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여성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여성사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 권리, 지위에 대한 역사적 연구 분야이다. 지역별 여성사,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대륙별 여성의 역사와 함께 권리와 평등, 자본주의, 고용, 소녀 교육, 결혼 연령, 성과 재생산, 의복, 지위, 1920년대, 대공황, 종교, 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여성의 권리는 노예제 폐지 운동을 거치며 페미니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19세기 개혁 시대를 거쳐 20세기 초 의회 대표의 증가로 이어졌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자본주의의 발달, 고용, 교육, 결혼 연령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전쟁과 같은 사회적 변화 속에서 여성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사 - 제2세대 여성주의
    제2세대 여성주의는 1960년대부터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작된 여성 해방 운동의 한 흐름으로, 성차별 철폐, 동일 노동 동일 임금, 낙태의 자유 등 다양한 이슈를 제기하며 사회 변혁을 주도했지만, 백인 중산층 여성의 시각에 치중되어 이후 제3세대 여성주의로 이행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 여성사 - 교회사에서 여성들
    교회사에서 여성은 기독교의 시작부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초기에는 추종자 및 지도자로 활동하고 중세에는 수도원과 신비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여성의 역할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사회사 - 향토사
    향토사는 특정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며, 한국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변화와 발전을 연구하는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았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 문제 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 사회사 - 역사사회학
    역사사회학은 역사적 자료와 사회학 방법론을 결합하여 사회 변동, 인간 행위, 사회 구조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마르크스와 베버의 이론을 바탕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주며 한국 사회 분석에도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여성사
개요
주제여성의 역할과 역사 연구
관련 분야여성학
젠더 연구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문화 연구
상세 내용
정의역사 속 여성의 역할, 경험, 관점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특징전통적인 역사 서술에서 소외된 여성의 삶과 업적 재조명
젠더, 성, 계급 등 다양한 요인이 여성의 역사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여성의 시각에서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고 비판
중요성역사 연구의 다양성 확보
사회적 편견 해소
여성의 권익 향상
성평등 사회 실현 기여
주요 연구 분야여성의 사회, 경제, 정치 참여 역사
여성의 가족, 결혼, 출산 역사
여성의 문화, 예술, 교육 역사
여성 운동의 역사
여성과 관련된 법률, 제도 역사
역사 속 여성정치가
작가
과학자
예술가
운동가
지도자
주요 인물수전 B. 앤서니
말랄라 유사프자이
관련 운동미투 운동
역사
기원1960년대, 1970년대 서구 사회의 여성운동과 함께 발전
발전전통적인 역사 연구의 남성 중심적 관점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
초기 연구여성의 삶과 경험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데 집중
방법론 확장구술사
문화사
사회사 등 다양한 방법론 도입
학문적 발전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발전
여성사 관련 학술지 및 연구 센터 설립 증가
학문적 특징
학제성여성학, 젠더 연구,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계
비판적 관점기존 역사 서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해석 제시
실천적 지향성평등 사회 실현에 기여
다양한 연구 주제여성의 노동
여성의 몸
여성의 정체성
여성의 정치 참여
여성의 문화 생산
중요성
역사적 관점 확장기존 역사 서술에서 간과된 여성의 역할과 경험을 밝혀냄
역사를 보다 풍부하고 다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
사회적 인식 개선여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해소하는 데 기여
성평등 의식 함양
여성의 권익 옹호과거 여성들의 투쟁과 업적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 동기 부여
현재 사회의 성차별 문제 해결에 대한 통찰력 제공
미래 사회 건설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기여
주요 학자
여성사 학자조앤 스콧
게일 루빈
미셸 푸코
관련 학문 분야
젠더 연구성별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여성학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학문 분야
역사학과거의 사실을 탐구하고 해석하는 학문 분야
외부 링크
참고 자료남성 없는 남자들 (Men Without Women)
여성사의 간략한 역사
미투 운동
미투 운동 공식 웹사이트

2. 지역별 여성사

각 지역의 특성과 시대 구분을 통해 여성사를 조망할 수 있다.


  • 아시아 및 태평양:
  • '''중국 여성사''': 혁명 참여, 고용, 유교 문화와 가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결혼 의식의 변화는 여성의 선택 의지 성장을 반영한다.[151] 《중국부녀생활사》는 중국 여성사에 대한 체계적인 소개를 처음으로 시도한 책으로, 고대 시대부터 중화민국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성의 삶을 조명한다.[43]
  • '''일본 여성사''': 1980년대부터 여성에게 우호적인 사회적,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여성사 연구가 활발해졌다. 전통적인 역사적 방법과 기대에 덜 제약을 받는 프리랜서 작가, 언론인, 아마추어 역사학자 등이 연구를 주도했다.[46]
  •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여성의 역할과 지위가 급격하게 변화했다.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가부장제가 뿌리 깊었으나, 근대화와 민주화 과정을 통해 여성의 교육 기회가 확대되고 사회 참여가 증가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여성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여성의 권익 향상을 위한 법과 제도가 개선되었다.
  • '''호주 및 뉴질랜드''': 1970년대 중반부터 여성사 연구가 학문 분야로 등장했다. 미리엄 딕슨의 ''진정한 마틸다: 호주 여성과 정체성, 1788년부터 현재까지''(1976)가 대표적이다.[161]
  • 중동: 중동 여성의 역사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하기 시작했고,[165] 1980년대에 더욱 발전했다.[166][167][168][169] 1800년대 이전의 중동에 대한 연구는 고대와 중세 중동 여성의 삶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이 제한적이어서 어려움을 겪었다.[170]
  • 아프리카: 여러 연구에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여성사의 맥락에서 다루었다.[75][76] 식민 시대 이전에는 일부 아프리카 사회가 모계 사회였고, 여성은 남성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존재로 여겨졌다. 그러나 유럽 식민주의자들은 가부장제적 이상과 시스템을 도입하고 강요하여 아프리카의 발전을 저해했다.[80]
  • 아메리카: 미국 여성사는 20세기 초 미국 남부 연합 여성회(UDC)의 노력으로 시작되었고, 1960년대 이후 여성사 연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게르다 레르너는 여성사에 대한 최초의 정규 대학 강좌를 제공했으며, 1972년 세라 로렌스 칼리지는 여성사 석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59]

2. 1. 유럽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여성의 권리와 역할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여성은 동일 임금을 받을 권리가 법으로 보장되었고,[129][130][131] 전통적인 성 역할에서 벗어나 노동 시장에 진출하는 여성들이 늘어났다. 전쟁 기간 동안 여성들은 남성만이 할 수 있었던 일들을 맡게 되었으나, 전쟁이 끝난 후에는 다시 가정 및 서비스 역할로 돌아가야 했다.[129][130][131]

