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 설리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 설리번은 미국의 방송인이자 신문 칼럼니스트로, 1948년부터 1971년까지 CBS에서 방영된 버라이어티 쇼 《에드 설리번 쇼》의 진행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쇼는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등 다양한 장르의 스타들을 출연시키며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설리번은 흑인 아티스트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여 인종 통합에 기여했으며,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는 1974년 식도암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쇼는 한국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 밥 바커
    밥 바커는 《진실 혹은 결과》와 《정가는 얼마일까요》를 진행하며 큰 인기를 얻은 미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진행자이자, 은퇴 후 동물 권리 운동가로 활동하며 동물 보호를 위한 기부와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1974년 사망 - 육영수
    육영수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자 퍼스트레이디로서 사회복지 사업과 민원 해결에 힘썼으며 육영재단 설립 등으로 아동 복지 증진에 기여했으나,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격으로 사망했다.
  • 1974년 사망 - 최두선
    최두선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동아일보 사장, 초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다.
  • 뉴욕 출신 - 재러드 쿠슈너
    재러드 쿠슈너는 미국의 사업가, 투자자, 부동산 개발업자, 신문 발행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사위이며 전 미국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 쿠슈너 컴퍼니즈 CEO로서 부동산 사업을 확장하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분야에 관여했으며, 현재는 투자 회사 애피니티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 뉴욕 출신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에드 설리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드 설리번
1955년
본명Edward Vincent Sullivan
별칭Great Stone Face (돌 얼굴)
출생일1901년 9월 28일
출생지미국 뉴욕
사망일1974년 10월 13일
사망지미국 뉴욕
사망 원인식도암
묘지Ferncliff Cemetery
직업텔레비전 진행자, 신문 칼럼니스트, 기자
활동 기간1932년–1974년
배우자Sylvia Weinstein Sullivan (1930년 결혼, 1973년 사망)
자녀1명
경력
활동 분야라디오, 텔레비전
주요 작품에드 설리번 쇼
수상
기타
TV 가이드 선정 역대 TV 스타50인 중 한 명

2. 초기 생애 및 경력

에드 설리번은 어린 시절부터 스포츠와 언론 분야에서 재능을 보였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여러 스포츠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졸업 후에는 스포츠 기자로 경력을 쌓았다.

이후 월터 윈첼의 뒤를 이어 ''New York Evening Graphic''의 브로드웨이 칼럼니스트가 되었고, ''New York Daily News''에서 "Little Old New York"라는 칼럼을 연재하며 인기를 얻었다. 라디오 방송과 영화 출연을 통해 연예계에서도 영향력을 넓혔으며, 월터 윈첼의 라이벌로 여겨졌다. 뉴욕의 El Morocco 나이트 클럽은 그의 비공식적인 본부였다.

2. 1. 어린 시절

에드 설리번은 1901년 9월 28일 뉴욕시 할렘에서 세관 직원인 아버지 피터 아서 설리번과 어머니 엘리자베스 F. 설리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쌍둥이 형제는 병약하여 몇 달 살지 못했다.[3] 설리번은 아일랜드계 미국인으로, 가족은 뉴욕 주 포트 체스터의 워싱턴가 53번지에 있는 작은 붉은 벽돌집에서 살았다.[4] 가족은 음악을 좋아했고, 피아노를 자주 치고 노래를 부르며 축음기 레코드를 틀었다. 설리번은 포트 체스터 고등학교에서 재능 있는 운동선수였으며, 12개의 운동부 배지를 받았다. 그는 하프백으로 풋볼을, 가드로 농구를, 단거리 선수로 육상을 했다. 야구팀에서는 포수이자 팀의 주장이었으며, 팀을 여러 번 챔피언십으로 이끌었다. 설리번은 뉴욕주에서 고등학교 스포츠에서 인종 통합이 당연하게 여겨졌다고 언급했다.

