근 등에는 구조물 대신 도로 표시로 안전지대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는 흰색 선으로 안전지대 부분을 표시하고, 노란색 굵은 선으로 둘러서 표시한다. 전차 정류장 표지판 외에 파란색 바탕에 흰색 V자 모양의 도로 표지도 함께 설치된다.

3. 1. 일본의 안전지대 관련 의무


  • '''안전지대에는 차량이 진입해서는 안 된다.''' (일본 도로교통법 제17조 제6항)[1]
  • 전차 정류장에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정차 중인 노면전차가 있는 경우:[1]
  • 해당 전차 정류장에 안전지대가 없는 경우에는, 승객의 승하차 및 승하차에 따른 도로 횡단이 완전히 끝나고, 또한 승하차를 위해 도로를 횡단하려는 사람이 없어질 때까지 차량은 '''그 뒤에서 정지해야 한다'''. 다만, 승객이 승하차 및 도로 횡단을 마치고, 횡단하는 보행자가 없으며, 노면전차의 승하차부에서 1.5m의 간격을 두고 통과할 수 있는 경우에는 노면전차의 왼쪽을 '''서행하여''' 통과할 수 있다.
  • 해당 전차 정류장에 안전지대가 있는 경우에는, '''서행하여''' 통과할 수 있다.
  • 노면전차의 유무 및 승하차 상황에 관계없이, 진행 방향 측(도로 중앙에서 왼쪽)의 안전지대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는 서행해야 한다'''. (같은 법 제71조)[1]
  • 안전지대의 왼쪽과 그 앞뒤 10m는 주정차를 금지하는 장소이다.[1]

3. 2. 안전지대 관련 법규 위반 시 처벌

자동차의 운전으로 사람을 사상시키는 행위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2013년 법률 제86호) 시행으로, 자동차・원동기장치 자전거 운전자가 고의로 제17조 제6항을 위반하여 안전지대를 통행하다가 교통사고를 내어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사망하게 한 경우, '''위험운전치사상죄(통행금지도로 운전)'''로 최장 20년 이하의 징역(가중 시 최장 30년 이하)에 처해진다. 또한, 운전면허는 기본 점수 45점 - 62점에 의해 '''면허 취소・결격 기간 5년 - 8년의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3]

처음부터 강한 살의가 있었다는 등 고의성이 매우 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운전 처벌법이 아닌 형법상의 살인죄로 처벌된다. 살인죄는 반드시 재판원 제도 대상이 되며, 법정형은 사형・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이다.

3. 3. 안전지대가 없는 전차 정류장 사례

히로시마 전철 코아미초 정류장은 히로시마시에 있는데, 도로 폭이 매우 좁아서 안전지대 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신 도로 위에 흰 선을 그어 승차장으로 사용한다.[4][5] 도바시 - 칸논마치 사이 구간(코아미초 정류장 전후)에는 안전지대 폭이 매우 좁은 정류장이 많다. 그래서 이 구간에서는 자동차와 노면 전차의 최고 속도가 30km/h로 제한된다.

4. 홍콩의 안전지대

홍콩에서는 시가지 도로 등 폭이 넓은 차도에 있는 횡단보도 중앙부에 안전지대가 설치되어 있다.[6] 안전지대에는 안전지대 지시등이 설치된 표지판이 있다.[6]

5. 대한민국의 안전지대 관련 현황 및 정책

대한민국에서는 보행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지대 설치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위한 안전지대 설치에 주력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TSRGD-2016 regulations page 440 https://tsrgd.co.uk/[...]
[2] 간행물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guide Land Transport New Zealand 2007
[3] 문서 自動車の運転により人を死傷させる行為等の処罰に関する法律|自動車運転死傷行為処罰法
[4] 문서 『広電が走る街 今昔』
[5] 서적 全国鉄道事情大研究 草思社
[6] 서적 現代の香港を知るKEYWORD888 三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