2. 1. 1. 영국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스코틀랜드 여성의 역사는 1980년대까지 연구 분야로 완전히 발전되지 않았다. 1700년 이전의 여성들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1980년 이후로 출판되었다. 몇몇 연구가 전기적인 접근을 했지만, 다른 연구들은 노동, 가족, 종교, 범죄, 그리고 여성의 이미지와 같은 문제들을 조사하기 위해 다른 곳에서 나온 통찰력에 의존했다. 학자들은 또한 편지, 회고록, 시, 법정 기록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밝혀내고 있다.[132]

아일랜드에서 여성과 젠더 관계에 대한 연구는 1990년 이전에는 드물었으나, 현재는 약 3000권의 책과 논문이 출판되었다.[132]

2. 1. 2. 프랑스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독특한 접근 방식을 취해왔는데, 대학 내 여성 및 젠더 연구 프로그램이나 학과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여성 및 젠더 역사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133] 그러나 다른 학자들이 폭넓게 근간을 둔 사회사를 연구할 때 사용하는 접근법은 여성사 분야에도 적용되었다. 여성과 젠더 역사의 연구와 출판 수준이 높은 것은 프랑스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이다. 유럽 연합(EU) 결성 이후 국제 연구가 증가하고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임명을 원하는 프랑스 학자들이 늘면서 프랑스 젠더 역사에 대한 학계의 구조적 차별이 변화하고 있다.[133]

2. 1. 3. 독일

19세기 이전 독일 여성들은 결혼 전까지 아버지의 권위 아래 있었고, 결혼 후에는 남편에게 종속되었다. 만족스러운 결혼을 위해 여성은 상당한 지참금을 가져와야 했으며, 독일 법에 따라 여성은 지참금과 상속에 대한 재산권을 가졌다.[134] 1789년 이전에는 대다수의 여성들이 가정에 갇혀 살았다.[134]

계몽주의 시대에도 남성들은 여성이 본래 아내와 어머니가 될 운명이라고 믿었다. 교육받은 계층에서는 여성이 남편과 지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교육받아야 한다는 믿음이 있었지만, 하층민 여성들은 남편의 생계를 돕기 위해 경제적으로 생산적일 것으로 기대되었다.[135]

1871년 독일 제국 성립 이후, 모든 사회 계층의 여성들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참정권을 박탈당했다. 상류층과 부르주아 여성들은 사회적 규범에 갇혀 남편보다 열등하다고 여겨졌다. 미혼 여성들은 조롱을 당했고, 일부는 친척과 함께 사는 무급 가사도우미, 가정교사, 수녀 등으로 일했다.[136]

1871년에서 1890년 사이, 산업 성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당수의 중산층 가정이 빈곤해졌고, 여성들은 가족 소득을 위해 비밀리에 바느질이나 자수로 돈을 벌어야 했다.[137] 1865년, 독일 여성 연합(ADF)이 설립되어 여성의 교육, 고용, 정치 참여 권리를 요구했다.[138] 30년 후, 독일 여성 연합(BDF)이 ADF를 대체했다. 두 운동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시각이 달랐고, 의제도 달랐다. 부르주아 운동은 여성의 교육과 직업 획득에 기여했고, 프롤레타리아 운동은 사민당의 한 분파로 발전했다. 공장 일자리가 제공되자, 여성들은 평등한 임금과 대우를 요구했다. 1908년에는 정당 가입 권리, 1918년에는 투표권을 획득했다.[138]

나치 독일 시대에는 여성의 역할이 전통적인 가정 내 역할로 제한되었고, 많은 여성이 홀로코스트에서 희생되었다.[139] 나치는 여성을 남성에게 복종하고 가사와 육아에 헌신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1933년 이전에는 여성들이 나치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39] 히틀러 집권 후, 여성들은 관료 조직으로 대체되었다. 전쟁 준비로 많은 여성이 공공 부문에 편입되었고, 1943년에는 모든 여성이 고용 사무소에 등록해야 했다. 수십만 명의 여성이 군에서 복무했고, Luftwaffe에서 대공 시스템 운영을 도왔다.[140] 여성의 임금은 불평등했고, 리더십 지위에 오를 수 없었다.[141]

2. 1. 4. 폴란드

안나 코발치크(pl)가 저술하고 마르타 프레이(pl)가 삽화를 그린 책, ''폴란드 여성의 부재한 역사: 폴란드 땅 여성들의 짧은 역사''(Brakująca połowa dziejów. Krótka historia kobiet na ziemiach polskich)는 폴란드 여성의 역사를 상세히 다루었으며, 2018년 Wydawnictwo W.A.B.(pl)에서 출판되었다.

2. 1. 5. 동유럽

동유럽 여성사 연구는 늦게 시작되었다.[142][143] 헝가리가 대표적인 사례로, 페퇴와 스자포(2007)는 헝가리의 역사 기술을 연구했다. 학계는 주로 정치적 분위기와 제도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이 전문적인 역사 분야를 통합하는 것을 거부했다. 1945년 이전의 역사 기술은 주로 국가의 반민주적 정치 의제를 지지하는 민족주의적 주제를 다루었다. 1945년 이후 학계는 소련 모델을 반영했다. 이 시대는 여성들이 역사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대신, 20세기 초 여성 권리 운동의 역할을 무시했다. 1989년 공산주의 붕괴 이후 10년간 헝가리 저명 여성들의 전기가 출판되고, 여성의 정치 및 문화사에서 중요한 순간들이 연구 대상이 되는 등 유망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학문의 질은 고르지 않았고 서구의 연구 방법론적 발전을 활용하지 못했다. 또한, 헝가리 대학에서 여성 및 젠더 역사 전담 학부 또는 대학원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으로 보아 제도적 저항이 계속되었다.[33]

2. 2. 아시아 및 태평양

아시아 여성사는 중국, 일본, 인도, 한국 등 특정 지역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여성사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는 드문 편이다.[149][150]

2. 2. 1. 중국

중국 여성사는 혁명 참여, 고용, 유교 문화와 가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신부 값과 지참금과 같은 결혼 의식의 변화는 여성의 선택 의지 성장을 반영한다.[151] 최근 중국의 학문에서 젠더 개념은 영어와 중국어 글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풍부하게 만들었다.[152][153]

