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크프라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크프라시스는 문학 작품에서 시각 예술 작품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호메로스의 "아킬레우스의 방패" 묘사를 시작으로, 베르길리우스, 단테, 셰익스피어 등 다양한 작가들이 에크프라시스를 활용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여 19세기와 20세기 문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음악에서도 무소르크스키의 "전람회의 그림"과 같은 작품에서 나타난다. 에크프라시스는 문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이해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며, 관념적 에크프라시스는 상상 속의 예술 작품이나 창작 과정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 기법 - 키아로스쿠로
    키아로스쿠로는 회화, 드로잉 등에서 빛과 어둠의 강렬한 대비를 통해 입체감과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기법이며, 르네상스 시대에 유래하여 16세기 마니에리즘과 바로크 미술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조형의 입체감을 강조하거나 장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사용된다.
  • 예술 기법 - 점묘법
    점묘법은 색점을 사용하여 시각적 혼합을 통해 표현하는 회화 기법으로, 조르주 쇠라, 폴 시냐크 등의 작품에서 나타나며, 20세기 음악에도 적용되기도 한다.
  • 미학 개념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 미학 개념 - 오락
    오락은 즐거움과 만족을 제공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활동이자 시대와 기술에 따라 진화하며 심리학적, 철학적으로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다.
에크프라시스

2. 역사

"에크프라시스"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에서 밖으로"를 의미하는 전치사 "에크"(ek, ἐκ|에크grc)와 "분명히 하다, 선언하다, 발화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프라제인"(phrazein, φράζειν|프라제인grc)을 결합한 복합어이다. 원래는 "분명히 말하다"라는 뜻이었다.

원래 에크프라시스는 문학 용어가 아니라, 고대 그리스・로마의 수사학(변론술) 용어였다.[1] 예술뿐만 아니라 인물, 사건, 장소, 기상, 전쟁, 시간 경과 등 모든 사물을 문장으로 묘사하는 행위를 가리켰다.[2] 구체적으로는 수사학의 기초 교과 중 하나로, 변론 연습을 목적으로 "주제를 눈앞에 생생하게 그려내는 언론"[3]을 가리켰다. 에크프라시스를 읽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느끼는 현장감이나 소름을 "fr"라고 불렀다.[2]

근대 이후 "에크프라시스"라는 단어는 수사학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사용되어, 시각 예술을 문장으로 묘사하는 행위를 가리키게 되었다. 현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그 정의는 모호하다.[4]

문학 용어로서 에크프라시스의 대표적인 예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제18곡에 나오는 "아킬레우스의 방패" 묘사이다.[5] 이 묘사는 후세 에크프라시스의 모범이 되었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나오는 "유노 신전의 그림"과 "아이네아스의 방패" 묘사 또한 문학 용어로서 에크프라시스의 예시에 해당한다.[6]

수사학 용어로서 에크프라시스의 예시는 로마 제국 시대의 그리스어 웅변가(Second Sophistic|제2 소피스트|제2 소피스트영어)의 작품에서 주로 발견된다. 테온, 타르소스의 헤르모게네스, 라오디게이아의 메난드로스, 안티오키아의 아프토니오스, 리바니오스 등이 쓴 프로김나스마타 교과서에서 에크프라시스가 언급되었다.[7]

2. 1. 고대

플라톤은 저서 《국가》 10권에서 침대를 예시로 들어 형상을 설명했다. 그는 장인이 침대를 만드는 다양한 방식, 즉 침대의 원래 형태를 완벽한 원형과 비교하며, 이를 "침대성"이라고 불렀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 "침대성"은 모든 결점을 가진 이상적인 형태, 즉 템플릿과 자체 침대성을 공유한다. 그는 이 방식으로 이상적인 템플릿의 요소를 포함하는 네 번째 형태로 이어지며, 이는 장인이 자신의 작업을 비교하는 영원하고 보이지 않는 이상적인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다. 플라톤은 이러한 전형을 장인이나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에서 완벽함을 달성하려는 시도에서 재구성하려고 했던 것이라고 보았고, 이는 이후 단계에서 에크프라시스에서 나타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예술가들은 다른 예술 작품에 대해 작업하고 성찰하기 위해 자신만의 문학적이고 예술적인 장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눈으로 원본에서 보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을 밝히고, 그것을 고양시키려 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침대다움'을 정의하는 것은 각 침대의 형태라기보다는 침대를 볼 수 있는 모방 단계였다.[3]

