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탄올아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탄올아민은 화학식 HOCH₂CH₂NH₂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1860년 샤를 아돌프 뷔르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세포막 형성의 구성 요소로 생체막에서 발견되는 등 자연계에 존재한다. 에탄올아민은 세제, 유화제, 의약품 등의 생산에 사용되며, 가스 정제, 특히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 제거를 위한 흡수제로도 활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에탄올아민 기반의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탄올아민 - 히드록시진
    히드록시진은 항히스타민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로 사용되며 가려움증, 불안, 멀미로 인한 구역질 치료에 사용되고 히스타민 H1 수용체에 대한 역작용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며 졸음,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에탄올아민 - 다이메틸에탄올아민
    다이메틸에탄올아민은 화학 물질 전구체, 수지 경화제, 가스 정화 등에 사용되며, 중주석산염 형태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항노화 화장품 성분으로도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 상업용 화학물질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상업용 화학물질 - 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은 1846년 테레빈유에서 처음 분리된 유기 화합물이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전구체로 사용되고, 파라자일렌을 산화시켜 생산하며, 물과 알코올에 잘 녹지 않고 승화하며 독성이 낮고 생분해성을 갖는 물질이다.
  • 일차 알코올 - 1-프로판올
    1-프로판올은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1차 알코올로, 할로알케인 전환, 에스터 합성, 산화 반응을 보이며, 프로피온알데히드의 수소화 반응으로 생성되고, 에탄올과 유사한 인체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 일차 알코올 - 메탄올
    메탄올은 가장 간단한 알코올로, 과거 목재 건류로 얻어 목정이라고도 불렸으나 현재는 합성 가스를 이용해 생산되며, 폼알데하이드 제조, 바이오디젤 생산, 용매, 부동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섭취 시 실명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그린 메탄올 생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에탄올아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모노에탄올아민의 구조식
구조식
에탄올아민 3D 공
에탄올아민 3D 공
권장 IUPAC 명칭2-아미노에탄-1-올
기타 명칭2-아미노에탄올
2-아미노-1-에탄올
에탄올아민 (권장되지 않음)
모노에탄올아민
β-아미노에탄올
β-하이드록시에틸아민
β-아미노에틸 알코올
글리시놀
올아민
MEA
에틸올아민
2-하이드록시에틸아민
콜아민
식별
ChemSpider ID13835336
UNII5KV86114PT
InChIKeyHZAXFHJVJLSVMW-UHFFFAOYAD
ChEMBL104943
표준 InChI1S/C2H7NO/c3-1-2-4/h4H,1-3H2
표준 InChIKeyHZAXFHJVJLSVMW-UHFFFAOYSA-N
CAS 등록번호141-43-5
EINECS205-483-3
PubChem700
DrugBankDB03994
SMILESNCCO
InChI1/C2H7NO/c3-1-2-4/h4H,1-3H2
RTECSKJ5775000
KEGGD05074
ChEBI16000
속성
분자식C2H7NO
몰 질량61.08 g/mol
겉모습점성이 있는 무색 액체
냄새불쾌한 암모니아 유사 냄새
밀도1.0117g/cm3
녹는점10.3 °C
끓는점170 °C
용해도혼화성임
pKa9.50
증기압64Pa (20°C)
굴절률1.4539 (20°C)
위험성
외부 SDSSigma MSDS
신호어위험
H 문구H302: 삼키면 유해함
H312: 피부에 닿으면 유해함
H332: 흡입하면 유해함
H314: 심한 피부 손상과 눈 손상을 일으킴
H335: 호흡기 자극을 일으킬 수 있음
H412: 장기적인 영향으로 수생 생물에 유해함
P 문구P261: 분진/흄/가스/미스트/증기/스프레이의 흡입을 피하시오.
P273: 환경으로 배출하지 마시오.
P305+P351+P338: 눈에 묻으면 몇 분 동안 물로 조심해서 씻으시오. 가능하면 콘택트렌즈를 제거하시오. 계속 씻으시오.
P303+P361+P353: 피부(또는 머리카락)에 묻으면 오염된 모든 의복은 벗으시오. 피부를 물/샤워하시오.
인화점85 °C
인화점 설명(밀폐 컵)
자연 발화점410 °C
NFPA 704건강: 3
화재: 2
반응성: 0
폭발 한계5.5–17%
허용 노출 한계(PEL)TWA: 3 ppm (6 mg/m3)
즉시 위험한 농도(IDLH)30ppm
권장 노출 한계(REL)TWA: 3ppm (8mg/m3)
ST: 6ppm (15mg/m3)
LD503320mg/kg (쥐, 경구)
620mg/kg (기니피그, 경구)
2050mg/kg (쥐, 경구)
1475mg/kg (생쥐, 경구)
1000mg/kg (토끼, 경구)
700mg/kg (생쥐, 경구)
1720–1970mg/kg (쥐, 경구)
관련 화합물
관련 화합물N-메틸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2. 역사

