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구화는 원래 서양 세계를 의미하며, 서양의 영향으로 다른 국가들이 산업, 기술, 법률, 정치, 경제, 생활 방식 등에서 서구 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아프가니스탄, 아르메니아, 일본, 대한민국 등 다양한 국가들이 서구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식민지화, 세계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서구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며, 키쇼어 마부바니는 새로운 세계 문명의 등장을, 새뮤얼 헌팅턴은 문명 충돌을, 에드워드 사이드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개념으로 서구화를 설명한다. 서구화는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에서 원주민의 언어, 문화적 소외를 야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지리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문화지리학 - 조국
조국은 개인의 혈통, 역사, 국적, 성장 배경, 조상의 삶과 관련된 국가를 의미하며, 가족적 유대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 세계화 - 세계 정복
세계 정복은 특정 국가나 세력이 지구상의 모든 영토와 인류를 지배하려는 목표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이 넓은 지역을 통치했지만 지구 전체를 정복한 사례는 없고, 현대에는 다자주의와 국제기구의 발전으로 영토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는 사실상 어려워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한 지배 시도가 논의된다. - 세계화 - 세계정부
세계 정부는 지구 전체를 통치하는 정치 체제에 대한 이상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사상가와 국제 기구의 발전을 통해 논의되어 왔으나, 국가 주권 문제 등으로 완전한 실현은 불확실한 상태이다. - 서양 문화 -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은 기원전 6세기경 이오니아 지방에서 시작되어 서양 철학의 기원이 되었으며, 자연 현상의 근본 원리 탐구에서 시작해 소피스트들의 논쟁,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과 윤리에 대한 심화, 그리고 헬레니즘 시대의 다양한 윤리 학파 등장으로 발전했다. - 서양 문화 - 서양 밀교
서양 밀교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하여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으며, 영지주의, 헤르메스주의, 카발라, 신지학 등 다양한 사상적 흐름을 포괄한다.
서구화 | |
---|---|
서구화 | |
정의 | 서구 문화와 가치의 전 세계적 채택 |
관련 용어 | 서구화 (Westernization) 구미화 (歐美化) 서양화 (西洋化) 서양 문명화 (Western Civilization) 세계화 (Globalization) 문화 제국주의 (Cultural imperialism) 문화적 동화 (Cultural assimilation) |
역사적 배경 | |
원인 | 식민주의 제국주의 세계화 |
주요 매개체 | 기독교 전파 서구식 교육 서구식 기술과 산업 언어와 문화적 영향 |
특징 | |
정치 및 사회 | 민주주의 자유주의 인권 개인주의 세속주의 |
경제 | 자본주의 산업화 자유 시장 경제 |
문화 | 서구식 복장 서구식 음식 서구식 음악 및 예술 미디어 및 대중문화 개인주의 및 소비주의적 가치관 |
영향 | |
긍정적 영향 | 근대화 경제 성장 기술 발전 보건 개선 교육 기회 확대 |
부정적 영향 | 문화적 동질화 및 문화적 다양성 감소 전통 문화의 파괴 환경 문제 사회 불평등 심화 정체성 위기 |
논쟁 및 비판 | |
비판적 관점 | 문화 제국주의의 한 형태 서구 중심주의적 시각 비서구 사회의 자율성과 정체성 침해 획일화된 세계 문화 형성 우려 |
대안적 관점 | 서구화는 불가피한 과정 문화적 교류와 융합의 결과 다양성과 정체성 유지 노력 필요 |
서구화의 예시 | |
아시아 | 일본의 메이지 유신 한국의 개화기 중국의 개혁개방 |
아프리카 | 식민지 시대의 서구식 교육 및 행정 체계 도입 서구식 정치 제도 및 경제 모델 도입 |
기타 지역 | 라틴 아메리카의 독립 운동과 근대화 과정 중동 지역의 서구식 생활 양식 도입 |
참고 문헌 |
2. 정의
"서구"는 원래 서양 세계를 뜻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고대 이집트와 같이 서양에 살았던 동양 문화(동방, 혹은 아시아)를 구별했다. 천 년 후, 동서 분열로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분리되었다.[47] 오늘날 대부분의 현대적 용어는 서구 사회와 그들의 가까운 족보, 언어, 철학적 후손들을 지칭하며, 전형적으로 유럽 문화에서 민족 정체성과 지배적인 문화가 파생된 나라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비슷한 역사적 배경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서구 국가들과 인구 사이에 많은 문화적, 언어적, 종교적, 정치적, 경제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구 세계를 하나의 단일체로 간주하는 것은 옳지 않다.
