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은 식물 재배와 자연 환경을 조화롭게 조성하여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동양에서는 서민들의 여유로운 삶을 위한 공간으로, 서양에서는 주택 외부 공간을 실용적, 심미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뜰의 개념으로 발전해 왔다. 정원은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그리스, 로마, 중세 유럽을 거쳐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각기 다른 양식으로 발전했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공원 개념이 등장했고, 현대에는 기능주의, 동양 정원, 현대 예술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스타일로 진화했다. 정원은 한국,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중국, 일본 등 각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며, 학교 정원, 코티지 정원, 숲 정원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정원 가꾸기는 서식지 파괴, 물 사용, 살충제 사용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후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퇴비 사용, 피트 사용 자제 등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원 - 앞뜰 앞뜰은 주택 전면에 위치하여 집의 얼굴 역할을 하며 장식적 요소, 휴식 공간, 집주인의 개성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문화권별 역사적 발전과 기후, 규정,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정원 - 창가 화분 창가 화분은 창틀이나 창문 근처에 고정하여 식물을 가꾸는 용도로 사용되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실내외에서 활용되며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정원은 개인의 휴식 공간이자 사회적 연결을 위한 공간이며, 환경 개선 및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2. 이름
정원(庭園)이라는 단어는 일본인들이 19세기 후반에 만들어낸 말이다. 한국은 과거에 주로 중국말인 원림(園林), 임천(林泉), 정원(庭院) 등으로 불렀고 일제 강점기에 정원(庭園)이라는 말이 도입되었다.
''gardening''(정원 가꾸기)의 어원은 울타리와 관련이 있다. 이 단어는 중세 영어 ''gardi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프랑스어 ''gardin'', ''jardin''에서 왔고, 게르만어 기원을 가진다. 이는 舊고지 독일어 ''gard'', ''gart''(울타리 또는 구획)와 유사하며, 슈투트가르트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더 자세한 어원에 대해서는 그라드(슬라브 정착지)를 참조하라.[6] 'yard', 'court', 그리고 라틴어 ''hortus''(정원을 의미하며, 원예와 과수원의 어원이 됨)는 모두 울타리 쳐진 공간을 의미하는 동족어이다.[7]
영국 영어에서 "garden"(정원)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건물에 인접한 작은 울타리 쳐진 토지를 의미한다.[8] 이는 미국 영어에서는 마당이라고 불린다.[9]
2. 1. 정원(庭園)
정원(庭園)이라는 단어는 일본인들이 19세기 후반에 만들어낸 말이다. 한국은 과거에 주로 중국말인 원림(園林), 임천(林泉), 정원(庭院) 등으로 불렀고 일제 강점기에 정원(庭園)이라는 말이 도입되었다.
''gardening''(정원 가꾸기)의 어원은 울타리(enclosure)와 관련이 있다. 이 단어는 중세 영어 ''gardi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프랑스어 ''gardin'', ''jardin''에서 왔고, 게르만어 기원을 가진다. 이는 舊고지 독일어 ''gard'', ''gart''(울타리 또는 구획)와 유사하며, 슈투트가르트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더 자세한 어원에 대해서는 그라드(슬라브 정착지)를 참조하라.[6] 'yard', 'court', 그리고 라틴어 ''hortus''(정원을 의미하며, 원예와 과수원의 어원이 됨)는 모두 울타리 쳐진 공간을 의미하는 동족어이다.[7]
영국 영어에서 "garden"(정원)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건물에 인접한 작은 울타리 쳐진 토지를 의미한다.[8] 이는 미국 영어에서는 마당(yard)이라고 불린다.[9]
'gardening'(정원 가꾸기)의 어원은 울타리(enclosure)와 관련이 있다.[6] 이 단어는 중세 영어 'gardi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프랑스어 'gardin', 'jardin'에서 왔고, 게르만어 기원을 가진다.[6] 이는 옛 고지 독일어 'gard', 'gart'(울타리 또는 구획)와 유사하며, 슈투트가르트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6] 더 자세한 어원에 대해서는 그라드(슬라브 정착지)를 참조하라.[6] 'yard', 'court', 그리고 라틴어 'hortus'(정원을 의미하며, 원예와 과수원의 어원이 됨)는 모두 울타리 쳐진 공간을 의미하는 동족어이다.[7]
영국 영어에서 "garden"(정원)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건물에 인접한 작은 울타리 쳐진 토지를 의미한다.[8] 이는 미국 영어에서는 마당(yard)이라고 불린다.[9]
3. 정원에 대한 동서양의 접근 방식
동양에서 정원은 일정하게 구획된 빈 땅에 약간의 초화류나 유실수를 심고 채원을 만들어 여유 있는 삶을 살고자 하는 서민들의 바람에서 출발한 장소였다. 반면에 서구에서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뜻한다.
