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우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우바는 일본의 전설에 등장하는 산에 사는 요괴로, "야마바바", "야마히메" 등으로도 불린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과 특징을 가지며, 사람을 해치거나 잡아먹는 무서운 존재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킨타로와 같은 영웅을 키워낸 어머니와 같이 인간에게 복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야마우바는 산신 신앙과 관련되어 비를 관장하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하며, 대지모신이 변형된 형태로 해석되기도 한다. 야마우바를 소재로 한 다양한 문학 작품과 미술 작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와현의 요괴 - 로쿠로쿠비
로쿠로쿠비는 일본의 요괴로, 목이 자유자재로 늘어나거나 몸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목이 분리되어 날아다니는 분리비행형과 목이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신축인장형으로 나뉜다. - 가가와현의 요괴 - 아오보즈
아오보즈는 일본의 요괴로, 수행이 부족한 승려가 변한 존재로 여겨지며, 일본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승되고 대중문화에서도 활용된다. - 시즈오카현의 요괴 - 낙신부
낙신부는 일본의 요괴로, 여자 거미 또는 밤에 나타나는 거미를 의미하며, 에도 시대 문헌에 주로 등장하여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신해 남성을 유혹하는 이야기가 많고, 지역별로 다양한 전승이 있으며 현대 대중 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시즈오카현의 요괴 - 낫족제비
낫족제비는 일본의 요괴로, 낫 모양의 발톱을 가졌거나 낫을 든 족제비의 모습으로 나타나 바람과 관련된 현상과 함께 등장하며, 지역에 따라 악신이나 여우 신앙과 연관되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서브컬처 매체를 통해 소개되어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야마우바 | |
---|---|
요괴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야맘바 (山女, やまんば) 오니바바 (鬼婆, おにばば) |
특징 | 산에 사는 노파의 모습 사람을 잡아먹는 요괴 |
전승 지역 | 일본 전역 |
상세 정보 | |
외모 | 헝클어진 긴 머리 찢어진 입 인간을 잡아먹는 습성 |
능력 | 변신술 환술 강력한 힘 |
약점 | 알려진 바 없음 |
관련 설화 | 긴토키의 양육모 미나모토노 요리미츠의 유모 |
문화 속 야마우바 | |
노 (能) | 야마우바 |
가부키 | 야마우바를 소재로 한 작품 다수 존재 |
만화/애니메이션 | 요괴소년 호야 결계사 지옥선생 누베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2 |
영화 | 오니바바 |
패션 | 야맘바 스타일 |
2. 전승의 상세
야마우바는 "산모(山母)", "야마히메", "야마조로(山女郎)" 등으로도 불리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과 특징을 보인다.
요쿄쿠 『아다치가하라』에 나오는 쿠로즈카, 스와 센본마츠바라의 시타나가우바 등도 야마우바의 일종으로 여겨진다.
설화에서 야마우바에게 습격당해 잡아먹히는 것은 주로 우방(牛方)·마방(馬方), 통장이(桶屋), 봇짐장수(小間物屋) 등의 편력직인 내지 행상인들이다. 이들은 산길을 걸으며 산사람(山人)과 접촉이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전설을 만들어 퍼뜨린 것으로 추정된다.