# 물리적 실체로서의 침대는 단순한 침대의 형태일 뿐이다.

# 측면도, 위에서 본 전체 파노라마, 침대 끝 정면에서 보기 등 어떤 관점에서든 보이는 것은 두 번째 단계이다.

# 전체 침대를 특징짓는 완전한 그림은 세 번째 단계이다.

# 다른 예술 형식으로 침대를 묘사하는 에크프라시스는 네 번째 단계이다.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서 소크라테스는 파이드로스에게 에크프라시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파이드로스, 글쓰기라는 것은 그림과 정말 똑같아서 이상한 점이 있네. 화가의 작품은 마치 살아있는 듯 우리 앞에 서 있지만, 질문을 하면, 그들은 아주 숭고한 침묵을 지키네. 글도 마찬가지라네. 마치 지적인 존재인 듯 말을 걸지만, 가르침을 얻고 싶어 하는 마음에 그들이 말하는 것에 대해 질문을 하면, 그들은 영원히 똑같은 말만 계속 반복하네."[4]

고대 에크프라시스에서 묘사된 물건들은 현대 시대까지 전해지는 유물이 드문 경우가 많아, 미술사학자들은 문학 속 묘사를 실제 그리스 또는 로마 미술의 모습에 대한 자료로 사용하려는 유혹을 받곤 했다. 하지만, 에크프라시스는 묘사하는 예술 작품과 경쟁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는 위험이 따르는 접근 방식이다. 에크프라시스의 많은 대상은 서사시의 경우처럼 명백히 상상적인 것이지만, 다른 대상들은 초기 독자들이 얼마나 정확하다고 기대했는지, 혹은 실제로 정확했는지 여부가 불확실하게 남아있다.

이러한 경향은 고전 미술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베오울프에 금속 세공품에 대한 암시적이지만 모호한 언급은 앵글로색슨 미술에 관한 작가들이 항상 언급하며, 서턴 후와 스태퍼드셔 호드의 보물과 비교한다. 변호사에서 주교로 변신한 아마세아의 아스테리우스(대략 400년 활동)의 에크프라시스 저술은 생존하는 예술 기록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당시 미술사학자들에 의해 자주 인용된다.

아킬레우스의 방패는 호메로스가 과거와 미래의 사건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에크프라시스의 예시이다. 방패는 코스모스와 트로이의 운명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9가지의 묘사를 특징으로 한다.

번호묘사
1지구, 바다, 하늘, 달, 그리고 코스모스 (484–489)
2두 도시 – 하나는 결혼식과 재판이 열리는 곳이고, 다른 하나는 도시 안에서 전투가 벌어지기 때문에 트로이로 여겨지는 곳 (509–540)
3밭을 가는 곳 (541–549)
4수확이 이루어지는 왕의 집 (550–560)
5포도 수확이 이루어지는 포도원 (561–572)
6두 마리의 사자가 공격하는 소떼, 목동과 그의 개들이 상을 받는 황소로부터 사자를 쫓아내려 함 (573–586)
7양 농장 (587–589)
8젊은 남녀가 춤을 추는 장면 (590–606)
9방패를 에워싼 거대한 대양 (607–609)



아이네이스는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베르길리우스가 쓴 서사시이다. 이 서사시 자체는 호메로스의 작품을 모방했지만, 아우구스투스와 새로운 로마 제국을 위한 선전으로 볼 수 있다.[20] 아이네이아스의 방패는 8권 629~719행에 묘사되어 있다.[21] 이 방패는 그의 어머니인 비너스가 남편 불카누스에게 제작을 요청하여 그에게 주어진 것이다.[21] 이 장면은 아킬레우스의 어머니인 테티스가 아들 아킬레우스에게 트로이 전쟁을 위한 새로운 무기와 갑옷을 제작해 달라고 헤파이스토스에게 요청하는 장면과 거의 동일하다.

두 방패 묘사의 차이점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아킬레우스의 방패는 많은 주제를 묘사하는 반면, 아이네이아스를 위해 만들어진 방패는 로마가 가지게 될 미래를 묘사하며, 황제 아우구스투스를 옹호하는 선전을 담고 있다.[20] 다른 에크프라시 시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사건 목록을 묘사한다.

