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국의 선거법 개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선거법 개정은 1832년 이후 여러 차례 이루어졌으며, 투표권 확대와 선거 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1832년 개정법은 중산층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고 부패 선거구를 폐지했으며, 1867년과 1884년 개정법을 통해 노동자 계층과 농민에게까지 투표권이 확대되었다. 1918년에는 21세 이상 남성과 30세 이상 여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졌고, 1928년에는 여성의 투표권 제한이 완전히 해소되었으며, 1969년에는 선거 연령이 18세로 낮아졌다. 현재도 선거 연령 인하와 비례대표제 도입 등 추가적인 개정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법제사 - 2022년 의회 해산 소집법
    2022년 의회 해산 소집법은 총리가 의회 동의 없이 해산을 요구할 수 있도록 2011년 고정임기 의회법을 폐지하고 의회 해산 및 소집 권한을 부활시킨 영국의 법률로, 총리의 권한 강화 논란을 야기했다.
  • 영국의 법제사 - 1735년 마법법
    1735년 마법법은 마법 행위 자체를 처벌하는 대신 마법을 가장하여 타인을 속이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으로, 미신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사기수단법 제정으로 폐지되었다.
  • 영국의 헌법전 - 벨파스트 협정
    벨파스트 협정은 1998년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해 영국, 아일랜드 정부와 북아일랜드 정당 간에 합의된 다자간 및 국제 합의로, 북아일랜드의 지위, 남북 관계, 영국-아일랜드 관계를 규정하고 자치 정부, 협력 기구 등을 설립하며 국민 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 영국의 헌법전 - 세속 귀족
    세속 귀족은 영국 상원의 구성원이었으나, 현재는 상원법에 의해 그 수가 제한되었고, 상원 개혁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영국의 선거법 - 2022년 의회 해산 소집법
    2022년 의회 해산 소집법은 총리가 의회 동의 없이 해산을 요구할 수 있도록 2011년 고정임기 의회법을 폐지하고 의회 해산 및 소집 권한을 부활시킨 영국의 법률로, 총리의 권한 강화 논란을 야기했다.
  • 영국의 선거법 - 1832년 선거법 개정
    1832년 선거법 개정은 부패 선거구 축소, 산업 도시 의석 배정, 투표 자격 확대를 통해 더 많은 남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고자 한 영국의 선거 제도 개혁으로, 상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통과되어 영국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선거법 개정
개혁 법안
정식 명칭인민 대표 법안
다른 이름대개혁
관할영국 의회
역사
서명1832년 ~ 1928년
법률
영향
영향선거 시스템 개혁

2. 역사적 배경

1832년 이전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에서는 전체 성인 남성의 10% 미만이 투표권을 가졌다.[1]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지역별로 투표권의 차이가 컸으며,[2][3] 일부 자치구에서는 모든 남성 세대주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지역구는 소수 특정 집단이나 부유한 귀족의 통제하에 있었다. 존 윌크스와 같은 급진주의자들과 윌리엄 피트 같은 보수적인 정치인들 모두 18세기에 선거법 개혁을 제안했다. 하지만 프랑스 혁명(1789–1799) 발발 이후 개혁에 대한 강한 반대 여론이 있었다. 1792년 이후에는 런던통신협회가 선거권 투쟁에 앞장섰다.[4]

3. 1832년 개정법 (1차 개혁법)

1832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져 선거구마다 2명씩 의원을 선출하도록 했다.[27]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엄청난 성장을 경험했던 많은 도시들에 의석수를 더 공정하게 재분배하고, 유권자가 7명밖에 없던 올드 세럼과 같은 "부패" 및 "포켓" 선거구를 없앴다.[1][27] 또한 10파운드의 가치가 있는 집을 소유한 모든 남성에게 투표권을 새롭게 인정하여, 영국의 유권자는 기존 21만 7,000명에서 43만 5,000명으로 늘어났다.[27] 이는 전체 남성의 1/5, 또는 1/7에 달하는 수치였다.[1][27]

이 개정법은 중산층이 상류층과 정치 권력을 공유하도록 만들어 보수주의자들에게는 혁명적인 일로 여겨졌다.[1] 일부 역사가들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이루어진 권력 이동이 1848년 프랑스 혁명이 프랑스에서 결국 이뤄낸 것과 같다고 주장한다.

찰스 디킨스는 속기사로서 이러한 사건들을 직접 관찰했다. 조지 엘리엇의 소설 ''미들마치''는 1830년대를 배경으로 하며, 개혁 법안에 대한 투쟁을 언급하지만 주요 주제는 아니다. 엘리엇의 ''급진주의자 펠릭스 홀트''는 1832년을 배경으로 하며, 대 개혁법에 대한 명시적인 소설이다. 같은 해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도 유사한 법이 통과되었다.