4. 역사
고대 원시인들은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맹수나 적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담장을 만들고, 채소와 과수목을 재배한 후부터 정원의 역사가 시작되었는데, 토질과 기후조건의 영향이 매우 컸다.[42]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범람으로 과수목, 목재용, 관상용 등의 나무를 정원에 재배하였으며 사카모어, 야자수, 포도나무 등을 신성시했다. 장식된 기둥으로 포도등책을 만들어 항상 신선한 그늘과 과일을 즐겼으며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못을 갖추었다.[42]
고대 희랍은 정치·문학·철학의 발달로 정원은 도외시 되었으나 꽃병, 화분 등으로 제단이나 성역을 장식했다.[42]
중세기 유럽은 사원의 승려생활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 사원은 거의 성곽으로 싸였고 일반인과 같이 생활수단으로 채소재배를 하여 정원이 형성되었다.[42]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는 정원 개발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많은 부호 상인들의 정원은 수천 평 면적으로 과수원이나 둘레를 관목으로 담장하고 그 안에 장미 정원, 분수, 정돈된 산책로, 석조각 등으로 부를 과시했으며 종합예술의 표현을 이루었다.[42]
프랑스는 왕의 궁전의 공원에 큰 규모로 국력을 기울였으며 웅대한 뱃놀이를 위한 분수 연못과 오렌지 과수원 등의 광대성은 예술적인 많은 조각상과 함께 왕의 위신과 위력을 증명했다.[42]
르네상스 시대 영국 정원은 지주의 동일가계(同一家系) 존속으로 보수적인 농원을 수백년 보존할 수 있었으나, 이탈리아, 프랑스의 영향으로 헨리8세 시대에 성과 궁전의 정원 형태를 바꿨으며 채소밭 형태를 면치 못했다. 메리와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 신세계 탐험으로 새로운 식물이 수입되어서 식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기하학적인 형태의 식물원 정원이 이루어졌다.[42]
근세 18세기 중국 왕궁은 인공적으로 연못을 파고 그 흙은 동산을 만들어 정자와 나무를 심고 물고기를 길러서 유럽의 기하학적인 정원과 다른 자연풍경의 정원을 조성해서 유럽으로부터의 여행자들에게 감명을 주었으며, 영국은 이 영향으로 조경정원을 만들어 낭만적인 예술을 창조했다.[42]
18세기 산업혁명은 근대사회를 형성해 갔으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의 사회정세는 특권계급의 대정원 소유를 점차 허락하지 않게 되었다.[43] 그 결과 공공정원인 공원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영국에서 탄생한 도시공원은 미국, 독일, 프랑스로 퍼져나갔다. 19세기 미국의 조원가 올름스테드(F.Olmsted 1823~1903)는 뉴욕 한가운데에 센트럴 파크를 비롯하여 수많은 자연식 공원을 만들었다.[43]
한편, 중소주택에도 새로운 경향의 정원이 제안되어 현대 정원의 기초가 되었는데, 이는 근대건축식 정원으로 불리며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동양정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3] 뜰은 옥외 거실이라는 생각에서 '옥외의 집'이란 명칭이 주어졌으며, 도시주택에서는 밀도가 높은 자연을 불러들이는 방법으로 가운데 뜰이나 옥상정원, 베란다 정원이 생겨났다.[43]
20세기에는 '옥외의 집'이라는 개념이 보편화되었다. 영국의 터나드(C. Tunard)는 현대 정원에 대해 첫째는 기능주의, 둘째는 동양 정원, 셋째는 현대 예술이라고 언급했다. 동양 정원은 비대칭적이고 균형 있는 구성이 현대 건축과 통하며, 작은 공간 속에서 큰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현대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43]
현대 정원은 예술 전반과 마찬가지로 고유하면서도 국제적인 성격을 띤다. 현대 작가로는 미국의 처치(T. Church)나 할프린(L. Halprin)의 유럽적인 곡선과 직선에 의한 구성의 소노마(Sonoma) 정원, 이사무 노구치의 파리유네스코 본부 정원에서 볼 수 있는 조각과 동양 정원의 돌 구성, 그리고 미국적인 감각으로 구성한 작품, 에크보(G. Eckbo)의 해석이 분명한 곡선과 동양 정원식 석조를 배치한 하리만 정원 등이 우수하다. 건축가로는 노이트라(R. Neutra)의 무어 저택의 정원 등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 브라질의 조원가 마르크스(R. Marx)의 식물을 교묘하게 군락 식재하여 아름다운 패턴을 묘출하고 있는 정원이나, 덴마크의 소렌센(C. Sorensen)의 헤르라프의 정원 등이 뛰어나다.[43]
4. 1. 고대와 중세
