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곡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곡역은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의 전철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급행과 완행 열차가 모두 정차한다. 1967년 임시 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73년 역사가 준공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 역 주변에는 가톨릭대학교, 유한대학교, 성공회대학교를 비롯하여 역곡상상시장, 역곡남부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전철역 - 송내역
송내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내역 환승센터와 송내 로데오거리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 부천시의 전철역 - 중동역 (부천)
중동역(부천)은 1987년 개업한 경인선 지상역으로,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급행/완행 열차가 운행하며, 중동신도시의 관문 역할을 한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1967년 개업한 철도역 - 광양역
광양역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복선전철화와 노선 확장을 거쳐 현재는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쌍섬식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 1967년 개업한 철도역 - 석불역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석불역은 돌부처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 후 여객 취급이 재개되어 ITX-새마을과 누리로 등이 정차하는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역곡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역곡 (가톨릭대) |
로마자 표기 | Yeokgok (The Catholic Univ. of Korea) |
역 번호 | 146 |
모국어 표기 | 역곡역 |
한자 표기 | 驛谷驛 |
로마자 표기법 | Yeokgok-yeok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역곡동 230, 역곡로 1 원미구, 부천시, 경기도 |
승객 수 (일일) | 2012년 1월~12월 기준 |
1호선 승객 수 | 66,386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인선 |
승강장 수 | 2 |
선로 수 | 4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67년 5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
노선 정보 | |
인접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온수역 (급행, 일반) 소사역 (급행, 일반) |
인접역 (경인선 급행) | 개봉역 부천역 |
역 구조 정보 | |
역 종류 | 운전간이역 |
역 등급 | 3급 |
홈 구조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기점으로부터 거리 | 구로역 기점 6.9km |
위치 | |
기타 정보 | |
고양이 역장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77556 |
역 풍경 |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47 |
![]() | |
![]() | |
![]() |
2. 역 구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 승강장 ==
역곡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출구는 2개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배선도 ==
역곡역의 경인선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바깥쪽 선(1·4번선)은 완행열차가, 안쪽 선(2·3번선)은 급행열차가 이용한다.
2. 1. 승강장
역곡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출구는 2개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 2. 배선도
역곡역의 경인선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바깥쪽 선(1·4번선)은 완행열차가, 안쪽 선(2·3번선)은 급행열차가 이용한다.
1967년 5월 1일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10][6] 1973년 12월 31일 역사가 준공되었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고,[10] 1983년 8월 6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10][6]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KORAIL)로 개칭되었다.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으며, 2012년 12월 4일 역무원 감축정책에 따른 조치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0][6] 2022년 6월 20일 경인선 특급 운행이 개시되어 특급 정차역이 되었다.[10][6]
3. 역사
4. 역 주변
가톨릭대학교, 유한대학교, 성공회대학교가 근처에 있다. 역곡상상시장과 역곡남부시장이 있으며, 부천부안초등학교, 부천양지초등학교, 부천동여자중학교, 부천동중학교, 부천동초등학교가 근처에 있다. CGV 역곡, 범안동행정복지센터, 역곡1·2·3주민지원센터, 역곡우체국, 역곡초등학교, 역곡중학교, 역곡고등학교, 홈플러스 부천소사점, 스타벅스 역곡역DT점, 맥도날드 역곡역DT점등이 있다.
1번 출구 방면에는 역곡초등학교, 역곡중학교, 역곡시장이 있고, 2번 출구 방면에는 부천부안초등학교, 홈플러스, 맥도날드, 스타벅스, CJ CGV가 있다. 그 외에도 국민은행 역곡역지점, 신한은행 역곡지점, 한국씨티은행 역곡지점, 우리은행 역곡지점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호선 승차 25,086 29,937 34,432 35,474 28,319 28,834 28,182 29,966 32,079 32,931 [11] 하차 19,882 25,080 31,390 33,364 26,260 27,803 29,090 28,939 30,876 31,525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호선 승차 33,375 34,360 33,737 31,261 31,009 30,595 30,542 31,189 31,153 31,303 22,488 22,618 [11] 하차 32,037 33,089 32,649 30,299 30,132 29,673 29,486 30,109 30,255 30,580 22,292 22,532 노선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8px 경인선 승차 인원 22,488 22,618 24,878 26,027 하차 인원 22,292 22,532 24,647 25,876 6. 인접한 역
18px 개봉 (143) 용산 방면
경인선 구로 (141) 용산 방면
경인선 소사 (147) 인천 방면 18px 부천 (148) 동인천 방면
경인선 부천 (148) 동인천 방면
경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