4. 1867년 개정법 (2차 개혁법)

1832년 개정법 시행 이후에도 노동자 계층의 참정권 요구는 계속되었다. 이들은 보통·비밀선거 실시, 선거구 평등, 의원 재산 자격 폐지 및 세비 지급 등을 요구하며 차티스트 운동을 벌였다.[1] 차티스트 운동은 1850년대에 쇠퇴했지만, 자유당의 촉구와 보수당의 주도로 선거법 개정이 이루어졌다.[1] 1867년과 1868년에 걸쳐 잉글랜드와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에 대한 법안이 통과되면서 노동자 계층을 포함한 유권자 수가 크게 늘었다.[1]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약 100만 명의 새로운 유권자가 추가되어, 전체 유권자 수는 거의 200만 명으로 증가했다.[1]

이러한 선거권 확대는 매튜 아놀드의 ''문화와 아나키''와 존 러스킨의 ''야생 올리브 왕관''과 같은 작품에서 나타난 것처럼, 권력 이동이 고등 문화를 파괴하는 민주주의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5. 1884년 개정법 (3차 개혁법)

1882년 자유당은 추가적인 선거법 개정을 시도했고 1884년 보수당이 이를 통과시키면서 세 번째 개정법이 시행되었다.[1] 이전의 개정법은 웨일스를 포함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에서 각각 개정되고 시행되었지만 이번엔 영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선거법 개정이었다.[1] 이 개정법을 통해 투표권이 농민들에게도 확산되어 성인 남성 대다수가 유권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1]

6. 1918년, 1928년, 1969년 개정법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의회는 여야 간의 만장일치로 21세 이상의 모든 남성과 30세 이상의 모든 여성의 투표권을 인정하는 개정법을 통과시켰다.[1] 이는 여성 참정권이 부분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재산, 나이 등 여러 제한 조건이 있었다. 투표권이 부여되지 못한 유일한 이유인 부조리한 성차별은 10년 후 1928년 동등 선거권법을 통해 완전히 해소되었다.[1]

1969년 노동당 정부는 선거연령을 21세에서 18세로 낮추는 개정법을 통과시켰다.[28][29][30] 당시 18세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던 것은 주요 민주국가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

7. 추가적인 개정 논의

자유민주당,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등은 선거연령을 16세로 낮추고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32][33][34][35] 이러한 정당들은 새로운 "대개혁법"을 통해 자신들이 선호하는 선거 제도 변화를 추진하려 한다.[32]

선거구 경계의 정기적인 재획정은 영국 각 지역의 영구적인 경계 위원회에서 처리한다.[31]

대한민국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선거 제도 개선과 정치 개혁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있다.

7. 1. 대한민국과의 비교

참조

[1]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Parliamentary Franchise http://researchbrief[...] House of Commons Library 2013
[2] 논문 The Franchise And Electoral Politics in England And Ireland 1832-1885 https://www.jstor.or[...] 1985
[3] 웹사이트 Franchise reform in nineteenth century Scotland https://www.nms.ac.u[...] 2023-01-01
[4] 서적 A Social History of England 1851–199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17
[5] 웹사이트 Political Reform: Lesson Plan 6: Overview https://www.historyo[...]
[6] 웹사이트 1969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https://www.parliame[...] 2021-01-02
[7] 웹사이트 Members of Parliament Chadderton http://www.chadderto[...] Chadderton Historical Society 2021-01-02
[8] 서적 Protest, Agitation and Parliamentary Reform in Britain 1780–1928 https://books.google[...] Hodder Education 2016-02-22
[9] 서적 Speeches that Changed Britain: Oratory in Birmingham https://books.google[...] History West Midlands 2015-09-19
[10] 서적 Changing life in Scotland and Britain: 1830s–1930s https://books.google[...] Heinemann 2004
[11] 서적 Understanding A/S Level Government Politic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12-05
[12] 서적 Democracy and Reform 1815–188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3] 서적 We must fight it out! – And why? https://books.google[...] 1887
[14] 서적 The Great Reform Act of 183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1-28
[15] 서적 The Making of the Second Reform Bil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Background and Passage of the Third Reform Act https://books.google[...] Garland Pub. 1982
[17] 논문 Money and the real impact of the Fourth Reform Act 2010-03-25
[18] 서적 The Parliamentary Electoral System, the Fourth Reform Act and the Rise of Labour in England and Wales https://books.google[...] 1983
[19] 서적 Europe from 1914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51
[20] 서적 British Working Class Politics, 1832-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2-07
[21] 문서 Alder and Syrett (2017). ''Co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Law''. 11th ed. Palgrave Law Masters. https://iarchive:con[...]
[22] 문서 Birch (1998). ''The British System of Government''. 10th ed. Routledge. Taylor & Francis e-Library. 2006. https://books.google[...]
[23] 문서 See, for example, the definition in section 8(1)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884, read with the definition of the Registration Acts in section 8(2). https://books.google[...]
[24] 웹사이트 How the Westminster parliamentary system was exported around the world https://www.cam.ac.u[...] 2022-12-30
[25]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Brill 2007
[26] 서적 The Historical Foundations of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2008
[27] 웹사이트 The Reform Act of 1832 http://www.historyho[...] 2024-01-19
[28] 논문 A coming of age: how and why the UK became the first democracy to allow votes for 18-year-olds https://www.tandfonl[...] 2021-04-03
[29] 웹사이트 Lowering the voting age: three lessons from the 1969 Representation of the People's Act https://blogs.lse.ac[...] 2022-12-31
[30] 웹사이트 'The last milestone' on the journey to full adult suffrage? 50 years of debates about the voting age https://www.historya[...] 2022-12-31
[31] 웹사이트 Constituency boundary reviews and the number of MPs https://commonslibra[...] 2021-02-01
[32] 뉴스 It's time for the next Great Reform Act https://www.theguard[...] 2021-01-02
[33] 뉴스 Giving 16-year-olds the vote can be Labour's Great Reform Act https://www.theguard[...] 2021-01-02
[34] 웹사이트 A new Great Reform Act is needed to limit the absurdities of our constitution https://www.independ[...] 2021-01-02
[35] 웹사이트 Electoral Reform: I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The Solution? https://livingroom.g[...] 2023-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