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타가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타가라스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길 안내자, 신의 사자, 또는 상징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세 개의 다리는 하늘, 땅, 인간을 상징하며, 고대 중국의 삼족오 전설과 관련이 있다. 일본에서는 진무 천황의 길 안내, 구마노 신의 사자 등으로 묘사되며, 현대에는 일본 축구 협회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또한, 군사적 상징으로도 활용되었으며,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설의 까마귀 - 삼족오
    삼족오는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을 상징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 전설의 까마귀 - 모리안
    모리안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전쟁, 죽음, 주권, 풍요를 상징하며, 쿠 훌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일본의 전설의 생물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일본의 전설의 생물 - 삼족오
    삼족오는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을 상징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 전설의 새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전설의 새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야타가라스
개요
야타가라스 그림
야타가라스 그림
종류신성한 짐승, 요괴
문화권일본
특징세 개의 다리
까마귀
태양의 상징
신화 및 상징
역할가모타케쓰누미의 화신
진무 천황을 가이드함
태양의 상징
상징인도, 지도
태양
대중 문화
등장 작품게임: 몬스터 헌터 시리즈, 진 여신전생 시리즈, 리그 오브 레전드
만화/애니메이션: 유유백서, 디지몬 시리즈, 나루토, 원피스, 불꽃 소방대
소설: 야타가라스 시리즈
영화: 레전드 오브 썬더: 봉신전기
기타
관련 항목태양
까마귀
일본 축구 협회
가시와 레이솔
야마우치 후사지로

2. 어원 및 상징

'야타(八咫)'는 고대 일본의 길이 단위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을 펼쳤을 때의 길이인 약 18cm를 의미한다. 따라서 '야타가라스'는 '매우 큰 까마귀'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9]

야타가라스의 세 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구마노 혼구 대사에서는 세 발이 각각 하늘(천신지기), 땅(자연 환경), 사람을 나타내며, 신, 자연, 인간이 모두 같은 태양에서 태어난 형제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10] 혹은 과거 구마노 지역에서 권력을 가졌던 구마노 삼당(에노모토 씨, 우이 씨, 후지시로 스즈키 씨)의 세력을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 예로부터 태양을 상징하는 숫자가 3이었기 때문에 우사 신궁 등 태양신을 모시는 신사의 문장인 세 개의 소용돌이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는 견해도 있다.

구마노 혼구 대사의 도리이 옆에 걸린 야타가라스의 깃발


유즈루하 신사의 야타가라스

2. 1. 삼족오와의 관계

야타가라스가 세 발을 가진 것은 중국한국의 신화 속 새인 삼족오와 동일시된 결과로 보인다.[6] 고구려 고분 벽화에 삼족오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고구려 사람들이 삼족오가 태양에 산다고 믿었음을 보여준다.[15] 이러한 삼족오 전승은 고대 중국 문화권 지역에서 나타나며, 한반도에서는 고구려가 있던 지역(현재의 북한)에서 주로 발견된다.[15]

3. 역사 속 야타가라스

일본 신화에서 야타가라스는 진무 천황야마토의 가시하라로 인도했다고 전해지며, '''인도의 신'''으로 여겨진다. 또한 태양의 화신으로 여겨진다.[10][11]

''고지키''와 ''니혼쇼키''에서는 다카미무스비 또는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보냈다고 전해진다. ''고지키''에서는 형 우카시・동생 우카시 형제에게, ''니혼쇼키''에서는 형 이시키・동생 이시키 형제에게 진무 천황에게 귀순할 것을 요구했으나, 형에게 쫓겨났다. 하지만 동생은 이를 두려워하여 까마귀에게 음식을 헌상했다. 이후 야타가라스는 진무 천황에게 돌아가 형의 반항심을 보고했다.

그 공로로 야타가라스의 자손은 가즈노의 모토모리의 아가타누시가 되었고, 검근은 가쓰라기 국조가 되었다. 구마노 산잔에서 야타가라스는 구마노 오오카미(스사노오노 미코토)를 섬기는 미사키 신으로 숭배받으며, 구마노의 상징이다.[10][15]

아타는 엄지와 중지를 펼친 길이(약 18센티미터)로, 야타는 144cm를 의미하지만,[16] 여기서는 단순히 "크다"는 뜻이다.[9]


  • -|]]|thumb|280px|야타가라스에 인도되는 진무 천황(아다치 긴코 그림)]]

세토 내해에서 긴키로 진출하려던 진무 천황은 야타가라스의 안내를 받았다. 처음 서쪽에서 오사카로 쳐들어갔다가 패배한 진무 천황은, 태양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의 자손으로서 해를 등지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공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기이 반도를 크게 우회하여 신구 부근에서 쳐들어가 요시노를 거쳐 가시하라에서 야마토 조정을 열었다.