1860년 샤를 아돌프 뷔르츠(Charles Adolphe Wurtz)는 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연구 중, 1년 전 발견한 2-클로로에탄올(2-chloroethanol)을 암모니아수와 가열하여 에탄올아민, 특히 그 염을 발견했다.[11] 그러나 그는 염이나 유리 염기를 분리하지는 못했다.

1897년 루트비히 크노르(Ludwig Knorr)는 현대적인 산업적 제조법을 개발하고(참조), 분별 증류를 통해 MEA를 포함한 생성물을 분리하여 그 성질을 최초로 연구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에틸렌 옥사이드의 산업적 생산이 시작되기 전까지 에탄올아민은 상업적으로 중요하지 않았다.[12]

3. 자연에서의 존재

에탄올아민(MEA)은 세포막 형성의 구성 요소이며, 생명체의 분자적 구성 요소이다. 에탄올아민은 인지질의 두 번째로 풍부한 헤드 그룹이며, 생체막(특히 원핵생물의 생체막)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있다. 또한 CB1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는 팔미토일에탄올아마이드와 같은 메신저 분자에도 사용된다.[14]

2021년에는 에탄올아민이 성간 공간에도 존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15] 이전까지는 지구와 특정 소행성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에탄올아민은 세린의 탈탄산 반응을 통해 생합성된다.[16]

: → + CO2

에탄올아민의 유도체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N-아실에탄올아민(''N''-acylethanolamines, NAEs)의 전구체로서 지질에 존재하며, 종자 발아, 식물-병원체 식물 간 상호작용, 엽록체 발달 및 개화식물의 개화 등 여러 동물식물의 생리학적 과정을 조절한다.[17] 또한 아라키돈산 (; 20:4, ω-6)과 결합하여 엔도칸나비노이드인 아난다마이드(AEA: ; 20:4, ω-6)를 형성하는 전구체이다.[18]

에탄올아민은 B12 의존성 효소인 에탄올아민 암모니아리아제에 의해 생분해된다. 초기 수소 원자 추출을 통해 아세트알데히드와 암모니아로 전환된다.[19]

4. 산업적 생산

에틸렌 옥사이드와 암모니아의 반응


모노에탄올아민(MEA)은 에틸렌 옥사이드를 암모니아 수용액과 반응시켜 생산한다. 이 반응은 디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도 함께 생성한다. 생성물의 비율은 반응물의 화학량론으로 조절할 수 있다.[2]

5. 응용 분야

MEA는 세제, 유화제, 광택제, 의약품, 부식 억제제 및 화학 중간체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이다.[9]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을 암모니아와 반응시키면 에틸렌디아민이 생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인 EDTA의 전구체이다.[2]

에탄올아민으로부터 에틸렌디아민 생성


MEA는 제약 제제에서 주로 완충제 또는 유화제 제조에 사용된다. MEA는 화장품의 pH 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다.[24] MEA는 증상성 치질 치료 옵션으로 사용되는 주사 가능한 경화제이다. 2~5ml의 에탄올아민 올레에이트를 치질 바로 위 점막에 주사하여 궤양과 점막 고정을 유발하여 치질이 항문관 밖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자동차 윈드실드 세정액의 성분이기도 하다.[25]