번호묘사
1젖을 먹이는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둔 암늑대 (629–634)
2사비니 여인들의 강탈 (635–639)
3말에 의해 찢겨지는 메티우스 (640–645)
4라르스 파르소나의 침략 (646–651)
5마닐리우스가 국회의사당을 지키다 (652–654)
6갈리아인들의 로마 침략 (655–665)
7카토와 카틸리나의 타르타로스 (666–670)
8방패 폭 전체를 둘러싼 바다 (671–674)
9악티움 해전 (675–677)
10아우구스투스와 아그리파 (678–684)
11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685–695)
12개선 (696–719)


2. 2. 중세 및 르네상스

로마 제국 시대의 그리스어 웅변가, 즉 제2 소피스트의 작품에서 수사학 용어로서의 에크프라시스가 주로 발견된다. 테온, 타르소스의 헤르모게네스, 라오디게이아의 메난드로스, 안티오키아의 아프토니오스, 리바니오스 등이 각자 쓴 프로김나스마타 교과서에서 언급되었다[14][15]. 이들 제2 소피스트 또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나오는 "아킬레우스의 방패"를 에크프라시스의 모범으로 삼았다[14][16]. 제2 소피스트의 에크프라시스 기법은 동로마 제국 시대의 비잔틴 소설로 계승되었다[17]. 로마 제국 시대의 라틴어 웅변가의 작품에서는 에크프라시스가 언급된 적이 없었지만[18], 중세 초의 프리스키아누스에 의해 "데스크립티오"(descriptio)로 번역되어 라틴 중세에 전해졌다[19].

문학 용어와 수사학 용어 모두에 해당하는 에크프라시스, 즉, 웅변가가 시각 예술을 묘사한 작품도 존재한다. 그 예로, 루키아노스아펠레스의 그림 『중상』의 묘사[20]와 『가정 교사』[21], 그리고 대 필로스트라토스와 소 필로스트라토스의 『에이코네스』가 있다. 이 『에이코네스』가 에크프라시스의 대표적인 예로 꼽히기도 한다[22][20][23].

르네상스 시대에는, 티치아노의 그림 『비너스에게 바치는 헌사』나 보티첼리의 그림 『중상』과 같이, 고대의 에크프라시스 작품에서 묘사된 그림을 재현한 그림이 제작되었다[24].

2. 3. 근대 및 현대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는 에크프라시스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상상 속의 작품을 다룬 경우가 많았다.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는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 33번째 칸토에서 멀린이 만든 그림 갤러리를 묘사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극작가 로페 데 베가가 작품에서 이탈리아 미술에 대한 암시와 묘사를 자주 사용했으며, 화가 티치아노를 자신의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포함시키기도 했다. 칼데론 데 라 바르카 역시 ''수치심을 그린 화가''와 같은 드라마에 예술 작품을 통합했다. 미겔 데 세르반테스는 젊은 시절 이탈리아에서 보냈으며, ''돈 키호테''와 그의 다른 많은 작품에서 많은 르네상스 프레스코화와 그림을 사용했다. 영국에서는 셰익스피어가 ''심벨린''에서 에로틱한 그림들을 묘사했지만, 가장 광범위한 예시는 ''루크레티아의 능욕''에서 트로이 전쟁 전 그리스 군대에 대한 200줄의 묘사이다.

19세기 문학에서는 스페인 소설가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 프랑스 시인, 화가, 소설가 테오필 고티에,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 러시아 소설가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와 같은 영향력 있는 인물들의 작품에서 에크프라시스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허먼 멜빌의 ''모비 딕''은 에크프라시스를 책의 문체 선언문으로 강렬하게 사용하고 있다. "스포우터 인" 챕터에서, 고래잡이 술집 벽에 걸린 그림이 연기와 훼손으로 뒤덮여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묘사된다. 내레이터는 이 그림이 어떤 정의도 결여될 수 있지만, 여전히 보는 이에게 수십 가지의 가능한 이해를 불러일으키다가, 해석의 거대한 덩어리가 고래로 해소되는 방식을 묘사한다.