2. 2. 스포츠 기자 및 브로드웨이 칼럼니스트

설리번은 권투 선수를 지망했지만, 이후 여러 신문사에서 스포츠 기자로 활동했다. 1919년 ''The Hartford Post''에서 일했지만, 그가 입사한 첫 주에 신문이 폐간되었다.[3] 이후 ''The New York Evening Mail'' 등 여러 신문사를 거쳤다.[3] 1927년에는 ''New York Evening Graphic''에서 스포츠 작가, 스포츠 편집자로 일했다.[3]

1929년, Walter Winchell이 ''The Daily Mirror''로 옮겨가자 설리번은 ''New York Evening Graphic''의 브로드웨이 칼럼니스트가 되었다.[3] 이후 ''New York Daily News''로 이직하여 "Little Old New York"라는 칼럼을 연재하며 브로드웨이 쇼와 가십을 다루었고, 라디오에서도 연예계 뉴스 방송을 했다.[3] 1933년에는 영화 ''미스터 브로드웨이''를 쓰고 주연을 맡기도 했다.[3]

3. 방송 경력

에드 설리번은 1941년 CBS에서 방영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서머 실버 시어터의 진행을 맡아 라디오 방송 경력을 시작했다.[5] 이 프로그램에는 윌 브래들리가 밴드 리더로 참여했고, 매주 게스트 스타가 출연했다.

1948년, 프로듀서 말로 루이스의 권유로 CBS에서 매주 일요일 밤 버라이어티 쇼 ''Toast of the Town''을 진행하게 되었고, 1955년 ''에드 설리번 쇼''로 개칭되었다.[6] 1948년 6월 첫 방송은 맥신 엘리엇 극장에서 시작되었고, 1953년 1월 에드 설리번 극장으로 옮겨졌다.[6]

1952년 ''Toast of the Town''에서 콜 포터와 함께 있는 설리번


초기 텔레비전 평론가들은 쇼와 진행자에게 혹평을 했지만,[6] 해리엇 반 혼은 설리번이 "인격이 없어서"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6] 1967년 ''타임''지는 "에드 설리번의 재능은 정확히 무엇인가?"라고 질문할 정도로 설리번은 연기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6]

1953년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한 카르멘 미란다


하지만 대중들은 설리번을 쇼 비즈니스의 훌륭한 공연을 안방 텔레비전에 가져다주는 평범한 사람으로 인식했다. 프레드 앨런은 "에드 설리번은 다른 누군가에게 재능이 있는 한 계속될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앨런 킹은 "에드는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그는 텔레비전에서 그 누구보다 더 잘한다."라고 평가했다.[6]

설리번은 보드빌 연기, 코미디언, 노래 스타, 정극 배우, 토포 지지오 출연, 운동선수 등 다양한 구성을 선보였다. 출연진은 국제적인 규모였으며, 많은 유럽 공연자들이 미국 예술가들과 함께 출연했다. 설리번은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었고, 존 바이너, 프랭크 고신, 리치 리틀, 윌 조던과 같은 모방가들이 자신의 쇼에서 그를 흉내 내는 것을 허용하고 장려했다.[6]

1958년 텔아비브에서 열린 콘서트 후 13세의 이츠하크 펄만을 축하하는 설리번


설리번은 "저는 제 쇼를 진행하면서 출연자에게 종교, 인종, 정치 성향을 묻지 않았습니다. 출연자는 그들의 능력에 따라 섭외됩니다."라고 말했다.[9] 엘비스 프레슬리의 이미지에 대해 조심스러워 처음에는 섭외를 거부했지만, 1956년 세 번 출연하는 계약을 맺었다.[7][10]

설리번과 비틀즈, 1964


1963년 11월, 설리번은 히드로 공항에서 비틀매니아 광경을 목격하고, 시드 번스타인의 간청으로 비틀즈와 계약을 맺었다. 1964년 2월 9일 비틀즈의 첫 번째 설리번 쇼 출연은 당시 TV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를 기록했다.[12] 데이브 클라크 파이브는 비틀즈보다 "더 깨끗한" 이미지를 내세워 13번 출연했다.

