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대장 (소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 육군대장은 소련군 육군 장성의 계급으로, 영국 및 미국의 대장에 해당한다. 1940년 도입되어 국방부, 총참모부 고위 장교, 공로 있는 군관구 사령관에게 수여되었으며, 1970년대부터는 KGB와 내무부 수장에게도 수여되었다. 해군에는 함대 제독, 공군, 포병, 기갑 부대 등에는 병과 원수 및 병과 주원수 계급이 존재했다. 1935년 붉은 군대에는 코만다름 1급 계급이 있었으며, 1940년 상급 대장 계급이 부활하여 게오르기 주코프, 키릴 메레츠코프, 이반 튜레네프 등이 최초로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4성장군 - 미하일 키르포노스
    미하일 페트로비치 키르포노스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한 소련 군인으로, 독소 전쟁 초기에 남서 전선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키예프 전투에서 전사 후 소련 영웅 칭호와 1급 조국전쟁 훈장을 받았다.
  • 소련의 4성장군 - 이반 치스차코프
    이반 미하일로비치 치스차코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의 군 사령관으로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종전 후에는 소련 제25군을 이끌고 북한에 진주하여 소련군정의 최고 책임자를 맡았으나, 북한 점령 과정에서의 만행, 김일성 신화 날조 논란과 함께 해방 직후 북한 사회 안정 노력으로 소련의 한반도 정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 소련 육군대장 - 파벨 그라초프
    파벨 그라초프는 소련군 공수부대에서 복무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고 러시아 연방 국방장관을 역임했으며, 체첸 전쟁에서의 부실한 지휘로 해임된 군인이다.
  • 소련 육군대장 -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는 소련 KGB 의장으로서 1991년 쿠데타를 주도했으나 실패하여 체포되었고, 이후 저술 활동을 하다가 사망했다.
육군대장 (소련)
계급 정보
군종소비에트 연방군
약칭해당 없음
계급해당 없음
NATO 계급해당 없음
비 NATO 계급해당 없음
창설1940년 6월
폐지1991년 12월
상위 계급소련 방 원수
하위 계급상장
동등 계급병과 원수
병과 총원수
함대 원수
휘장 정보
소원수 (小型)
소형 원수 성장
견장 (1974년-1991년)
견장 (1974년~1991년)
명칭
로마자 표기general armii
일본어上級大将 (じょうきゅうたいしょう)
로마자 표기Jōkyūtaishō
한국어육군대장

2. 역사

2. 1. 붉은 군대 계급 체계 변화 (1935-1940)

2. 2. 육군대장 계급 도입 (1940)

육군대장 계급은 일반적으로 국방부와 총참모부의 고위 장교, 그리고 공로가 있는 군관구 사령관에게 수여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KGB와 내무부 수장에게도 자주 수여되었다.

소련의 육군대장으로는 이반 체르냐홉스키 (소련 최연소 제2차 세계 대전 전선 사령관으로 동프로이센에서 전사), 알렉세이 안토노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시 총참모장, 승리의 훈장 수훈), 이사 플리예프 (오세티야 출신으로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제2차 세계 대전 사령관) 및 유리 안드로포프 (KGB 수장으로 이 계급을 보유) 등이 있다.

소련의 육군대장 계급은 영국 및 미국의 대장 계급에 해당한다. 소련 및 현재 러시아 계급 체계에는 원수 계급도 존재한다.

해군에 해당하는 계급은 함대 제독으로, 이는 소련러시아 해군에서 사용되었지만 훨씬 더 드물게 수여되었다.

육군대장 계급은 보병과 해병대에 사용되었지만, 공군, 포병, 기갑 부대, 공병 부대 및 통신 부대에서는 병과 원수 및 병과 주원수 계급이 사용되었다.

소련군의 전신인 붉은 군대에서는 건국 초에는 계급이 설정되지 않았지만, 1935년에 소련 원수가 제정되자 장관 상당 이상의 고급 장교는 일등 군 사령관/Командарм 1-го рангаru, 이등 군 사령관/Командарм 2-го рангаru, 군단장/Комкорru, 사단장/Комдивru, 여단장/Комбригru의 역할명으로 계급이 제정되었다. 장관 명칭으로서의 계급이 부활한 것은 1940년 5월의 일이며, 붉은 군 육군에서의 상급 대장은 같은 해 6월게오르기 주코프, 키릴 메레츠코프, 이반 튜레네프 3명이 최초의 수여자가 되었다. 이 중 주코프와 메레츠코프는 최종적으로 소련 원수까지 승진했다. 해군에서의 해군 원수 (1940 - 1945년, 1962년-), 병과에서의 병과 원수에 해당했다. 또한 군뿐만 아니라 내무부 장관이나 KGB 의장 등의 치안 부문의 수장에게도 종종 상급 대장의 계급이 수여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1-1945)

2. 4. 냉전 시기 (1946-1991)

육군대장 계급은 일반적으로 국방부와 총참모부의 고위 장교, 그리고 공로가 있는 군관구 사령관에게 수여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KGB와 내무부 수장에게도 자주 수여되었다.

