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황은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상서로운 새이다. 일반적으로 닭의 머리, 제비의 턱, 뱀의 목, 거북의 등, 물고기의 꼬리, 깃털은 원앙을 닮은 모습으로 묘사되며, 오색찬란한 깃털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낸다. 봉황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가지 덕목을 상징하며, 하늘의 기운을 받아 세상의 평화를 가져오는 존재로 여겨진다. 중국에서는 황후를 상징하며, 한국에서는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된다. 봉황은 페니키스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기원과 특징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물 - 기린 (전설)
기린은 사슴의 몸, 소의 꼬리, 말의 발굽, 이마의 뿔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자애롭고 덕망 높은 존재로 묘사되며, 중국, 한국 등에서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다. - 영물 - 응룡
응룡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날개 달린 용으로, 홍수를 다스리고 치우를 물리치는 등 다양한 신화적 역할을 수행하며, 때로는 가뭄을 다스리거나 여와와 대립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 신화에 관한 - 산신
산신은 동아시아에서 산의 정령으로 숭배되며, 한국에서는 사찰이나 신당에서 노년 남성의 모습으로 호랑이와 함께 모셔지고, 불교에서는 호법신으로, 중국에서는 오악의 신, 일본에서는 야마노카미, 베트남에서는 특정 산에 깃든 신으로 숭배받으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반영한다. - 신화에 관한 - 유피테르
유피테르는 로마 신화에서 천둥, 번개, 하늘 등을 관장하는 최고의 신으로, 로마 국가의 수호신이자 정치 및 종교 체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존재였다. - 양사오 문화 - 삼족오
삼족오는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을 상징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 양사오 문화 - 요한 군나르 안데르손
요한 군나르 안데르손은 스웨덴의 고고학자, 지질학자, 고생물학자로 스웨덴 지질 조사소 소장과 스웨덴 남극 탐험 참여, 솔리플럭션 용어 사용, 중국 고고학 발전 기여, 베이징 원인 치아 발견, 양사오 문화 발견, 극동 골동품 박물관 설립 및 초대 관장 역임 등의 활동을 했다.
봉황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중국 봉황 |
민속 | 중국 신화 |
분류 | 신화 생물 |
하위 분류 | 불사조 |
국가 |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 |
중국어 정보 | |
번체 | 鳳凰 |
간체 | 凤凰 |
병음 | fènghuáng |
통용병음 | fònghuáng |
웨이드-자일스 | fenqhwang |
예일 | fêng⁴-huang² |
주음부호 | ㄈㄥˋ ㄏㄨㄤˊ |
광동어 | fung⁶-wong⁴ |
광동어 예일 | fuhngwòhng |
광동어 IPA | /fʊŋ⁶.wɔːŋ⁴/ |
간어 | fung⁵uong⁴ |
오어 | vonwaon, bonwaon |
민난어 백화자 | hōnghông |
객가어 | fung⁵⁵fong¹¹ |
중고음 | bɨungᴴhwang |
베트남어 | Phượng hoàng, Phụng hoàng |
일본어 정보 | |
히라가나 | ほうおう |
로마자 | hōō, /hoːoꜜː/ |
한국어 정보 | |
한글 | 봉황 |
로마자 표기 | bonghwang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fenghuang Chinese mythology Fenghuang - Phoenix, Bird-Woman & Immortality The Phoenix vs. Fenghuang Bird Chinese Culture: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èng Huáng and the Pheonix? |