1969년 잭슨 5는 "I Want You Back"을 선보였다.

1972년 스페셜 ''Clownaround''를 진행하는 설리번 (광대 복장)


설리번은 보 디들리, 버디 홀리, 재키 메이슨, 짐 모리슨 등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루실 볼과 폴라 스튜어트 (1961년)


데이브 클라크 파이브와 에드 설리번 (1964년)


슈프림스 (1966년)


에드 설리번 쇼》는 엘비스 프레슬리, 제임스 브라운, 잭슨 5, 비틀즈, 롤링 스톤스 등 많은 스타를 출연시켰다. 일본에서도 재키 요시카와와 블루 코메츠와 더 피너츠를 초청하여 한미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3. 1. 라디오

1941년, 설리번은 CBS에서 방영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서머 실버 시어터의 진행자가 되었으며, 윌 브래들리가 밴드 리더를 맡았고 매주 게스트 스타가 출연했다.[5]

3. 2. 텔레비전: 《에드 설리번 쇼》

1948년, 프로듀서 말로 루이스의 설득으로 CBS에서 매주 일요일 밤 버라이어티 쇼 ''Toast of the Town''을 진행하게 되었고, 이는 1955년 ''에드 설리번 쇼''로 개칭되었다.[6] 1948년 6월 첫 방송은 뉴욕 웨스트 39번가의 맥신 엘리엇 극장에서 시작되었고, 1953년 1월 브로드웨이 1697번지에 있는 CBS-TV 스튜디오 50 (이후 에드 설리번 극장으로 개칭)으로 옮겨졌다.[6]

초기 텔레비전 평론가들은 이 쇼와 진행자에게 좋지 않은 평가를 내렸다.[6] 해리엇 반 혼은 설리번이 "인격이 없어서"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6] 설리번은 연기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1967년 ''타임''지는 "에드 설리번의 재능은 정확히 무엇인가?"라고 질문하기도 했다.[6]

하지만 설리번은 시청자들에게 쇼 비즈니스의 훌륭한 공연을 안방 텔레비전에 가져다주는 평범한 사람으로 인식되었다. 프레드 앨런은 "에드 설리번은 다른 누군가에게 재능이 있는 한 계속될 것이다."라고 말했고, 자주 출연한 앨런 킹은 "에드는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그는 텔레비전에서 그 누구보다 더 잘한다."라고 말했다.[6]

이 쇼는 보드빌 연기, 인기 코미디언, 노래 스타, 정극 배우, 꼭두각시 토포 지지오의 출연, 인기 운동선수 등 다양한 구성을 선보였다. 출연진은 국제적인 규모였으며, 많은 유럽 공연자들이 미국 예술가들과 함께 출연했다. 설리번은 자신에 대한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었고, 존 바이너, 프랭크 고신, 리치 리틀, 윌 조던과 같은 모방가들이 자신의 쇼에서 그를 흉내 내는 것을 허용하고 장려했다.[6]

설리번은 "저는 제 쇼를 진행하면서 출연자에게 종교, 인종, 정치 성향을 묻지 않았습니다. 출연자는 그들의 능력에 따라 섭외됩니다."라고 말했다.[9] 엘비스 프레슬리의 이미지에 대해 조심스러워 처음에는 섭외를 거부했지만, 결국 1956년 세 번 출연하는 계약을 맺었다.[7][10]

설리번은 비틀즈를 먼저 섭외하지 못한 것을 만회하기 위해 다음 대형 센세이션을 먼저 섭외하기로 결심했다. 1963년 11월 히드로 공항에서 비틀매니아 광경을 목격하고, 시드 번스타인의 간청으로 비틀즈와 계약을 맺었다. 1964년 2월 9일 비틀즈의 첫 번째 설리번 쇼 출연은 당시 TV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를 기록했다.[12] 데이브 클라크 파이브는 비틀즈보다 "더 깨끗한" 이미지를 내세워 13번 출연하며 다른 어떤 영국 그룹보다 많이 출연했다.