서양 문화는 일반적으로 호주, 캐나다, EFTA와 EU의 모든 유럽 회원국, 유럽 소국, 뉴질랜드, 영국, 미국을 포함한다.
서구화는 서구 사회가 산업, 기술, 법률, 정치, 경제, 생활방식, 식생활, 의복, 언어, 알파벳, 종교, 철학, 가치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구의 영향을 받거나 서구 문화를 채택할 때 발생한다.[50]
2. 1. 서구화에 영향을 받은 국가들
서구화 과정에서 영향을 받은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아프가니스탄'''[51]: 1960년대부터 1973년 아프가니스탄 쿠데타와 모함마드 다우드 칸의 정권, 그리고 1978년 사우르 혁명에 이르는 무함마드 자히르 샤 통치 시기까지 서구화 시도가 있었다.
- '''알제리'''[52]: 1991년 알제리 내전 이전, 우아리 부메디엔(1965년 이후)과 샤들리 벤제디드(1979년 이후) 정부 시절 알제리는 북아프리카 서부에서 지배적인 국가였다. 이 시기는 "Algeria's Belle Époque"로 기억되며, 알제리는 유럽, 특히 프랑스의 영향력이 가장 큰 북아프리카 국가이다.
- '''UAE(아랍 연합 공화국)'''[73]: 이집트, 북아프리카, 시리아, 중동(당시 아랍 공화국)은 1958년부터 1970년까지 가말 압델 나세르 정부 시절 아랍 사회주의 정책을 통해 서구화되었다. 이 연합은 리비아와 요르단에 정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집트는 콥트 정교회 공동체 외에도 무함마드 알리 파샤, 특히 이스마일 파샤 통치 이후 현대화를 시도했으며, 수단도 이들의 Khedive의 정치적 지배하에 있었다.
위에 언급된 국가들 외에도 서구화의 영향을 받은 국가의 범위를 넓히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2. 1. 1. 아시아
아프가니스탄은 1920년대 아마눌라 칸 국왕과 소라야 타르지 왕비의 개혁, 그리고 1960년대부터 1973년 쿠데타 이전 무함마드 자히르 샤 통치 기간 동안 서구화를 시도했다.[51]아르메니아는 코카서스 지역에 위치하며, 301년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한 최초의 국가이다.[53][54][55][56][57] 현재 아르메니아 정부는 서방 국가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럽 평의회(CoE),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등 다양한 유럽 기구의 회원이다.[53][54][55][56][57] 2017년 EU와 CEPA 협정을 체결하여 경제적, 정치적 유대를 강화했다.[53][54][55][56][57]
아제르바이잔은 코카서스 산맥에 위치한 튀르크 국가로, 무슬림 국가 중 처음으로 오페라, 극장, 연극을 가졌고 세속주의와 종교적 관용을 지지한다.[58] 유럽 평의회 등 유럽 기구에도 참가하며, UEFA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등 스포츠 및 문화 행사에도 참여한다.[58]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는 극동에 위치하지만, 유럽(특히 영국과 포르투갈)과 미국 문화의 영향으로 서구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란은 1979년 이란 혁명 이전 팔라비 왕조 시절 레자 샤 황제의 개혁으로 서구화되었다.[60] 세속적이고 자유 시장 경제 체제를 갖춘 민주 정부가 있었으며, 1963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의 백색 혁명 이후 높은 생활 수준을 누렸다.[60]
이라크의 친서방 개혁은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압드 알카림 카심 정권과 1968년부터 1979년까지 아흐메드 하산 알바크르 정부 동안 이루어졌다.[61]
이스라엘은 중동에 위치하지만, 디아스포라를 통해 서구 문화가 유입되었고, OECD 회원국이며, UEFA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등 유럽 기구의 회원이다.[62][63]
일본과 한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하지만, 메이지 유신(일본 제국)과 고종 통치(대한제국) 이후 서구화되어 민주 정부, 자유 시장 경제, 높은 생활 수준을 갖추고 서구 과학 기술에 기여했다.[64][65] 두 나라에는 미군 기지가 주둔하며, 유럽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64][65]
카자흐스탄은 중앙 아시아에 위치한 튀르크 국가이지만, 동유럽에 영토 일부를 가지고 있다.[66] 러시아 문화의 영향이 크며, UEFA 등 유럽 단체의 회원이다.[66]