참고 문헌 | The secret language of birds: A treasury of myths, folklore & inspirational true stories |
참고 자료 | 한국민화센터 한국고전문학회 규원사화 원문 |
2. 모습
봉황의 모습은 문헌마다 조금씩 다르게 묘사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모습은 다음과 같다. 크기는 1m 이상이며, 머리는 닭, 턱은 제비, 목은 뱀, 다리는 학, 꼬리는 물고기, 깃털은 원앙, 등은 거북, 발톱은 매를 닮았다.[1] 몸은 오색찬란한 빛(빨강, 파랑, 노랑, 하양, 검정 등의 5색)을 띠며, 다섯 가지의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낸다. 벽오동에 서식하며, 예천(醴川)을 마시고 천년에 한 번 열리는 대나무의 열매(죽실)만을 먹고 산다고 한다.[25][27]
봉황의 몸 각 부분은 다섯 가지 의미를 지니는데, 가슴은 인(仁), 날개는 의(義), 등은 예(禮), 머리는 덕(德), 배는 신(信)을 나타낸다. 또한 우주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머리는 태양, 등은 달, 날개는 바람, 꼬리는 나무와 꽃, 다리는 대지에 해당한다.[2] 봉황은 태양에서 기원했다고 하며, 몸에는 검정, 흰색, 빨강, 노랑, 초록의 다섯 가지 기본 색깔이 있다.[2]
봉황은 발톱으로 뱀을 공격하고 날개를 펼친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기(爾雅)』'의 17장 「신조(釋鳥)」에 따르면, 봉황은 수탉의 부리, 제비의 얼굴, 가금류의 이마, 뱀의 목, 거위의 가슴, 거북의 등, 사슴의 뒷다리, 그리고 물고기의 꼬리로 이루어져 있다.[1] 오늘날에는 금계의 머리, 원앙의 몸, 공작의 꼬리, 두루미의 다리, 앵무새의 부리, 그리고 제비의 날개를 포함한 여러 새들의 합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 고대 문헌에 나타난 봉황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 『爾雅(이아)』 17장: 머리는 닭(鶏), 턱은 제비(燕), 목은 뱀(蛇), 등은 거북(亀), 꼬리는 물고기이며, 다섯 가지 색깔이고, 키는 약 1.8m(六尺) 정도이다.[22]
- 『山海經(산해경)』 남산경(南山經): 닭과 비슷하며, 목에는 "덕(德)", 날개에는 "의(義)", 등에는 "예(禮)", 가슴에는 "인(仁)", 배에는 "신(信)"의 무늬가 있다.
- 『説文解字(설문해자)』: 앞은 큰기러기(鴻), 뒤는 기린, 목은 뱀, 꼬리는 물고기, 이마(顙)는 황새(鸛), 턱(腮)는 원앙(鴛), 무늬는 용, 등은 호랑이, 턱은 제비, 부리는 닭이다.
- 『宋書(송서)』 권28 지(志) 제18: 머리는 뱀, 턱은 제비, 등은 거북, 배는 자라(鼈), 목은 두루미(鶴), 부리는 닭, 앞부분은 큰기러기, 꼬리는 물고기와 비슷하며, 머리는 푸른색(녹색), 날개를 나란히 펼친다. 공작(孔雀) 정도의 크기이다.
- 『癸辛雑識(계신잡식)』: 키는 약 3.07m(一丈) 정도이며, 꼬리는 잉어와 비슷하고, 색깔이 진하다.[23]
춘추시대의 『시경(詩經)』,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논어(論語)』 등에서는 "성천자(聖天子)의 출현을 기다려 세상에 나타난다"고 일컬어지는 상서로운 새(瑞鳥) 중 하나로 여겨진다.[24] 『예기(禮記)』에서는 기린(麒麟), 영구(靈龜), 응룡(應龍)과 함께 "사령(四靈)"이라 총칭된다.[24]
봉황은 동방 군자의 나라에서 태어나 사해(四海) 밖을 높이 날아 곤륜산을 지나고, 토주(砥柱)에서 물을 마시며, 약수(弱水)에서 목욕을 하고, 해가 지면 풍혈(風穴)에 깃든다고 한다. 당(唐) 시대의 『유양잡조(酉陽雜俎)』에서는 뼈가 검고, 수컷과 암컷은 새벽에 다른 소리로 운다고 묘사된다.[29]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따르면, 날개 있는 생물의 왕이라고 한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봉황의 디자인에 변화가 있었는데,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키가 "4~5척" 정도로 작아졌으며, 생김새는 머리와 부리는 닭, 목은 뱀, 몸통 앞부분은 린, 뒷부분은 사슴, 등은 거북, 턱은 연, 꼬리는 물고기로 여겨진다.[32] 그러나 중국과 일본 모두 봉황을 '''오색찬란'''한 색채로 설정하고, 깃털에는 공작과 비슷한 오색의 무늬가 있으며, 소리는 오음을 낸다고 여겨진다.