대부분의 음악 공연은 라이브로 연주되었지만, 기술적인 이유로 예외도 있었다. 1969년 잭슨 5는 그들의 첫 싱글 "I Want You Back"을 선보였다.

설리번은 보 디들리, 버디 홀리, 재키 메이슨, 짐 모리슨 등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은 엘비스 프레슬리, 제임스 브라운, 잭슨 5, 비틀즈, 롤링 스톤스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많은 스타를 출연시켰다. 일본에서도 당시 미국에서는 무명이었던 재키 요시카와와 블루 코메츠와 더 피너츠를 초청하여 한미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3. 2. 1. 《에드 설리번 쇼》와 인종 통합

1964년 시민 권리법이 시행되기 전, 미국에서는 인종 차별이 만연했고, 유색 인종 엔터테이너의 출연을 거부하는 극장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리번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수와 그룹을 자신의 쇼에 적극적으로 출연시켰다. 이는 장르, 인종, 국적을 가리지 않는 출연자 선정이라는 설리번의 소신에 따른 것이었다. 그는 보수적인 사상을 가졌지만 인종 차별에는 부정적이었고, 선견지명이 있었다.

설리번의 이러한 방침은 시민권 운동 등을 거치며 백인 중심 사회로부터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던 미국의 대중으로부터 큰 지지를 받았다.에드 설리번 쇼》는 보 디들리, 플래터스, 브룩 벤턴, 재키 윌슨, 팻츠 도미노, 슈프림스 등 많은 흑인 아티스트들을 섭외하여 인종 통합에 기여했다.

3. 2. 2. 《에드 설리번 쇼》의 보수적 성향 논란

설리번은 모든 연령대의 시청자를 고려하여 당시 미국의 보수적인 가치관을 프로그램에 반영했다. 엘비스 프레슬리 출연 당시 의상과 카메라 위치를 제한하고, 도어스롤링 스톤스에게는 가사 수정을 요구하는 등, 현재는 우스꽝스럽게 여겨질 수 있는 여러 일화들을 남겼다. 이러한 보수적인 구성은 1971년 시청률 하락으로 이어져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원인이 되었다.

3. 2. 3. 《에드 설리번 쇼》 종영

1971년, 레저의 다양화와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미국 사회 전체의 가치관이 변화하며, 《에드 설리번 쇼》의 보수적인 구성은 대중에게 싫증을 샀고, 시청률은 20위권 밖으로 하락했다. 이에 CBS 상층부는 같은 해 6월 6일자로 프로그램을 종료했다. 설리번은 이에 격노하여, 1973년 《에드 설리번 쇼》 25주년 기념 프로그램 등의 특집 프로그램에 출연하기 전까지 CBS와 절연했다.

4. 에드 설리번의 성격 및 논란

설리번은 즉각적으로 불쾌해하고 오랫동안 앙심을 품는 성격이었다. 그는 전기 작가 제럴드 나치만에게 "나는 쉽게 흥분하는 사람입니다. 화를 냈다가, 바로 사과하러 다닙니다."라고 말했다. 나치만은 "아일랜드인 특유의 성미와 얇은 껍질로 무장한 에드는 그의 불화에 복싱에 대한 그의 보도와 헌신으로 촉진된 싸움에 대한 갈망을 가져왔다"고 묘사했다.