2. 1. 미야자키현
미야자키현 니시모로카타군 미유키 정(현재의 에비노시)에서는 "야마히메"가 길게 풀어 내린 머리카락을 가진 모습으로,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한다고 전해진다.[21]2. 2. 오카야마현
오카야마현의 심산유곡에는 20세 정도 여성의 모습으로, 눈썹이 수려하고 진귀한 색의 코소데 차림에 검은 머리칼을 가진 야마히메가 살고 있다. 사냥꾼이 철포를 쏘았으나 총알을 손으로 잡고 웃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1]2. 3. 시즈오카현
시즈오카현 이와타군에서는 나무껍질을 엮어 몸에 걸친 온화한 "야마바바"가 어느 집에 찾아와 쉬고 갔다. 2홉의 쌀만 가지고 솥이 가득 차도록 밥을 지었으며, 툇마루에 걸터앉자 바닥이 울렸다고 한다.[23] 시즈오카현 슈치군 하루노정(현재의 하마마츠시) 쿠마기리에는 "홋쵸바아"라는 야마우바가 저녁 무렵 산길에 출몰한다고 전해진다. 산에서 축제 소리가 들려오는 것은 이 야마우바의 소행이라고 여겨진다.[23]2. 4. 하치조섬
하치조섬에 전하는 "텟치"는 가미카쿠시를 일으키거나 밤새 엉뚱한 곳을 걷게 만드는 등 사람을 해코지하지만, 친해지면 꼴(우마의 먹이용 여물)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행방불명된 아이를 3일간 키워준 일도 있다고 한다. 텟치는 몸에 부스럼이 있으며, 젖가슴이 늘어져서 다스키처럼 양 어깨에 젖가슴으로 멜빵을 맸다고 한다.2. 5. 가가와현
가가와현에는 강에 야마우바가 있어서 "카와죠로(川女郎)"라고도 불렀으며,[21] 큰물로 둑이 넘칠 것 같으면 "집 떠내려간다"고 흐느껴 우는 소리를 냈다고 한다.[22]2. 6. 나가노현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에는 머리카락이 길고 눈이 하나인 "우바(ウバ)"라는 요괴가 전해지는데,[24] 이름을 보아 야마우바의 일종이라고도 여겨진다.[25]2. 7. 그 외 지역
도카이도, 시코쿠, 큐슈 남부의 산지에는 야마우바와 함께 야마지지(山爺|야마지지일본어)도 전해진다.요쿄쿠 『아다치가하라』에 나오는 쿠로즈카, 스와 센본마츠바라의 시타나가우바 등도 야마우바의 일종이다.[21]
3. 야마우바의 양면성
야마우바는 상반된 두 가지 성격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사람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괴물로 그려지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인간에게 복을 주는 존재로 나타나기도 한다.
시나노국 사쿠시에는 야마우바가 카와쿠보지구의 성산(城山)에 있는 바위와 이치노부치(一の淵)의 유암산(流岩山)을 딛고 대변을 보았다는 전설이 있다. 이때 발뒤꿈치에 밟혀 움푹 팬 흔적이 남아 있으며, 밭의 길이 1장(약 3m)의 거암은 야마우바의 대변이라고 전해진다. 이 전설에서 야마우바는 거대한 신의 모습도 함께 지니고 있다.[26]
이처럼 양면성을 지닌 야마우바의 기원은 산에서 생활하던 사람들이나 산신을 섬기던 무당이 요괴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야마우바가 세탁하는 날"이라 하여 물을 사용하거나 세탁을 금지하는 날이 있는데, 기타큐슈 지방에서는 계절 마지막 13일 또는 20일이 이 날에 해당하며, 이날은 반드시 비가 오기 때문에 세탁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야마우바가 비를 다스리는 산신의 무당이었던 흔적일 수 있다. 『토오노 모노가타리』에는 광인, 산신에게 시집가는 자, 산신에게 잡혀간 자 등이 야마우바가 되었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출산을 위해 여성이 입산하는 풍습, 마을 축제 때 선택된 여성이 산에 머무르는 풍습 등은 산악 신앙의 잔재로 여겨진다.
야마우바는 사람을 잡아먹는 요괴이면서 동시에 온화하고 모성적인 면모도 지니고 있다. 아시가라산의 사카타노 킨토키(킨타로)를 비롯한 많은 신동, 용사들을 길러낸 어머니이기도 하다. 산속에서 난산으로 고통받는 여산신, 야마우바, 또는 여자를 도와준 인간이 복을 받는다는 전설이 일본 전국에 퍼져 있다. 이러한 이야기에서 산신은 다산을 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나가노현 이다시 전설에는 사냥에 나선 산신 형제가 난산으로 고통받는 야마우바를 만났는데, 형인 오호야마츠미노 미코토가 도와주자 야마우바가 7만 8000명의 자식을 낳고 사냥운을 주었다고 한다. 도쿠시마현에는 남자의 피부에 닿기만 해도 8만 명의 아이를 임신한 산신, 미야자키현에는 1200명의 아이를 출산한 산신 등이 있다. 도쿠시마현과 고치현의 옛날이야기에는 산신의 아내가 된 오토히메가 한 번에 404명 또는 9만 9000명의 자식을 낳았다고 한다. 이처럼 임신을 쉽게 하고 다산과 난산을 겪는다는 특징은 산신의 성격이며, 야마우바에게 난산 전설이 있다는 것은 야마우바가 산악 신앙의 신령에서 기원했음을 보여준다.