고대 원시인들은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맹수나 적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담장을 만들고, 채소와 과수목을 재배한 후부터 정원의 역사가 시작되었는데, 토질과 기후조건의 영향이 매우 컸다.[42]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범람으로 과수목, 목재용, 관상용 등의 나무를 정원에 재배하였으며 사카모어, 야자수, 포도나무 등을 신성시했다. 장식된 기둥으로 포도등책을 만들어 항상 신선한 그늘과 과일을 즐겼으며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못을 갖추었다.[42]
고대 희랍은 정치·문학·철학의 발달로 정원은 도외시 되었으나 꽃병, 화분 등으로 제단이나 성역을 장식했다.[42]
중세기 유럽은 사원의 승려생활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 사원은 거의 성곽으로 싸였고 일반인과 같이 생활수단으로 채소재배를 하여 정원이 형성되었다.[42]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는 정원개발의 전성을 이루었는데, 많은 부호상인들의 정원은 그 장식에 예술의 극치를 이루었다. 이런 정원은 수천 평 면적으로 과수원이나 둘레를 관목으로 담장하고 그 안에 장미 정원, 분수, 정돈된 산책로, 석조각 등으로 그 부를 과시했으며 종합예술의 표현을 이루었다.[42]
프랑스는 왕의 궁전의 공원은 큰 규모로 프랑스 전 국력을 기울였으며 웅대한 뱃놀이를 위한 분수 연못과 오렌지 과수원 등의 광대성은 예술적인 많은 조각상과 함께 왕의 위신과 위력을 증명했다.[42]
르네상스 시대 영국정원은 지주의 동일가계(同一家系) 존속으로 보수적인 농원을 수백년 보존할 수 있었으나, 이탈리아·프랑스의 영향으로 헨리8세 시대에 성과 궁전의 정원형태를 바꿨으며 채소밭 형태를 면치 못했다. 메리와 엘리자베스 여왕시대 신세계 탐험으로 새로운 식물이 수입되어서 식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기하학적인 형태의 식물원정원이 이루어졌다.[42]
근세 18세기 중국 왕궁은 인공적으로 연못을 파고 그 흙은 동산을 만들어 정자와 나무를 심고 물고기를 길러서 유럽의 기하학적인 정원과 다른 자연풍경의 정원을 조성해서 유럽으로부터의 여행자들에게 감명을 주었으며, 영국은 이 영향으로 조경정원을 만들어 낭만적인 예술을 창조했다.[42]
4. 2. 르네상스 시대
고대 원시인들은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담장을 만들고, 채소와 과수목을 재배하면서 정원의 역사가 시작되었는데, 토질과 기후조건의 영향이 매우 컸다.[42]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범람으로 과수목, 목재용, 관상용 등의 나무를 정원에 재배하였으며 사카모어, 야자수, 포도나무 등을 신성시했다. 장식된 기둥으로 포도등책을 만들어 항상 신선한 그늘과 과일을 즐겼으며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못을 갖추었다.[42]
고대 희랍은 정치·문학·철학의 발달로 정원은 도외시 되었으나 꽃병, 화분 등으로 제단이나 성역을 장식했다.[42]
중세기 유럽은 사원의 승려생활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 사원은 거의 성곽으로 싸였고 일반인과 같이 생활수단으로 채소재배를 하여 정원이 형성되었다.[42]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는 정원 개발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많은 부호 상인들의 정원은 수천 평 면적으로 과수원이나 둘레를 관목으로 담장하고 그 안에 장미 정원, 분수, 정돈된 산책로, 석조각 등으로 부를 과시했으며 종합예술의 표현을 이루었다.[42]
프랑스는 왕의 궁전의 공원에 큰 규모로 국력을 기울였으며 웅대한 뱃놀이를 위한 분수 연못과 오렌지 과수원 등의 광대성은 예술적인 많은 조각상과 함께 왕의 위신과 위력을 증명했다.[42]
르네상스 시대 영국 정원은 지주의 동일가계(同一家系) 존속으로 보수적인 농원을 수백년 보존할 수 있었으나, 이탈리아, 프랑스의 영향으로 헨리8세 시대에 성과 궁전의 정원 형태를 바꿨으며 채소밭 형태를 면치 못했다. 메리와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 신세계 탐험으로 새로운 식물이 수입되어서 식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기하학적인 형태의 식물원 정원이 이루어졌다.[42]
4. 3. 근대와 현대
18세기 산업혁명은 근대사회를 형성해 갔으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의 사회정세는 특권계급의 대정원 소유를 점차 허락하지 않게 되었다.[43] 그 결과 공공정원인 공원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영국에서 탄생한 도시공원은 미국, 독일, 프랑스로 퍼져나갔다. 19세기 미국의 조원가 올름스테드(F.Olmsted 1823~1903)는 뉴욕 한가운데에 센트럴 파크를 비롯하여 수많은 자연식 공원을 만들었다.[43]