설리번은 때때로 기억력에 문제가 있었다. 쓰리 스투지스의 모 하워드는 설리번이 첫 출연 때 그들을 리츠 형제라고 소개했다고 회상했다. 조 데리타는 설리번의 성격을 "새장 바닥과 같다"고 말했다. 다이애나 로스는 설리번이 슈프림스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고 "그 여자들"이라고 불렀다고 회상했다.[21] 폴 매카트니는 1970년대 초 설리번을 만났을 때, 설리번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했다고 회상했다. 조안 리버스는 설리번이 말년에 치매를 앓고 있었다고 말했다.[22]

보 디들리, 버디 홀리, 재키 메이슨, 짐 모리슨 등은 설리번과 갈등을 빚은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4. 1. 출연자와의 갈등

보 디들리는 1955년 11월 20일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하여 설리번을 격분시켰다. 디들리는 리허설에서 테네시 어니 포드의 "Sixteen Tons"를 부르기로 했으나, 생방송 직전 자신의 노래 "Diddley Daddy"를 부르겠다고 선언했다.[15] 설리번은 디들리에게 "넌 쇼에서 나를 두 번 배신한 최초의 흑인 소년이야."라고 말했다.[15] 디들리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자신의 스타일을 모방하고도 설리번 쇼에서 더 많은 관심과 칭찬을 받은 것에 대해 분개했다.

버디 홀리와 크리켓츠는 1957년 설리번 쇼에 처음 출연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1958년 1월 두 번째 출연에서 설리번은 "오, 보이!"의 가사가 선정적이라며 다른 노래를 부를 것을 요구했다. 홀리는 이미 고향 친구들에게 "오, 보이!"를 부르겠다고 약속했다며 거절했다. 설리번은 밴드를 한 곡만 부르게 하고, 홀리의 이름을 잘못 발음하고, 기타 앰프 볼륨을 낮추는 등 보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밴드는 좋은 반응을 얻었고, 설리번은 다시 초대해야 했지만, 홀리는 돈이 충분하지 않다며 거절했다.

재키 메이슨은 1964년 10월 공연에서 설리번이 두 손가락을 들어 2분 남았음을 알리자, 관객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손짓을 했다.[16] 설리번은 메이슨이 외설적인 손짓을 했다고 오해하여 출연을 금지했다. 메이슨은 "가운데 손가락"의 의미를 몰랐고 그런 제스처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7] 1965년 9월 설리번은 메이슨을 다시 출연시켰지만, 메이슨은 그 후 수입이 반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더 버즈는 1965년 12월 12일 공연에서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쇼 감독과 언쟁을 벌인 후 다시 초대받지 못했다.[18][19]

도어즈는 1967년 9월 "Light My Fire"를 부를 때, 가사 중 "Girl, we couldn't get much higher"를 "Girl, we couldn't get much better"로 바꾸라는 지시를 받았다.[20] 밴드는 동의하는 척했지만, 원래 가사대로 불렀다. 방송 후 프로듀서는 밴드에게 다시는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짐 모리슨은 "이봐요, 우린 방금 《에드 설리번 쇼》를 했어요."라고 대답했다.

롤링 스톤스는 1967년 "Let's Spend the Night Together"를 부를 때, 제목 가사를 "Let's spend some time together"로 바꾸라는 지시를 받았다. 믹 재거는 가사를 바꾸면서도 눈을 굴리고 익살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검열에 저항했다. 설리번은 분노했지만, 스톤스는 1969년에 다시 출연했다.

모 하워드는 설리번이 첫 출연 때 쓰리 스투지스를 리츠 형제라고 소개했다고 회상했다. 조 데리타는 설리번의 성격이 "새장 바닥과 같다"고 말했다.

다이애나 로스는 설리번이 슈프림스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고 "그 여자들"이라고 불렀다고 회상했다.[21]

폴 매카트니는 1970년대 초 설리번을 만났을 때, 설리번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했다고 회상했다. 조안 리버스는 설리번이 말년에 치매를 앓고 있었다고 말했다.[22]

4. 2. 정치적 성향

냉전 시기 반공주의에 휩쓸린 설리번은 탭 댄서 폴 드레이퍼가 공산당 동조자로 몰리자, 그의 출연을 취소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드레이퍼는 혐의를 부인하고 예정대로 쇼에 출연했지만, 포드 자동차 회사는 항의를 받았고, 설리번은 논란이 될 만한 게스트를 피하겠다고 약속해야 했다.[21]