3. 기원
가장 오래된 봉황 디자인은 약 7000~8000년 전 호남성 홍장의 고묘(高廟)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3] 반면 가장 오래된 용과 봉황 디자인은 양소문화(仰韶文化) 시대(기원전 약 5000~3000년)의 것으로 섬서성 서안 근처의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3] 이러한 고대 '봉황'과 용 디자인은 중국 고대 토템 신앙의 증거로 여겨진다.[3]
상나라(商朝) 시대에는 봉황과 용 이미지가 매장품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상나라 시대 묘에서 옥으로 만든 봉황과 용 여러 개가 발굴되었다.[3] 춘추시대(春秋時代)(기원전 약 771~476년)와 전국시대(戰國時代)에는 용과 봉황 디자인이 결합된 형태의 유물이 흔히 발견되는데, 그 예로는 초나라(楚) 묘에서 발굴된 비단 그림인 '봉황과 용이 있는 인물 그림'이 있다.[3][4]
진나라(秦朝)(기원전 221~206년)에는 봉황 장식의 머리핀과 봉황 디자인으로 장식된 신발을 황제의 첩들이 착용했다.[3] 한나라(漢朝)(2200년 전)에는 수컷 봉황('봉(鳳)', )과 암컷 봉황('황(凰)', ) 두 마리가 서로 마주 보는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황후와 황태후의 공식적인 머리 장식으로 봉황 머리핀을 사용해야 한다는 황제의 칙령이 내려졌다.[5]
원나라(元朝)에 이르러 '봉'과 '황' 두 용어는 '봉황(鳳凰)'으로 합쳐졌고, '새의 왕'인 봉황은 황제를 상징하는 용과 짝을 이루어 황후를 상징하게 되었다. thumb 명나라(明朝) 가정제(嘉靖帝) 시대(1522~1566년)부터는 두 마리 봉황의 꼬리 깃털을 통해 수컷과 암컷을 구별했다. 수컷은 5개의 긴 톱니 모양 꼬리 깃털(홀수인 남성 또는 양(陽)의 수)을, 암컷은 두 개의 꼬불꼬불하거나 덩굴 모양의 꼬리 깃털(짝수인 여성 또는 음(陰)의 수)을 가졌다. 또한 이 시기에 봉황은 남쪽 방향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서로 마주 보는 수컷과 암컷으로 묘사되었다.
봉황의 깃털은 검정, 흰색, 빨강, 녹색, 노란색의 다섯 가지 기본 색깔을 띠었으며, 공자(孔子)의 다섯 가지 덕을 나타낸다고 한다.
- 인(仁): 자애, 자비, 인간성의 덕
- 의(義): 정직과 올곧음. '의(義)'는 '중(忠)'(최선을 다하는 것, 성실함, 충성심)과 '수(恕)'(타인을 위한 상호성, 이타심, 배려)로 나눌 수 있다.
- 지(智): 지식
- 신(信): 성실과 정직
- 예(禮): 올바른 행동, 예의범절, 좋은 태도, 정중함, 의식, 예배[6]
봉황은 하늘에서 황후에게 보내는 힘을 나타냈으며, 집에 봉황 장식이 사용되었다면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충성심과 정직함을 상징했다. 또는, 통치자가 어둠과 부패 없이 다스릴 때만 봉황이 머물렀다(). 은나라 시대에는 바람의 신, 또는 그 사자(風師)로서 숭배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風"자와 "鳳"자의 원형은 같았다는 설도 있다.[40]
4. 상징
한국에서는 예부터 스스로를 하늘의 자손이라고 여겨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매체로서 새를 중요시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봉황을 특히 ‘신조’(神鳥)라 하여 새 가운데 가장 으뜸이라고 쳐서 신성시하였다.[46] 봉황은 360 종류의 새의 수장이라고 일컬어지는 새의 군주와도 같은 상서로운 존재로, 하늘을 날면 많은 새가 그 뒤를 따라 날며, 봉황이 죽으면 많은 새들이 탄식하며 슬피 운다고 한다.[46] 또한 봉황은 살아있는 벌레를 먹거나 해를 입히지 않고, 살아있는 풀 위에 앉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조선 시대에는 봉황의 생김새와 행동거지가 임금이 마땅히 지녀야 할 덕목이라고 여겨 임금의 상징으로 삼아 현 왕조 시대가 태평성대임을 강조하였으며, 지금도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되고 있다.[46] 일부 상장, 상패, 휘장, 한복에서 봉황을 볼 수 있으며, 군부대가 대통령에게 경례하거나 사열받을 때 연주하는 곡의 이름이기도 하다.[46]