한편, 중소주택에도 새로운 경향의 정원이 제안되어 현대 정원의 기초가 되었는데, 이는 근대건축식 정원으로 불리며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동양정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3] 뜰은 옥외 거실이라는 생각에서 '옥외의 집'이란 명칭이 주어졌으며, 도시주택에서는 밀도가 높은 자연을 불러들이는 방법으로 가운데 뜰이나 옥상정원, 베란다 정원이 생겨났다.[43]
20세기에는 '옥외의 집'이라는 개념이 보편화되었다. 영국의 터나드(C. Tunard)는 현대 정원에 대해 첫째는 기능주의, 둘째는 동양 정원, 셋째는 현대 예술이라고 언급했다. 동양 정원은 비대칭적이고 균형 있는 구성이 현대 건축과 통하며, 작은 공간 속에서 큰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현대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43]
현대 정원은 예술 전반과 마찬가지로 고유하면서도 국제적인 성격을 띤다. 현대 작가로는 미국의 처치(T. Church)나 할프린(L. Halprin)의 유럽적인 곡선과 직선에 의한 구성의 소노마(Sonoma) 정원, 이사무 노구치의 파리유네스코 본부 정원에서 볼 수 있는 조각과 동양 정원의 돌 구성, 그리고 미국적인 감각으로 구성한 작품, 에크보(G. Eckbo)의 해석이 분명한 곡선과 동양 정원식 석조를 배치한 하리만 정원 등이 우수하다. 건축가로는 노이트라(R. Neutra)의 무어 저택의 정원 등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 브라질의 조원가 마르크스(R. Marx)의 식물을 교묘하게 군락 식재하여 아름다운 패턴을 묘출하고 있는 정원이나, 덴마크의 소렌센(C. Sorensen)의 헤르라프의 정원 등이 뛰어나다.[43]
5. 각국의 정원
최초의 서양 정원은 이집트의 수목원, 과수원, 정형화된 연못을 포함한 정원을 비롯하여, 바빌론의 공중정원(hanging garden)이 있고, 중세의 실용적인 수도원의 정원이나 이슬람 융단 무늬의 정원(사라센식 정원) 등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특히 르네상스기에 개화한 이탈리아식 정원 및 프랑스식 정원은 가장 화려한 것으로서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44]
원예는 16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예술의 한 형태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이상적인 공화국" 개념의 상징으로서 정치적 담론에 들어섰다. 에덴 동산의 유토피아적 이미지를 연상시키며, 인간이 굶주림이나 재산 분쟁으로 인한 갈등을 알지 못했던 풍요와 풍족의 시대를 떠올리게 했다. 존 이블린은 17세기 초에 "훌륭한 정원사보다 더 힘든 삶은 없지만, 평온함과 만족감으로 가득 찬 노동이며, 자연스럽고 교육적이며, (만약 있다면) 경건함과 묵상에 기여한다"라고 썼다.[21] 인클로저 운동 시대 동안, 봉건제 시대의 농업적 집산주의는 문학적 "정원과 황무지로의 해방적 퇴행에 대한 환상"으로 이상화되었다.[22]
대한민국의 정원은 자연과의 융합을 추구하며, 비형식, 단순함, 그리고 인위적이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19] 한국 정원의 역사는 2천 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20] 서양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 시대(기원전 57년 – 서기 668년)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건축물과 궁궐 정원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 나타나 있다.
5. 2. 스페인식 정원
스페인은 중정식 정원이 특징이다. 중세 이슬람 정원의 흐름을 흡수한 스페인식 정원은 13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서 완성되었다.[45] 파티오(Patio)로 불리는 안뜰을 가지고 있던 이 정원은 작열하는 기후를 누그러지게 하고 외적을 방비하는 것까지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45] 아케이드나 발코니에 둘러싸여 조망되는 이 중정식 정원은 기하학 도안식의 샘물이 설치되었고 바닥에는 다채로운 원색 타일이 붙여졌다.[45] 식물은 열대성의 녹음수나 과수, 꽃나무, 화초가 심어져 있었다.[45]
사라센식 정원은 외부에 두꺼운 벽을 가진 "파티오"라고 불리는 중정을 발달시킨 정원이다. 파티오는 주위를 건물로 둘러싸인 작은 공간이지만, 그 중앙에 연못이나 분수, 카날(흐름, 수로)을 배치하고, 색채가 풍부한 색 타일의 바닥, 아름다운 화단 등이 특징이다. 중앙에 분수나 연못이 설치됨으로써, 화분에 심어진 나무들과 함께, 장소에 청량감을 주고 있다.