만다린 가족의 여성들이 카드 게임을 하는 모습, 토마스 알롬, G. N. 라이트 (1843). [https://archive.org/stream/chinainseriesofv03wrig#page/18/mode/2up 중국, 고대 제국의 풍경, 건축 및 사회적 습관을 보여주는 일련의 관점에서.] 3권. 18쪽


《중국부녀생활사》는 1928년 첸둥위안이 저술하고 1937년 상무인서관에서 출판한 역사책이다. 중국 여성사에 대한 체계적인 소개를 처음으로 시도한 이 책은 이 분야의 후속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43]

이 책은 고대 시대(주나라 이전)부터 중화민국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성의 삶을 조명한다. 책에서는 중국의 왕조에 따라 섹션이 구분되어 있다. 각 섹션은 결혼, 봉건 윤리 규범, 여성 교육, 미덕, 지위, 정절 개념, 전족, 현대 중국의 여성 운동 등 다양한 주제를 소개한다. 신문화 운동의 반전통적 사상에서 영감을 얻은 저자는 중국 여성들을 희생시킨 문화, 제도, 삶의 불공정성과 억압을 폭로하고 비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책에 따르면 여성의 상황은 현대 중국에 이르러서야 약간 개선되었다. 책의 서문에서 저자는 "중국의 여성들은 항상 학대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여성의 역사는 당연히 중국 여성 학대의 역사이다."라고 적고 있다. 저자는 책의 동기를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원칙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여성에 대한 학대가 어떻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화되었는지, 그리고 여성의 고통이 어떻게 역사적 변화를 겪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저자는 여성에 대한 정치적, 사회적 억압을 폭로함으로써 여성 해방을 촉진하고자 한다.

Mann (2009)은 중국의 전기 작가들이 2천 년 이상(기원전 221년 ~ 1911년) 특히 한나라 시대에 여성을 어떻게 묘사했는지 탐구한다. 장쉐청, 사마천, 장후이옌 및 다른 작가들은 종종 지배 계급의 여성과 서사시와 순교자의 역할에서 죽음의 국내 장면에 대한 그들의 묘사를 연구한다.[44]

2. 2. 2. 일본

일본 여성의 역사는 20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역사학에서 주변적인 위치에 있었다. 1945년 이전에는 이 주제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그 이후에도 많은 학계 역사학자들은 여성사를 일본사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것을 꺼렸다.[157] 1980년대의 사회적, 정치적 분위기는 여러 면에서 여성에게 우호적이었고, 일본 여성 사학에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 주제에 대한 더 완전한 학문적 인정을 가져왔다. 일본 여성사에 대한 흥미롭고 혁신적인 연구는 1980년대에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상당 부분은 학계 여성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프리랜서 작가, 언론인, 아마추어 역사학자 등 전통적인 역사적 방법과 기대에 덜 제약을 받는 사람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일본 여성사 연구는 전통적인 주제의 일부로 받아들여졌다.[46]

게킨을 연주하는 일본 소녀, 라이문트 폰 슈틸프리트 und 라테니츠 남작(1839–1911)

2. 2. 3. 호주 및 뉴질랜드

1970년대 이전에는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여성에 대한 진지한 역사 연구가 거의 없었다.[158][159][160]

패트리샤 그림쇼의 ''뉴질랜드 여성 참정권''(1972)은 선구적인 연구로, 어떻게 그 외딴 식민지가 세계 최초로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는지를 설명한다. 여성사 연구는 1970년대 중반에 학문 분야로 등장했으며, 미리엄 딕슨의 ''진정한 마틸다: 호주 여성과 정체성, 1788년부터 현재까지''(1976)가 대표적이다. 최초의 연구는 여성이 배제되었던 공백을 채우는 보상적 성격을 띠었다. 미국과 영국에서의 발전과 마찬가지로, 페미니스트가 지배하는 분야인 젠더 연구로의 움직임이 있었다.[161]

다른 중요한 주제로는 인구 통계 및 가족사가 있다.[162][163] 최근에는 세계 대전 동안의 여성의 후방 역할 및 군 복무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164] 제1차 세계 대전의 호주 여성과 제2차 세계 대전의 호주 여성을 참조하라.

2. 2. 4.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여성의 역할과 지위가 급격하게 변화했다. 전통적인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가부장제가 뿌리 깊었으나, 근대화와 민주화 과정을 통해 여성의 교육 기회가 확대되고 사회 참여가 증가했다. 특히, 1987년 민주화 이후 여성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여성의 권익 향상을 위한 법과 제도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성차별과 유리천장 문제가 남아있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 3. 중동

중동 여성의 역사는 여전히 발전하고 있지만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처음 등장하기 시작했고,[165] 1980년대에 더욱 발전했다.[166][167][168][169] 서구에서 초기에 이 분야를 연구한 학자로는 거트루드 스턴(Gertrude Stern, ''초기 이슬람의 결혼''), 나비아 애벗(Nabia Abbott, ''무함마드의 사랑받는 아쉬아''와 ''바그다드의 두 여왕''), 일제 리히텐슈테터(Ilse Lichtenstädter, 'Aiyam al-'Arab의 여성: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 시대 전쟁 중 여성의 삶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비교적 침체기를 겪은 후, 서구의 중동 여성사 연구는 페미니즘 운동에 의해 활력을 되찾았고, 이는 역사적 기록에서 성별에 따른 격차를 메우는 데 대한 관심을 새롭게 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21세기에도 지속되어 가속화되고 있다.

1800년대 이전의 중동에 대한 연구는 고대와 중세 중동 여성의 삶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이 제한적이어서 어려움을 겪었다.[170] 역사 정보의 대부분은 남성 저자에 의해 제공되었고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여성 저술 및 여성 중심의 기록과 데이터는 드물다.[171][172] 종합된 정보의 상당 부분은 예술, 법원 기록, 종교 교리 및 기타 언급에서 비롯되었다. 연구자들은 특히 오스만 제국의 법원 기록을 활용했다.[173] 상대적으로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귀중한 자료들이 확인되었고, 역사가들은 여성의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참여에 대한 기록을 발표할 수 있었다. Marten Sol의 1999년 저서 "고대 근동의 여성"은 고대 바빌로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여성의 삶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Amira El-Azhary Sonbol의 "이국적인 것을 넘어: 이슬람 사회의 여성사"는 전통적인 역사적 서술의 격차를 메울 수 있는 자료에 대한 24명의 역사가들의 에세이를 모아 놓았다.[173]