야마우바의 시체가 여러 가지로 변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우시카타 야마우바』에서는 죽은 야마우바의 시체가 약재, 황금 등 귀중한 것이 되어 주인공을 부자로 만들어 준다. 야마우바의 대변이나 젖이 비단, 견사 등 귀중품이나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물건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고사기』의 오호츠케히메는 코, 입, 항문에서 음식물을 뱉어내고, 죽은 시체에서는 누에, 벼, 좁쌀을 만들어낸다. 이자나미도 카구츠치를 낳다 죽지만 배설물이 금광의 신, 점토의 신, 물의 신, 음식의 신이 되었다. 이처럼 모성을 지닌 여산신의 영은 서사적으로 푸대접을 받는 경향이 있다.
신화는 여러 세력의 신화가 융합되어 전승되면서 적대 세력의 신을 왜곡하거나 은폐하는 경우가 있다. 『고사기』에서도 이러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삼매의 부적(三枚の御札)』은 주인공이 야마우바에게 쫓기면서 던진 부적이 강이나 산 같은 장애물이 된다는 이야기인데, 이는 이자나기가 황천국에서 이자나미의 썩은 모습을 보고 도망치는 신화와 구조가 같다. 따라서 야마우바는 대지모신이 변형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대장장이의 신인 카나야고카미도 여신을 홀대하는 이야기가 있어, 일본 전통 제철법인 타타라는 여성의 참여가 금기시되었다. 기혼 여성을 낮춰 부르는 “야마노카미(山の神일본어)”라는 말도 이러한 설화의 잔재로 여겨진다.
야마우바는 山母(산모), 山姫(산희), 山女郎(산여랑)으로도 표기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과 이름으로 나타난다. 미야자키현 니시모로카타군 마사에키(현재 에비노시)에서는 "야마히메"가 머리를 감고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시즈오카현의 깊은 산 속에는 "야마히메"가 20세 정도의 아름다운 여성으로 나타나 사냥꾼이 총을 쏘려 하면 손으로 총알을 막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홋카이도, 시코쿠, 규슈 남부 지역에는 야마지지이(산 노인)도 있으며, 야마우바는 야마와로(산 아이)와 함께 나타나기도 하는데, 여기서 야마우바는 "야마하하"(산 어머니), 야마지지이는 "야마치치"(산 아버지)라고 불린다. 시즈오카현 이와타군에서는 "야마바바"가 나무껍질 옷을 입은 상냥한 여성으로 나타나 쌀 두 고만 넣어도 가마솥이 가득 찼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치조지마에서는 "데지" 또는 "뎃치"가 가미카쿠시를 행하지만, 친해지면 문설주 등을 빌려주기도 하고, 실종된 아이들을 돌보기도 한다. 가가와현에서는 강에 있는 야마우바를 "카와조로"(강의 여자)라고 부르며,[2] 제방이 무너지려 할 때 큰 울음소리로 "내 집이 휩쓸려 갈 거야"라고 말한다고 한다.[3] 시즈오카현 슈치군 하루노(현재 하마마츠시)의 구마키리에는 "홋초파"라는 야마우바가 저녁 무렵 산길에 나타난다고 한다.[4]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에는 "우바"라는 긴 머리와 한쪽 눈을 가진 요괴가 전해지는데,[5] 그 이름으로 보아 야마우바의 일종으로 생각된다.[6]
야마우바에게 공격받는 사람들은 주로 여행자나 상인 등 산길을 걷는 사람들이었기에, 이들이 야마우바 이야기를 퍼뜨린 것으로 추정된다.
