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고르바토프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한 러시아 제국군 장교이자, 제2차 세계 대전 및 전후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낸 소련의 군인이다. 그는 대숙청으로 인해 투옥되었으나 복권되어 붉은 군대에 복귀, 여러 사단을 지휘하며 독일군의 동부 전선 진격에 기여했다. 종전 후 베를린 주둔 소련군 사령관, 소련 공수부대 사령관, 발트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육군대장으로 진급했다. 그의 자서전 《내 인생의 세월》은 1964년에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관련자 -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는 제1차 세계 대전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 참전하고 폴란드 군부총감을 역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패배하여 루마니아로 탈출 후 사망했다.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관련자 -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는 폴란드의 공산주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장군으로 복무했으며, 종전 후 폴란드 공산 정권 수립에 참여하여 반공 세력 탄압에 관여했지만 우크라이나 반군에 의해 사망하여 폴란드 인민 공화국 시절에는 영웅으로 칭송받았으나 논란으로 인해 현재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원어명Алекса́ндр Горба́тов
1955년경 고르바토프 장군
1955년경 고르바토프 장군
출생일1891년 3월 21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파호티노
사망일1973년 12월 7일
사망지소련 모스크바
국적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성별남성
군사 경력
충성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복무러시아 제국 육군, 소련군
복무 기간1912년~1937년, 1938년~1958년
최종 계급육군대장(1955년)
지휘제24군, 제3군, 제5충격군, 제11근위군, 소련 공수부대, 발트 군관구
주요 참전 전투/전쟁제1차 세계 대전
타넨베르크 전투
갈리시아 전투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브루실로프 공세
케렌스키 공세
러시아 내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서훈 내역소비에트 연방영웅

2.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하며 탄넨베르크 전투, 갈리치아 전투, 프셰미실 전투,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제1, 2차 마주리안 호수 전투, 브루실로프 공세, 케렌스키 공세 등 동부 전선의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2] 10월 혁명과 이어진 러시아 내전 이후인 1919년, 고르바토프는 붉은 군대의 지휘관으로 입대했다. 소련 지도부는 '장교'라는 단어가 붉은 군대에게는 지나치게 서구화된 표현이라 생각하여 모든 소련군 장교를 '지휘관'으로 분류했다.[2] 고르바토프는 뛰어난 공적을 세워 적기훈장을 받았다.[2] 러시아 내전이 끝날 무렵에는 적위군 기병사단 중 하나의 지휘관이 되었다.

1920년 4월에는 제58기병연대 지휘관이 되었고, 8월에는 독립바시키르기병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이후 투르케스탄 제4기병사단과 우크라이나의 제2기병사단도 지휘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하며 탄넨베르크 전투, 갈리치아 전투, 프셰미실 전투,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제1, 2차 마주리안 호수 전투, 브루실로프 공세, 케렌스키 공세 등 동부 전선의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2] 10월 혁명과 이어진 러시아 내전 이후인 1919년, 고르바토프는 붉은 군대에 지휘관으로 입대했다. 소련 지도부는 '장교'라는 단어가 붉은 군대에게는 지나치게 서구화된 표현이라 생각하여 모든 소련군 장교를 '지휘관'으로 분류했다.[2] 고르바토프는 뛰어난 공적을 세워 적기훈장을 받았다.[2]

1920년 4월에는 제58기병연대 지휘관이 되었고, 8월에는 독립바시키르기병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이후 투르케스탄 제4기병사단과 우크라이나의 제2기병사단도 지휘했다.

2. 2. 러시아 내전 참전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하며 동부 전선의 여러 전투(탄넨베르크 전투, 갈리치아 전투, 프셰미실 전투,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마주리안 호수 전투 1차 및 2차, 브루실로프 공세, 케렌스키 공세 등)에 참전했다.[2] 10월 혁명과 이어진 러시아 내전 이후인 1919년, 고르바토프는 붉은 군대의 지휘관으로 입대했다. 소련 지도부는 '장교'라는 단어가 붉은 군대에게는 지나치게 서구화된 표현이라 생각하여 모든 소련군 장교를 '지휘관'으로 분류했다.[2] 고르바토프는 뛰어난 공적을 세워 적기훈장을 받았다.[2]

1920년 4월에는 제58기병연대 지휘관이 되었고, 8월에는 독립바시키르기병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이후 투르케스탄 제4기병사단과 우크라이나의 제2기병사단도 지휘했다. 러시아 내전이 끝날 무렵에는 적위군 기병사단 중 하나의 지휘관이 되었다.