4. 1. 한국에서의 상징
한국에서는 예부터 스스로를 하늘의 자손이라고 여겨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매체로서 새를 중요시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봉황을 특히 ‘신조’(神鳥)라 하여 새 가운데 가장 으뜸이라고 쳐서 신성시하였다.[46] 봉황은 360 종류의 새의 수장이라고 일컬어지는 새의 군주와도 같은 상서로운 존재로, 하늘을 날면 많은 새가 그 뒤를 따라 날며, 봉황이 죽으면 많은 새들이 탄식하며 슬피 운다고 한다.[46] 또한 봉황은 살아있는 벌레를 먹거나 해를 입히지 않고, 살아있는 풀 위에 앉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조선 시대에는 봉황의 생김새와 행동거지가 임금이 마땅히 지녀야 할 덕목이라고 여겨 임금의 상징으로 삼아 현 왕조 시대가 태평성대임을 강조하였으며, 지금도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되고 있다.[46] 일부 상장, 상패, 휘장, 한복에서 봉황을 볼 수 있으며, 군부대가 대통령에게 경례하거나 사열받을 때 연주하는 곡의 이름이기도 하다.[46]
5. 다른 이름과 종류
언어학자 왕리는 요소를 "붕, 전설 속의 큰 새"와 관련짓는다.[7] 鳳중국어는 "바람"과도 관련이 있다.[8] 역사언어학자 마크 미야케는 를 재구성하는데, 그는 이것이 "바람의 군주"의 접사 형태라고 제안하지만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9]
봉황의 다른 이름으로는 운작(雲作), 운작(雲雀), 엽률랑(叶律郎), 화리(火離), 오령(五霊), 인지금(仁智禽), 단산은자(丹山隠者), 장리(長離), 붕(朋), 명구거사(明丘居士) 등이 있다.[30] 황조(黄鳥)·광조(狂鳥)·맹조(孟鳥)·몽조(夢鳥) 등도 봉황과 동일시하는 설도 있다.[30]
이러한 종류 구분은 이론적·상상적인 것이며, 실제 장식이나 그림 표현에서는 봉황과 정확하게 구별되지 않고 거의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난(鸞) (らん)은 봉황의 일종으로 푸른 것을 가리킨다고도 하며, 봉황은 붉은데 난은 푸르기 때문에 다른 것이라고도 한다. 당나라의 『초학기』(728년)에 따르면, 난은 봉황의 새끼라고 한다. 에도 시대의 『화한삼재도회』는 난을 실제 존재하는 새로 여기며, 중국의 류서 『삼재도회』를 인용하여 난은 신령의 정기가 새로 변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봉황이 나이를 먹으면 난이 된다고도 하며, 군주가 올바른 행동을 할 때 나타난다고도 한다.[31]
원앙(鵷鶵, えんすう)은 봉황의 일종으로 노란색을 가리킨다는 설과, 봉황은 붉은색인데 원앙은 노란색이므로 다른 종류라는 설이 있다. 『장자』 「추수편(秋水篇)」에는 "원앙은 남해(南海)에서 북해(北海)로 날아간다. 오동나무(梧桐)가 아니면 앉지 않고, 련실(練實, 대나무 열매)이 아니면 먹지 않고, 례천(醴泉, 단맛이 나는 샘물)이 아니면 마시지 않는다"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봉황과 유사한 점을 보여준다.
『산해경』에는 다섯 가지 색깔의 새로 봉조(鳳, 봉황), 난조(鸞, 난), 황조(凰, 황) 세 종류가 나오지만, 구체적인 차이는 명확하지 않다. 봉(鳳)(ほう)는 수컷을, 황(凰)(おう)는 암컷을 가리킨다는 설[32]도 있고, 봉황 중 붉은 것을 봉, 능청색인 것을 난, 노란 것을 황, 보라색인 것을 각작(鸑鷟), 흰 것을 홍곡(鴻鵠)으로 색깔로 나누는 설(『모시육소광요』)도 있다.