소련의 육군대장으로는 이반 체르냐홉스키 (소련 최연소 제2차 세계 대전 전선 사령관으로 동프로이센에서 전사), 알렉세이 안토노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시 총참모장, 승리의 훈장 수훈), 이사 플리예프 (오세티야 출신으로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제2차 세계 대전 사령관) 및 유리 안드로포프 (KGB 수장으로 이 계급을 보유) 등이 있다.

소련의 육군대장 계급은 영국 및 미국의 대장 계급에 해당한다. 소련 및 현재 러시아 계급 체계에는 원수 계급도 존재한다.

해군에 해당하는 계급은 함대 제독으로, 이는 소련러시아 해군에서 사용되었지만 훨씬 더 드물게 수여되었다.

육군대장 계급은 보병과 해병대에 사용되었지만, 공군, 포병, 기갑 부대, 공병 부대 및 통신 부대에서는 병과 원수 및 병과 주원수 계급이 사용되었다.

3. 계급장 변천사

붉은 군대

35px

소련 육군 / 소련군칼라 계급장
견장
코만다름 1급 계급장(1935—1940)
60px
육군대장 칼라 계급장(1940—1943)
육군대장 야전 견장(1943—1955)
육군대장 정복 견장(1943—1955)
육군대장 정복 견장(1955-1974)
육군대장 정복 견장(1974-1991)
코만다름 1급
(1935—1940)칼라 계급장
일상복
(1940—1943)견장
야전복
(1943—1955)... 정복
(1943—1955)... 정복
(1955—1974)... 정복
(1974—1991)



1935년부터 1940년까지 붉은 군대에서는 코만다름 1급 계급이 사용되었다. 1940년부터 1943년까지는 칼라 계급장이 일상복에 사용되었다. 1943년부터는 견장이 야전복과 정복에 사용되었다.

3. 1. 1940-1943

1935년부터 1940년까지 붉은 군대에서는 코만다름 1급 계급이 사용되었다. 1940년부터 1943년까지는 칼라 계급장이 일상복에 사용되었다.

1943년부터는 견장이 야전복과 정복에 사용되었다.

3. 2. 1943-1955



1940년부터 1943년까지는 칼라 계급장이 일상복으로 사용되었다. 1943년부터 1955년까지는 견장이 야전복으로, 정복으로 사용되었다.

3. 3. 1955-1974



1955년부터 1974년까지 소련 육군대장의 정복 견장은 와 같았다.

3. 4. 1974-1991

(1974—1991)