야마우바는 흉측한 노파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엉망으로 흩어진 머리카락은 길고 금빛 백발이며... 기모노는 더럽고 찢어져 있다"[7]고 묘사되며, 식인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8] 한 이야기에서는 산에서 아이를 낳은 어머니가 친절해 보이는 노파의 도움을 받지만, 사실 그 노파는 킨타로를 잡아먹을 계획을 가진 야마우바였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9]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야마우바가 고아 영웅 킨타로를 키워 훗날 유명한 무사 사카타노 킨토키가 된다.[10]
야마우바는 머리 꼭대기에 입이 있으며, 머리카락에 가려져 있다고 한다.[11] 한 이야기에서는 야마우바의 영혼을 담고 있는 특정한 꽃이 유일한 약점이라고 한다.[12]
thumb 작 ]]
thumb 1802년 ]]
3. 1. 사람을 잡아먹는 야마우바
『우시카타 야마우바』(牛方山姥)나 『텐도산의 금사슬』(天道さんの金の鎖) 등에서는 야마우바를 사람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괴물로 묘사한다.[26] 소에 생선을 싣고 다니던 남자가 고개에서 야마우바를 만나 쫓기거나, 야마우바에게 쫓기던 형제가 하늘에서 내려온 사슬을 타고 올라가 달아나고, 그들을 따라 사슬을 잡은 야마우바가 메밀밭에 떨어져 죽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 2. 복을 주는 야마우바
『누카후쿠 코메후쿠』(糠福米福) 같은 이야기에서는 야마우바가 숲에 들어간 자매와 만나 계모에게 괴롭힘당하는 착한 언니에게는 보물을, 계모 소생의 버릇없는 동생에게는 불행을 주는 심판자로 등장한다. 『우바카와』(姥皮)에서는 인간에게 복을 주는 존재로 등장한다.[26] 고치현에는 야마우바가 집에 붙으면 그 집은 가세가 급속히 흥성한다는 전설이 있으며, 야마우바를 수호신으로 모시는 집도 있다.[26]4. 야마우바의 기원과 해석
야마우바는 양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소몰이 야마우바(牛方山姥)』, 『하늘님의 금사슬(天道さんの金の鎖)』 등의 이야기에서는 사람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괴물로 묘사되지만, 『糠福米福』, 『할미 껍질(姥皮)』 등에서는 인간에게 복을 주거나 심판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고치현에는 야마우바가 집에 붙으면 가세가 흥성한다는 전설이 있어, 야마우바를 수호신으로 모시는 집도 있다.[26]
시나노국 사쿠시에는 야마우바가 대변을 보았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때 발뒤꿈치에 밟혀 움푹 팬 흔적과 대변으로 여겨지는 거대한 바위가 남아 있다고 한다. 이 전설에서 야마우바는 거신(巨神)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26]
이러한 야마우바의 양면성은 산간을 생활 터전으로 삼는 산인이나 산신을 섬긴 무녀가 요괴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1. 산신 신앙과의 관련성
일부 지역에서는 "야마우바의 세탁일"이라 하여 물을 사용하거나 세탁을 금하는 날이 있었다. 예를 들어 기타큐슈 지방에서는 그믐 13일 또는 20일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날은 반드시 비가 오기 때문에 세탁을 하지 않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야마우바가 비를 관장하는 산신의 무녀였던 흔적일 수 있다.[26]도노 이야기에는 광인, 산신에게 시집가는 사람, 또는 산사람에게 납치된 사람처럼 산에 숨는 여자가 야마우바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출산을 위해 여성이 입산하거나, 마을 제사에서 선택된 여성이 산에 머무는 산악 신앙의 습속 흔적도 남아 있다.
