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모토 간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모토 간스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군사 전략가로 활동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생애는 주로 에도 시대에 쓰여진 《고료군칸》에 기반하며, 이로 인해 맹장, 군사로서의 이미지가 널리 퍼졌다. 하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새로운 사료 발견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는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로 등장하며, 특히 1969년 영화 '사무라이 반너'와 2007년 NHK 대하드라마 '후린카잔'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카와 야마모토씨 - 야마모토 이소로쿠
야마모토 이소로쿠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으로, 해군 항공 전력 강화에 힘썼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함대 사령장관으로서 진주만 공격을 계획하고 실행했으나 미군에 의해 격추되어 전사 후 원수로 추서되었다. - 16세기 학자 - 진제 (명)
진제는 명나라 시대의 무관으로, 1603년 타이완을 방문하여 왜구 토벌에 참여하고 타이완 원주민의 생활상을 기록한 《동번기》를 저술하여 17세기 타이완 사회 연구와 동아시아 해상 교역 연구에 기여했다. - 닌자 - 핫토리 마사나리 (1542년)
핫토리 마사나리는 핫토리 한조로 더 잘 알려진 일본 무사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활약, 이에야스 탈출을 돕고 검사 역할을 거부한 일화, 그리고 "오니노 한조"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며 그의 이름은 현재 지명과 대중문화에 남아 전해진다. - 닌자 - 후마 고타로
후마 고타로는 가나가와현을 중심으로 활동한 닌자 가문인 후마 일족의 수장들이 사용한 이름이며, 민간 전승과 대중문화에서 괴물 같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야마모토 간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마모토 간스케 |
본명 | 야마모토 하루유키 (山本晴幸) |
별명 | 간스케 (菅介) 간스케 (勘介) |
생년 | 1501년 |
사망일 | 1561년 10월 18일 |
출생지 | 도요카와시, 미카와국 |
사망지 | 시나노국 |
계명 | 철엄도일선정문 (鐵嚴道一禪定門) 천덕원무산도귀거사 (天德院武山道鬼居士) |
묘소 | 나가노시 하세데라 (아이치현 도요카와시) 외 |
다른 이름 | 야마모토 겐스케 (山本源助) 오바야시 겐스케 (大林源助) 오바야시 간스케 (大林勘助) 야마모토 간스케 (山本勘助) 하루유키 (晴幸) 도안 (道安) 도키사이 (道鬼齋, 호) |
가문 | |
씨족 | 야마모토 씨 오바야시 씨 |
부모 | 아버지: 야마모토 사다유키 어머니: 오하시 뉴도의 딸, 안 |
형제자매 | 요시노 사다쓰구 이시마쓰 미쓰유키 하루유키 쓰루 (구와나 성 실) 사다시게 |
배우자 | 알려진 바 없음 |
자녀 | 딸: 야마모토 주자에몬노조의 아내 야마모토 간스케 (2대) (간조, 노부토모) 야마모토 스케지로 시모무라 야스에 |
경력 | |
소속 | 다케다 씨 |
직위 | 전략가 |
참전 전투 | 시나노 공략 (1543-1557) 가와나카지마 전투 (1561) |
2. 생애
아래의 간스케의 생애에 대한 기술은 에도 시대 전기에 성립된 《고료군칸》에 기초한 것으로, 야마모토 간스케의 이름은(훗날 발견된 이치카와 문서를 제외하고) 《고료군칸》이외의 센고쿠 시대에서 에도 시대 전기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간스케의 생애로 알려진 것들은 전부 《고료군칸》 및 그 영향을 받은 에도 시대의 군담소설에서 비롯된 창작들로 여겨진다. 각지에 전하는 집안 전승이나 전설도 에도 시대에 들어 '다케다 신겐의 군사'로서 유명했던 간스케의 이야기로 후세에 갖다 붙여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무사시보 벤케이의 사례처럼 영웅담에 속하는 이야기들이 실제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간스케의 출신은 확실하지 않지만, 그는 당시 이마가와 씨의 지배를 받던 미카와국의 우시쿠보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3] 그는 1543년 가이국에 와서 다케다 신겐을 섬기기 시작하여 보병 대장(''아시가루-타이쇼'' 足軽大将)의 지위를 받았다.[4] 전설에 따르면 간스케는 한쪽 눈이 멀고 다리를 절었지만, 맹렬한 전사이자 군사 전략가였다고 한다.[5]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그는 약한 다리를 지탱하기 위해 나기나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간스케는 또한 패배한 스와 요리시게의 딸을 신겐의 첩으로 들이는 데 관여했다.[2]