1800년대 이후의 여성사에 대한 정보는 훨씬 더 풍부하여, 여러 중동 지역의 역사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174] 고대와 중세 중동 연구와 유사하게, 많은 연구원들은 19세기와 20세기 초반 여성의 삶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후기 오스만 제국의 자료를 활용했다.[175] 주디스 E. 터커(Judith E. Tucker)는 저서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여성: 여성을 역사로 복원"에서 19세기 지정학적, 경제적 환경의 변화가 중동 사회에서 여성의 삶과 역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강조한다.[176]

중동은 여러 나라와 수많은 집단으로 이루어진 넓은 지역이었으며, 학자들은 전근대와 현대 모두의 다양한 특정 민족과 장소에 대한 연구를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중동 역사의 여성: 성과 젠더의 경계를 바꾸는 것"은 맘루크 이집트와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여성의 주체성에서부터 이슬람 사회의 적응을 보여주기 위한 간성(間性)인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177] 또한, "중동의 젠더, 종교 및 변화"는 20세기 중반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다. 여기에는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학생 단체로의 여성 통합, 이집트의 사회복지 서비스 조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이스라엘 여성의 관계, 군대와 사회에서의 역할과 권리, 그리고 시아파 성인들에게 바치는 소프레(Sofreh) 혹은 여성들만의 "의례적인 봉헌 식사"를 하는 무슬림 여성 단체 등이 포함된다.[178] 이슬라 자드(Islah Jad)는 "팔레스타인 여성 행동주의: 민족주의, 세속주의, 이슬람주의"에서 193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팔레스타인의 여성 운동과 관련된 발전과 갈등을 중계하면서 이슬람과 여성 운동가들로 구성된 세속주의 그룹 사이의 관계에 특히 중점을 둔다.[179]

2. 4. 아프리카

아프리카 국가의 여성사에 대한 수많은 단편 연구가 발표되었다.[69][70][71][72][73][74] 여러 연구에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여성사의 맥락에서 다루었다.[75][76]

나이지리아[77]레소토[78]와 같이 특정 국가 및 지역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존재한다.

학자들은 말라위의 노래, 소코토의 직조 기술, 역사 언어학 등 아프리카 여성의 역사를 위한 혁신적인 자료에 주목했다.[79]

식민 시대 이전에는 일부 아프리카 사회가 모계 사회였다. 여성은 남성과 동등하거나 심지어 우월한 존재로 자신을 표현했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의 번영을 이끌었다. 유럽 식민주의자들은 억압적인 형태의 기독교를 아프리카에 도입함으로써, 모계 사회를 대체하기 위해 가부장제적 이상과 시스템을 도입하고 강요하여 아프리카의 발전을 저해했다.[80]

짐바브웨의 퍼스트 플로어 아트 갤러리에서 페미니즘 예술가 로렌 웨버(Lauren Webber)는 전통적인 직물과 재료를 사용하여 대륙의 오랜 여성 지배 역사를 드러내고 전시하고 있다.[81]

2. 5. 아메리카

미국 여성사는 20세기 초 미국 남부 연합 여성회(UDC)의 노력으로 시작되었고, 1960년대 이후 여성사 연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게르다 레르너는 여성사에 대한 최초의 정규 대학 강좌를 제공했으며, 1972년 세라 로렌스 칼리지는 여성사 석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관점을 강조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웹 기반 여성사 자료를 통해 학생들에게 다가가고 있다.[59]

3. 주제별 여성사

여성사 연구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각 주제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중동중동 여성사 연구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시작되어 1980년대에 더욱 발전했다.[54] 초기에는 거트루드 스턴, 나비아 애벗, 일제 리히텐슈테터 등이 연구를 수행했다.[54] 페미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역사 기록에서 성별 격차를 메우려는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21세기에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54][55][59]

19세기와 20세기 초 여성의 삶과 역할에 대한 연구는 후기 오스만 제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55][59] 주디스 E. 터커는 19세기의 지정학적 및 경제적 변화가 중동 사회 여성의 삶과 역할에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한다.[61]

맘루크 이집트와 19세기 오스만 제국에서 여성의 주체성, 간성을 위한 이슬람 사회의 적응에 이르기까지 중동 사회의 유연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62] 20세기 중반에는 베이루트 아메리카 대학교의 학생 단체에 여성의 통합, 이집트의 여성 사회 복지 서비스 조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이스라엘 여성의 군대 및 사회에서의 역할과 권리의 관계, 시아파 성인에게 헌정된 여성 전용 "의식적인 서약 식사"인 ''소프레''에 대한 무슬림 여성의 조직 등이 연구되었다.[63] 1930년대부터 2000년대 초까지 팔레스타인 여성 운동과 관련된 발전과 갈등을 다룬 연구도 있다.[64]
아프리카아프리카 국가의 여성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다.[69][70][71][72][73][74]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여성사의 맥락에서 다룬 연구들이 있다.[75][76] 나이지리아[77]와 레소토[78] 등 특정 국가 및 지역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학자들은 말라위의 노래, 소코토의 직조 기술, 역사 언어학 등 아프리카 여성의 역사를 위한 혁신적인 자료를 활용했다.[79]

식민 시대 이전에는 일부 시스템과 사회가 모계 사회였으며, 여성은 남성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존재로 여겨졌다. 그러나 유럽 식민주의자들이 가부장적 이상과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아프리카 사회는 변화를 겪었다.[80]

짐바브웨의 페미니스트 예술가 로렌 웨버는 전통적인 직물과 재료를 사용하여 아프리카의 오랜 여성 지배 역사를 드러내고 있다.[81]
기타 주제


  • 권리와 평등: 19세기와 20세기에 여성의 권리와 평등에 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 자본주의: 여성사에서 자본주의가 여성의 지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 고용: 19세기와 20세기에 여성 고용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
  • 소녀 교육: 프랑스 구제도 시대에는 일부 여왕들과 가톨릭 수녀원장들을 제외하고는 공식적인 권력을 가진 여성이 거의 없었다.[93]
  • 결혼 연령: 여성의 결혼 연령은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 성과 재생산: 성적 행동의 사회적 구성은 여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의복: 의복은 성 역할과 관련된 사회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 지위: 19세기와 20세기에 여성의 지위는 변화를 겪었다.
  • 광란의 20년대: 서구에서는 페미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여성사 연구가 활발해졌다.
  • 대공황: 대공황 시기 여성들은 주부로서 큰 압박을 받았다.
  • 종교: 힌두교, 유대교, 시크교, 이슬람교, 기독교에서 여성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 전쟁: 전쟁 기간 동안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남성에게만 허용되던 노동 시장에 투입되었다.