4. 2. 모성적 특징과 산령신적 특질
야마우바는 온화하고 모성적인 면모를 가지고 있어, 킨타로를 비롯한 많은 신동과 용사들을 길러낸 어머니로 묘사되기도 한다.[10] 일본 전국 각지에는 산속에서 난산으로 고통받는 여산신, 야마우바, 또는 여성을 도와준 인간이 복을 받는다는 전승이 다양한 형태로 전해진다. 이러한 이야기에서 산신은 다산을 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나가노현 이다시 전설에는 사냥에 나선 산신 형제 중 형인 오호야마츠미노 미코토가 난산으로 고통받는 야마우바를 돕자 야마우바가 7만 8000명의 자식을 낳고 그에게 사냥운을 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도쿠시마현에는 남자의 피부에 닿기만 해도 8만 명의 아이를 임신한 산신, 미야자키현에는 1200명의 아이를 출산한 산신 등이 전해진다. 도쿠시마현과 고치현의 옛날 이야기에는 산신의 아내가 된 오토히메가 한번에 404명 또는 9만 9000명의 자식을 낳았다고 한다. 이처럼 임신을 쉽게 하고 다산과 난산을 겪는다는 특징은 본래 산신의 성격이며, 야마우바에게 난산 전설이 있다는 것은 야마우바가 산악 신앙의 신령에서 기원했음을 보여준다.야마우바의 산령신적 특질 중 하나는 죽은 야마우바의 시체에서 여러 가지가 발생한다는 이야기이다. 예를 들어, 『牛方山姥』에서는 죽은 야마우바의 시체가 약재, 황금 등 귀중한 것이 되어 주인공을 부자로 만들어 준다. 또한 야마우바의 대변이나 젖이 비단이나 견사 등 귀중품이나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물건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는 고사기에 등장하는 오호츠케히메가 코, 입, 항문에서 음식물을 뱉어내고, 죽은 후 시체에서 누에, 벼, 좁쌀을 만들어낸 것이나, 이자나미가 불의 신 카구츠치를 낳다가 죽으면서 흘린 배설물이 금광의 신, 점토의 신, 물의 신, 음식의 신이 된 것과 유사하다.
4. 3. 대지모신의 열화 가능성
이자나기가 황천국에 갔다가 이자나미의 썩은 모습을 보고 도망쳐 쫓기는 신화와 구조가 같은 『세 장의 부적』 설화에서는 주인공이 야마우바에게 쫓기면서 던진 부적이 강이나 산 같은 장애물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야마우바는 대지모신이 열화된 존재로 볼 수 있다. 대장장이 신인 카나야고카미에게도 여신을 홀대하는 듯한 이야기가 있으며, 일본 전통 제철법인 타타라에서는 여성의 참여가 금기시되었다. 기혼 여성을 낮춰 부르는 말인 "야마노카미(山の神|야마노카미일본어)" 역시 이러한 설화의 잔재로 여겨진다.[26]5. 킨타로의 어머니
아시가라 산의 킨타로(사카타 킨토키)는 야마우바 전승으로 유명하다. 킨타로는 미나모토노 요리미츠의 사천왕 중 한 명이 되었다. 고금저술집에 따르면, 976년 미나모토노 요리미츠가 가즈사 국에서 상경했을 때 아시가라 산에서 붉은 운기를 발견하고, 와타나베노 쓰나를 보냈다. 붉은 운기가 있던 곳에는 노파와 20세 정도의 아이가 살고 있었는데, 노파는 꿈속에서 붉은 용과 관계하여 킨토키를 낳았다고 말했다. 요리미츠는 킨토키를 비범하게 여겨 가신으로 삼았다고 한다.
6. 야마우바 관련 작품
야마우바는 노 극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요곡 『야마우바』, 킨페이 조루리, 기다유 『오모치야마우바』, 지우타, 도키와즈, 기요모토, 토미모토, 오기에 『야마우바』, 나가우타 『사계의 야마우바』등이 대표적이다.
