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원아목은 도롱뇽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점박이도롱뇽과, 큰도롱뇽과, 영원과, 동굴영원과, 용암도롱뇽과, 앰피우마도롱뇽과, 무폐도롱뇽과를 포함한다. 도롱뇽목은 도롱뇽아목, 사이렌아목, 영원아목으로 구성되며, 2012년 기준 양서류의 계통 분류는 위와 같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영원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계 분류 | 아목 |
학명 | Salamandroidea |
명명자 | Fitzinger, 1826 |
과학적 분류 | |
화석 범위 | 후기 쥐라기 - 현재 |
하위 분류군 | 과 |
하위 분류 | 베이야네르페톤 칭롱트리톤 앰비토마과 암피우마과 바트라코사우로이드과? 무폐도롱뇽과 동굴영원과 흐르기영원과 영원과 사이렌과 |
도롱뇽목의 과 (영원 및 도롱뇽) | |
해당 정보의 출처 | Caudate Families (Newts & Salamanders) Livingunderworld.org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Cloacal Anatomy of Female Salamanders of the Plethodontid Subfamily Desmognathinae (Amphibia: Urodel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Late Jurassic salamandroid from western Liaoning, Chi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 New Basal Salamandroid (Amphibia, Urodela) from the Late Jurassic of Qinglong, Hebei Province, China PLOS ONE Middle Jurassic fossils document an early stage in salamander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
이미지 | |
![]() |
2. 하위 분류
- 점박이도롱뇽과 또는 암비스토마과 (Ambystomatidae)
- 큰도롱뇽과 (Dicamptodontidae)
- 영원과 (Salamandridae)
- 동굴영원과 (Proteidae)
- 용암도롱뇽과 (Rhyacotritonidae)
- 앰피우마도롱뇽과 (Amphiumidae)
- 무폐도롱뇽과 또는 미주도롱뇽과 (Plethodontidae)
2. 1. 도롱뇽아목 (Cryptobranchoidea)
도롱뇽아목은 영원아목, 사이렌아목과 함께 도롱뇽목을 구성하는 하나의 아목이다.[8] 현존하는 하위 분류군은 장수도롱뇽과와 도롱뇽과가 있다.[8]2. 2. 사이렌아목 (Sirenoidea)
사이렌아목은 도롱뇽목에 속하는 분류군이다.[8] 사이렌과를 포함하고 있다.[8]2. 3. 영원아목 (Salamandroidea)
영원아목(Salamandroidea)은 도롱뇽목의 하위 분류군이다.[8] 점박이도롱뇽과(Ambystomatidae), 큰도롱뇽과(Dicamptodontidae), 영원과(Salamandridae), 동굴영원과(Proteidae), 용암도롱뇽과(Rhyacotritonidae), 앰피우마도롱뇽과(Amphiumidae), 무폐도롱뇽과(Plethodontidae)를 포함한다.[8]3. 계통 분류
2012년 현재, 양서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
{| class="wikitable"
|-
! 양서류
|-
|
{| class="wikitable"
|-
| 무족영원목
|-
|
{| class="wikitable"
|-
! 도롱뇽목
|-
|
{| class="wikitable"
|-
| 도롱뇽아목
|-
|
장수도롱뇽 |
도롱뇽과 |
|-
| 사이렌아목
|-
|
|-
! 영원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영원과
|}
|-
|
{| class="wikitable"
|-
| 동굴영원과
|-
|
{| class="wikitable"
|-
| 용암도롱뇽과
|-
|
암피우마도롱뇽과 |
무폐도롱뇽과 |
|}
|}
|}
|}
|-
| 개구리목
|}
|}
|}
4. 한국의 도롱뇽
4. 1. 주요 서식종
4. 2. 보존 노력
참조
[1]
논문
Fossils, molecules, divergence times, and the origin of Salamandroidea
[2]
웹사이트
Caudate Families (Newts & Salamanders)
http://www.livingund[...]
Livingunderworld.org
2007-11-09
[3]
논문
Cloacal Anatomy of Female Salamanders of the Plethodontid Subfamily Desmognathinae (Amphibia: Urodela)
1990-04
[4]
논문
Late Jurassic salamandroid from western Liaoning, China
[5]
논문
A New Basal Salamandroid (Amphibia, Urodela) from the Late Jurassic of Qinglong, Hebei Province, China
2016-05-04
[6]
논문
Middle Jurassic fossils document an early stage in salamander evolution
https://discovery.uc[...]
2022-07-11
[7]
웹인용
Caudate Families (Newts & Salamanders)
http://www.livingund[...]
Livingunderworld.org
2007-11-09
[8]
간행물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