4. 주요 인물

이름생년월일임명일
이반 튜렐레네프1892년 - 1978년1940년 6월 4일
요시프 아파나센코1890년 - 1943년1941년 2월 22일
드미트리 파블로프1897년 - 1941년1941년 2월 22일
니콜라이 바투틴1901년 - 1944년1943년 2월 12일
마르키안 포포프1902년 - 1969년1943년 8월 26일
알렉세이 안토노프1896년 - 1962년1943년 8월 27일
이반 페트로프1896년 - 1958년1943년 10월 9일
안드레이 바실리예비치 흐룰레프/Хрулёв Андрей Васильевичru1892년 - 1962년1943년 11월 7일
이반 체르냐호프스키1906년 - 1945년1944년 6월 26일
게오르기 자하로프1897년 - 1957년1944년 7월 28일
이반 마슬레니코프1900년 - 1954년1944년 7월 28일
막심 푸르카예프1894년 - 1953년1944년 10월 26일
세볼로트 메르쿨로프1895년 - 1953년1948년 11월 12일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 쿠라소프/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Курасовru1897년 - 1973년1948년 11월 12일
게르만 카피토노비치 말란딘/Герман Капитонович Маландинru1894년 - 1961년1948년 11월 12일
세르게이 슈테멘코1907년 - 1976년1948년 11월 12일
미하일 마리닌1899년 - 1960년1953년 8월 3일
파벨 바토프1897년 - 1985년1955년 3월 11일
쿠즈마 니키토비치 갈리츠키/Кузьма Никитович Галицкийru1897년 - 1973년1955년 8월 8일
알렉세이 세메노비치 자도프/Алексей Семенович Жадовru1901년 - 1977년1955년 8월 8일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1891년 - 1973년1955년 8월 8일
미하일 일리치 카자코프/Михаил Ильич Казаковru1901년 - 1979년1955년 8월 8일
알렉산드르 루친스키1900년 - 1990년1955년 8월 8일
스타니슬라프 포플라프스키1902년 - 1973년1955년 8월 8일
이반 세로프1905년 - 1990년1955년 8월 8일
이반 페듀닌스키1905년 - 1977년1955년 8월 8일
파벨 크로티킨1900년 - 1989년1959년 9월 8일
드미트리 다닐로비치 렐류셴코/Дмитрий Данилович Лелюшенкоru1901년 - 1987년1959년 9월 8일
블라디미르 드미트리예비치 이바노프/Владимир Дмитриевич Ивановru1900년 - 1968년1961년 5월 5일
블라디미르 콜파크치1899년 - 1961년1961년 5월 5일
발렌틴 안토노비치 펜코프스키/Валентин Антонович Пеньковскийru1904년 - 1969년1961년 5월 5일
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 크레이제르/Яков Григорьевич Крейзерru1905년 - 1969년1962년 4월 27일
이싸 플리에프1903년 - 1979년1962년 4월 27일
알렉세이 알렉세예비치 예피셰프/Алексей Алексеевич Епишевru1908년 - 1985년1962년 5월 11일
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1903년 - 1990년1963년 2월 22일
알렉세이 알렉세예비치 예피셰프/Алексей Алексеевич Епишевru1903년 - 1987년1964년 4월 13일
안드레이 트로피모비치 스투첸코/Андрей Трофимович Стученкоru1909년 - 1999년1967년 4월 12일
바실리 마르게로프1908년 - 1990년1967년 10월 28일
이오시프 이라클리예비치 구사코프스키/Иосиф Ираклиевич Гусаковскийru1904년 - 1995년1968년 2월 22일
세묜 이바노프1907년 - 1993년1968년 2월 22일
니콜라이 그리고리예비치 랴셴코/Николай Григорьевич Лященкоru1910년 - 2000년1968년 2월 22일
세르게이 스테파노비치 마랴힌/Сергей Степанович Маряхинru1911년 - 1972년1968년 2월 22일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라셴코/Петр Николаевич Лащенкоru1910년 - 1992년1968년 2월 22일
게오르기 이바노비치 헤타구로프/Георгий Иванович Хетагуровru1903년 - 1975년1968년 2월 22일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벨리크/Петр Алексеевич Беликru1909년 - 1980년1969년 2월 12일
아파나시 표도로비치 셰글로프/Афанасий Фёдорович Щегловru1912년 - 1995년1970년 4월 30일
표트르 이바노비치 이바슈틴/Петр Иванович Ивашутинru1909년 - 2002년1971년 2월 23일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코마로프스키/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Комаровскийru1906년 - 1973년1972년 11월 2일
알렉세이 이바노비치 라지예프스키/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Радзиевскийru1911년 - 1979년1972년 11월 2일
예브게니 이바노프스키1918년 - 1991년1972년 11월 3일
예브도킴 예고로비치 말체프/Евдоким Егорович Мальцевru1910년 - 1981년1973년 11월 3일
이반 샤브로프1916년 - 1992년1973년 11월 5일
이반 니콜라예비치 시카도프/Иван Николаевич Шкадовru1913년 - 1991년1975년 4월 29일
세멘 페트로비치 바샤긴/Семен Петрович Васягинru1910년 - 1991년1976년 2월 19일
유리 안드로포프1914년 - 1984년1976년 9월 10일
니콜라이 아니시모비치 셰롤코프/Николай Анисимович Щёлоковru1910년 - 1984년1976년 9월 10일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그리브코프/Анатолий Иванович Грибковru1919년 - 2008년1976년 10월 29일
이반 모이세예비치 트레티야크/Иван Моисеевич Третьякru1923년 - 2007년1976년 10월 29일