6. 1. 문학
곤파루 젠치쿠는 노 극 중 하나인 '야마우바, 산의 여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야마우바는 산의 요정으로, 세상이 시작된 이래 산을 돌봐왔다. 겨울에는 눈으로, 봄에는 꽃으로 산을 장식한다... 그녀는 매우 늙었다. 야생의 흰 머리카락이 어깨까지 내려오고, 얼굴은 매우 얇다. 야마우바의 방랑을 묘사하는 춤을 춘 수도의 기녀가 있었다. 그 춤이 매우 성공적이어서 사람들은 이 기녀를 야마우바라고 불렀는데, 그녀의 진짜 이름은 효쿠마였다.[13]
그 연극은 효쿠마가 시나노의 젠코 사찰을 방문하기 위해 여행하는 어느 저녁에 일어난다. 그녀는 다름 아닌 진짜 야마우바인 한 여성의 환대를 받는다.[13]
야마우바에 얽힌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곡무 『야마우바』 (현존하지 않음)
- 요곡 『야마우바』 - 세아미의 작품. 수도에서 야마우바를 소재로 한 곡무를 춤추는 것으로 알려진 "백마 야마우바"라는 유녀가 젠코지 참배 도중 산속에서 해가 질 때 여인에게 숙소를 빌리지만, 그 여인은 야마우바의 정체를 드러내고 자신의 경지를 이야기하며 산 순례 춤을 보여준 뒤 사라진다.
- 킨페이 조루리 (아시가라산의 킨타로 전설을 바탕으로 함)
- 기다유 『오모치야마우바』 (킨타로 전설과 요곡 『야마우바』를 바탕으로 함)
- 기다유 『도유키 산회 아사히의 단장』
- 지우타 도키와즈 기요모토 토미모토 오기에 『야마우바』
- 나가우타 『사계의 야마우바』
6. 2. 미술
- 곡무 『야마우바』 (현존하지 않음)
- 요곡 『야마우바』 - 세아미의 작품. 수도에서 야마우바를 소재로 한 곡무를 추는 것으로 알려진 "백마 야마우바"라는 유녀가 젠코지 참배 도중 산속에서 해가 질 때 여인에게 숙소를 빌리지만, 그 여인은 야마우바의 정체를 드러내고 자신의 경지를 이야기하며 산 순례 춤을 보여준 뒤 사라진다.
- 킨페이 조루리 (아시가라산의 킨타로 전설을 바탕으로 함)
- 기다유 『오모치야마우바』 (킨타로 전설과 요곡 『야마우바』를 바탕으로 함)
- 기다유 『도유키 산회 아사히의 단장』
- 지우타 도키와즈 기요모토 토미모토 오기에 『야마우바』
- 나가우타 『사계의 야마우바』
참조
[1]
문서
Joly, 396.
[2]
웹사이트
四国民俗 通巻10号 仲多度郡琴南町美合の聞書
http://www.nichibun.[...]
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
2009-08-17
[3]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4]
서적
歴史読本 臨時増刊 特集 異界の日本史 鬼・天狗・妖怪の謎
新人物往来社
[5]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6]
서적
妖怪事典
[7]
문서
Hearn, 267.
[8]
문서
Ashkenazi, 294.
[9]
문서
Ozaki, 70.
[10]
문서
Ozaki, 67.
[11]
문서
Shirane, 558.
[12]
문서
Monaghan, 238.
[13]
문서
Waley, 247.
[14]
문서
Wallace, 184.
[15]
웹사이트
四国民俗 通巻10号 仲多度郡琴南町美合の聞書
http://www.nichibun.[...]
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
2009-08-17
[16]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17]
서적
歴史読本 臨時増刊 特集 異界の日本史 鬼・天狗・妖怪の謎
新人物往来社
[18]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19]
서적
妖怪事典
[20]
문서
『南佐久口碑伝説集南佐久編限定復刻版』
長野県佐久市教育委員会
昭和53年11月15日
[21]
웹인용
四国民俗 通巻10号 仲多度郡琴南町美合の聞書
http://www.nichibun.[...]
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
2009-08-17
[22]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3]
서적
歴史読本 臨時増刊 特集 異界の日本史 鬼・天狗・妖怪の謎
新人物往来社
[24]
서적
動物妖怪譚
中央公論新社
[25]
서적
妖怪事典
[26]
문서
『南佐久口碑伝説集南佐久編限定復刻版』
長野県佐久市教育委員会
昭和53年11月15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