6. 현대적 사용
봉황은 현대에도 여러 분야에서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되고 있으며,[46] 대한민국 대통령 봉인에도 등장한다. 조선 시대에는 임금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도 상장, 상패, 휘장, 한복 등에서 봉황 문양을 볼 수 있다. 군부대가 대통령에게 경례하거나 사열받을 때 연주하는 곡의 이름이기도 하다.[46]
일본에서는 황실과 관련된 상징으로 사용된다. 현재 황좌(高御座)에는 많은 봉황이 장식되어 있으며, 황실 의복인 황람염어포(黄櫨染御袍)에도 봉황 무늬가 사용되었다. 또한, 2004년(헤이세이 16년) 11월 1일부터 발행된 일만엔 지폐 뒷면과 다양한 일본 우표와 화폐에도 봉황이 등장한다.[13] 1957년(쇼와 32년)부터 1958년(쇼와 33년) 발행된 백엔 은화 앞면에도 봉황이 새겨져 있다. 우표에는 1925년(다이쇼 14년) 5월 10일 발매된 대혼 25주년 기념 우표와 1971년(쇼와 46년) 3월 29일 발매된 150엔 보통 우표 등에 봉황이 사용되었다. 일본 적십자사의 사장은 적십자 죽동봉황장을 수여받는다. 기업에서는 각가와 그룹이 봉황 문양을 사용하며, 센슈 대학과 소카 대학의 교장도 봉황의 날개를 문양으로 사용한다. 도요타 자동차의 최고급 승용차 센추리의 엠블럼도 봉황이다.[13] 상장 테두리에 디자인되는 새도 봉황이며, 왼쪽이 봉, 오른쪽이 황이다.[39]
중국에서는 여성의 이름에 '봉(鳳)' 또는 '봉황(鳳凰)'이 흔히 사용되며, 남녀 이란성 쌍둥이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용과 봉황의 아이들"()이 있다. 봉황은 중국 전역의 지명에도 사용되는데, 봉황현(옛 부현)이 대표적이다. 봉황 발톱(鳳爪)은 중국 요리에서 닭발을 부르는 표현이다.
그 외에도 홍콩 중문대학교(CUHK)는 엠블럼에 봉황을 사용하며,[15] 피닉스 텔레비전 ()은 홍콩에 본사를 둔 미디어 회사이다. 풍웡 태풍은 세 개의 열대성 저기압의 기상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7. 다른 문화권과의 관계
봉황은 서구에서는 동양의 페니크스로 여겨지며,[41] 영어로는 Chinese Phoenix 〔중국의 페니크스〕라고도 불린다. 과거 역사에서나 현재의 픽션에서나 페니크스와 봉황은 종종 서로 연관되거나 혼동된다.
중국의 봉황은 서양의 페니크스와는 원래 다른 계통이며, 특징도 다르다. 다만, 페르시아 신화의 「후마」는 페니크스와 봉황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벤누~후마~봉황은 죽음과 재생의 상징(정치적으로는 새로운 왕조의 도래의 상징)으로서 해돋이를 알리는 새의 신격화로, 신화학적으로 동일 기원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페니크스의 형태는 독수리에 가깝지만(고대 오리엔트에서는 독수리가 태양과 연결되었다[42]), 봉황은 공작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다만, 봉황이든 페니크스든 이러한 이미지의 대부분은 후대의 것이다. 고대 그리스·로마의 페니크스의 직접적인 근원으로 여겨지는 고대 이집트의 영조 벤누는 백로와 같은 물새에 가까운 외모였다.
페니크스는 수컷만으로 단성 생식을 하는 반면, 봉황은 암수의 구별이 있고 알을 낳는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봉황은 원래 하나의 단어였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두 글자의 단어를 한 글자씩 나누어 한쪽은 무엇이고, 다른 쪽은 무엇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중국에서는 흔한 어원 속설이며, 봉이 수컷이고 황이 암컷이라는 것은 후대의 설명이다.
힌두교 신화의 신이자 성스러운 새인 가루다가 말레이 반도와 인도네시아까지 퍼져 있다. 이를 봉황과 비교했을 때, 형태, 특징·성질, 신화 속 이야기 어느 면에서도 봉황과의 특별한 유사점은 없다.
7. 1. 서양의 불사조(Phoenix)
봉황은 서구에서는 동양의 페니크스로 여겨지며,[41] 영어로는 Chinese Phoenix 〔중국의 페니크스〕라고도 불린다. 과거 역사에서나 현재의 픽션에서나 페니크스와 봉황은 종종 서로 연관되거나 혼동된다.
중국의 봉황은 서양의 페니크스와는 원래 다른 계통이며, 특징도 다르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페니크스의 형태는 독수리에 가깝지만(고대 오리엔트에서는 독수리가 태양과 연결되었다[42]), 봉황은 공작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다만, 봉황이든 페니크스든 이러한 이미지의 대부분은 후대의 것이다. 고대 그리스·로마의 페니크스의 직접적인 근원으로 여겨지는 고대 이집트의 영조 벤누는 백로와 같은 물새에 가까운 외모였다.
페니크스는 수컷만으로 단성 생식을 하는 반면, 봉황은 암수의 구별이 있고 알을 낳는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봉황은 원래 하나의 단어였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두 글자의 단어를 한 글자씩 나누어 한쪽은 무엇이고, 다른 쪽은 무엇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중국에서는 흔한 어원 속설이며, 봉이 수컷이고 황이 암컷이라는 것은 후대의 설명이다.