그는 제4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포위 전술을 이끌었지만, 실패했다고 믿고 적진으로 돌격하여[6] 두 명의 주요 가신인 오사라기 쇼자에몬(大仏庄左衛門)과 이사하야 사고로(諫早佐五郎)와 함께 전사했다.[7] 간스케의 양아들 야마모토 간조 노부토모는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사망했다.[2]
간스케는 아이즈 출신의 유명한 막말 시대 여전사 야마모토 야에코의 조상이었다.[8]
간스케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전략 및 전술에 관한 논문인 ''헤이호 오기쇼''(兵法奥義書)는 다케다 가문의 연대기인 ''고요 군칸''에 포함되어 있다.[9] 그는 특히 개별 전사들의 전략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 1. 출생과 젊은 시절
야마모토 간스케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3] 《고요군칸》에는 미카와국 호이 군 우시쿠보(牛窪, 현재의 아이치현 도요카와시 우시쿠보쵸)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으나,[13] 에도 시대 후기에 성립된 《가이국지》에는 스루가국 후지 군 야마모토(山本, 현재의 시즈오카현 후지미야시 야마모토) 출신이라는 설이 제시되었다. 《가이국지》는 《고요군칸》이나 《호쿠에쓰 군담》의 기술을 인용하였으며, 《호쿠에쓰 군담》에서는 야마모토를 아이치현의 도요타시 데라베라고 하였다. 한편, 오와다 데쓰오에 따르면 이는 신빙성이 낮다고 여겨지며, 《우시쿠보 밀담기》에 처음으로 아이치현 도요하시시 가모(미카와국 야나 군 가모 촌)의 지명이 등장한다고 한다.[14]젊은 시절에는 무사 수행을 위해 여러 나라를 편력하며 병법, 축성술 등을 익혔다고 전해진다. 26세(또는 20세) 때 무사 수행을 떠났으며, 10년 동안 주고쿠, 시코쿠, 규슈, 간토의 여러 나라를 편력하며 교류(또는 행류) 병법을 터득하고, 성 쌓기(축성술)와 진 치기(전법)를 익혔다고 전해진다.
2. 2. 다케다 가문 신하가 되다
1543년, 다케다 신겐의 가신인 이타가키 노부카타의 추천으로 다케다 가문을 섬기게 되었다.[15] 《고요군칸》에 따르면, 신겐은 간스케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파격적인 대우를 했다고 한다.[15] 간스케는 신겐의 시나노 공략에 종군하여 아홉 개의 성을 함락시키는 큰 공을 세웠다.[15] 또한, 스와 요리시게의 딸을 신겐의 측실로 맞이하는 데에도 관여했다.[2]간스케는 미카와국 우시쿠보(현재의 아이치현 도요카와시)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케다 가문에 들어오기 전에는 이마가와 씨를 섬겼다고 한다.[3] 다케다 가문에 임관한 후, 간스케는 보병 대장(''아시가루-타이쇼'' 足軽大将)의 지위를 받았다.[4]
신겐은 "축성"이나 여러 나라의 정세에 대해 간스케와 이야기했고, 그 지식의 깊이에 감탄하여 깊이 신뢰하게 되었다. 신참자에 대한 파격적인 대우에 질투를 느낀 가신 난부 무네히데가 간스케를 비방했으나, 신겐은 오히려 난부 무네히데를 개역하고 더욱 간스케를 신뢰했다.[15]
1544년, 신겐이 스와군으로 침공하여 스와 요리시게를 항복시키고 죽인 후, 요리시게의 딸( 스와 고료닌)을 측실로 맞이하려 할 때, 중신들은 원한을 품고 있어 위험하다며 반대했다. 그러나 간스케는 공주가 하루노부의 아이를 낳으면 다케다 가문과 스와 씨와의 유대가 될 것이라며 강력히 주장했고, 결국 신겐은 간스케의 의견을 받아들였다. 스와 고료닌은 이후 다케다 가쓰요리를 낳았다.[15]
1546년, 오아사 군의 무라카미 요시키요의 토이시 성 공격에서 다케다 군이 고전할 때, 간스케는 50기를 이끌고 무라카미 군을 유인하여 신겐이 체제를 정비할 시간을 벌었고, 다케다 군은 반격에 성공했다. 이 공으로 간스케는 아시가루 다이쇼가 되었다.[15]
간스케는 뛰어난 "축성"으로 다카토 성, 고모로 성을 구축했고, 간스케의 축성술은 "야마모토 간스케 입도 도키류 병법"이라고 불렸다.[17] 또한, 간스케의 헌책에 의해 분국법 "고슈 법도지 시다이"가 제정되었다.