이후 설리번은 반공주의 뉴스레터 ''카운터어택''의 시어도어 키르크패트릭과 협력하며, 잠재적 게스트의 정치적 성향을 상의했다. 그는 자신의 칼럼에서 키르크패트릭이 연예인들의 충성심 증명을 듣는 데 여러 차례 참여했다고 밝혔다.[21]

1963년에는 밥 딜런이 출연하여 존 버치 협회를 비판하는 노래를 부르려 했으나, CBS는 명예훼손 소송을 우려해 거부했다. 딜런은 다른 곡을 제안받았지만, 선택한 곡을 부를 수 없다면 출연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설리번은 인터뷰에서 네트워크의 결정을 비난했다.[23]

5. 개인사

설리번과 그의 아내 실비아, 1956년 그리핀 병원에서 요양 중


설리번은 수영 챔피언 시빌 바우어와 약혼했지만, 그녀는 1927년 23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1]

1926년 설리번은 실비아 와인스타인을 만나 데이트를 시작했다. 처음 그녀는 가족에게 유대인 남자인 에드 솔로몬과 데이트한다고 말했지만, 그녀의 오빠가 그가 가톨릭 신자인 설리번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두 가족 모두 종교가 다른 결혼에 강력하게 반대했고, 그 결과 다음 3년 동안 그들의 관계는 불안정했다. 그들은 마침내 1930년 4월 28일 시청에서 결혼했다. 8개월 후, 실비아는 그해 사망한 설리번의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엘리자베스("베티")를 낳았다. 1952년 베티 설리번은 ''에드 설리번 쇼''의 프로듀서인 밥 프레히트와 결혼했다.[1]

설리번 부부는 수년 동안 타임스 스퀘어의 아스토르 호텔에서 살다가 1944년 델모니코 호텔에 스위트룸을 임대했다. 설리번은 가족 스위트룸 옆에 스위트룸을 임대하여, 1971년 ''에드 설리번 쇼''가 취소될 때까지 사무실로 사용했다. 설리번은 매 프로그램이 끝날 때마다 아내에게 전화를 걸어 비평을 받았다.[25]

설리번 부부는 스토크 클럽, 대니의 하이드어웨이, 지미 켈리의 레스토랑을 포함한 뉴욕 시티의 가장 유명한 클럽과 레스토랑에서 정기적으로 식사하고 교류했다. 그의 친구들에는 유명 인사와 미국 대통령들이 포함되었다. 그는 또한 교황들과도 만남을 가졌다.[26]

실비아 설리번은 남편의 재정 고문이었다. 그녀는 1973년 3월 16일 마운트 시나이 병원에서 대동맥 파열로 사망했다.[27]

6. 사망

1974년 9월 초, 설리번은 식도암 말기 진단을 받았다. 의사들은 그에게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선고했고, 가족들은 그에게 이 진단을 숨기기로 결정했다. 평생 흡연자였던 설리번은 자신의 질병이 오랫동안 앓아온 위 궤양과의 싸움에서 비롯된 또 다른 합병증이라고 믿었다. 그는 1974년 10월 13일, 뉴욕의 레녹스 힐 병원에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에는 추운 비가 오는 날, 뉴욕 성 패트릭 대성당에서 2,000명의 사람들이 참석했다.[28] 설리번은 뉴욕주 하츠데일에 있는 펀클리프 묘지의 납골묘에 안치되어 있다.[29]

7. 평가 및 유산

1965년부터 CBS는 주간 프로그램을 컬러로 방송하기 시작했다. 《에드 설리번 쇼》는 중부 시간대와 동부 시간대에서는 생방송되었지만, 태평양 시간대와 산악 시간대에서는 녹화 방송되었다. 프로그램의 일부는 홈 비디오로 출시되었고, 공식 유튜브 채널에도 게시되었다.