레바논은 중동에 위치하지만, 기독교인들이 서구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프랑스어가 널리 사용된다.[68]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려 했으나 탈퇴했다.[69]
필리핀은 동남 아시아에 위치하지만, 유럽(특히 스페인)과 미국 문화의 영향으로 서구화된 것으로 평가받으며, 기독교 인구가 약 90%를 차지한다.[70]
태국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하지만, 서구 열강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서구화를 통해 근대화된 국가이다.[71]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었으며, 현재 서구 국가들과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71]
터키는 동남유럽과 서아시아에 걸쳐 있지만,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개혁 이후 서구화된 튀르크 국가이다.[72] 유럽 연합과 관세 동맹을 맺고 있으며, OECD, 유럽 평의회, NATO 등 서구 조직의 일원이다.[72]
2. 1. 2. 아프리카
카보베르데[59]는 서아프리카에 있는 섬나라이다. 카보베르데는 유럽 문화(특히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조레스, 마데이라(포르투갈), 카나리아 제도(스페인)와 함께 마카로네시아의 군도에 속한다. 이 때문에 이베리아 국가들과 긴밀한 외교 문화 관계를 맺고 있으며 심지어 EU와 NATO와 같은 서구 기구들에 접근하려고 노력해왔다.남아프리카는 지리적으로 남아프리카에 위치하는데, 유럽 문화(특히 영국과 네덜란드)의 영향이 심하기 때문에 서구화를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인들은 남아공의 약 9%를 차지한다. 또 다른 9%는 혼혈이다. 그들 고유의 모국어를 유지해온 흑인 남아프리카인들과 달리, 대부분의 혼합 남아공인들은 아프리칸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인도 남아공인들은 오늘날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 집합적인 영어와 아프리커어 사용자들의 20%는 서양에 영향을 많이 받은 문화에서 살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백인과 콜로라도는 나미비아 인구의 10%가 넘는다. 그러나 서방 국가들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의 관계는 상당히 약하다.[70]
2. 1. 3.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대부분의 나라들은 서구 국가들로 간주되는데, 그 주된 이유는 대부분의 민족이 스페인인과 포르투갈인 정착민 및 후에 다른 유럽 국가로부터의 이민자의 후손이며, 그들의 사회는 매우 서구화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67] 실제로, 라틴 아메리카의 대부분의 나라들은 스페인어나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CIA에 따르면, 라틴 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로의 유럽 국가(예: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에서 이민도 상당했다.[67] 그러나 서방 국가들과 중남미 사이의 관계는 상당히 약하다.3. 서구화의 과정
서구는 원래 서양 세계를 뜻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고대 이집트와 같이 서양에 살았던 동양(동방, 혹은 아시아) 문화를 구별했다. 천 년 후, 동서 분열로 가톨릭 교회와 동방의 전통 교회가 서로 분리되었다. 서구의 정의는 서양의 영향을 받아 다른 나라로 확산되면서 변화했다. 이슬람과 비잔틴 학자들은 르네상스 시작에 기여했다. 10세기에 러시아가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피터 대왕이 네덜란드의 사상을 통해 정부, 교회, 사회를 현대화하면서 서구에 포함되었다.[47] 오늘날, 대부분의 현대적인 용어는 서구 사회와 그들의 족보, 언어, 철학적 후손들을 지칭하며, 전형적으로 유럽 문화로부터 민족 정체성과 지배적인 문화가 파생된 나라들이다. 그러나 서구 국가들과 인구 사이에 많은 문화적, 언어적, 종교적, 정치적, 경제적 차이가 존재하기에 서구 세계를 하나의 단일체로 간주하는 것은 옳지 않다.