신겐은 간스케에게 여러 나라의 무장에 대해 질문했고, 간스케는 모리 모토나리, 오우치 요시타카, 이마가와 요시모토, 우에스기 노리마사,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에 대해 평했으며, 특히 요시모토에 관해서는 오케하자마 전투에서의 죽음을 예견했다.[15]
1547년, 우에다하라 전투에서 무라카미 요시키요와 결전에서 이타가키 노부카타가 전사하는 등 고전하지만, 간스케의 헌책에 의해 승리했다. 이후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에치고국으로 도망가 나가오 가게토라(후의 우에스기 겐신)을 의지했고, 이후 겐신은 가와나카지마 전투를 일으키게 된다.[15]
1551년, 신겐이 출가하여 신겐을 칭하자 간스케도 출가하여 도키사이로 칭했다.[15]
1553년, 신겐의 명에 의해, 겐신에 대비하기 위해 간스케는 기타시나노에 가이즈 성을 축성했다. 가스가 도라쓰나는 이 성을 "무략의 극치가 다해져 있다"고 평가했다.[15]
《사나다 삼대기》에 의하면, 간스케는 사나다 유키타카와 친밀했고, 또 바바 노부하루에게 축성술을 전수했다고 한다.[15]
이러한 활약으로 간스케는 삼국지의 제갈량과 같은 '''군사'''로 불리게 되었다 (단, 《고요군칸》에서는 간스케를 군사라고 표현하지 않는다).[15]

2. 3. 가와나카지마 전투와 죽음
1561년 제4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야마모토 간스케는 다케다 신겐에게 '딱따구리 전법'을 제안했다.[6] 이 전법은 딱따구리가 부리로 나무를 두드려 놀란 벌레가 튀어나온 곳을 먹는 것에 비유한 것으로, 군세를 둘로 나누어 별동대가 야간에 세이뇨산을 공격하여 우에스기 군을 평지로 유인하고, 본대가 협공하는 작전이었다. 신겐은 이 계책을 받아들였으나, 우에스기 겐신이 먼저 세이뇨산을 내려오면서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7]짙은 안개가 걷힌 야와타하라에서 다케다 군은 예상치 못한 우에스기 군과 마주쳤고, 겐신은 차륜진으로 맹공을 가했다. 신겐은 학익진으로 맞섰으나, 다케다 군은 밀리고 많은 무장이 전사했다. 『고요 군칸』은 "전경(다케다 노부시게) 님 전사, 모로즈미 분고노카미 전사, 기수[旗本] 족경[足輕] 대장 두 사람, '''야마모토 간스케 입도 도키 전사''', 하츠시카 겐고로 전사"라고 간스케의 죽음을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다.
에도 시대 군기물 『다케다 삼대 군략』에 따르면, 간스케는 자신의 헌책 실패에 책임을 지고 적진에 돌입하여 13명의 기수를 쓰러뜨리고 전사했다. 『고신에츠 전록』에서는 간스케가 우에스기 가문의 맹장 가키자키 가게이에의 수하에게 포위되어 전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향년은 69세였다. 간스케의 분전으로 신겐은 겐신의 맹공을 견뎌냈고, 결국 고사카 마사노부가 이끄는 별동대가 도착하여 우에스기 군은 퇴각했다.[2]
3. 실존을 둘러싼 논쟁
3. 1. 《고요군칸》 등장 이후
야마모토 간스케는 에도 시대 초기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고요군칸》(甲陽軍鑑)을 통해 군략과 축성에 뛰어난 무장으로 묘사되며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고요군칸》은 에도 시대에 군학(병학)의 성서처럼 존중받으며 널리 읽혔고, 이를 통해 '천재적인 군사 야마모토 간스케'라는 이미지가 형성되었다.그러나 겐로쿠(元禄) 시대에 마쓰라 시게노부가 작성한 《무공잡기》에서는 야마모토 간스케의 아들이 아버지의 업적을 과장하기 위해 《고요군칸》을 창작하고 고사카 마사노부의 이야기인 것처럼 꾸몄다고 주장하는 등, 에도 시대 당시에도 《고요군칸》 속 간스케의 모습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무공잡기》는 야마모토 간스케의 존재는 인정하면서도, 《고요군칸》은 창작물이며 간스케는 신겐의 군사가 아니라 야마가타의 가신, 즉 신겐의 배신(딸린 신하)이라고 설명한다.