스페인·사라센식 정원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페인 그라나다에 현존하는 알함브라 궁전의 알베르카, 아라야네스 중정, 헤네랄리페 정원, 세비야의 알카사르 정원 등이 있다.[45] 7세기 말 스페인을 정복했을 때 만들어진 형식으로, 스페인에 침입한 사라센인은 파티오의 주위를 벽이나 주랑으로 둘러쌌다. 벽이나 기둥, 바닥에는 색 타일로 독특한 무늬가 그려져 있다. 현재도 스페인 문화권에서는 이 정원 양식으로 정원이 만들어지고 있다. 현존하는 정원으로서는 4개의 중정을 가진 알함브라 궁원(宮苑)이 저명하다.[45]
이탈리아의 정원은 노단(露壇) 건축이 특징이다.[46] 15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에서는 귀족의 별장이 차례차례로 설치되었고, 이 별장들은 대부분 조망이 좋은 구릉지에 배치되어 자연 경관을 전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6] 정원은 건물에서의 주축선을 따라 테라스, 계단이나 옹벽(擁壁)이 만들어졌으며, 캐스케이드(cascade, 물 계단), 워터셔터(water shutter, 水舞台) 등 부지의 고저차가 교묘하게 활용되었다.[46] 또한 포장 광장, 퍼걸러(pergola, 덩굴시렁), 조상(彫像), 꽃장식사발이 배치되었고, 토피어리(topiary)라 불리는, 단정하게 전정된 나무가 심어졌다.[46] 르네상스 시대 메디치가의 각 별장이나 이소라베라 등 이름난 정원이 많다.[46]
카세르타 궁전에는 1780년대에 카를로 반 비테리, 존 그레아퍼가 설계한 영국식 정원이 있다.
프랑스식 정원은 평면기하학의 형식이 특징으로, 이탈리아식 정원의 영향을 받아 17세기 프랑스의 조원가 르노트르(Lenotre, 1613~1700)에 의해 발전하였다.[47] 그는 베르사유 궁전을 비롯한 많은 정원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주요 건물의 중심선을 주축으로 하여 직선에 의한 평면기하학적 구성을 이루며, 축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대분수가 설치되었다.[47]
샤를 8세는 이탈리아 원정에서 나폴리의 정원을 보고 정원 디자이너 파첼로 다 메르콜리아노를 데려와 앙부아즈 성에 이탈리아 양식의 정원을 조성하게 했다.[23] 앙리 2세는 블루아 성 근처에, 프랑수아 1세는 퐁텐블로 성에 새로운 정원을 조성했다.[23][24] 슈농소 성에는 디안 드 푸아티에와 카트린 드 메디치를 위한 정원이 만들어졌다.[25] 1536년 건축가 필리베르 드 롬은 아네 성의 정원을 이탈리아 비례 규칙에 따라 만들었는데, 이는 고전적인 프랑스식 정원의 초기 예시 중 하나이다.[26]
프랑스식 정원( )은 "자연을 억지로 조작"하는 것이 특징으로,[27] "파르테르, 기하학적 모양, 깔끔하게 다듬어진 토피어리"를 통해 "자연에 대한 인간 의지의 질서 있는 승리를 반영"했다.[29] 앙드레 몰레와 자크 보소는 축 대칭을 강조했으며,[32] 파리의 튈르리 정원은 태양왕 루이 14세를 위해 프랑스식 정원으로 재설계되었다.[29]
18세기 후반에는 영국 풍경 정원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 풍경 정원이 등장하기도 했다.[30][31]
|thumb|베르사유 궁전 정원]]
5. 5. 영국식 정원
영국의 정원은 풍경의 형식이 특징이다. 18세기 중엽 이후의 자연주의 풍조는 정원에도 작용하여 풍경식 정원이라 불리는 양식이 생겼다. 이는 17세기 프랑스식 정원이 너무 인위적이었던 것에 대한 반동으로서, 당시의 풍경화가나 시인의 영향도 컸다.[48]프랑스식 정원에서는 사람이 경관을 지배하였으나, 영국식 정원은 목초가 펼쳐진 구릉지나 소림(疏林)의 저지에 있는 연못이나 다리가 걸린 흐름 등 자연의 목가적이고 전원적인 풍경을 받아들여 자연에 순응하는 형을 취하였다.[48] 이 양식은 독일에서 과학적인 연구의 바탕으로서 쓰이는 정원으로 변화하여 갔다.[48]
그랜드 매너 시대 이전에는 대륙의 영향을 받아 영국에서 몇몇 중요한 정원이 조성되었다. 영국의 토착적인 가정 정원 전통은 미학적이라기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는 주로 성 부지에서 발견되고 대학에서는 덜 흔하게 발견되는 웅장한 정원과는 달랐다. 튜더 양식 정원은 전환보다는 대비를 강조했으며, 색상과 환상으로 구별되었다. 집이나 건축물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꽃과 관상용 식물을 재배하고 전시하기 위해 마련된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상되었다. 정원사들은 복잡한 배치를 가진 매듭 정원에서 그들의 예술성을 보여주었는데, 가장 흔하게는 얽힌 사철나무 울타리가 포함되었고, 덜 흔하게는 로즈마리와 같은 향기로운 허브가 사용되었다. 덮이지 않은 매듭 사이에는 모래를 깔아 놓은 길이 있었고, 덮인 매듭은 단색의 꽃으로 채워졌다. 매듭 정원과 파르테르 정원은 항상 평평한 땅에 배치되었고, 정원의 복잡성을 볼 수 있는 테라스가 있는 구역은 높게 조성되었다.[32]