고레이 천황 시대, 산에서 멧돼지를 쫓던 사냥꾼 "지요카네"는 까마귀의 인도로 큰 나무를 발견하고, 빛을 향해 화살을 쏘자 "나는 구마노의 신이다"라는 소리를 들었다. 그는 신을 모시는 사당을 세우고 구마노 산잔의 관리직이 되었다. 이때 구마노 신이 처음으로 사람들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야타가라스는 『고지키』, 『일본서기』, 『엔기시키』 외에도, 키토라 고분 벽화, 珍敷塚고분(후쿠오카현)의 횡혈 석실 벽화, 지바현 기사라즈시의 타카베 30호 분출토경, 다마무시노 미즈시(호류지)의 받침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국 시대 기이국의 사이카 슈를 다스린 스즈키 가문의 가문 문장・깃발이 되었다.[19]

에도 시대 말, 다카스기 신사쿠는 "삼천 세계의 까마귀를 죽이고, 주와 아침잠을 자고 싶다"라는 도도이쓰를 지었다. 이는 구마노의 규교호인 부적 뒷면에 적힌 약속을 어기면 구마노 까마귀가 죽고, 어긴 자도 벌을 받는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그는 "다른 남자들과의 약속을 모두 어기고, 구마노의 까마귀를 모두 죽여도 당신과 아침잠을 자고 싶다"며 유녀의 마음을 표현했다.

3. 1. 한국사와의 연관성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등장하는 삼족오일본 신화의 야타가라스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며, 고대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15] 고구려 사람들은 삼족오가 태양에 살고 거북이가 달에 산다고 믿었다.[15] 이러한 믿음은 중국 신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음양오행설에 따라 3은 양(陽)을 상징하며, 세 발 달린 까마귀가 태양을 나타내기에 더 적합하다고 여겼다.[16]

진보 진영에서는 삼족오를 통해 고구려와 일본의 문화적 연관성을 강조하며, 고대 한일 관계의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삼족오는 고구려가 있던 지역(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분에서 발견되지만, 한반도 남부(현재의 대한민국)에는 전파되지 않았다는 설도 있어, 고대 국가 간의 문화 교류와 전파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15]

4. 현대의 야타가라스

일본 축구 협회의 심볼 마크 및 일본 대표팀의 엠블럼 디자인으로 야타가라스가 사용되고 있다.[16] 이 심볼 마크는 대일본 척구 협회(일본 축구 협회의 전신) 창설에 헌신한 한문학자 우치노 다이레이 등의 발안을 바탕으로, 조각가 히나코 지쓰조가 세 발 달린 까마귀로 디자인하여 1931년(쇼와 6년)에 채용되었다. 일본 축구 협회는 FIFA 월드컵 등의 출전 전에 구마노 산산에서 필승 기원을 한다.[15]

군사 분야에서도 야타가라스는 대일본제국 시대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1939년(쇼와 14년)에 제정된 지나사변종군기장 등에 장식되었다. 육상자위대 중앙정보대 이하의 정보 부대의 부대 마크에도 야타가라스가 채용되었다.

군마현 오이즈미정의 천문학자 고바야시 다카오는 1997년에 발견한 소행성(임시 부호 1997 AY1)에 "야타가라스"라는 이름을 붙였고, 2004년 8월 9일에 (9106) 야타가라스로 등록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Book of Ancient Matters Gakken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古代氏族の研究⑬ 天皇氏族 天孫族の来た道 青垣出版
[6] 간행물 伝説の翼 #08八咫烏 文一総合出版 2012-08
[7] 웹사이트 幕末の風雲児も歌った「ヤタガラス」 http://www.pref.waka[...] 和歌山県知事室広報課 2007-09-25
[8] 웹사이트 孫一と雑賀鉄砲衆 http://www.wakayamak[...] 和歌山市観光協会 2020-07-30
[9] 서적 古事記の本 学研
[10] 웹사이트 八咫烏について http://www.hongutais[...] 熊野本宮大社公式サイト
[11] 서적 日本神話 神々の壮麗なるドラマ 新紀元社
[12] 웹사이트 北陸プロジェクト『天皇とイエス「2千年の秘密」』 https://web.whitesun[...] ホワイトサン
[13] 간행물 神武天皇、実在の可能性
[14] 서적 古代氏族の研究⑬ 天皇氏族 天孫族の来た道 青垣出版
[15] 웹사이트 幕末の風雲児も歌った「ヤタガラス」 https://web.archive.[...] 和歌山県知事室広報課 2007-09-25
[16] 간행물 伝説の翼 #08八咫烏 文一総合出版 2012-08
[17] 서적 古代日本の航海術 小学館
[18] 서적 東洋神名事典 新紀元社
[19] 웹사이트 孫一と雑賀鉄砲衆 http://www.wakayamak[...] 和歌山市観光協会 2020-07-30
[20] 서적 賞勲局百年資料集 上 1978-07-15
[21] 웹사이트 支那事変従軍記章令ヲ定ム M0000000000001767783 国立公文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2019-10-21
[22] 서적 日名子実三の世界 昭和初期彫刻の鬼才 思文閣 2008-09-15
[23] 웹사이트 サッカーQ&A https://www.jfa.jp/d[...] JFA.jp 2024-09-04
[24] 뉴스 日本サッカー協会、マークの由来は「八咫烏」だけでなく中国古典も 教科書に修正要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4-09-04
[25] 뉴스 アルテリーヴォ エンブレム一新 http://www.nwn.jp/ol[...] 2017-02-13
[26] 뉴스 『和歌山大学生の挑戦!』アルテリーヴォ和歌山にマスコットを!! https://camp-fire.jp[...] 2020-12-31
[27] 서적 古事記の本 学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