다만, 페르시아 신화의 「후마」는 페니크스와 봉황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벤누~후마~봉황은 죽음과 재생의 상징(정치적으로는 새로운 왕조의 도래의 상징)으로서 해돋이를 알리는 새의 신격화로, 신화학적으로 동일 기원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7. 2. 인도의 가루다(Garuda)
힌두교 신화의 신이자 성스러운 새인 가루다가 말레이 반도와 인도네시아까지 퍼져 있다. 이를 봉황과 비교했을 때, 형태, 특징·성질, 신화 속 이야기 어느 면에서도 봉황과의 특별한 유사점은 없다.
참조
[1]
zh
[2]
서적
The secret language of birds: A treasury of myths, folklore & inspirational true stories
HarperElement
2006
[3]
서적
Study on Chinese traditional theory of artistic style
https://www.worldcat[...]
World Scientific
2019
[4]
웹사이트
Silk painting with female figure, dragon and phoenix patterns 湖南省博物館
https://www.hnmuseum[...]
2021-06-18
[5]
학술지
Research on the Form and Symbolism of the Chinese Wedding Phoenix Crown
https://www.koreasci[...]
2001
[6]
웹사이트
Confucius' Five Virtues
http://www.analects-[...]
2011-06-12
[7]
서적
同源字典 (Dictionary of Word Families)
Commercial Press
1982
[8]
서적
ABC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9]
발표자료
Old Chinese type A/type B in areal perspective: Recent Advances in Old Chinese Phonology beyond Boundaries
https://www.academia[...]
2015-11-05
[10]
zh
[11]
서적
The mythical creatures bible : the definitive guide to legendary beings
https://www.worldcat[...]
Sterling
2009
[12]
웹사이트
http://www.onmarkpro[...]
[13]
뉴스
How the Toyota Century Rivals Rolls-Royce
https://www.motortre[...]
Motortrend
2019-06-26
[14]
웹사이트
Definitions of Chinese Phoenix and Chinese Vermillion Bird
http://www.onmarkpro[...]
[15]
웹사이트
Mission & Vision, Motto & Emblem About CUHK
http://www.cuhk.edu.[...]
2019-02-08
[16]
서적
La Céramique chinoise sous les Tsing: 1644–1851
https://books.google[...]
R. Simonson
1936
[17]
웹사이트
fenghuang Chinese mythology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09-05
[18]
웹사이트
Fenghuang Phoenix, Bird-Woman & Immortalit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05
[19]
웹사이트
The Phoenix vs. Fenghuang Bird Mythology & Meaning
https://study.com/le[...]
2024-09-05
[20]
웹사이트
Chinese Culture: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èng Huáng and the Pheonix?
https://www.echinese[...]
eChienseLearning
2024-09-05
[21]
서적
The secret language of birds: A treasury of myths, folklore & inspirational true stories
HarperElement
2006
[22]
jp
[23]
jp
[24]
웹사이트
【天鳳堂資料室】瑞祥・瑞獣
http://www.tenhodo.c[...]
[25]
학술지
伝説の翼 #13 鳳凰 I (fenghuang)
文一総合出版
2013-01
[26]
jp
[27]
jp
[28]
서적
崑崙山への昇仙:古代中国人が描いた死後の世界
中央公論社
1981
[29]
jp
[30]
서적
中国神話・伝説大事典
大修館書店
1999
[31]
서적
和漢三才図会
平凡社
[32]
jp
[33]
서적
大東亜科学奇譚
ちくま文庫
1996
[34]
서적
大東亜科学奇譚
ちくま文庫
1996
[35]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青土社
1993
[36]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柏書房
[37]
일반
[38]
논문
房総里見氏の印判について―鳥の形像を有する印判をめぐって―
高科書店
[39]
웹사이트
ご贈答マナー【賞状について】
http://www.zoto.jp/m[...]
[40]
서적
字統
[41]
서적
世界の怪物・神獣事典
[42]
논문
フェニックスの系譜学―太陽・香料・炎・不死
鷹書房弓プレス
[43]
웹인용
한국민화센터
http://minhwacenter.[...]
2017-03-02
[44]
웹인용
한국고전문학회 규원사화 원문
https://web.archive.[...]
[45]
일반
[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1.preside[...]
2020-04-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