3. 2. 실증사학의 영향과 반론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 근대적인 실증주의 역사학이 도입되면서, 『태평기』, 『태합기』와 같은 고전적인 군담에 대한 사료 비판이 이루어졌다. 특히 1891년 도쿄 제국 대학 교수 다나카 요시나리는 논문 『고요군감고』를 발표하여 『고요군칸』의 사료성을 부정하고, 여기에만 등장하는 야마모토 간스케는 야마가타 마사카게 휘하의 신분이 낮은 병사를 모델로 한 가공의 인물이라고 주장했다.다나카 요시나리는 『고요군칸』이 군학자 오바타 가게노리가 고사카 단조에게 가탁하여 쓴 창작물이며, 야마모토 간스케의 아들인 승려의 각서를 참고하여 쓰였지만, 각서에 아버지의 공적과 활약이 과장되어 기록되었고, 일개 병졸에 불과했던 간스케가 다케다 가문의 군사로 창작되었다고 주장했다. 다나카의 주장은 와타나베 세이 등의 지지를 받았고, 이후 학계에서는 『고요군칸』을 사료로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되었다.
1969년 NHK 대하드라마 <하늘과 땅과> 방영 이후, 홋카이도 구시로 시에 거주하던 한 시청자가 집안에 소장된 고문서에서 야마모토 간스케(山本菅助)의 이름이 적힌 서찰을 발견하여 감정을 의뢰했고, 진품으로 확인되었다. 이 서찰은 다케다 신겐이 점령한 시가노 호족 이치가와 씨의 문서로, 야마모토 간스케의 존재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8년에는 군마 현 안나카 시의 마시모 집안 소장 문서 조사 과정에서 다케다 가문 관련 문서가 발견되었고, 야마나시 현립 박물관의 재조사를 통해 야마모토 간스케(山本菅助)의 신문서 5점이 확인되었다. 이 문서들은 야마모토 간스케 앞으로 보내는 문서 4통과 간스케 자손의 야마모토 가문 앞으로 보내는 문서 2통으로, 이치가와 문서 이후 야마모토 간스케 관련 문서로 주목받았다.
이치가와 문서와 마시모 문서를 통해 야마모토 간스케는 시가노, 우에노 방면에서 활약하던 다케다 가신으로 추정되지만, 『고요군칸』에 나오는 야마모토 간스케(山本勘助)와의 동일인 여부는 학자마다 견해가 다르다.
3. 3. 새로운 사료의 발견과 재조명
19세기 말부터 일본에는 서구의 근대적인 실증주의 역사관이 도입되면서, 태평기, 태합기 등의 고전 군담에 대한 사료 비판이 이루어졌다. 1891년, 도쿄 제국대학의 다나카 요시나리 교수는 논문 『고요군칸고』(甲陽軍鑑考)를 발표하여 고요군칸의 사료성을 부정하고, 고요군칸에만 등장하는 군사 야마모토 간스케의 실존을 부정했다. 다나카는 고요군칸이 병학자 아바타 가케노리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간스케는 신분이 낮은 병사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물이라고 주장했다.다나카 요시나리의 견해는 학계에서 널리 지지를 받았고, 이후 고요군칸은 역사 연구 자료로 사용되지 않았다. 야마모토 간스케는 다른 사료에서 이름을 찾아볼 수 없어 가공의 인물로 여겨졌다.
1969년, NHK 대하드라마 천지인을 시청한 홋카이도 구시로시 거주 시청자가 집안에 전해 내려오던 고문서에서 야마모토 간스케(山本菅助)의 이름이 적힌 서찰을 발견하여 감정을 의뢰했고, 진품으로 확인되었다. 이 서찰은 이치카와 씨 가문에 전해진 이치카와 가 문서의 일부로, 야마모토 간스케의 실존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치가와 가문 문서의 발견으로 야마모토 간스케는 시가노, 우에노 방면에서 활약한 다케다 씨 가신으로 추정된다.
이치가와 가문 문서의 발견을 계기로, 이소카이 마사요시[18], 사토 하치로[19], 고바야시 케이이치로 등 야마나시·나가노 현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했다. 이소카이는 야마모토 간스케의 실존은 입증되었지만, 『고요 군칸』에서의 신겐의 군사로서의 일화나 휘(諱)인 "하루유키(晴幸)"에 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고바야시는 야마모토 간스케를 『고요 군칸』의 야마모토 간스케와 동일 인물로 보고, 제3차 가와나카지마 전투 당시 신겐 측근으로서 사자를 맡는 지위가 높은 인물로 평가했다.[20] 사토 하치로는 이소카이의 견해를 지지하면서도, 야마모토 간스케를 야마모토 간스케에 연결시키는 점에 관해서는 신중한 견해를 보였다.