서양 문화는 일반적으로 호주, 캐나다, EFTA와 EU의 모든 유럽 회원국들, 유럽 미시국가들, 뉴질랜드, 영국, 미국을 포함한다. 소련 시대 이전에 러시아는 서구 문명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8][49]
3. 1. 식민지화 (1400년대 ~ 1700년대)
1400년대부터 유럽화와 식민주의는 점차 세계 많은 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5세기에 걸쳐 지구 대다수를 식민지로 만들거나 지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지도자들과 학자들은 선천적인 자유와 국제적 평등을 확대하려고 노력했으며, 탈식민지화 시기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 말에 대부분의 식민지 국가는 자치권을 허용받았다. 그 새로운 국가들은 종종 서구 문화에 대해 빈번히 반응하면서 헌법과 같은 서구 정치의 일부 측면을 채택했다.유럽인에 의한 아메리카 대륙 및 오세아니아 식민화로 인해 해당 지역의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 구성이 변화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코스타리카, 우루과이와 같은 이주민 식민지에서는 기존의 원주민 인구가 비원주민 이주민에 의해 인구 통계학적으로 대체되었고, 이는 원주민의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소외로 이어졌다.
멕시코, 페루, 파나마, 수리남, 에콰도르,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벨리즈, 파라과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콜롬비아,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가이아나, 엘살바도르, 자메이카, 쿠바, 니카라과 등 원주민 인구가 많거나 유럽 이주민과 혼혈된 국가에서도 상대적인 소외는 여전히 존재한다.
라틴 아메리카는 이베리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지역 종교 형태 또한 기독교적 영향과 혼합되었다.[29] 멕시코에서는 원주민들이 기존의 구전 및 회화 형태의 의사 소통과 함께 문자를 채택했다.[30]
3. 1. 1. 아시아의 서구화
근본주의, 보호주의, 포용 등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 대한민국과 중국은 쇄국정책을 시도했으나, 결국 서구 문화의 일부를 수용했다. 특히 중국에는 서양의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맥도날드 매장이 1,300개 이상 들어섰다.[31]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적극적인 서구화를 추진했다. 매슈 캘브레이드 페리 미 해군 준장의 방문 이후, 일본은 서양 문화를 의도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많은 일본 정치인들은 탈아입구("아시아를 떠나는 것")를 주장하며 일본의 서구화를 장려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항복한 후, 일본의 서구화는 더욱 심화되어 오늘날 아시아에서 가장 서구화된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81]
이란은 팔레비 왕조 시기 서구화를 추진했으나, 이란 혁명으로 중단되었다.[37] 1930년대 초 샤 레자 칸이 시작하고 그의 아들이 지속한 서구화 시도는 보수적인 시아파 무슬림 대중을 자극하여 1979년 이란 혁명의 원인이 되었다.