1971년 시청률 급락으로 CBS는 여러 장기 방영 프로그램들과 함께 《에드 설리번 쇼》를 취소했다(이른바 농촌 숙청). 설리번은 이에 분노하여 예정된 석 달간의 쇼 진행을 거부했고, 해당 방송분은 재방송으로 대체되었다. 설리번이 없는 마지막 프로그램은 6월에 방송되었다. 그는 이후에도 네트워크에 남아 1973년 6월 25주년 기념 특별 방송을 진행했다.

1974년 9월 초, 설리번은 식도암 말기 진단을 받았다. 의사들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했지만, 가족들은 이 사실을 숨겼다. 평생 흡연자였던 설리번은 자신의 병이 궤양 합병증이라고 믿었다. 그는 1974년 10월 13일, 뉴욕 레녹스 힐 병원에서 사망했다. 뉴욕 성 패트릭 대성당에서 열린 장례식에는 2,000명이 참석했다.[28] 설리번은 뉴욕주 하츠데일 펀클리프 묘지에 안치되어 있다.[29]

설리번은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6101번지에 자신의 스타가 있으며, 1985년 텔레비전 아카데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는 《에드 설리번 쇼》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새로운 스타를 발굴했으며, 특히 엘비스 프레슬리[7][10], 비틀즈[12] 등 록 음악 가수들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흑인 연예인들을 적극 섭외하여 인종 통합에도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에드 설리번의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스타

7. 1.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에드 설리번 쇼는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새로운 스타를 발굴하며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엘비스 프레슬리[7][10], 비틀즈[12]와 같은 록 음악 가수들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1964년 2월 9일 비틀즈의 첫 출연은 TV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를 기록했다.[12]

설리번은 흑인 연예인에 대한 이해가 깊었고, 보 디들리, 플래터스, 브룩 벤턴, 재키 윌슨, 팻스 도미노, 수프림스 등 수많은 모타운 가수들의 TV 출연을 성사시켰다.[13] 그는 인종차별에 반대하며 흑인 연예인들을 적극적으로 섭외했고, 이는 당시 미국 사회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설리번은 컨트리 & 웨스턴 음악을 텔레비전에 소개하는 데 앞장섰으며, 이는 조니 캐시, 글렌 캠벨 등 컨트리 가수들이 버라이어티 쇼를 진행하는 계기가 되었다.[14] 캐나다 코미디 듀오 웨인 앤 슈스터는 1958년부터 1969년까지 67번 출연하여 가장 많이 출연한 기록을 세웠다.

7. 2. 인종 통합에 기여한 공로

Ed Sullivan영어은 텔레비전 태동기인 1948년부터 자신의 이름을 딴 프로그램 《에드 설리번 쇼》를 진행하며 많은 흑인 아티스트들을 출연시켰다. 이는 당시 인종 차별이 만연했던 미국 사회에서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1]

1964년 시민 권리법이 시행되기 전, 미국에서는 인종 차별이 합법이었고, 많은 극장들이 유색 인종 엔터테이너의 출연을 거부했다. 하지만 설리번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수와 그룹들을 자신의 쇼에 적극적으로 섭외했다.[1]

설리번은 엘비스 프레슬리, 제임스 브라운, 잭슨 5 등 다양한 장르의 흑인 스타들을 출연시켰다. 또한, 무명 스타 후보를 발굴하고 세계 각국의 스타들을 미국 대중에게 소개하는 역할도 했다. 비틀즈롤링 스톤스의 미국 첫 텔레비전 출연도 설리번 쇼를 통해 이루어졌다.[1]

이러한 설리번의 노력은 장르, 인종, 국적을 가리지 않는 출연자 선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백인 중심 사회에서 변화를 추구하던 미국의 대중들에게 큰 지지를 받았다. 설리번의 이러한 공헌은 시민권 운동과 함께 미국의 인종 통합에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는다.[1]

1967년,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CBS 스튜디오 50은 《에드 설리번 극장》으로 개명되었다.[1]

7. 3. 한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에드 설리번 쇼》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미국을 대표하는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쇼로, 다양한 장르의 스타들을 출연시키며 큰 인기를 얻었다. 이 프로그램은 일본의 재키 요시카와와 블루 코메츠, 더 피너츠와 같이 당시 미국에서 무명이었던 해외 스타들을 초청하여 소개하기도 했다.