2008년에는 군마현안나카시의 후루사토 학습관에서 마시모 가문 소장 문서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고, 야마나시 현립 박물관의 재조사를 통해 야마모토 간스케(山本菅助)와 관련된 5점의 새로운 문서가 확인되었다. 이 문서들은 야마모토 간스케 앞으로 보내는 문서 4통과 간스케 자손의 야마모토계 앞으로 보내진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 2통으로, 이치가와 문서 이후 야마모토 간스케 관련 문서로서 주목받았다. 마시모 가문 소장 문서의 발견으로 야마모토 간스케의 연구는 가속화되었고, 특히 누마즈 야마모토 가문 문서의 가계류에서 초대 야마모토 간스케의 법명이 『고요 군감』에 있는 야마모토 간스케의 법명과 마찬가지인 "도키"임이 확인되었다.[24]
이치가와 가문 문서와 마시모 가문 소장 문서에 나오는 야마모토 간스케(山本菅助)가 고요군칸에 나오는 야마모토 간스케(山本勘助)인지는 학자마다 견해가 다르다.
4. 평가와 유산
4. 1. 군사로서의 평가
4. 2. 대중문화 속의 야마모토 간스케
야마모토 간스케는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로 등장한다. 특히 1969년 영화 '사무라이 반너'와 2007년 NHK 대하드라마 '후린카잔'은 야마모토 간스케를 주인공으로 하여 그의 이미지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이나가키 히로시 감독의 영화 사무라이 반너에서 간스케 역할은 미후네 도시로가 연기했다. 2007년 NHK 대하 드라마 후린카잔(風林火山)은 이노우에 야스시의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야마모토 간스케를 주인공으로 우치노 마사아키가 연기했다.
1953년부터 『소설 신조』에 연재된 이노우에 야스시의 역사 소설 『풍림화산』은 1969년에 영화화되었고, 1992년과 2006년에 텔레비전 드라마화되었다. 또한, 이노우에 야스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7년 방송된 대하드라마 『풍림화산』의 원작이 되었다.
이들 작품 속 간스케는 외눈으로 그려져 있지만, 어느 쪽 눈을 실명했는지는 불분명하여, 오른쪽 눈이거나 왼쪽 눈이거나 일정하지 않다.
야마모토 간스케는 사료로 인정된 정보가 극히 적어, 창작자들의 상상력을 크게 자극해 왔다.
4. 3. 한국에서의 인식
참조
[1]
서적
The Samurai banner of Furin Kazan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武田家臣団人事ファイル 山本晴幸(山本勘助)
https://web.archive.[...]
2007-05-05
[3]
웹사이트
2007-03-22
[4]
웹사이트
2007-03-22
[5]
서적
Legends of the Samurai
Overlook Duckworth
[6]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7]
웹사이트
http://f11.aaa.lived[...]
2007-03-22
[8]
문서
[9]
웹사이트
武家家伝_山本氏
http://www2.harimaya[...]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서적
定本武田信玄
新人物往来社
[19]
문서
[20]
논문
山本勘助の名の見える武田晴信書状
[21]
논문
山本勘助・菅助研究の軌跡
[22]
서적
[23]
논문
山梨県立博物館
[24]
논문
山本菅助とその一族
[25]
논문
山本勘助・菅助研究の軌跡
[26]
논문
山本菅助とその一族
[27]
논문
山本勘助の虚像と実像
[28]
웹사이트
国民図書版第7輯p.958
https://dl.ndl.go.jp[...]
『寛政重修諸家譜』巻線三百二十一
[29]
웹사이트
山本勘助と福井藩士菅沼家
https://www.library-[...]
福井県立文書館
2021-08-28
[30]
서적
黒駒勝蔵対清水次郎長 時代を動かしたアウトローたち
山梨県立博物館
[31]
웹사이트
藤井寺市のご紹介/特産品の紹介その1「小山うちわ」
http://www.minamikaw[...]
華やいで大阪・南河内観光キャンペーン協議会ホームページ
2017-03-31
[32]
서적
山本勘助
山梨日日新聞社
[33]
서적
山本勘助
山梨日日新聞社
[34]
서적
山本勘助
山梨日日新聞社
[35]
서적
山本勘助
山梨日日新聞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