터키는 오스만 제국 시기부터 서구화를 추진했으며,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개혁으로 가속화되었다. 탄지마트 시대로 알려진 19세기부터 서구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서양의 과학, 실천, 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그 결과, 터키는 가장 서구화된 이슬람 다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3. 2. 세계화 (1970년대 ~ 현재)
서구화는 종종 세계화 과정의 일부로 여겨진다. 서구 사상이 세계화를 이끌었고, 세계화가 서구 문화를 전파하여 서구화의 순환 고리를 만들었다는 견해가 있다. 민주주의와 헌법 같은 서구 정부 체제, 그리고 음악, 의복, 자동차와 같은 많은 서구 기술과 관습이 세계 각지에 소개되어, 비서구 국가에서 모방되고 창조되었다.[82]개인주의 문화의 확산과 결합된 경제적, 정치적(자유 무역) 민주화가 주요 특징이다. 이는 종종 세계적인 공산주의의 영향과 반대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1991년 말 소련이 붕괴되고 냉전이 끝난 후, 많은 구성 요소 국가와 동맹국들은 국가가 통제하는 산업의 민영화를 포함하여 서구화를 거쳤다.[82]
세계화가 서구화로 특징지어질 수 있느냐는 문제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여러 측면에서 볼 수 있다. 세계화는 경제, 정치, 음식,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일어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세계화를 서구의 강대국들과 비슷하게 만드는 세계화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세계화는 세계의 긍정적인 측면을 취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서구화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민주주의, 패스트푸드, 그리고 미국의 대중문화는 모두 세계의 서구화로 간주되는 예가 될 수 있다.[82]
피렌체 대학교의 Jura Gentium에서 발행한 '소셜 네트워크에 의해 경제하게 되는 Globe 이론 : "a new Sphere of influence 2.0"'에 따르면, 서구화에서의 역할 증가는 소셜 미디어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고 한다. 미국 소셜미디어(이란과 중국이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해)를 금지하기로 결정한 동양 현실과의 비교는 자국민의 서구화 과정과 소통 방식을 피하려는 정치적 열망을 나타낸다.[82]
4. 다른 관점
서구화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은 다음과 같다.
키쇼어 마부바니는 저서 『위대한 융합: 아시아, 서양, 그리고 하나의 세계의 논리』에서 새로운 세계 문명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비서구 국가들이 서구의 생활 수준을 따르려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새롭게 부상하는 세계 질서는 새로운 정책과 태도를 통해 통치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전 세계 정책 입안자들이 선입견을 버리고 우리가 한 세계에 살고 있음을 받아들여 국가 이익과 세계 이익의 균형, 권력 공유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74]
그는 "서구와 나머지 국가들" 사이에 갈등이 있다고 말하며, 비서구 문명이 서구 국가들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세 가지 형태를 제시한다.[74] 첫째, 자신의 가치를 보존하고 서구의 침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고립을 꾀할 수 있지만, 이는 비용이 많이 든다. 둘째, '밴드왜건' 이론에 따라 서구에 동참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셋째, 근대화를 통해 서구의 힘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새뮤얼 헌팅턴은 저서 『문명 충돌』에서 냉전 종식 이후 세계 정치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비서구 문명이 서구와 함께 세계 역사를 형성하고 이끌어가는 중요한 행위자가 되었다고 주장했다.[27] 그는 이데올로기 시대는 끝났지만, 세계는 문화적 갈등이 특징인 정상적인 상태로 회귀했을 뿐이며, 미래의 주요 갈등 축은 문화적, 종교적 경계를 따라 형성될 것이라고 주장했다.[28]
에드워드 사이드는 저서 『동양주의』에서 서구화를 식민지 과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고, 이는 '피지배 민족'을 본질화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행위라고 설명한다. 그는 아서 밸푸어 영국 총리가 이집트 문명에 대한 영국의 "이해"를 근거로, 영국의 문화적 강점이 이집트의 인종적 결함을 보완하여 영국을 자연스럽게 우위에 놓이게 한다고 주장하며 이집트 국민에 대한 지속적인 통치를 옹호했다고 말했다. 사이드는 한 사회에 대한 일관된 지식을 주장하는 행위는 실제로 그것을 객관화하고 타자화하여 주변화시킨다고 비판한다.
4. 1. 키쇼어 마부바니(Kishore Mahbubani)
Kishore Mahbubani의 저서 『위대한 융합: 아시아, 서양, 그리고 하나의 세계의 논리』는 새로운 세계 문명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대부분의 비서구 국가들이 서구의 생활 수준을 따르려 한다고 본다. 그는 새롭게 부상하는 세계 질서는 새로운 정책과 태도를 통해 통치되어야 한다고 경고한다. 전 세계 정책 입안자들이 선입견을 버리고 우리가 한 세계에 살고 있음을 받아들여야 하며, 국가 이익은 세계 이익과 균형을 이루고 권력은 공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74]그는 "서구와 나머지 국가들" 사이에 갈등이 있다고 말하며, 비서구 문명이 서구 국가들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세 가지 형태를 제시한다.[74]
# 비서구 국가들은 자신의 가치를 보존하고 서구의 침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고립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소수 국가만이 추구할 수 있다.