3. 1. 권리와 평등

19세기와 20세기에 여성의 권리와 평등에 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여성은 동등한 보수를 받을 권리가 법으로 보장받게 되었다.[129][130][131] 이전에는 여성들이 주로 가정을 운영하고, 아이를 양육하며, 간호사, 어머니, 아내, 이웃, 친구, 교사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 기간에는 전통적으로 남성에게만 허용되던 일자리에 여성들이 징집되기도 했지만, 전쟁 이후에는 다시 가정과 서비스 역할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129][130][131]

19세기 이전, 젊은 여성들은 결혼 전까지 아버지의 경제적, 규율적 권위 아래 있었고, 결혼 후에는 남편의 통제를 받았다. 안정적인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상당한 지참금이 필요했는데, 부유한 가정의 딸들은 가족으로부터 지참금을 받았지만, 가난한 여성들은 결혼 기회를 얻기 위해 임금을 저축해야 했다. 독일 법에서는 여성들이 지참금과 상속금에 대한 재산권을 가졌는데, 이는 높은 사망률로 인해 연이은 결혼이 빈번했기 때문에 중요한 혜택이었다. 1789년 이전, 대부분의 여성은 가정이라는 사적인 영역에 국한되어 생활했다.[134]

계몽주의 시대에도 여성의 지위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계몽주의자들을 포함한 남성들은 여성이 본래 아내와 어머니가 될 운명이라고 믿었다. 교육받은 계층에서는 여성이 남편에게 지적이고 상냥한 대화 상대가 되기 위해 교육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하층민 여성들은 남편의 생계를 돕기 위해 경제적으로 생산적이어야 했다.[135]

1871년 새로 설립된 독일 제국에서는 모든 사회 계층의 여성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선거권을 갖지 못했다. 상류층과 부르주아 여성은 사회적 규범에 따라 가정에 갇혀 지냈고, 남편보다 사회적, 경제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여겨졌다. 미혼 여성은 조롱의 대상이었으며, 사회적 낙인을 피하기 위해 친척 집에서 무급 가사도우미로 일하거나, 능력이 있는 경우 가정교사나 수녀로 일하기도 했다.[136]

1871년에서 1890년 사이, 산업 성장이 둔화되면서 많은 중산층 가정이 빈곤해졌고, 여성들은 가족 소득을 위해 비밀리에 바느질이나 자수 등으로 돈을 벌어야 했다.[137] 1865년, 독일 여성 협회 총연맹(Allgemeiner Deutscher Frauenverein)은 교육, 고용, 정치 참여에 대한 권리를 요구하며 여성 협회들을 위한 조직으로 설립되었다. 30년 후, 독일 여성 협회 연맹(Bund Deutscher Frauenverbände)이 독일 여성 협회 총연맹을 대체했지만, 이전 조직에 속했던 프롤레타리아 운동은 회원 자격에서 제외했다. 두 운동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관점이 달랐고, 그에 따라 추구하는 의제도 달랐다. 부르주아 운동은 여성의 교육 및 직업 획득에 기여한 반면, 프롤레타리아 운동은 독일 사회민주당의 한 분파로 발전했다. 공장 일자리가 여성에게 제공되면서, 이들은 평등한 임금과 대우를 요구하는 운동을 벌였다. 1908년, 독일 여성은 정당 가입 권리를 얻었고, 1918년에는 마침내 투표권을 획득했다. 그러나 독일 여성의 해방은 곧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138]

역사학자들은 나치 독일이 1933년 이전, 특히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여성이 획득한 정치적, 사회적 진전을 되돌리려 했다는 점에 주목한다.[139] 나치 독일에서 여성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변화했다. 이론적으로 나치는 여성이 남성에게 복종하고, 직업을 피하며, 출산과 양육에 전념하고, 가부장적인 아버지에게 협력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1933년 이전에는 여성들이 나치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다른 여성들을 동원할 자율성을 갖기도 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 집권 이후, 여성 운동가들은 여성의 덕목, 결혼, 출산을 강조하는 관료들로 대체되었다.

독일이 전쟁을 준비하면서 많은 여성이 공공 부문에 편입되었고, 1943년에는 공장 전면 동원이 필요해 모든 여성이 고용 사무소에 등록해야 했다. 수십만 명의 여성이 간호사와 지원 요원으로 군 복무를 했고, 10만 명은 독일 공군(Luftwaffe)에서 대공 시스템 운용을 지원했다.[140] 그러나 여성의 임금은 남성과 동등하지 않았고, 여성은 지도적 지위에 오를 수 없었다.[141]

2백만 명 이상의 여성들이 홀로코스트에서 희생되었다. 나치는 여성을 다산의 매개체로 보았기 때문에, 미래 세대의 유대인 부상을 막기 위해 유대인 여성을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이유로 나치는 여성을 홀로코스트의 주요 표적으로 삼았다.

3. 2. 자본주의

여성사에서 자본주의가 여성의 지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앨리스 클라크(Alice Clark)는 자본주의가 여성의 경제적 중요성을 상실시켰다고 주장한 반면, 아이비 핀치벡(Ivy Pinchbeck)은 자본주의가 여성 해방의 조건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3. 3. 고용

19세기와 20세기에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여성은 동등한 보수를 받을 권리가 법으로 보장받게 되었다.[129][130][131] 전통적으로 여성들은 가정을 운영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며, 간호사, 어머니, 아내, 이웃, 친구, 교사 역할을 했다. 전쟁 기간 동안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남성에게만 허용되던 노동 시장에 투입되었다. 전쟁 이후, 그들은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잃고 가정 및 서비스 역할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129][130][131]

1865년, 독일에서는 여성 협회들을 위한 종합 조직으로 교육, 고용, 그리고 정치 참여에 대한 권리를 요구하는 Allgemeiner Deutscher Frauenverein(ADF)이 설립되었다.[137] 30년 후, BDF(Bund Deutscher Frauenverbände)는 ADF를 대체했고 이전 그룹의 일부였던 프롤레타리아 운동을 회원 자격에서 제외했다. 두 운동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시각이 달랐고, 이에 따라 의제도 달랐다. 부르주아 운동은 여성들이 교육과 직업을 얻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반면에 프롤레타리아 운동은 사민당의 한 분파로 발전했다. 공장 일자리가 여성들에게 제공되자, 그들은 평등한 임금과 평등한 대우를 요구하는 캠페인을 벌였다.[138]