피터 블라이는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의 작품에서 예술의 다양한 사용법을 묘사했다. 예를 들어, ''라 잉코그니타'' (1889)에는 보티첼리, 만테냐, 마사초, 라파엘, 티치아노 등 이탈리아 미술에 대한 많은 암시와 묘사가 있다. ''우리 친구 만소'' (1882)에서 내레이터는 테오도르 제리코의 그림 두 점을 묘사하며 이상이 좌초된 것을 지적한다.

입센의 1888년 작품 ''바다에서 온 여인''은 1막에서 해변에서 죽어가는 인어의 그림 묘사로 시작하여, 옛 연인이 돌아오는 악몽을 꾸는 여성을 묘사한 조각품 묘사가 이어진다. 1896년 노르웨이 화가 에드바르 뭉크는 입센이 묘사한 것과 유사한 이미지를 "바다에서 온 여인"이라는 그림으로 그렸다. 입센의 마지막 작품인 ''우리가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 역시 에크프라시스의 예를 담고 있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그의 소설 ''백치''에서 에크프라시스를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했다. 이 소설에서 주인공 미시킨 공작은 로고진의 집에서 죽은 그리스도의 그림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는다. 소설 후반부에서 다른 등장인물 히폴리테는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매우 상세하게 묘사한다.

아일랜드의 미학자이자 소설가 오스카 와일드의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1890/1891)은 바질 홀워드가 도리안 그레이라는 젊은 남자의 그림을 그리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도리안은 자신의 영혼을 팔아 초상화가 늙게 하고 자신은 늙지 않게 하고 싶어한다. 도리안이 방탕한 삶을 살면서 초상화의 점진적인 악화는 그의 영혼을 비추는 거울이 된다.

앤서니 파월의 소설 연작 ''시간의 춤''은 연작의 제목을 부여한 푸생의 그림을 연상시키는 것으로 시작하며,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많은 구절에 영향을 받은 다른 에크프라시스 구절들을 담고 있다.

20세기에는 로저 젤라즈니의 "호쿠사이의 후지산 24경"이 호쿠사이의 유명한 연작 목판화에 대한 묘사를 이야기의 구조적 장치로 사용하는 에크프라스틱 프레임을 사용한다.

2. 4. 주요 작품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제18곡에 나오는 "아킬레우스의 방패" 묘사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제1곡의 "유노 신전의 그림" 묘사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제8곡의 "아이네아스의 방패" 묘사
  •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에 나오는 화랑 묘사[27]
  • 카툴루스의 Carmina|카르미나|카툴루스 64la
  • 『그리스 선집』에 수록된 시의 일부
  • Παῦλος ὁ Σιλεντιάριος|파울로스 실렌티아리오스|파울로스 실렌티아리오스grc[28]
  • Νικόλαος Μεσαρίτης|니콜라오스 메사리테스|니콜라오스 메사리테스grc비잔틴 성당 묘사
  • 단테의 『신곡』 연옥편 제10곡에 나오는 조각 묘사
  • 바사리의 『예술가 열전』[29]
  • 롱사르의 시 일부
  • 워즈워스의 Elegiac Stanzas|엘레지액 스탠자|비가조 시영어
  • 존 키츠의 Ode on a Grecian Urn|오드 온 어 그레시안 언|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시영어
  • P. B. 셸리가 그린 다 빈치의 그림 Medusa (Leonardo)|메두사|메두사 (레오나르도 다 빈치)영어 묘사
  • 멜빌의 『모비 딕』에 나오는 고래 그림 묘사
  • 도스토예프스키의 『백치』 제3부 6장에 나오는 소 홀바인의 그림 The Body of the Dead Christ in the Tomb|더 바디 오브 더 데드 크라이스트 인 더 툼|무덤 속의 죽은 그리스도의 시신영어 묘사[30]
  • 로세티의 시 일부
  • 발저의 시 일부
  • 루키아노스아펠레스의 그림 『중상』 묘사
  • 루키아노스의 『가정 교사』
  • 대 필로스트라토스와 소 필로스트라토스의 『에이코네스』
  • 티치아노의 그림 『비너스에게 바치는 헌사』
  • 보티첼리의 그림 『중상』

3. 음악에서의 에크프라시스

음악에서의 에크프라시스는 "회화 등을 음악화한 작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10] 이 용법은 음악학자 Siglind Bruhn|지클린트 브룬영어이 2000년에 제창했다.[10]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 드뷔시의 『바다』 제1악장[10]
  • 라흐마니노프의 『죽음의 섬』
  •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메토프』[10]
  • 킹 크림슨 앨범 『어둠의 세계』에 수록된 R・P・제임스 작사의 『밤을 지배하는 자』 (렘브란트의 그림 『야경』을 음악화)