헨리 워튼은 1624년에 자코비안 정원을 "유쾌한 혼란"이라고 묘사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캐롤라인 정원은 초기 디자인의 혼란스러움을 일부 덜어내기 시작했으며, 건물 건축물을 고려하고 집과 정원을 볼 수 있는 높은 테라스를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이고 통일된 디자인으로의 추세가 시작되었다. 유일하게 남아있는 캐롤라인 정원은 더비셔의 볼소버 성에 위치해 있지만, 그다지 흥미를 끌기에는 너무 단순하다.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새로운 바로크 건축 양식의 시골집이 지어졌고, 잉글랜드에서는 올리버 크롬웰이 많은 튜더, 자코비안 및 캐롤라인 양식의 정원을 파괴하려 했다.[32]
대표적인 영국식 정원으로는 스토우 하우스, 블레넘 궁전, 채츠워스, 파운틴스 수도원, 헬리건의 잃어버린 정원, 로섬 하우스, 시싱허스트 성, 스토헤드 등이 있다.
5. 6. 중국식 정원
중국의 정원은 풍경의 형식이 특징으로, 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풍경식 정원으로 불린다.[49] 영국 풍경식이 사실주의인 데 반해, 중국 정원은 사의주의(寫意主義) 형식을 취하여 풍경 묘사보다는 신선사상이나 불교의 동양적 우주관을 기암기석으로 표현했다.[49] 그러나 실용성도 중시하여, 후궁의 미녀 3000명을 위한 대광장을 가진 정원도 만들어졌다.[49] 정원은 여러 개로 분할되어 걸으면서 감상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으며, 자연 속에 강한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인공 배치가 특징이다.[49] 식물은 꽃과 나무를 좋아했고, 공작을 풀어 기르기도 했다.[49]
경관에 통합된 중국 정원의 자연주의적 디자인, 정자 포함
가장 초기에 기록된 중국 정원은 상나라 (기원전 1600–1046년) 시대 황하 계곡에 만들어졌다. 왕과 귀족의 사냥, 과일 및 채소 재배를 위한 큰 공원이었으며, 당시 정원을 나타내는 한자는 '유(you)', '포(pu)', '원(yuan)'이었다. '유'는 새와 동물을 키우는 왕실 정원, '포'는 식물 정원이었다. 진나라 (기원전 221–206년) 시대에 '원(yuan)'이 모든 정원을 나타내는 글자가 되었다.[10] '원'의 옛 글자는 벽, 구조물, 연못, 농장 또는 석류 나무를 나타내는 기호를 포함한 작은 그림이다.[11]
상나라 말기 문왕이 세운 '영대, 영조, 영유' (''Lingtai, Lingzhao Lingyou'')는 ''시경''에 묘사된 왕실 정원이다.[12] 주왕 (기원전 1075–1046년)이 건설한 '사구(Shaqui)'는 흙 테라스('대(tai)')로 구성된 정원으로, ''사기''에 '술 연못과 고기 숲' (酒池肉林)이 묘사되어 있다.[13][14] 춘추 시대 (기원전 722–481년)에는 '상화대', '고소대' 등 화려한 정원이 건설되었다.[15] '고소대'는 태호까지 시야가 펼쳐진 테라스를 포함했다.[15]
5. 7. 일본식 정원
일본 정원의 가장 초기 기록은 천황과 귀족의 유원지였다. 이는 720년에 출판된 일본 역사 최초의 연대기인 일본서기에 언급되어 있다. 74년 봄, 연대기에는 "게이코 천황은 연못에 잉어를 몇 마리 넣고, 아침저녁으로 그들을 보는 것을 기뻐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듬해 "천황은 이하라의 이지시 연못에서 쌍동선(double-hulled boat)을 띄우고, 그의 황후와 함께 배에 올라 호화롭게 잔치를 벌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486년에는 "겐조 천황은 정원으로 들어가 구불구불한 개울가에서 잔치를 벌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정원은 배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학교 정원, 코티지 정원, 숲 정원, 공동체 정원, 스퀘어 풋 가든, 주택 정원, 옥상 정원, 주방 정원, 음지 정원 등이 있다. 집의 앞마당과 뒷마당도 정원으로 활용된다.