나치 독일에서 여성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바뀌었다. 이론적으로 나치는 여성들이 남성에게 복종하고, 직업을 피하고, 출산과 양육에 전념하며, 전통적인 가족에서 지배적인 아버지에게 도움을 주는 친구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1933년 이전에 여성들은 나치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다른 여성들을 동원할 수 있는 자율성을 허용받았다.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한 후, 운동권 여성들은 여성 덕목, 결혼, 출산을 강조하는 관료적인 여성들로 대체되었다. 독일이 전쟁을 준비하면서, 많은 수의 여성들이 공공부문에 편입되었고 1943년까지 공장 전면 동원이 필요하여, 모든 여성은 고용 사무소에 등록해야 했다. 여성의 임금은 평등하지 않았고 여성은 리더십이나 통제 지위에 오를 수 없었다.[141]

3. 4. 소녀 교육

프랑스 구제도 시대에는 일부 여왕들과 가톨릭 수녀원장들을 제외하고는 공식적인 권력을 가진 여성이 거의 없었다.[93] 계몽주의 시대 철학자 장 자크 루소는 저술을 통해 가정 풍속 개혁에 기초한 구제도 개혁을 위한 정치적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루소는 여성의 가정 역할이 "현대" 사회의 구조적 전제 조건이라고 주장했다.[93] 살리카법은 여성의 통치를 금지했지만, 국왕이 너무 어려 스스로 통치할 수 없는 경우인 섭정에 관한 법률은 여왕을 권력의 중심으로 이끌었다. 여왕은 한 국왕에서 다른 국왕으로, 즉 사망한 남편에서 어린 아들로의 권력 이양을 보장하는 동시에 왕조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었다.

3. 5. 결혼 연령

여성의 결혼 연령은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평균 결혼 연령은 상승하고 있지만,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3. 6. 성과 재생산

성적 행동의 사회적 구성은 여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낙태, 영아 살해 등은 역사적으로 논쟁적인 주제였으며, 여성은 다양한 성적 상황에서 차별을 받았다.

3. 7. 의복

의복은 성 역할과 관련된 사회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치마와 바지는 사용에 대한 암묵적인 제한과 불쾌한 행동에 대한 비난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문구를 낳았다.

3. 8. 지위

19세기와 20세기에 여성의 지위는 변화를 겪었다. 여성에게는 동일 임금에 대한 권리가 법적으로 보장되기 시작했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가정 운영, 육아, 간호, 어머니, 아내, 이웃, 친구, 교사 등의 역할을 맡았다. 전쟁 기간 동안 여성은 남성만이 할 수 있었던 노동 시장에 진출했지만, 전쟁이 끝나면 일자리를 잃고 가정과 서비스 역할로 돌아가야 했다.[54]

1870년 미국 인구 조사는 "각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을 처음으로 집계하여 여성 역사의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빅토리아 시대의 모든 미국 여성이 중산층 가정에서만 지내거나 고된 노동만 한 것은 아니었다. 여성은 전체 노동 인구의 15%를 차지했으며, 공장 노동자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특히 교육 확대에 따라 교직, 드레스 메이킹, 모자 제작, 재단 분야에 집중되었고, 교사의 3분의 2가 여성이었다. 또한 철강 공장, 광산, 제재소, 유정 및 정유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일했다. 놀랍게도 선박 밧줄 설치공, 마부, 테레빈유 노동자, 놋쇠 주조공, 가축 사육자, 총기 및 자물쇠 제작자, 사냥꾼 등의 직업에도 종사했다. 5명의 여성 변호사, 24명의 치과의사, 2,000명의 의사도 있었다.

3. 9. 광란의 20년대

19세기와 20세기에 여성의 권리가 향상되어 동일 임금에 대한 권리가 법으로 보장되기 시작했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가정, 육아, 간호, 교육 등의 역할을 담당했다. 전쟁 기간 동안 여성들은 남성만 일하던 노동 시장에 진출했지만, 전쟁 후에는 다시 가정과 서비스 역할로 돌아가야 했다.

서구에서는 페미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여성사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역사 기록에서 성별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3. 10. 대공황

대공황 시기 여성들은 주부로서 큰 압박을 받았다. 가족 소득이 불안정해지면서 음식, 의류, 의료 서비스 등을 마련하는 여성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54]

3. 11. 종교

역사적으로 여성의 역할은 축소되거나, 간과되거나, 부정되었다. 힌두교, 유대교, 시크교, 이슬람교, 기독교에서 여성에 대한 관점은 지난 2천 년 동안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3. 12. 전쟁

전쟁 기간 동안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남성에게만 허용되던 노동 시장에 투입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여성들은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잃고 가정 및 서비스 역할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129][130][131]