4. 교육적 가치

문학 교육에서 에크프라시스의 예시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와 그림 사이의 연관성을 인식할 때 학생들의 문학 텍스트에 대한 정서적, 지적 참여가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문학 텍스트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며, 다른 예술 형식이 평가되므로 더 많은 것에 반응할 수 있게 된다.[26] 또한, 가르치는 자료가 시각적, 언어적 기반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생의 뇌 속에 새로운 이해의 연결이 형성되어 이해, 기억 및 내면화를 위한 더 강력한 기반을 만들게 된다. 에크프라시스를 사용하여 문학을 가르치는 것은 서로 다른 관점 구별, 해석, 추론, 순서 정하기, 비교 및 대조, 평가와 같은 고차 사고 기술을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5. 관념적 에크프라시스

관념적 에크프라시스는 꿈, 생각, 상상력의 변덕과 같은 정신적 과정을 묘사할 수 있다. 또한 아직 창작 초기 단계에 있는 다른 예술 작품을 묘사하는 하나의 예술일 수 있는데, 묘사된 작품은 예술가가 창작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여전히 그의 상상 속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이 표현은 다른 예술의 기원, 그것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그것이 창조된 상황을 묘사하는 예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것은 마치 사실적이고 현실에 존재하는 것처럼 완전히 상상적이고 존재하지 않는 예술 작품을 묘사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Harrap
[2] 웹사이트 Glossary Terms: Ekphrasis http://www.poetryfou[...] 2015-04-27
[3] 웹사이트 Ecphrasis http://www.d.umn.edu[...]
[4] 서적 Phaedrus
[5] 웹사이트 Ekphrasis http://writingabouta[...] 2015-04-27
[6] 서적 The Fragile Image: Felicia Hemans and Romantic Ekphrasis Palgrave Macmillan
[7] 웹사이트 For "Our Lady of the Rocks", by Leonardo da Vinci http://www.rossettia[...] 2017-03-07
[8] 웹사이트 Rainer Maria Rilke, Torso of an Archaic Apollo http://unix.cc.wmich[...]
[9] 웹사이트 Trois fenêtres, la nuit https://bergerault-u[...]
[10] 웹사이트 poem-for-a-victorious-athlete http://blogs.getty.e[...] 2015-09-08
[11] 웹사이트 Giving Life to Hercules: Q&A with Gabriele Tinti and Joe Mantegna - Unframed https://unframed.lac[...] 2016-03-21
[12] 웹사이트 Orchestral Set No. 1: Three Places in New England – Notes http://www.musicweb-[...] 2013-10-19
[13] 서적 The Odyssey of Homer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14] 서적 The Argonautika
[15] 논문 Jason's Cloak https://www.academia[...] 2016-04-16
[16] 논문 Jason's Cloak 1980-01-01
[17] 서적 The Best of the Argonauts http://publishing.c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4-16
[18] 논문 Jason's Cloak 1980-01-01
[19] 서적 The Best of the Argonauts http://publishing.cd[...]
[20] 논문 The Shield of Aeneas 1981
[21] 서적 The Aeneid of Virgil Oxford World's Classics
[22] 웹사이트 Reading Aeneas' Shield https://classicsvic.[...]
[23] 논문 The Survival and Supremacy of Rome: The Unity of the Shield of Aeneas http://journals.camb[...] 2016-04-20
[24] 논문 Red Herrings and Perceptual Filters: Problems and Opportunities for Aeschylus's Supplices 2021-08
[25] 서적 Metamorphoses W. W. Norton and Company
[26] 서적 Bridging English Prentice
[27] 논문 古代ローマ邸宅の美術と教養 : 『サテュリコン』主人公エンコルピウスによる神話画の鑑賞から 群馬県立女子大学
[28] 논문 ビザンティン聖堂装飾における中軸の図像 早稲田大学ヨーロッパ中世・ルネサンス研究所
[29] 논문 Ekphrasis and Aesthetic Attitudes in Vasari’s Lives The Warburg Institute
[30] 서적 絵画をいかに味わうか 平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