6. 1. 특정 식물 또는 목적
정원에는 특정 식물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다. 고산 정원, 늪 정원, 선인장 정원, 고사리원, 화원, 이끼 정원, 과수원, 약초 정원, 수분 매개 정원, 장미 정원, 수생 정원, 야생동물 정원, 식물원, 채소 정원, 승리의 정원, 나비 정원, 수경 재배, 우수 정원, 시험 정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약초 정원은 식물원의 전신이며, 채소 정원은 현금 작물의 소규모 생산을 위해 조성된다. 승리의 정원은 전시 식량 보충을 위해 재배하는 정원이다. 수경 재배는 흙 없이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이고, 우수 정원은 빗물 유출을 재흡수하기 위해 조성된다.
6. 2. 특정 스타일 또는 미학
분재, 컬러 가든, 네덜란드 정원, 정원 방, 독일 정원, 그리스 정원, 매듭 정원, 마리아 정원, 수도원 정원, 무굴 정원, 자연 조경, 낙원 정원, 페카랑안, 페르시아 정원, 철학 정원, 쾌락 정원, 로마 정원, 성스러운 정원, 감각 정원, 셰익스피어 정원, 스페인 정원, 다원, 치료 정원, 열대 정원, 건생 조경, 선 정원, 친남파, 벽 정원, 수림 정원 등 다양한 스타일과 미학을 반영한 정원들이 존재한다. 셰익스피어 정원은 셰익스피어 작품에 언급된 식물들을 특징으로 한다. 마리아 정원은 성모 마리아 조각상이 있는 정원이다.
6. 3. 배치
정원은 배치에 따라 뒷마당, 학교 정원, 코티지 정원, 숲 정원, 앞마당, 공동체 정원, 스퀘어 풋 가든, 주택 정원, 옥상 정원, 주방 정원, 음지 정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원사는 정원 가꾸는 방식에 따라 환경에 피해를 줄 수도 있고, 지역 환경을 개선할 수도 있다.
정원사에 의한 피해에는 주택과 정원을 조성할 때 발생하는 직접적인 서식지 파괴를 비롯하여, 이탄,[33] 암석 정원을 위한 암석[34]과 같은 정원 자재를 제공하기 위한 간접적인 서식지 파괴 및 피해, 정원에 관개를 하기 위한 수돗물 사용; 민달팽이와 달팽이뿐만 아니라 고슴도치와 개똥지빠귀와 같은 포식자를 메타알데히드 살충제로 죽이는 것과 같은 정원 내 생물의 죽음; 무분별한 식물 채집가에 의한 지역 종의 멸종과 같은 정원 밖 생물의 죽음; 정원 가꾸기에서 발생하는 온실 가스에 의한 기후 변화 등이 있다.
7. 1. 기후 변화
정원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후 변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나무, 관목, 지피 식물 및 기타 여러해살이 식물을 정원에 사용하고, 정원 쓰레기를 태우는 대신 토양 유기물로 바꾸며, 토양과 퇴비 더미를 통기시키고, 피트 사용을 피하며, 동력 공구에서 수동 공구로 전환하거나 동력 공구가 필요하지 않도록 정원 설계를 변경하고, 질소 고정 식물을 질소 비료 대신 사용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35]
기후 변화는 정원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일부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36] 정원 또한 기후 변화에 기여한다. 온실 기체는 정원사에 의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3대 온실 기체는 이산화 탄소, 메탄, 아산화 질소이다. 정원사는 과도한 경작으로 토양을 파괴하고 토양 탄소를 파괴하고, 모닥불에서 정원 쓰레기를 태우고, 화석 연료를 태우거나 화석 연료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는 동력 공구를 사용하고, 피트를 사용함으로써 이산화 탄소를 직접적으로 생산한다. 또한 토양을 다져 혐기성 상태로 만들고, 퇴비 더미가 다져지고 혐기성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메탄을 생산한다. 식물이 활발하게 성장하지 않을 때 과도한 질소 비료를 시용하여 비료의 질소가 토양 박테리아에 의해 아산화 질소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아산화 질소를 생산하기도 한다.[35][36]
7. 2. 관개
일부 정원사는 정원 외부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원을 관리한다. 영국의 예로는 와이트 섬의 벤토어 식물원과 베스 차토의 에섹스 정원 일부, 도싯의 스티키 위켓 정원, 그리고 할로우 카와 하이드 홀에 있는 왕립 원예 협회 정원이 있다. 우수 정원은 빗물을 하수도로 보내는 대신, 인근 딱딱한 표면에 내린 빗물을 흡수한다.[37]
참조
[1]
사전
Garden
https://dictionary.c[...]