참조

[1] 웹사이트 Men Without Women https://historymatte[...] 2024-02-23
[2] 간행물 Women's History Today 2004-11
[3] 서적 Major Problems in American Women's History CENGAGE Learning
[4] 학술지 Women's history: a study in continuity and change 1993-06-01
[5] 웹사이트 Interdisciplinary (Women's and Gender Studies) https://majors.misso[...] 2023-03-12
[6] 학술지 Gender studies and interdisciplinarity 2015-08-11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Women's History https://blogs.lse.ac[...] 2023-03-12
[8] 웹사이트 'Me Too' Global Movement - What is the 'Me Too" Movement https://www.globalfu[...] 2023-03-12
[9] 웹사이트 me too. Movement https://metoomvmt.or[...] 2023-03-12
[10] 웹사이트 15 of the most powerful women in history https://bigthink.com[...] 2023-03-12
[11] 웹사이트 Authors of note: 12 female writers who are worthy of adoration The Spokesman-Review https://www.spokesma[...] 2023-03-12
[12] 웹사이트 30 Must-Read Classics by Women Writers https://bibliolifest[...] 2023-03-12
[13] 웹사이트 Compare And Contrast Malala And Susan B Anthony - 91 Words Bartleby https://www.bartleby[...] 2023-03-12
[14] 웹사이트 Influential Women in History Montcalm Community College https://www.montcalm[...] 2023-03-12
[15] 웹사이트 Meet 10 Women in Science Who Changed the World https://www.discover[...] 2023-03-12
[16] 웹사이트 22 pioneering women in science history you really should know about https://www.sciencef[...] 2023-03-12
[17]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vol 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 서적 Writing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19] 서적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http://hdl.handle.ne[...]
[20] 서적 The Princeton History of Modern Ireland https://books.google[...]
[21] 학술지 Writing Women's and Gender History in France: A National Narrative? 2007-03
[22] 서적 German women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 social and literary history
[23] 서적 German History in Modern Times
[24] 서적 German Women in the Nineteenth Century
[2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odern German Culture
[26] 서적 When Biology Became Destiny: Women in Weimar and Nazi Germany
[27] 서적 Women in Nazi Germany
[28] 웹사이트 Women in Combat: The World War Two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http://americanhisto[...] Journal of Military History (April 1993), 57:301–323
[29] 서적 Mothers in the Fatherland: Women, the Family and Nazi Politics
[30] 웹사이트 Spots of Light: Women in the Holocaust http://www1.yadvashe[...] online exhibition, Yad Vashem
[31] 서적 Superwomen and the double burden: women's experience of chang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Union Scarlet Press
[32] 학술지 An Archipelago of Stories: Gender History in Eastern Europe
[33] 학술지 The State of Women's and Gender History in Eastern Europe: The Case of Hungary
[34] 서적 A History of Women in Russ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35] 서적 Women in Russian History: From the T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36] 논문 Gender studies in Russian historiography in the nineteen‐nineties and early twenty‐first century 2006
[37] 서적 Gender in Russian History & Culture 2001
[38]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vol 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39] 논문 Teaching The History of Women in China and Japan: Challenges and Sources http://digitalcommon[...] 2014
[40] 서적 Women in China's Long Twentieth Century 2007
[41] 논문 Chinese History: A Useful Category of Gender Analysis 2008-12
[42] 논문 The 'New Social History' in China: The Development of Women's History 2006
[43] 문서 中國婦女生活史
[44] 논문 Scene-Setting: Writing Biography in Chinese History 2009-06
[45] 논문 Narrative Dispossession: Tibet and the Gendered Logics of Historical Possibility 2010-10
[46] 논문 The Evolution Of Japanese Women's Historiography 1996-07
[47]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vol 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48] 서적 Writing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1991
[49] 논문 Women's and Gender History in Australia: A Transformative Practice 2013
[50] 서적 Up from under women and liberation in New Zealand, 1970–1985 Bridget Williams Books 2015
[51] 서적 The New Zealand family from 1840: A demographic history Auckland University Press 2013
[52] 서적 Matters of the heart: A history of interracial marriage in New Zealand Auckland University Press 2014
[53] 서적 Australian Women At War Penguin 1996
[54]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 past and present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5]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999
[56] 논문 Public and private in Middle Eastern women's history 2003
[57] 논문 Problems in the historiography of women in the Middle East: the case of nineteenth-century Egypt 1983
[58]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estoring women to history Indiana UP 1999
[59] 서적 Beyond the exotic :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https://www.worldcat[...]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5
[60] 서적 Women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www.worldcat[...] Boston 2016
[61]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 restoring women to history https://www.worldcat[...]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62] 논문 Women in Middle Eastern History: Shifting Boundaries in Sex and Gender http://dx.doi.org/10[...] 1993
[63] 서적 Interpreting Welfare and Relief in the Middle East http://dx.doi.org/10[...] Brill 2007-12-18
[64] 서적 Palestinian Women's Activism http://dx.doi.org/10[...] Syracuse University Press 2018-12-14
[65] 서적 Muslim women reformers : inspiring voices against oppression https://www.worldcat[...] Prometheus Books 2009
[66] 논문 At the Crossroads of the World: Women of the Middle East http://dx.doi.org/10[...] 2009
[67] 서적 A history of women's seclusion in the Middle East : the veil in the looking glass https://www.worldcat[...] Haworth Press 2006
[68] 논문 Going Transnational: On Mainstreaming Middle East Gender Studies https://doi.org/10.1[...] 2016-07-06
[69] 웹사이트 HIST 4310, Twentieth Century African Women's History https://umanitoba.ca[...]
[70] 논문 Placing African women's history and locating gender 1989
[71] 논문 Women in South Africa: the historiography in English 1993
[7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women in Sub-Saharan Africa Scarecrow press 2005
[73] 논문 Queens, Prostitutes, and Peasants: Historical Perspectives on African Women, 1971–1986 1988
[74] 논문 Introduction: Gendered Colonialisms in African History 1996
[75] 서적 African Women: A Modern History 1997
[76] 서적 Women in Africa South Of the Sahara 1995
[77] 서적 Nigerian women in historical perspective IbDn: Sankore 1992
[78] 논문 Women in production: the economic role of women in nineteenth-century Lesotho https://www.jstor.or[...] 1991
[79] 서적 Women's History: Afric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80] 논문 The Queenmother, Matriarchy, and the Question of Female Political Authority in Precolonial West African Monarchy https://www.jstor.or[...] 1997-05-05
[81] 웹사이트 Africa: Origins of the Oppression of African Women https://allafrica.co[...] 2015-08-28
[82] 서적 Ghosts of the Confederacy: Defeat, the Lost Cause and the Emergence of the New South, 1865-1913 1985
[83] 논문 "'You must remember this': Autobiography as social critique." https://www.jstor.or[...] 1998
[84] 논문 Women's History: A Retrospective from the United States 2010
[85] 웹사이트 Debra Taczanowsky | Women making inroads, but still fighting for equality - The Tribune-Democrat: Editorials http://www.tribdem.c[...] Tribdem.com 2013-03-12
[86] 웹사이트 Master of Arts in Women's History | Sarah Lawrence College https://www.sarahlaw[...] Sarahlawrence.edu 2015-11-02
[87] 논문 More History Than Myth: African American Women's History Since the Publication of 'Ar'n't I a Woman?' 2007
[88] 논문 Mining the Forgotten: Manuscript Sources for Black Women's History https://academic.oup[...] 1987-06
[89] 논문 Going Global: New Trajectories in U.S. Women's History 2010
[90] 서적 Major Problems in American Women's History Cengage Learning 2014
[91] 웹사이트 Women and Social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http://womhist.alexa[...]
[92] 웹사이트 Click! The Ongoing Feminist Revolution https://www.cliohist[...]
[93] 논문 Making Mothers: The Advice Genre and the Domestic Ideal, 1760-1830 2004
[94] 서적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over Time https://melaniemhugh[...] 2019
[95] 논문 Seeing 'The Second Sex' Through the Second Wave 1980
[96] 서적 Reader's guide to women's studies 1998
[97] 논문 Women and capitalism: oppression or emancipation? A review article. https://www.jstor.or[...] 1988