# '밴드왜건' 이론에 따르면, 서구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비서구 국가들도 서구에 동참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 비서구 국가들은 근대화를 통해 서구의 힘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그들은 경제, 군사력을 개발하고 서구에 대항하여 다른 비서구 국가들과 협력하면서도 자신의 가치와 제도를 보존할 수 있다.
마부바니는 다른 저서 『신아시아반구: 거역할 수 없는 힘의 동양으로의 이동』에서 서구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동양의 강대국들이 부상하면서, 서구 밖에 사는 56억 명의 사람들은 더 이상 서구 문명의 선천적 우월성을 믿지 않으며, 서구가 세계에서 가장 문명화된 지역으로 남아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고 말한다.[75]
그는 서구 영향력의 쇠퇴와 관련하여, 서구가 다른 나라들에게 신뢰를 잃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국제 문제보다 국내 문제를 우선시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중국 등 '비서구' 국가에 대한 인식에 점점 편향되고 폐쇄적이 되어, 민주적 형태의 정부를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해 '자유롭지 않은 나라'라고 선언한다.
# 국제 문제를 다룰 때 이중 잣대를 사용한다.
# 동양의 인구가 더 많은 권력을 얻으면서, 과거에 추구했던 서구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반미주의" 정서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동양 사고방식의 중요한 변화이다.
4. 2. 새뮤얼 헌팅턴(Samuel P. Huntington)
새뮤얼 헌팅턴(Samuel P. Huntington)은 저서 『문명 충돌(The Clash of Civilizations)』에서 종교를 기반으로 "서구"를 정의한다. 그는 유럽과 북미의 서구 기독교 지역을 서구로 간주하고, 나머지 세계를 라틴 아메리카, 유교, 일본, 이슬람, 힌두, 슬라브 정교회 등 6개의 다른 문명으로 구분했다.[26]헌팅턴은 냉전 종식 이후 세계 정치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비서구 문명이 서구와 함께 세계 역사를 형성하고 이끌어가는 중요한 행위자가 되었다고 주장했다.[27] 그는 이데올로기 시대는 끝났지만, 세계는 문화적 갈등이 특징인 정상적인 상태로 회귀했을 뿐이라고 믿었다. 미래의 주요 갈등 축은 문화적, 종교적 경계를 따라 형성될 것이라고 주장했다.[28]
4. 3.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
Edward Said는 저서 『동양주의』에서 서구화를 식민지화 과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고, 이는 '피지배 민족'을 본질화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행위라고 설명한다. 그는 Arthur Balfour 영국 총리가 19세기 후반 이집트에서 민족주의의 발전을 직업 통치의 "유익한" 제도에 역효과를 내는 것으로 간주했다고 말했다.[78]밸푸어는 이집트 문명에 대한 영국의 "이해"를 근거로, 영국의 문화적 강점이 이집트의 인종적 결함을 보완하여 영국을 자연스럽게 우위에 놓이게 한다고 주장하며 이집트 국민에 대한 지속적인 통치를 옹호했다. 이에 대해 사이드는 "밸푸어에게 지식은 문명의 기원부터 전성기, 쇠퇴기까지 문명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지식의 대상은 본질적으로 정밀조사에 취약하다. 다시 말해, 이 대상은 발전하거나 변화하거나 스스로 변형되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심지어 존재론적으로 안정적이다. 그런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은 그것을 지배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즉, 한 사회에 대한 일관된 지식을 주장하는 행위는 실제로 그것을 객관화하고 타자화하여 주변화시키며, 그 인종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을 "거의 어디에서나 거의 똑같다"로 만든다는 것이다.
사이드는 또한 이러한 "비이성적" 인종과의 관계는 "서구적"이라는 의미를 강화하고 일관성 있게 만드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동양이 비이성적이고, 타락하고, 어린이 같고, '다르다'면, 유럽은 이성적이고, 덕 있고, 성숙하고, 정상이다."라고 말한다. 따라서 "서구"는 "동양"과 마찬가지로 특정 권력 관계, 즉 외국의 식민지화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만들어진 개념이라는 것이다.