3. 전간기와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대숙청 기간 중 고르바토프는 '인민의 적'이라는 죄목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콜리마 금광으로 보내졌다.[3] 수년간 육체노동자로 일한 후 1941년 3월 복권되어 이전 계급으로 붉은 군대에 복귀했다.[3]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에는 제226보병사단의 지휘를 맡았다. 1941년 12월 27일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3] 이 직책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인 후 제3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붉은 군대의 독일 진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에는 소련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의 지휘 아래 베를린 주둔 소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부터 1954년까지는 소련 공수부대 사령관을 지냈고,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발트 군관구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1955년 3월 11일에는 육군대장(원수 바로 아래 계급인 4성 장군)으로 진급했다.[5]

그의 자서전은 1964년 3월호부터 5월호까지 소련 문예지 《노비 미르》에 연재되었고, 서방에서는 《내 인생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6]

3. 1. 대숙청과 복권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는 소련군 대숙청 기간 중 '인민의 적'이라는 죄목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콜리마 금광으로 보내졌다.[3] 수년간 육체노동자로 일한 후 1941년 3월 복권되어 이전 계급으로 붉은 군대에 복귀했다.[3] 1955년 3월 11일에는 육군대장으로 진급했다.[5]

그의 자서전은 1964년 3월호부터 5월호까지 소련 문예지 《노비 미르》에 연재되었고, 서방에서는 《내 인생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6]

3.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는 소련군 대숙청 기간 중 '인민의 적'이라는 죄목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콜리마 금광으로 보내졌다.[3] 수년간 육체노동자로 일한 후 1941년 3월 복권되어 이전 계급으로 붉은 군대에 복귀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에는 제226보병사단의 지휘를 맡았다. 1941년 12월 27일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3] 이 직책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인 후 제3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붉은 군대의 독일 진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에는 소련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의 지휘 아래 베를린 주둔 소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5년 3월 11일에는 육군대장(원수 바로 아래 계급인 4성 장군)으로 진급했다.[5]

4. 전후 활동과 말년

소련군 대숙청 기간 중 고르바토프는 '인민의 적'이라는 죄목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콜리마 금광으로 보내졌다. 수년간 육체노동자로 일한 후 1941년 3월 복권되어 이전 계급으로 붉은 군대에 복귀했다.[3]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에는 제226보병사단의 지휘를 맡았다. 1941년 12월 27일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3] 이 직책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인 후 제3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붉은 군대의 독일 진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에는 소련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의 지휘 아래 베를린 주둔 소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부터 1954년까지는 소련 공수부대 사령관을 지냈고,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발트 군관구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1955년 3월 11일에는 육군대장(원수 바로 아래 계급인 4성 장군)으로 진급했다.[5]

그의 자서전은 1964년 3월호부터 5월호까지 소련 문예지 《노비 미르/Новый мирru》에 연재되었고, 서방에서는 《내 인생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6]

4. 1. 주요 경력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는 소련군 대숙청 기간 중 '인민의 적'이라는 죄목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콜리마 금광으로 보내졌으나, 수년간 육체노동자로 일한 후 1941년 3월 복권되어 이전 계급으로 붉은 군대에 복귀했다.[3]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에는 제226보병사단의 지휘를 맡았으며, 1941년 12월 27일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3] 이후 제3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붉은 군대의 독일 진격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에는 소련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의 지휘 아래 베를린 주둔 소련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부터 1954년까지는 소련 공수부대 사령관을 지냈고,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발트 군관구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1955년 3월 11일에는 육군대장으로 진급했다.[5]

그의 자서전은 1964년 3월호부터 5월호까지 소련 문예지 《노비 미르》에 연재되었고, 서방에서는 《내 인생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6]

4. 2. 자서전 출간

참조

[1] 웹인용 Горбатов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http://wwii-soldat.n[...] 2020-06-27
[2] 서적 The Road to Stalingrad: Stalin's War with Germany 1984
[3] 웹인용 Документ 2294. О присвоении воинских званий высшему начальствующему составу Красной Армии. http://sovdoc.rusarc[...] 1942-12-27
[4] 서적 The First World War 1999
[5] 웹인용 Горбатов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http://www.warheroes[...] 2020-06-27
[6] 뉴스 General Alexander Gorbatov dies; Leader in war After His Purge https://www.nytimes.[...] 1973-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