[98] 서적 Working life of women in the seventeenth century 1919
[99] 서적 Women Workers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1930
[100] 서적 Women, work, and family 1987
[101] 서적 Schooling the Daughters of Marianne: Textbooks and the Socialization of Girls in Modern French Primary Schools hdl:2027/heb.04489.0[...] SUNY Press 1984
[102] 논문 "'Noblesse,' Domesticity, and Social Reform: The Education of Girls by Fenelon and Saint-Cyr" 1974
[103] 웹사이트 1960 Census: Population, Supplementary Reports: Educational Attainment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census.g[...] 1962-12-27
[104] 서적 A History of the Global Economy. From 150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05] 논문 Black women's post-slavery silence syndrome: a twenty-first century remnant of slavery, Jim Crow, and systemic racism - who will tell her stories? 2013
[106] 문서
[10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s suffrage Abc-Clio Inc
[108] 서적 Popular Culture: 1920-1938 Heinemann Library
[109] 서적 World population and production: trends and outlook
[110] 서적 Making Do: Women, Family, and Home in Montreal during the Great Depression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11] 서적 Women in Nazi German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2] 서적 Women in France Since 1789: The Meanings of Differenc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13] 서적 Breadwinning Daughters: Young Working Women in a Depression-era City, 1929-1939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4] 간행물 'To help keep the home going': female labour supply in interwar London
[115] 간행물 'I Was Really Proud of Them': Canned Raspberries and Home Production During the Farm Depression
[116] 간행물 How Depression-Era Quiltmakers Constructed Domestic Space: An Interracial Processual Study
[117] 서적 Making Do: Women, Family and Home in Montreal during the Great Depression
[118] 간행물 Woman's Place in Japan's Great Depression: Reflections on the Moral Economy of Deflation
[119] 간행물 Marktordnung and Autarkic Housekeeping: Housewives and Private Consumption under the Four-Year Plan, 1936–1939
[120] 서적 Women in Christian History: A Bibliography Mercer Univ Press
[121] 간행물 A question of identity: Women scholars and the study of religion
[122] 간행물 Gender, agency, and the divine in religious historiography
[123] 서적 Women and War
[124] 서적 Women, Militarism, and War
[125] 서적 Gender and the Great War https://www.amazon.c[...]
[126] 서적 Women and War: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127] 간행물 Women's History Today
[128] 서적 Major Problems in American Women's History https://archive.org/[...] CENGAGE Learning
[129]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vol 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0] 서적 Writing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131] 서적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hdl:2027/heb.04531.0[...]
[132] 서적 The Princeton History of Modern Ireland https://books.google[...]
[133] 간행물 Writing Women's and Gender History in France: A National Narrative?
[134] 서적 German women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 social and literary history
[135] 서적 German History in Modern Times
[136] 서적 German Women in the Nineteenth Century
[137] 서적 German History in Modern Times
[13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odern German Culture
[139] 서적 When Biology Became Destiny: Women in Weimar and Nazi Germany
[140] 웹인용 Women in Combat: The World War Two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http://americanhisto[...] Journal of Military History
[141] 서적 Mothers in the Fatherland: Women, the Family and Nazi Politics
[142] 서적 Superwomen and the double burden: women's experience of chang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Union Scarlet Press
[143] 논문 An Archipelago of Stories: Gender History in Eastern Europe
[144] 논문 The State of Women's and Gender History in Eastern Europe: The Case of Hungary
[145] 서적 A History of Women in Russ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146] 서적 Women in Russian History: From the T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147] 논문 Gender studies in Russian historiography in the nineteen‐nineties and early twenty‐first century
[148] 서적 Gender in Russian History & Culture
[149] 논문 Women's History: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50] 논문 Teaching The History of Women in China and Japan: Challenges and Sources http://digitalcommon[...]
[151] 서적 Women in China's Long Twentieth Century
[152] 논문 Chinese History: A Useful Category of Gender Analysis
[153] 논문 The ‘New Social History’ in China: The Development of Women’s History
[154] 문서 中國婦女生活史
[155] 논문 Scene-Setting: Writing Biography in Chinese History
[156] 논문 Narrative Dispossession: Tibet and the Gendered Logics of Historical Possibility
[157] 논문 The Evolution Of Japanese Women's Historiography
[158] 논문 Women's History: Australia and New Zealan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59] 서적 Writing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160] 논문 Women's and Gender History in Australia: A Transformative Practice
[161] 서적 Up from under women and liberation in New Zealand, 1970–1985 Bridget Williams Books
[162] 서적 The New Zealand family from 1840: A demographic history Auckland University Press
[163] 서적 Matters of the heart: A history of interracial marriage in New Zealand Auckland University Press
[164] 서적 Australian Women At War Penguin
[165]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 past and present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6]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67] 논문 Public and private in Middle Eastern women's history
[168] 논문 Problems in the historiography of women in the Middle East: the case of nineteenth-century Egypt
[169]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estoring women to history Indiana UP
[170]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71]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 past and present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2] 서적 Women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www.worldcat[...]
[173] 서적 Beyond the exotic :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https://www.worldcat[...] Syracuse University Press
[174]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75] 서적 Beyond the exotic :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https://www.worldcat[...] Syracuse University Press
[176]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 restoring women to history https://www.worldcat[...]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77] 저널 Women in Middle Eastern History: Shifting Boundaries in Sex and Gender. http://dx.doi.org/10[...] 1993
[178] 저널 Interpreting Welfare and Relief in the Middle East http://dx.doi.org/10[...] 2007-12-18
[179] 서적 Palestinian Women’s Activism http://dx.doi.org/10[...] Syracuse University Press 2018-12-14
[180]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 past and present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81]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999
[182] 서적 Beyond the exotic :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https://www.worldcat[...]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5
[183] 서적 Muslim women reformers : inspiring voices against oppression https://www.worldcat[...] Prometheus Books 2009
[184]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 past and present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85] 저널 At the Crossroads of the World: Women of the Middle East http://dx.doi.org/10[...] 2009
[186]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 past and present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87]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999
[188] 서적 A history of women's seclusion in the Middle East : the veil in the looking glass https://www.worldcat[...] Haworth Press 2006
[189] 서적 Beyond the exotic :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https://www.worldcat[...]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5
[190] 서적 Beyond the exotic :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https://www.worldcat[...]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5
[191] 서적 A history of women's seclusion in the Middle East : the veil in the looking glass https://www.worldcat[...] Haworth Press 2006
[192] 서적 A social history of women and gender in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999
[193] 저널 Going Transnational: On Mainstreaming Middle East Gender Studies http://dx.doi.org/10[...] 2016-0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