알렉산드르 테렌티예비치 알투닌/Александр Терентьевич Алтунинru1921년 - 1989년1977년 2월 16일
이반 알렉산드로비치 게라시모프/Ива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Герасимовru1921년 - 2008년1977년 10월 28일
블라디미르 고보로프1923년 - 2006년1977년 10월 28일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마요로프/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Майоровru1920년 - 2008년1977년 10월 28일
발렌틴 이바노비치 바렌니코프/Валентин Иванович Варенниковru1923년 - 2009년1978년 2월 17일
바딤 알렉산드로비치 마트로소프/Вадим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тросовru1917년 - 1999년1978년 12월 13일
세멘 쿠즈미치 츠비군/Семен Кузьмич Цвигунru1917년 - 1982년1978년 12월 13일
게오르기 카르포비치 치뇨프/Георгий Карпович Цинёвru1907년 - 1996년1978년 12월 13일
미하일 카자코프1917년 - 2004년1979년 2월 2일
겐나디 이바노비치 오바투로프/Геннадий Иванович Обатуровru1915년 - 1996년1979년 2월 19일
그리고리 이바노비치 살마노프/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Салмановru1922년 - 1993년1979년 10월 25일
이반 키릴로비치 야코블레프/Иван Кириллович Яковлевru1918년 - 2002년1980년 5월 7일
미하일 자이체프1923년 - 2009년1980년 11월 4일
표트르 게오르기예비치 루셰프/Петр Георгиевич Лушевru1923년 - 1997년1981년 11월 2일
미하일 소로킨1922년 - 2005년1981년 11월 2일
비탈리 미하일로비치 샤바노프/Виталий Михайлович Шабановru1923년 - 1995년1981년 11월 2일
유리 막시모프1924년 - 2002년1982년 12월 16일
드미트리 세메노비치 수호루코프/Дмитрий Семенович Сухоруковru1922년 - 2003년1982년 12월 16일
비탈리 바실리예비치 표도르추크/Виталий Васильевич Федорчукru1918년 - 2008년1982년 12월 17일
발레리 알렉산드로비치 벨리코프/Вале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еликовru1925년 - 1987년1983년 11월 4일
빅토르 체브리코프1923년 - 1999년1983년 11월 4일
표도트 필리포비치 크리브다/Федот Филиппович Кривдаru1923년 - 1998년1984년 10월 31일
니콜라이 파블로비치 예모호노프/Николай Павлович Емохоновru1921년 - 2014년1985년 4월 10일
알렉세이 드미트리예비치 리지체프/Алексей Дмитриевич Лизичевru1928년 - 2006년1986년 2월 19일
이반 마카로비치 볼로신/Иван Макарович Волошинru1923년 - 1990년1986년 5월 7일
보리스 바실리예비치 스네트코프/Борис Васильевич Снетковru1925년 - 2006년1986년 5월 7일
스타니슬라프 이바노비치 포스트니코프/Станислав Иванович Постниковru1928년 -1986년 11월 3일
필리프 데니소비치 봅코프/Филипп Денисович Бобковru1925년 - 2019년1987년 11월 30일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1924년 - 2007년1988년 1월 27일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아르히포프/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Архиповru1933년 - 2004년1988년 2월 16일
니콜라이 포포프1930년 - 2008년1988년 2월 16일
콘스탄틴 알렉세예비치 코체토프/Константин Алексеевич Кочетовru1932년 -1988년 4월 29일
아나톨리 블라디미로비치 베테흐틴/Анатол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Бетехтинru1931년 - 2012년1988년 11월 4일
블라디미르 니콜라예비치 로보프/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Лобовru1935년 -1989년 2월 15일
미하일 모이세예프1939년 -1989년 2월 15일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슈랄레프/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Шуралевru1935년 - 2020년1989년 2월 15일
마흐무트 아흐메토비치 가레예프/Махмут Ахметович Гареевru1923년 - 2019년1989년 11월 4일
1925년 - 2004년1990년 10월 24일
니콜라이 그라체프1930년 - 2013년1991년 2월 6일
빅토르 예르마코프1935년 -1991년 2월 6일
유리 알렉세예비치 야신/Юрий Алексеевич Яшинru1930년 - 2011년1991년 4월 29일
콘스탄틴 이바노비치 코베츠/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Кобецru1939년 - 2012년1991년 8월 24일


5. 다른 병과와의 관계

소련군의 전신인 붉은 군대에서는 건국 초기에는 계급이 없었으나, 1935년 소련 원수 제정 이후 고급 장교는 '일등 군 사령관', '이등 군 사령관', '군단장', '사단장', '여단장' 등의 역할명으로 계급이 제정되었다. 장관급 명칭으로서 계급이 부활한 것은 1940년 5월이며, 붉은 군 육군에서의 상급 대장은 같은 해 6월 게오르기 주코프, 키릴 메레츠코프, 이반 튜레네프 3명이 최초로 수여받았다. 이 중 주코프와 메레츠코프는 소련 원수까지 승진했다. 해군에서는 해군 원수(1940-1945년, 1962년-)와 병과에서의 병과 원수에 해당했다. 또한, 군뿐만 아니라 내무부 장관이나 KGB 의장 등 치안 부문 수장에게도 종종 상급 대장 계급이 수여되었다.

6. 해군과의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