에탄올아민은 원자력발전소의 가압경수로를 포함한 발전소의 증기 사이클에서 물의 알칼리화에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알칼리화는 금속 부품의 부식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된다. 에탄올아민(ETA) 또는 때때로 유사한 유기 아민(예: 모르폴린)이 선택되는 이유는 휘발성으로 인해 증기 발생기(보일러)와 틈새에 축적되지 않고 전체 증기 사이클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5. 1. 가스 정제

모노에탄올아민(MEA) 수용액은 아민 처리기에서 기체 스트림 스크러빙 액체로 사용된다.[20] 예를 들어, MEA 수용액은 배기가스 및 산성 천연가스와 같은 다양한 기체 스트림에서 이산화탄소(CO2)와 황화수소(H2S)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21] MEA는 용해된 산성 화합물을 이온화하여 극성 분자로 만들고 용해도를 상당히 높인다.

MEA 스크러빙 용액은 재생 장치를 통해 재활용될 수 있다. 가열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염기인 MEA가 용해된 H2S 또는 CO2 가스를 방출하여 순수한 MEA 용액을 생성한다.[22][23]

MEA는 석탄 연소, 메탄 연소 및 바이오가스 연소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를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잠수함의 공기 재생에도 MEA 이산화탄소 스크러빙이 사용된다.

MEA 수용액은 도시가스의 흡착 아민으로 가스 세척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수용액은 혼합 가스에서 특정 성분을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되는데, 산성 성분은 중화에 의해 이온화되어 수용액에 용해된다. 저온의 MEA 수용액은 극성 물질이며 매우 안정적이므로, 혼합 가스를 가스 세척하여 산성 가스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스크러버 장치(가스 세척 장치)에서는 큰 표면적에서 MEA 수용액과 혼합 가스를 접촉시켜 황화수소(H2S)나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산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MEA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면 중화되어 H2S는 황화수소 이온(HS-)으로, 이산화탄소는 탄산수소 이온(HCO3-)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한다.

H2S나 CO2는 약산성 가스이므로 수산화나트륨(NaOH)과 같은 강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일단 흡착된 가스를 방출할 수 없다. 그러나 MEA는 약염기이므로 세척액을 가열함으로써 H2S나 CO2를 재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MEA 세척액은 재생 장치에 통과시켜 재활용된다. 즉, MEA 세척액을 가열하면 약산성 가스만이 유리형이 되어 방출되고 MEA 용액은 순도를 회복하여 스크러버 장치로 돌아가 재사용된다.

5. 2. 기타 응용

MEA는 세제, 유화제, 광택제, 의약품, 부식 억제제 및 화학 중간체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이다.[9]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을 암모니아와 반응시키면 에틸렌디아민이 생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인 EDTA의 전구체이다.[2]

제약 제제에서 MEA는 주로 완충제 또는 유화제 제조에 사용된다. MEA는 화장품의 pH 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다.[24]

MEA는 증상성 치질 치료 옵션으로 사용되는 주사 가능한 경화제이다. 2~5ml의 에탄올아민 올레에이트를 치질 바로 위 점막에 주사하여 궤양과 점막 고정을 유발하여 치질이 항문관 밖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자동차 윈드실드 세정액의 성분이기도 하다.[25]

에탄올아민은 원자력발전소의 가압경수로를 포함한 발전소의 증기 사이클에서 물의 알칼리화에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알칼리화는 금속 부품의 부식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된다. 에탄올아민(ETA) 또는 때때로 유사한 유기 아민(예: 모르폴린)이 선택되는 이유는 휘발성으로 인해 증기 발생기(보일러)와 틈새에 축적되지 않고 전체 증기 사이클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6. 반응

에탄올아민은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카바메이트 염을 형성한다.[26] 가열하면 보통 에탄올아민과 이산화탄소로 다시 생성되지만, 때때로 2-옥사졸리돈으로 고리화되기도 한다.[27]

MEA 수용액은 도시가스의 흡착 아민으로 가스 세척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수용액은 혼합 가스에서 특정 성분을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되는데, 산성 성분은 중화에 의해 이온화되어 수용액에 용해되기 때문이다. 저온의 MEA 수용액은 극성 물질이며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혼합 가스를 가스 세척하여 산성 가스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스크러버 장치(가스 세척 장치)에서는 큰 표면적에서 MEA 수용액과 혼합 가스를 접촉시켜 황화수소(H2S)나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산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즉, MEA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면 H2S는 황화수소 이온(HS-)으로, 이산화탄소는 탄산수소 이온(HCO3-)으로 중화되어 수용액 중에 존재한다.