2022-08-21
[2]
웹사이트
Urban gardening
https://www.research[...] [3]
서적
Garden History: Philosophy and Design 2000 BC – 2000 A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2-08
[4]
서적
The Earth Knows My Name: Food, Culture, and Sustainability in the Gardens of Ethnic Americans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2021-12-08
[5]
간행물
Creating relevant science through urban planning and gardening
https://onlinelibrar[...]
Wiley Online Library
[6]
사전
Etymology of the modern word gardin
http://www.merriam-w[...]
2009-10-14
[7]
웹사이트
Etymology of words referring to enclosures, probably from a Sanskrit stem. In German, for example, Stutt'''gart'''. The word is generic for compounds and walled cities, as in Stalin'''grad''', and the Russian word for city, ''gorod''. Gird and girdle are also related
http://www.yourdicti[...]
Yourdictionary.com
[8]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http://www.askoxford[...]
2007-05-24
[9]
서적
British English from A to Zed: A Definitive Guide to the Queen's English
Skyhorse Publishing
1987
[10]
문서
The Classical Gardens of Suzhou
[11]
문서
Records of Jiang Gardens
[12]
문서
Jardins de Chine, ou la quete du paradis
[13]
문서
[14]
문서
Jardins de Chine, ou la quete du paradis
[15]
문서
Jardins de Chine
[16]
문서
Bhudharakrida in Manasollasa
2010
[17]
간행물
Cities and parks in ancient India
[18]
문서
Le Jardin Japonais
[19]
서적
Korea: An Introduction - Google Book Search
https://books.google[...]
Kegan Paul International
1988-01
[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eng.buddhapia[...]
2011-05-18
[21]
문서
Locus Amoenus: Gardens and Horticulture in the Renaissance
2012
[22]
문서
Locus Amoenus: Gardens and Horticulture in the Renaissance
2012
[23]
문서
Architecture du jardin
[24]
문서
Histoire des jardins
[25]
문서
Histoire des Jardins
[26]
문서
Le Nôtre
Éd. Hazan
[27]
서적
Mirrors of Infinity: The French Formal Garden and 17th-Century Metaphysic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5
[28]
서적
Napoleon: A Life in Gardens and Shadows
Vintage
2022
[29]
서적
Napoleon: A Life in Gardens and Shadows
Vintage
2022
[30]
서적
Experiencing the Garden in the Eighteenth Century
Lang
2006
[31]
서적
Mirrors of Infinity: The French Formal Garden and 17th-Century Metaphysic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5
[32]
서적
Landscape and Garden Design: Lessons from History
Whittle
2013
[33]
뉴스
Is this popular gardening material bad for the planet?
https://www.washingt[...]
2022-08-29
[34]
서적
Wildlife on Farms: How to Conserve Native Animals
https://books.google[...]
Csiro
2022-08-29
[35]
서적
Science and the Garden: The scientific basis of horticultural practice
Blackwell
[36]
보고서
Gardening in the global greenhous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gardens in the UK.
2002
[37]
서적
Rain Gardens: Managing Water Sustainably in the Garden and Designed Landscape
Timber Press
[38]
사전
garden
研究社
[39]
웹사이트
日本庭園と西洋庭園の比較から見る自然に対する価値感の違い
https://ecotopia.ear[...] [40]
간행물
El Urbanismo de Sevilla durante el reinado de Felipe II. Sevilla, Guadalquivir Ediciones
2002
[41]
서적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42]
백과사전
정원의 연혁
글로벌 세계 대백과
[43]
백과사전
현대의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4]
백과사전
외국의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5]
백과사전
스페인식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6]
백과사전
이탈리아식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7]
백과사전
프랑스식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8]
백과사전
영국식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9]
백과사전
중국식 정원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