5. 결과
유럽인들의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식민지화로 인해 이 지역들의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 구성이 변화되었다.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과 같은 정착민 식민지에서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졌으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등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도 원주민 인구가 질병과 분쟁으로 인해 비원주민 정착민으로 대체되면서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인구 변화는 종종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소외를 초래했다.[29]
멕시코, 페루, 파나마 등 원주민 인구가 많거나 유럽 정착민과 혼혈된 국가들에서도 상대적인 소외가 여전히 존재한다. 식민지화와 유럽 이민으로 인해 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 북아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던 토착 언어는 현재 주로 유럽어 또는 크리올어가 되었다.
많은 토착 언어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그러나 뉴질랜드에서는 마오리어가 영어, 뉴질랜드 수화와 함께 세 개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지정되는 등 일부 국가에서는 토착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To Raise the Savage to a Higher Level': The Westernization of Nagas and their Culture
2012-07
[2]
논문
An Empirical Test of Theories of World Divisions and Globalization Processes: An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Regional Perspective
2005
[3]
백과사전
Westernization
Charles Scribner's Sons
[4]
백과사전
Acculturation
Oxford: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5]
서적
Bloomsbury Guide to Human Thought
Bloomsbury Publications
1993
[6]
서적
Window on Humanity: A Concise Introduction to General Anthropology with Powerweb
https://archive.org/[...]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7
[7]
서적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Palgrave Macmillan
[8]
웹사이트
Donald Tusk: "I feel at home in Armenia"
https://mediamax.am/[...]
2020-09-24
[9]
웹사이트
92% of the Armenian public considers relations with the EU as very good, FM says at EaP ministerial
https://armenpress.a[...]
2020-09-24
[10]
웹사이트
Europe Square inaugurated in Yerevan, Armenia
https://armenpress.a[...]
2020-09-24
[11]
웹사이트
The future of the Trio Plus Strategy 2030: building a future of Eastern Partnership
http://www.epgencms.[...]
[12]
웹사이트
Azerbaijan & the West
https://www.thebusin[...]
2017-03-29
[13]
웹사이트
Cape Verde display different interests in integration
http://www.afrol.com[...]
[14]
서적
The British Presence in Macau, 1637–1793
https://www.academia[...]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22-03-22
[15]
서적
The Fulbright Difference: 1948-1992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993
[16]
웹사이트
Is Israel Really a Western Nation?
http://sheldonkirshn[...]
Sheldon Kirshner Journal
2013-10-16
[17]
웹사이트
Early Westernization & Modernization in Japan 1868-1900 | Japan Experience
https://www.japanvis[...]
[18]
서적
Clash of Civilizations
https://archive.org/[...]
[19]
웹사이트
Lebanon at a Glance
https://www.nytimes.[...]
[20]
웹사이트
Philippines' Shallow Capitalism: Westernization Without Prosperity
http://www.huffingto[...]
2015-01-12
[21]
논문
Modernity Through the Lens: The Westernization of Thai Women's Court Dress
2013-06
[22]
서적
The Rise of Turkey: The Twenty-First Century's First Muslim Power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2014
[23]
논문
The Vietnamese Values System: A Blend of Oriental, Western and Socialist Values
2016
[24]
서적
Culture and Politics
[25]
서적
The New Asian Hemisphere: The Irresistible Shift of Global Power to the East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09
[26]
웹사이트
Samuel P. Huntington's Clash of Civilizations
http://www.historyor[...]
History Orb
[27]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UP Oxford
2011
[28]
웹사이트
Civilizations, their nature and clash possibilities (c) Rashad Mehbal…
http://www.slideshar[...]
2010-10-30
[29]
서적
The Other West: Latin America from Invasion to Globalization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30]
서적
The Conquest of Mexico: The Incorporation of Indian Societies Into the Western World, 16th-18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1993
[31]
뉴스
McDonald's China Plans To Open A New Store Every Day
https://www.huffpost[...]