H2S나 CO2는 약산성 가스이므로 수산화나트륨(NaOH)과 같은 강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일단 흡착된 가스를 방출할 수 없다. 그러나 MEA는 약염기이므로 세척액을 가열함으로써 H2S나 CO2를 재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MEA 세척액은 재생 장치를 통과시켜 재활용된다. 즉, MEA 세척액을 가열하면 약산성 가스만이 유리형이 되어 방출되고 MEA 용액은 순도를 회복하여 스크러버 장치로 돌아가 재사용된다.

7. 대한민국의 에탄올아민 관련 동향

대한민국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에탄올아민 기반의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CCUS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관련 예산 확보 및 법·제도 개선에 힘쓰고 있다. 국내 연구진들은 에탄올아민의 성능을 개선하고, 흡수 효율을 높이며,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새로운 흡수제 개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저널 Correlation of the Base Strengths of Amines https://pubs.acs.org[...] 1957
[3] 웹사이트 Ethanolamine MSDS http://www.paclp.com[...] Acros Organics 2011-07-15
[4] 저널 Some Properties of Monoethanolamine and its Aqueous Solutions
[5] Sigma-Aldrich 2018-05-24
[6] PGCH
[7] IDLH
[8] 웹사이트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PubChem. Ethanolomine. https://pubchem.ncbi[...] 2021-09-05
[9] 서적 Ethanolamines and Propanolamines Wiley-VCH
[10] EMedicine Cough, Cold, and Allergy Preparation Toxicity
[11] 저널 Synthese sauerstoffhaltiger Basen https://books.google[...] 1860
[12] US patent
[13] 저널 Ueber den Amidoäthylalkohol https://books.google[...] 1897
[14] 저널 Antinociceptive activity of the endogenous fatty acid amide, palmitylethanolamide https://escholarship[...]
[15] 웹사이트 First evidence of cell membrane molecules in space https://astronomy.co[...] 2021-09-04
[16] 웹사이트 Phosphatidylethanolamine and related lipids http://lipidlibrary.[...] AOCS 2015-08-09
[17] 저널 A plant-responsive bacterial-signaling system senses an ethanolamine derivative 2018-09-25
[18] 저널 Biosynthesis of anandamide and related acylethanolamides in mouse J774 macrophages and N18 neuroblastoma cells. 1996-06-15
[19] 저널 Crystal Structures of Ethanolamine Ammonia-lyase Complexed with Coenzyme B12 Analogs and Substrates 2010
[20] 저널 Modelling the phase and chemical equilibria of aqueous solutions of alkanolamines and carbon dioxide using the SAFT-γ SW group contribution approach 2015-08
[21] 서적 Emergency and Continuous Exposure Guidance Levels for Selected Submarine Contaminants http://www.nap.edu/o[...]
[22] 서적 Industrial Organic Chemistry Wiley-VCH
[23] 웹사이트 Ethanolamine http://www.osha.gov/[...]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2008-05-11
[24] 서적 Diccionario de Ingredientes Cosméticos 4ª Ed www.imagenpersonal.net
[25] 서적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26] 저널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in Ethanolamine Solutions https://asianjournal[...] 2014
[27] 저널 Treatment of amine wastes generated in industrial processes. https://iopscience.i[...] 2021-03-01
[28] 웹사이트 法規情報 https://www.tcichemi[...] 東京化成工業株式会社
[29]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30] 저널 Correlation of the Base Strengths of Amines https://pubs.acs.org[...] 1957
[31] 웹인용 Ethanolamine MSDS http://www.paclp.com[...] Acros Organics 2011-07-15
[32] 저널 Some Properties of Monoethanolamine and its Aqueous Solutions
[33] Sigma-Aldrich 2018-05-24
[34] PGCH
[35] IDLH
[36] 웹인용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PubChem. Ethanolomine. https://pubchem.ncbi[...] 2021-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