비록 원문에는 한국계 아티스트의 출연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에드 설리번 쇼》가 장르, 인종, 국적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출연자를 선정했다는 점에서 한국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인종 차별이 만연했던 당시 미국 사회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수와 그룹을 출연시킨 설리번의 노력은 시민권 운동과 함께 백인 중심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의 아티스트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하는 계기가 되었을 수 있다.

참조

[1] 뉴스 Elizabeth 'Betty' Sullivan Precht http://missoulian.co[...] 2014-06-09
[2] 간행물 50 Greatest TV Stars Of All Time
[3] 웹사이트 About Ed Sullivan https://www.edsulliv[...] 2022-07-01
[4] 서적 Current Biography Yearbook https://books.google[...] H. W. Wilson Company 1953
[5] 간행물 Sunday https://archive.org/[...] 2015-04-01
[6] 웹사이트 Ed Sullivan Theater https://www.edsulliv[...] 2022-01-26
[7] 문서 Show 7 – The All American Boy: Enter Elvis and the rock-a-billies. [Part 1] https://digital.libr[...]
[8] TV special General Foods 25th Anniversary Show: A Salute to Rodgers and Hammerstein CBS
[9] 간행물 My Story 1952
[10] 웹사이트 Elvis on the Ed Sullivan Show http://history1900s.[...] History1900s.about.com 2014-02-10
[11] 웹사이트 Elvis Presley | Ed Sullivan Show http://www.edsulliva[...] EdSullivan.com 2014-02-10
[12] 뉴스 THE BIRTH OF BEATLEMANIA https://www.washingt[...] 2022-01-26
[13] 간행물 My Story 1956-09-14
[14] 웹사이트 The First Families of Country Music http://www.cmt.com/n[...] 2012-04-18
[15] 뉴스 Ed Sullivan Rock As Bo Diddley Rolls 1955-11-26
[16] 웹사이트 Vince Calandra Interview | Archive of American Television http://emmytvlegends[...] Emmytvlegends.org 2014-02-10
[17] TV Special The Very Best of the Ed Sullivan Show CBS
[18] 웹사이트 Byrds video http://video.google.[...] 2021-10-13
[19] 웹사이트 The Byrds | Ed Sullivan Show http://www.edsulliva[...] Edsullivan.com 2014-02-10
[20] 웹사이트 The Doors | Ed Sullivan Show http://www.edsulliva[...] Edsullivan.com 2014-02-10
[21] 웹사이트 The Supremes | Ed Sullivan Show http://www.edsulliva[...] Edsullivan.com 2014-02-10
[22] 웹사이트 March 1971…The End Of An Era: Ed Sullivan Canceled By CBS – Eyes Of A Generation…Television's Living History https://eyesofagener[...] 2020-01-28
[23] 문서 Bob Dylan walks out on The Ed Sullivan Show http://www.history.c[...] 2015-05-12
[24] 서적 Fifty Million People Can't Be Wrong http://www.otrr.org/[...] TV-Radio Mirror 2012-02-12
[25] 뉴스 Ed Sullivan Is Dead at 73; Charmed Millions on TV https://www.nytimes.[...] 1974-10-14
[26] 웹사이트 Ed Sullivan Biography http://www.edsulliva[...] www.edsullivan.com
[27] 뉴스 Mrs Ed Sullivan Dies, ''Lubbock-Avalanche-Journal'' (Lubbock, TX), March 17, 1973, page 5 https://www.newspape[...]
[28] 뉴스 Beame Leads 2,000 Mourners At Sullivan Rites in St. Patrick's https://nyti.ms/3oPH[...] 1974-10-17
[29] 웹사이트 Famous people buried or cremated at Ferncliff Cemetery in Hartsdale: list https://www.lohud.co[...] 2021-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