2011-07-29
[32]
서적
Framing the Bride: Globalizing Beauty and Romance in Taiwan's Bridal Indust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서적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Society
Clarendon Press
1984
[34]
서적
Indian Nationalism and the Early Congres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7
[35]
서적
Jawaharlal Nehru
1998
[36]
웹사이트
How Hindu Nationalists Redefined Decolonization in India
https://newlinesmag.[...]
2024-09-14
[37]
논문
Persia: ancient soul of Iran
2008
[38]
웹사이트
40 Years Later: Iran after the Islamic Revolution
https://www.american[...]
2019-04-08
[39]
웹사이트
Consequences of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https://online.norwi[...]
[40]
웹사이트
The Theory of the Globe Scrambled by Social Networks
https://www.juragent[...]
2014
[4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ports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2]
논문
‘To Raise the Savage to a Higher Level:' The Westernization of Nagas and Their Culture
2012-07
[43]
간행물
Westernization
Charles Scribner's Sons
[44]
간행물
Acculturation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45]
웹인용
Westernization
Bloomsbury, London
[46]
서적
Window on Humanity
McGraw-Hill
2005
[47]
웹사이트
The Westernization of Russia and the Intelligentsia
econc10.bu.edu
[48]
웹사이트
Key figures Immigration and immigrants – SSB
ssb.no
2015-12-15
[49]
웹사이트
Innvandrere og norskfødte med innvandrerforeldre, 1. januar 2015
Statistics Norway
2015-12-15
[50]
논문
‘To Raise the Savage to a Higher Level:' The Westernization of Nagas and Their Culture
2012-07
[51]
웹사이트
https://www.theatlan[...]
[52]
웹사이트
https://www.jadaliyy[...]
[53]
서적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Palgrave Macmillan
1997
[54]
뉴스
Donald Tusk: "I feel at home in Armenia"
MediaMax
2020-09-24
[55]
뉴스
92% of the Armenian public considers relations with the EU as very good, FM says at EaP ministerial
Armenpress
2020-09-24
[56]
뉴스
Europe Square inaugurated in Yerevan, Armenia
Armenpress
2020-09-24
[57]
문서
The future of the Trio Plus Strategy 2030: building a future of Eastern Partnership
[58]
웹사이트
https://www.thebusin[...]
[59]
웹사이트
http://www.afrol.com[...]
[60]
웹사이트
https://www.business[...]
[61]
웹사이트
https://www.washingt[...]
[62]
서적
The Fulbright difference
Transaction Publishers
2010-05-26
[63]
웹사이트
Is Israel Really a Western Nation?
Sheldon Kirshner Journal
2013-11-09
[64]
웹사이트
https://www.japanvis[...]
[65]
웹사이트
https://www.selectiv[...]
[66]
웹사이트
https://www.ijtra.co[...]
[67]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Field Listing – Ethnic groups
2008-02-20
[68]
뉴스
Paris of the east? More like Athens on speed
The Guardian
2006-11-22
[69]
뉴스
Lebanon withdraws from Eurovision
BBC News Online
2006-07-15
[70]
웹사이트
Philippines' Shallow Capitalism: Westernization Without Prosperity
The Huffington Post
2016-11-19
[71]
논문
Modernity Through the Lens: The Westernization of Thai Women's Court Dress
[72]
서적
The Rise of Turkey: The Twenty-First Century's First Muslim Power
Potomac Books
[73]
웹사이트
https://allthatsinte[...]
[74]
간행물
The Clash of Civilizations?
Wiley-Blackwell
[75]
서적
The New Asian Hemisphere: The Irresistible Shift of Global Power to the East
PublicAffairs
2009-04-28
[76]
웹사이트
Samuel P. Huntington's Clash of Civilizations
2013-04-12
[77]
간행물
Cultures in world affairs
Oxford University Press
[78]
웹사이트
Civilizations, their nature and clash possibilities (c) Rashad Mehbal…
2010-10-30
[79]
뉴스
McDonald's China Plans To Open A New Store Every Day In Four Years
2013-04-12
[80]
서적
Framing the Bride: Globalizing Beauty and Romance in Taiwan's Bridal Indust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1]
간행물
Unity and Diversity in World Culture
OUP
[82]
논문
The Theory of the Globe Scrambled by Social Networks: A New Sphere of Influence 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